KR920006816Y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816Y1
KR920006816Y1 KR2019860017132U KR860017132U KR920006816Y1 KR 920006816 Y1 KR920006816 Y1 KR 920006816Y1 KR 2019860017132 U KR2019860017132 U KR 2019860017132U KR 860017132 U KR860017132 U KR 860017132U KR 920006816 Y1 KR920006816 Y1 KR 920006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n
view
sectional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551U (ko
Inventor
미지오 죠오지
요시노부 니시무라
히데요시 이나주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7000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5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58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28796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풍기
제1도 내지 제2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요부단면도.
제2도는 우측면도.
제3도는 뒷가아드체 분해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전동기부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지지간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지지간 상승 상태의 선풍기 사시도.
제10도는 동 단면도.
제11도는 일정한 하중 스프링의 장착을 표시하는 분해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는 XIII-XIII선 단면도.
제14도는 지지간 하강 상태의 선풍기의 단면도.
제15도는 밑판을 분리한 분해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XVI-XVI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XVII-XVII선 단면도.
제18도는 지지간 걸림부분의 배면도.
제19도는 동 부분의 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XX-XX 단면도.
제21도는 지지간 승강 걸림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2도 내지 제24도는 지지간 승강 걸림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5도는 지지간 승강 걸림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26도는 동 요부 분해사시도.
제27도는 제3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28도는 동 송풍 날개 분해시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동기부 5 : 뒤가이드(Guard)체
6 : 너트체(구성부재) 7 : 앞커버체(구성부재)
17 : 지지체 19 : 전동기
22 : 외측회전자 25 : 에지(edge)부
39 : 피에지부
본 고안은 외전형(外轉型)전동기를 사용하고 외측회전자에 송풍날개를 붙이고 떼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풍기에 있어서는 전동기로 내전형(內轉型)이 사용되고 있으며 송풍날개를 떼낸 상태에 있어서는고정자(stator)를 내장한 케이스체 및 전동기를 덮는 커버체가 그 외측을 덮음으로서 필연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이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있었다.
그러나, 전동기로서 외전형을 사용하는 선풍기는 예를 들면 실공소 43-19010호 공보나 실공소 60-6636호 공보등에 표시된 선풍기에 있어서는 송풍날개를 떼낼수 없는 구조로 하거나 외측회전자를 내측 고정자의 부착부에 형성한 지지체에 전동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하는 것으로서 이 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지만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청소시간이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전동기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외전형 전동기의 외축 회전자에 스피너(spinner)로 송풍날개를 붙이고 떼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회전자의 외주에 에지부(edge부)를 형성하고, 이 에지부에 접촉없이 씌워지는 피에지부를 상기한 전동기의 내측 고정자의 지지체에 붙이고 떼는 구성부재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 회전자에 에지부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조를 전동기에 실시하고, 지지체에 붙이고 떼는 구성부재에 피에지부를 형성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시에 각 에지부가 자연적으로 포게지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24도에 표시한 제1실시예와, 제25도와 제26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와, 제27도와 제28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선풍기(1)의 지지간(2b)에 지지되는 선풍기 주체(3)부분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선풍기(1)의 우측면도이다.
제3도는 선풍기 주체(3)의 전동기부(4)에 대하여 뒷가아드체(5)를 너트체(6)로 부착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4도는 전동기부(4)에서 앞커버체(7)와 뒷커버체(8)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스탠드(9)가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간(2b)의 단면도이고, 제6도 내지 제8도는 제5도에있어서의 Ⅵ-Ⅵ, Ⅶ-Ⅶ, Ⅷ-Ⅷ 부분에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9도는 지지간(2b)을 가장 상승시킨 상태의 선풍기(1)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동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스탠드(9)의 속이빈 중공지주(2a)에 지지간(2b)을 삽입하며, 이 지지간(2b)을 상승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 지지간(2b)의 상단부에 지지하는 선풍기 주체(3)과 균형을 잡게하는 일정한 하중 스프링(87)을 지지하는 부착간(41)을 중공지주(2a)내에 장착하는 과정을 표시한 분해단면도이다.
