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08B1 -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 Google Patents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08B1
KR840002408B1 KR1019810000973A KR810000973A KR840002408B1 KR 840002408 B1 KR840002408 B1 KR 840002408B1 KR 1019810000973 A KR1019810000973 A KR 1019810000973A KR 810000973 A KR810000973 A KR 810000973A KR 840002408 B1 KR840002408 B1 KR 84000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grill
neck
main frame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503A (ko
Inventor
겐이찌 와다나베
히로시 기노시다
아끼라 다쓰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1000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08B1/ko
Publication of KR83000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본체부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지주에 부착시켜 마루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체의 앞쪽 구성부품의 전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뒷쪽에 조립되는 뒤쪽 구성 부품의 전개사시도
제5도는 목부분의 전개사시도
제6도는 지주부분의 전개사시도
제7도는 본체를 하부의 확대 이면도
제8도는 벽에 부착한 상태의 본체와 목 부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외관 사면부
제9도는 벽에 부착한 경우의 사용상태도
제10도는 천정에 부착한 경우의 사용상태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목부분의 평면도
제12도는 마루에 설치한 상태로 사용한 전체 사시도
제13도는 본체와 목 부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제14도는 베이스부와 지주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제15도는 마루에 설치한 상태의 전체 종단면도
제16도는 베이스 캡부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있어서의 XVII-XVII 단면도
제18도는 개략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 본채출의 원형통기구(円形痛氣口)에 송풍방향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변경시키는 원형의 회전그릴(grille)을 설치한 선풍기에 있어서 통기구를 본체틀의 편심(偏心) 위치에 설치하여 이 통기구와 본체를 외주벽간의 이 큰 공간부분에 팬(fan)모우터 및 그릴모우터 제어용 스위치를 수납함과동시에 이 부분의 바깥면에 지지장치를 부착하여 지지장치에 의해 실내의 벽이나 스탠드 지주에 용이하게 부착할수 있는 그릴이 부착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팬모우터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회전그릴로서 송풍방향을 바꾸어 선풍기를 전체적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송풍방향을 점차적으로 바꿀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선풍기는 Phillip W. Keem 등의 미국특허 제4,123,197호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결같이 마루나 탁상에 놓고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그러나 선풍기는 실내의 상황에 따라 탁상만이 아니라 벽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Phillip W Keem 등이 제안한 선풍기는 벽에 부착할 경우에 대비한 충분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 또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기구를 임시로 부착하였다 하더라도 본체들의 칫수(두께, 종, 횡)가 너무 커서 벽면에 부·착하는 데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의장적인 관점에서도 뒤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에 있어서 대폭적으르 소형화를 꾀함과 동시에 스탠드 지주에 부착하여 탁상용 선기로 사용한다든가 또는 벽에 직접 부착하며 벽걸이용 선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 설치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 본체틀의 편심위치에 원통형기구를 설치하여 이 통기구와 본체틀의 외주벽간에 형성 되는 공간 중에서 나머지의 다른 공간부분보다도 그릴의 직경방향으로 중간이 큰 부분에 수납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수납부내에는 팬모우터나 회전그릴 제어을 스위치류를 수납하는 한편 수납부의 바깥면에는 지지장치를 부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가장 적합한 1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1은 선풍기 본체, 2는 선풍기 본체(1)의 바깥 껍데기 또는 케이스의 본체들로서 바깥둘레벽(2-1) 및 원형의 통기구(2-2)를 가진다. 또 이 본체틀(2)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3은 본체틀(2)의 중심부에 부착한 팬모우터, 4는 팬모우터(3)에 의해 회전되는 팬, 5는 팬(4)을 팬모우터(3)에 고정하는 나사, 6은 그릴 구동용 모우터로서 단상코일을 가진 소형 동기(同期) 모우터이다. 이 동기 모우터는 빙향성이 없으며 어떠한 외력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역전하는 모우터이다. 