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32Y1 -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32Y1
KR810000732Y1 KR2019800000512U KR800000512U KR810000732Y1 KR 810000732 Y1 KR810000732 Y1 KR 810000732Y1 KR 2019800000512 U KR2019800000512 U KR 2019800000512U KR 800000512 U KR800000512 U KR 800000512U KR 810000732 Y1 KR810000732 Y1 KR 810000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nick
holder
b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00000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고안은 정면의 상하로 절곡하여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좌우 선풍을 얻는 종래의 선풍기 두체를 좌우의 상하로 절곡할 수 있게 함으로서, 좌우 선풍과 상하선풍을 얻을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풍기는 360°를 회전하는 것과 좌우 선풍식으로 필요할때 상하 절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있었으나, 전자는 천정등에 착설하여 원회전하는 선풍을 기대하는 것이며, 후자는 좌대식으로 좌우 선풍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때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풍을받는 대상물에 따라 그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상하 선풍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을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그러한 선풍기는 출회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좌우 선풍 및 상하 선풍을 얻을 수 있는 좌대식 선풍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즉 선풍기 지주(1)의 상단에 모우터를 수장한 두체(2)가 니크홀더(3)내에 삽착된 니크(4)에 의해 상하로 절곡되도록 힌지홀더(5) 상단의 고정볼트(6)에 의해 장착한 것에 있어서, 힌지홀더(5)의 중심절취부(5a)내에 탄발스프링(9)을 수납토록 요함부(8)를 가진 삽설편(7)을 수납체착하며 그 하측에는 양단에 볼(11)을 탄지한 스프링(10)을 수납시켜 주어 상하 또는 일측으로 절곡토록 구성된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12는 절곡 강도 조절공을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에시도면 제2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지주(1)의 상단부에 장착된 니크(4)가 니크홀더(3)내에서 후방부로 절곡되고 수진장치에 의해 화살표 A와 같이 좌우로 회동되는 통상의 선풍기 하측에 절취부(5a)를 가진 힌지홀더(5)내에 니크홀더(3)의 삽설편(7)을 탄발스프링(9)에 의해 탄지케 수납하며 그 하측에 수납된 볼(11)이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벽에 형성된 절곡각도 조절공(12)에 단계적으로 이동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풍기의 두체(2)와 니크(4)를 예시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좌우측 B방향으로 절곡시키면 선풍기의 풍향익은 좌측 또는 우측등 선택된 방향으로절곡된 상태에서 C방향인 상하부로 작동되므로 선풍이 인체의 상하로 붙어주어 전신을 고루게 씌워주므로 종전의 부분적으로 만 바람을 쏘이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풍기 지주(1)의 상단에 모우터를 수장한 두체(2)가 니크홀더(3)내에 삽착된 니크(4)에 의해 상하로 절곡되도록 힌지홀더(5) 상단에 고정볼트(6)에 의해 장착한 것에 있어서, 힌지홀더(5)의 중심절취부(5a)내에 탄발스프링(9)을 수납토록 요함부(8)를 가진 삽설편(7)을 수납 체착하며 그 하측에는 양단에 볼(11)을 탄지한 스프링(10)을 수납시켜 주어 상하 또는 일측으로 절곡토록 구성된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KR2019800000512U 1980-01-28 1980-01-28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KR810000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512U KR810000732Y1 (ko) 1980-01-28 1980-01-28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512U KR810000732Y1 (ko) 1980-01-28 1980-01-28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32Y1 true KR810000732Y1 (ko) 1981-06-17

Family

ID=1921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512U KR810000732Y1 (ko) 1980-01-28 1980-01-28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10000732Y1 (ko)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US5543671A (en) Electric motor terminal board with integral switch locking means
CN220465193U (zh) 防眩目遮阳板
JPH0440557B2 (ko)
KR890000458Y1 (ko) 회전축의 회전중심 조절장치
KR900007602Y1 (ko) 세탁기의 조작부 높이 조절장치
KR0126051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JPH0143887Y2 (ko)
KR900002123Y1 (ko) 단축 다이얼 메모판 장착부재
JPS592284Y2 (ja) 扉支持装置
JPS5819849Y2 (ja) 空中線の取付構造
JPS5941356Y2 (ja) 扇風機
KR0133580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장치
KR900009853Y1 (ko) 슬라이드식문의 로울러 고정장치
KR900004815Y1 (ko) 회전식 서라운드 스피커 취부장치
KR940005343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외부단자 결합장치
JPH024315Y2 (ko)
KR880002815Y1 (ko) 헤드폰의 유닛(unit)조절장치
KR900006791Y1 (ko) 키보드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850002885Y1 (ko) 스탠드형 선풍기의 풍향 변환 장치
RU98107905A (ru) Позици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970000732Y1 (ko)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용 연결구
KR930003286Y1 (ko) 드럼의 브라켓트 브러쉬 어셈블리
KR930002790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표시대 조절장치
KR840002408B1 (ko)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