제12도와 제13도는 제11도에 있어서 XII. XII, XIII-XIII부분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지지간(2b)을 가장 하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스탠드(9)의 기대(42)아래면을 폐쇄하는 밑판(43)을 분해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6도는 밑판(43)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15도의 XVI-XVI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7도는 제15도의 XVII-XVII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8도는 지지간(2b)를 가장 하강 시킨 상태가 보호 유지하는 조작체(44)부분의 배면도이다.
제19도는 동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0도는 제18도의 (XX-XX)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중공지주(2a)에 장착하는 지지간(2b)을 유지하는 걸림체(45)와 스프링체(46)와 축받이 틀체(47)와 조작체(44)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2도 내지 제24도는 제21도에 표시한 각 구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선풍기 주체(3)는 상기 지주(2)선단에 내려다 보거나 올려다 보기를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네크피이스(neckpeice)(11)와 이 네크피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하는 추축(12)으로 목부분의 좌우 회전이 자재하게 지지되는 전동기부(4)와. 이 전동기부(4)에 너트체(6)로 붙이고 뗀후 뒷가아드체(guard체)(5)와 전기한 전동기부(4)의 회천축(13)에 스피너(14)로 붙이고 떼기가 자재롭게 장착되는 송풍날개(15)와 상기한 뒷가아드체(5)에 연결되는 앞 가아드체(16)로 형성된다.
상기한 전동기부(4)는 상기한 추축(12)을 수직 설치한 "L"자형 지지체(17)와 이 지지체(17)의 수평부에 형성한 머리 좌우 회전장치(18)와 상기 지지체(17)의 수직부에 형성한 외전형 전동기(19)와 상기 지지체(17)의 후면측에 장착하는 뒷커버체(8)와 상기 지지체(17)의 전면측에 장착하는 앞커버체(7)와로 형성된다.
상기한 지지체(17)는 알루미늄 주조물로 형성된다.
상기한 머리 좌우회전장치(18)는 머리 좌우회전 모우터와 캠체와 링크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동기(1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DC 브러시 레스모우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동기(19)는 상기 지지체(17)에 돌출 설치한 원통부(20)외측에 끼워져 장착하는 내측고정자(21)와 상기 원통부(20)에 내장한 베어링으로 축받이된 회전축(13)을 가지는 외측 회전자(22)로 형성된다.
상기한 원통부(20)의 기단 외측에는 회전자(22)의 위치 검출 소자를 장착한 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22)는 회전축(13)과 이 회전축(13)의 고정자(21)로 부터의 돌출부분에 형성한 로오레트(knurl)부분에 눌러서 끼워지는 요크(yoke)를 겸용한 강판제 케이스 체(23)와 이 케이스 체(23)의 내면에 압입 고정한 영구자석(24)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케이스체(23)의 개방단부에는 절곡 형성하여 외측으로 내어붙인 에어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송풍날개(15)는 컵 모양의 보스부(26)와 이 보스부(26)의 외측에 설치하는 날개편(27)과로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26)내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3)에 형성한 회전정지핀(28)에 걸어맞추는 걸림부(2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정지핀(3)은 상기한 회전축(13)의 케이스케(23)에서 돌출한 부분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정지핀(28)을 케이스 체(23)에 근접시킴으로서 상기 보스부(26)의 회전자(22)에 씌워지는 것을 크게하고 있다.
상기 스피너(14)을 회전축(13)에 돌려 넣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송풍날개(15)를 회전축(13)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너(14)의 강하게 돌려 넣어도 상기한 회전 정지핀(28)으로 받쳐지므로서 케이스 체(23)에 그 힘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회전자(22)와 고정자(21)와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뒷커버체(8)는 상기 지지체(17)의 후단부와 상단부에 나사(30)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17)의 수직부는 상기 회전자(22)로 부터 외축에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앞커버체(7)가 나사(31)로 고정된다.
상기 커버체(7)에는 상기 전동기(19)가 끼워서 통하는 개구(3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32)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회전자(22)의 개방단부를 접촉하지 않고 씌운 원통부(3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원통부(33)의 외면에는 나사가 잘린 상기 너트 체(6)를 돌려 넣는다.