7,8은 팬모우터(3)의 중량을 유지해 주기 위해 본체틀(2)의 외측과 중심부간에 넣는 모우터 보강금구(補强金具), 9는 보강금구(8)에 고정된 부착 보강금구, 10은 모우터 보강금구(7),(8)와 함께 모우터(3)를 본체틀(2)에 부착하는 나사, 11은 그릴구등용 모우터(6)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그릴로서 통기구(2-2) 전면의 터진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경사격자(11-1)를 가지고 있다. 12는 그릴의 바깥 둘레부에 형성된 돌기, 13은 돌기(12)를 포함한 원주선상이나 그밖의 부분으로 이동 가능한 스톱퍼로서 후술하는 절환레버(59)에 일체로 형성 되어 있다. 14는 본체틀(2)의 바같둘레벽(2-1)과 통기구(2-2)간에 형성 되는 공간 중에서 나머지의 다른 공간부분보다도 그릴(11)의 직경방향으로 공간이 큰 부분인데 후술하는 수납부(2-3) 바깥면에 부착한 커버이다. 이 커버(14)는 상기한 수납부(2-3)에 수납 부착된 후술하는 스위치류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후술하는 목부(37)와 결합하여 전체의 장치를 벽동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수납부(2-3)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본체틀(2)의 편심위치에 원형의 통기구(2-2)를 설치하였을 때 본체틀(2)의 바깥둘레벽(2-1)과 통기구(2-2)간에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공간 중에서 그릴(11)의 반편심(反偏心) 방향의 공간이 그릴(11)의 직경방향으로 가장 커진다. 이 큰 공간은 제어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2-3)이다, 이 수납부(2-3) 이외의 공간은 점차적으로 그릴(11)의 직경방향으로 작은 치수로 하여 소형화를 꾀하고 있다. 또 이 수납부(2-3)는 그릴(11)의 바깥둘레벽(2-1)을 바깥쪽으로 팽출(膨出)시켜형성해도 좋다. 15는 팬(4)을 보호하는 플라스틱제의 가아드(guard)로서 체페틀(2)의 바깥둘레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16은 이 가아드(15)의 위끝에 형성된 돌기로서 이 돌기(16)를 이용하여 가아드(15)를 본체틀(2)에 위치 결정하여 나사(17)로서 가아드(15)를 본체틀(2)에 확실하게 부착한다. 18은 커버(14)에 일체로 형성된 구멍, 19는 커버(14)와 일체로 형성된 보스(boss), 20은 구멍(19)의 안둘레에 부착되는 구멍 보강금구 21은 구멍 보강금구(20)와 커버 (14)를 일체로 보강금구(9)에 고정하는 나사이다. 다음에 제5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22는 목, 23은 목(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술한 구멍(18)과 거의 동일직경으로 구멍(18)에 삽입되는 원통, 24는 원통(23)과 동심상으로 목(22)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원통(23)을 구멍(18)에 삽입하였을 때 보스(19)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보스(19)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된 원호(円弧)구멍, 25는 목전면 에 설치된 돌기, 26은 목(22)을 내측으로 수납하는 凹부를 가진 목지지부, 27은 목지지부(26)에 설치된 구멍, 29는 목지지부(26)를 보장하는 벽금구(壁金具), 30은 목(22)에 내장되는 스프링, 31은 스프링(30)에 의해 힘이 작용되는 강구(鋼球), 31는 목(22)을 위쪽으로 작용시키는 스프링, 33은 목(22)과 목지지부(26)간에 설치되는 스톱퍼금구, 34는 목(22)을 목지치부(26)에 회등이 자유자재롭게 지지하는 나사, 35는 나사를 고정하는 너트, 36은 스톱퍼금구(33)에 목(22)의 회동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강구(鋼球)(31)의 원호궤적(円弧軌跡)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구멍군, 37은 부호(22-6)의 구성부품에 의하여 구성된 목부이며 이 목부(37)는 상술한 수납부(2-3)의 바깥면에 부착된 커버 (14)와 함께 전체적인 장치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0도에 관하여 실명한다. 38은 벽, 39는 목부(37)를 벽(38)에 부착하는 나무로 된 나사, 40은 목부(37)로부터 본체(1)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스(19)의 구멍을 통하여 부착 보갑금구(9)에 설치한 나사구멍(41)에 체결되는 손잡이 나사이다. 제11도는 목부(3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42는 목(22)의 돌기(25)와 대향하도록 커버(14)에 설치된 凹부이며 양자의 탄성적인 걸어맞춤에 의해 간헐적으로 전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제12도 내지 제17도는 전체 장치를 제6도에 나타낼 강봉제(綱棒製) 스탠드 지주에 부착하는 경우의 예즐 나타내고 있으며, 43은 강봉 등으로 원형형태로 만든 베이스링, 44는 베이스링(43)의 상부를 덮는 베이스커버, 45는 베이스 커버(44)와 함께 베이스링(43)을 협지하는 베이스 받침, 48은 베이스 받침(45)을 고정하는 나사, 47은 베이스 커버 상부를 덮은 베이스 캡, 48은 강봉 등으로 원형형태로 만든 베이스링(43)에 고정되는 지주, 49는 지주(48)에 접동되어 고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되어 목부(37)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 50은 지주(48)를 베이스링(43)에 고정하는 나사, 51은 베이스캡(47)에 설치되어 지주(48)를 원활하게 통하기 위한 길고 가느다란 홈(52)을 설치한 테이퍼 구멍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벽(38)에 나무로 된 나사(39)로 부착된 목부(37)의 목(22)의 원통(23)을 본채(1)에 조립된 커보(14)의 구멍(18)에 끼워 넣어 손잡이나사(40)로 고정함으로써 본채(1)는 벽(38)에 설치된다. 목(22)은 목지지부(26)에 대하여 스프링(32)에 의해 힘이 작용되어 나사(34)를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롭고 스프링(30)으로 힘이 작용된 강구(鋼球)(31)가 구멍군(36)에 의해 넣어져 있기 때문에 본체(1)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위로 움직이는 방향을 임의의 위치에서 조일 수 있다.