상기 뒷커버체(5)는 중앙부의 부착링체(34)와 외륜(35)와 상기 부착링체(34)와 외륜(35)사이에 가설되는 선재(36)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링체(34)는 상기 원통부(33)에 끼워지며, 상기 너트체(6)로 상기 앞커버체(7)에 붙이고 떼기가 자재하게 장착된다.
상기 부착링체(34)와 앞커버체(7)와의 위치 결정과 회전정지는 이 앞커버체(7)에 돌출 설치한 돌기(37)를 부착링체(34)의 삽통공(38)에 걸어 맞추게 된다.
또, 상기 나사(31)의 머리부분를 이용해서 상기 부착링체(34)의 회전정치를 행하여도 좋다.
상기 원통부(33)의 단부에는 피에지부(39)를 내측으로 내어 설치되어 있다.
이 피에지부(39)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체(23)에 근접하고 상기 에지부(25)와도 근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피에지부(39)와 에지부(25)가 포개지므로서 상기 회전자(22)의 개방단부는 통기성을 확보할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동기(19)의 냉각 통로는 확보되며 이물질의 침입이 저지되고 따라서 먼지의 침입도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송풍날개(15)의 보스부(26)의 단부를 상기 피에지부(39)에 근접시킴으로써 운전중에 있어서의 전동기(19)내에 먼지등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탠드(9)는 스위치 제어회로를 장착한 기판(48)을 내장한 합성수지 기대(42)와 이 기대(42)에 돌출설치한 중공지주(2a)와 이 중공지주(2a)에 승강 자재토록 지지한 지지간(2b)과 상기 기대(42)의 아래면 개구를 폐쇄하는 밑판(4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지지간(2b)은 상기 네크피이스(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갈림부(4)를 형성항 지지부(50)와 상기 부착간(88)에 한단을 고정시킨 일정한 하중스프링(87)의 와권부의 수납유지부(51)를 형성한 승강 안내부(52)와 상기 지지부(50)와 승강 안내부(5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화장통부(53)와 보강용 금속 지주부(54)와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와 승강안내부(52)와 화장 통부(53)와는 함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지주부(54)는 파이프체로 형성된다.
상기 화장통부(53)는 단면에 계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50)와 승강 안내부(52)에 형성된 돌기부(55),(56)에 끼워진다.
상기 금속 지주부(54)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안내부(52)에 형성한 삽통공(57)에 상입하여 끼워지며 상단부는 지지부(50)에 형성한 삽통공(58)에 삽입하여 끼워진다.
상기 삽통공(57)의 하단에는 금속지주부(54)의 하단부 내면에 끼워지는 반 원호상 리브(5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화장통부(53)의 하부와 승강안내부(52)와 금속 지주부(54)의 하부는 측부에서 돌려넣은 나사(85)로 고정 연결되어 일체화 된다.
상기 지지부(50)와 화장통부(53)와는 나사(86)로 연결하므로써 일체화 된다.
상기 금속지주부(54)의 상단부는 삽통공(58)에 삽통한 것만으로써 지지부(50)및 화장통부(53)의 상부와는 연결되는 않고 삽입 방향으로 금속지주부(54)와 삽통공(58)내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50)의 삽통공(58)에 있어서의 금속지주부(54)의 삽입 방향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간격(h)의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간(2b)의 주위 온도의 변화에 의해 이 지지간(2b)은 신축된다.
이 신축은 합성수지제 화장통부(58)와 금속지지부(54)와는 차이가 발생하여 화장통부(53)에 비하여 금속지주부(54)의 변화가 크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통부(53)와 금속지지부(54)의 하단부는 고정되지만, 상단부는 삽통공(58)을 갖고 신축방향으로 이동이 되며, 상기한 신축 차이를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한 승강안내부(52)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리브(59)를 내측으로 누르면 나사가 비틀려 들어가고 상기금속지주부(54)내에 삽통되는 전기코오드(도시생략)를 양측에서 깨워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50)와 화장통부(53)상단부를 나사(86)로서 연결하여 일체화 하든가 또는 성형시에 일체화한 외측을 일체로한 구성체와 상기 금속지주부(54)하단부와 승강안내부(52)와를 나사(85)로 연결하여 일체화 하든가 또는 압입모울드 성형으로 일체화 한 내측을 일체화한 구성체와를 상대적으로 신축자재롭게 끼워진 것으로 상대적으로 신축자재한 구조로서 화장통부(53)하단부를 승강안내부(52)또는 금속지주부(54)에 고정하며, 이금속지주부(54)의 상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구조와 상기 금속지주부(54)상단부를 지지부(50)에 고정하고, 화장통부(53)하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구조를 양일체를 구성체를 긴구멍에 삽통한 나사로 연결하며, 신축방향에는 긴구멍 범위에 있어서 신축되도록 하는 구조등 여러 가지로 고려하고 있다.
상기 중공지주(2a)상단부에는 가장 상승한 지지간(2b)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그 이상의 상승을 저지하는 리브(60)를 내설하고 있다.
상기 중공지주(2a)의 후면내에는 상기 일정하중의 스프링(87)의 일단을 상단에 고정한 부착간(88)을 삽입안내하는 리브(6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중공지주(2a)의 내면후부 양측에는 승강안내부(52)의 홈부(62)를 안내하는 승강안내 리브(6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중공지주(2a)의 리브(61)의 최상부분에는 부착간(88)의 상단을 끼워 고정하는 걸림부(64)를 리브의 하단에 잘린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워 진다.
상기 부착간(41)의 하단은 기대(42)와 중공지주(2a)와의 접합부분에 수직 설치한 보스(65)에 들어가는 나사(66)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65)는 접합부분에 형성한 것으로 벗어지는 일이 없이 형성할 수 있으며 강도면으로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승강안내부(52)에 형성한 수납유지부(51)는 아래쪽에 열린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간(88)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일정하중 스프링(87)은 그 탄성에 의해 와권부와 고정된 일단과를 인출하는 부분이 수납유지부(51)의 일측 아래 가장자리로 걸어 맞추며, 자동적으로 와권부가 수납유지부(51)에 수납유지된다.
상기 밀판(43)은 합성수지로서 접시 모양으로 형성되며, 기대(42)에 수직 설치되는 보스(67)에 들어가는 나사(68)로서 기대(42)에 고정된다.
상기 밑판(43)과 기대(42)의 외주측벽에 접합하는 가장자리에는 탄성밤바(bumber)체(69)를 끼우고 있다.
상기 밑판(43)에는 상기 승강 안내리브(6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규제지지부(70)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이 규제지지부(70)에는 상기 승강안내리브(63)의 하단을 끼우는 것으로 그 진동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규제 지지부(70)는 승강안내리브(63)에 의해 가로 및 내측에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안내부(52)의 홈부(62)보다 폭넓은 것이므로 상기 승강안내부(52)의 승강 안내리브(63)에 따라간 안내가 저지되며 그 이상의 하강을 정지된다.
상기 지지간(2b)의 일정하중의 스프링(87)의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하강에 의하여 힘이 강하게 하강하여도, 강도적으로 충분하게 형성하여도 하등에 외관상 문제가 없는 밑판에 규제 지지부(70)를 형성한 것으로 파손의 염려가 없이 그 하강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규제 지지부(70)의 구조는 본 실시예와 같이 선단 두갈림 모양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승강안내리브(63)의 하부의 흔들과 빗나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 안내부(52)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상기 지지간(2b)의 하강을 원활하게 저지함과 동시에 하강저지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밑판(43)에 탄성편을 형성하여 하강력을 감소시켜도 좋다.
또, 일정하중 스프링(87)의 와권부에 맞닿는 대부(台部)를 밑판(43)에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하중 스프링(87)의 탄성을 이용하여 하강력 및 저지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지지간(2b)는 일정하중 스프링(87)에 의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선풍기 주체(3)의 중량과 균형이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지주(2a)의 각 부분과의 마찰력에 의해 특별한 정지장치가 없어도 적당히 승강 조정위치에서도 안전하게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선풍기(1)를 운반할시에는 선풍기 주체(3)에 형성한 손잡이부(7l)를 잡고 행하는 것으로 그 운반시에 원활한 것을 바라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간(2b)이 가장 하강한 상태에서 걸리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지지간(2b)이 가장 하강한 상태에의 걸림은 상기 걸림체(45)와 스프링체(46)와 축받이 틀체(47)와 조작체(44)로 형성되는 승강 걸림장치의 상기 지지간(2b)에 형성한 걸어맞춤 오목부(72)에서의 걸거나 벗김으로 행해진다.
제22도 내지 제25도에 의거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걸림체(45)는 ""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72)에의 걸어맞춤 고리부(73)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조작체(44)의 작용부(74)를 형성하며 절곡부 양측에는 핀 모양의 회전가능하게한 지지부(7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조작체(44)는 축받이 틀체(47)의 개구부(76)의 양축 가장자리에 탄성고리 정지편(77)과 상기 걸림체(45)의 작용부(74)를 조작하는 돌기부(7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 틀체(47)는 후면 개구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지주(2a)후면 상부에 형성한 개구(79)에 장착된다.
이 개구(79)의 장착은 상단에 형성한 돌기(80)를 개구(79)의 윗가장자리에 걸고 하부에 형성한 탄성 고리편(81)를 개구(79)의 하부에 걸리게 하여서 행한다.
상기 축받이틀체(47)에는 상기 걸림체(45)에 회전 가능하게한 지지부(7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82)를 형성하며 이 축받이부(82)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간(2b)의 승강 방향으로 뻗는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부(82)에의 걸림체(45)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상기 축받이 틀체(47)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상기 걸림체(45)에 축받이 틀체(47)회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체(45)를 걸어맞추는 오목부(72)에의 걸어 맞추는 방향에 힘을 가하는 상기 코일 모양 스프링체(46)를 회전 가능하게 한 지지부(75)에 끼워서 장착한다.
스프링체(46)의 일단은 절림체(45)에 걸리게 하며 타단은 축받이틀체(47)내면에 압적된다.
상기 걸림체(45)는 제22도에 표시함과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72)에 걸어 맞추어서 상기 지지간(2b)의 상승을 저지한다.
이 상태로 지지간(2b)를 상승시키도록 하면 상기 걸림체(45)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점이 걸어 맞추는 오목부(72)에의 작용점 보다 외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걸림체(45)는 그 걸어맞춤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동하려하고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가능한 지지부(75)와 축받이부(82)의 회전 가능한 지지하는 구조보다 걸림체(45)는 회동하기전에 위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상단을 축받이틀체(47)의 천정에 형성한 단부(83)에 맞닿게 걸어맞춤하므로서 상기 걸림체(45)의 회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지지간(2b)를 상승시키고자 하여도 상기 걸림체(45)의 걸어맞춤 오목부(72)에의 걸어 맞춤이 빠지는 일은 없다.
또, 상기 걸어맞춤고리부(73)가 축받이틀체(47)의 천정에 맞닿는 것으로 축받이 틀체(47)는 걸어맞추는 고리부(73)의 보강재로서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체(44)를 개구(76)에 따라가 아래로 움직임으로서 상기 돌기부(78)가 걸림체(45)의 작용부(74)에 맞닿으며 상기 걸림체(45)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회동시키며 상기 걸어 맞춤고리부(73)와 걸어맞춤 오목부(7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걸림체(45)는 스프링체(46)로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체(44)를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만 상기 작용부(74)를 돌기부(78)의 선단 모양으로 일치시키기 위하여 오목부 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조작체(44)를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힘이 외측에 밀어내는 힘으로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개구부(76)의 양측에 상기 탄성 고리정지편(77)이 그 걸어맞춤을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넘어드는 돌기부(84)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조작체(44)는 상기 걸림체(43)를 걸어 벗어지는 두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앞커버체(7)의 원통부(33)에 형성한 피에지부(39)를 너트체(6)로 형성한것이다.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뒷가아드 체(5)와 앞커버체(7)와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하며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필요한 너트체(6)을 없이 하고 부품수의 감소를 도모한 것이다.
또 회전축(13)에 형성하는 송풍날개(15)의 위치결정과 회전 정지를 행하는 부재를 링체(40)로 형성한 것이다.
그 결과 전술한 실시예로 행한 회전축(13)에의 회전 정지핀(28)의 압입작업을 배제하여 제조를 간략화 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링체(40)에는 "E"링 등이 사용된다.
또 상기 링체(40)에 판 스프링적인 탄성을 가진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송풍날개(15)의 회전중에 있어서의 진동등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외측 회전자(22)에 에지부(25)를 형성하고 지지체(17)에 붙이고 떼는 구성부재는 소위너트체(6)또는 앞 커버체(7)또는 뒷가이드체(5)등에 피에지부(39)를 형성하므써 간단한 구조로써 조립공정을 어려움이 없이 전동기(19)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외전형 전동기(19)의 외측회전자(22)가 고정된 커버(일본 실공소 53-4412호 공보참조)로 씌워져 있지 않는 것으로 냉각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 진동기(19)의 냉각 효과의 향상과 이물질(먼지)의 직접적인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날개(15)의 보스부(26)의 앞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부(26)앞면에 형성한 보강용 리브(41)를 경사지게 또는 날개편을 비틀어 넣고 상기 보스부(26)내의 공기를 앞쪽으로 송풍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스피너(14)에 통기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므로써 상기 보스부(26)와 회전자(22)와의 사이에 공기가 흐르게 되고 상기 보스부(26)개방단과 피에지부(39)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전동기(19)의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또 상기 보스부(26)와 피에지부(39)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입되므로서 이 피에지부(39)와 회전자(22)와의 사이에 공기의 고속흐름이 형성 되므로써 먼지등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에지(edge)를 외측 회전자에 피에지부를 구성부재로 형성하므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전동기내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므로 냉각 효과도 향상 시킬수 있다.

Claims (5)

  1. 외전형 전동기의 외측 회전자(22)에 스피너(14)로 송풍날개(15)를 붙이고 떼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외축 회전자(22)의 외주에 에지부(25)를 형성하고, 상기 에지부(25)에 접촉하지 않게 씌운 피에지부(39)를 상기 전동기(19)의 내측고정자(21)의 지지체(17)에 붙이고 떼는 구성부재로 형성하여서 된 선풍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피에지부(39)를 형성하는 구성부재를 뒷가아 체(5)를 붙이고 떼는 너트체(6)로서 된 선풍기.
  3. 청구법이 제1항에 있어서. 피에지부(39)를 형성하는 구성부재를 지지체(17)를 씌운 커버체(7),(8)로서된 선풍기.
  4.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에지부(25)를 외측 회전자(22)의 개방단부에 형성하여 된선풍기.
  5.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송풍날개(15)의 컵 모양의 보스부(26)를 외측 회전자(22)에 씌워서 장착하고 상기 보스부(26)의 개방단을 피에지부(39)에 덮어지도록 배치하여 된 선풍기.
KR2019860017132U 1985-11-05 1986-11-05 선풍기 KR9200068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7002(U) 1985-11-05
JP1985170002U JPH03557Y2 (ko) 1985-11-05 1985-11-05
JP7158186A JPS62228796A (ja) 1986-03-28 1986-03-28 機器のスタンド
JP61-71581(A) 198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51U KR870008551U (ko) 1987-06-12
KR920006816Y1 true KR920006816Y1 (ko) 1992-09-26

Family

ID=3343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132U KR920006816Y1 (ko) 1985-11-05 1986-11-05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8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51U (ko) 198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736Y1 (ko) 전기 팬
US4797072A (en) Portable electric blower
JPH01224598A (ja) 機器の俯仰角度調整装置
JPS6218765B2 (ko)
KR920006816Y1 (ko) 선풍기
JP5290693B2 (ja) 窓開閉装置および建具
JPH0728635Y2 (ja) ビデオカセットの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US20030189151A1 (en) Apparatus for mounting shroud to ceiling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30003982B1 (ko) 휴대용 선풍기
JPH03557Y2 (ko)
WO2020075606A1 (ja) 送風機
JPH0315837Y2 (ko)
JPH0440557B2 (ko)
JPH01238799A (ja) 機器の首振装置
KR102611316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구
JPH02103197U (ko)
KR810000732Y1 (ko)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JP3604531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H0229275Y2 (ko)
KR840002408B1 (ko)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JPS645109Y2 (ko)
KR930008261Y1 (ko) 면도기
KR100205686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커버 걸림장치
JPS6088894A (ja) 送風機
JPH0243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