한편 목(22)에 목치한 돌기(25)가 이것에 대향하는 위치로 커버(14)에 목치한 凹부(42)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23)을 중심으로 본체(1)는 좌우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조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상술한 부호(43-52)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를 붙이면 벽걸이형 선풍기를 마루에 목치하는 형의 선풍기로 할 수도 있다.
제18도는 개략적인 전기회로를 나타내며, 53은 회전수 절환스위치로서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고 가는 끈(54)을 잡아당길 때마다 고속, 중속, 지속 및 정지로 절환된다. 55는 회전그릴 스위치로서 잡아당기는 끈(56)을 잡아당길 때마다 회전과 정지를 반복한다. 57은 타이머 스위치로서 손잡이(58)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맞춰진다. 59는 회전그릴(11)의 회전각도 전환레버로서 이것을 조작하여 회전그릴(11)의 돌기(12)와 스톱퍼(13)와의 걸림 및 이탈을 행해줌으로써 회전그릴(1)의 회전과 정지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그릴(11)의 돌기(12)가 절환레버(59)의 스톱퍼(13)에 닿으면 그릴구동 모우터(6)의 회전방향이 역전하여 회전그릴(11)은 다시 스톱퍼(13)에 닿을 때가지 역 회전을 계속한다. 이것은 그릴구동용 모터퍼가 방향성이 없는 단상의 소형돌기 전동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회전그릴(11)에 복수개의 돌기(12)를 목치하여 각각의돌기(12)의 직경방향의 위치를 바꾸어 농든가 절환레버(59)의 정지위치를 복수개소로 함으로써 회전그릴(11)을 임의의 번위에서 자동적으로 왕복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60은 상하 슬라이드용의 손잡이로서 이 손잡이(60)를 조작하여 본체(1)를 지주(48)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든가 또는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62는 그릴구동모우터(6)의 보강리브, 63은 전원코오드, 64는 콘덴서신 이다. 또 팬구동용 모우터를 아우터 모우터형 전동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축방향의 칫수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틀(2)의 수납부(2-3)의 바깥면에 설부(37)를 목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목부 (37)를 벽에 부착한다든가 또는 강봉(鋼棒)을 절곡한 스탠드 지주에 부착한다든가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회전그릴을 가진 것에 있어서 신규한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 구성에서는 여러가지의 실시 태양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특히 소형, 경량화를 고려하고 있다. 즉 본체틀(2)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이 본체틀(2)의 편심 위치에 원형의 통기구(2-2)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그릴(11)의 위쪽에는 좁은 공간이 형성 되고 아래쪽에는 큰 공간이 형성 되지만 특히 큰 반편심측(反偏心側)의 공간(S)을 수납부(2-3)로 하여 이 수납부(2-3)내에 회전수 절환스위치(53), 회전그릴스위치(55), 타이머스위치(57) 등의 전기적 제어부품을 모아서 수납 배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납부(2-3) 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rib)(6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의 바깥면의 커버(14)를 목부(37)로 벽 또는 지주 등에 부착하도록 하였으므로 지지부의 강도 부족에 기인하는 문제점은 없다. 특히 이 1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틀(2)도 원형이고, 통기구(2-2)도 원형이기 때문에 그 공간폭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본체(1)의 하중은 외부 케이스의 전 둘레에 분산되어 지지되게 되며, 지지부(목부 37)에만 과도한 응력이 집중하는 등의 결점은 없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수납부(2-3) 이외의 공간을 될 수 있으면 작게 하여 전체적인 소형화를 꾀하였고 수납부(2-3)의 바깥면의 커버(14)에 목부(37)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썬 여러가지 사용형태내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로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에 있어서 마루나 탁상 또는 벽걸이형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구성에 의해 실용화한 것이다.

Claims (1)

  1. 바깥 둘레벽과 원형의 통기구를 가지며 합성수지로 형성된 본체틀과 이 본체틀과 이 본체틀내에 지지된 전동기와, 이 전동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통기구를 향하는 팬고, 상기 통기구의 전면에 자유자제로 회전되게 설치된 그릴과 이 그릴을 회전시키는 반전 가능한 소형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의 바깥 둘레벽과 통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중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으로 큰 공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에 제어용 전기부품을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의 바깥면에 상기 본체틀을 저지하는 지지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러 하는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KR1019810000973A 1981-03-24 1981-03-24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KR84000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73A KR840002408B1 (ko) 1981-03-24 1981-03-24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73A KR840002408B1 (ko) 1981-03-24 1981-03-24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503A KR830005503A (ko) 1983-08-20
KR840002408B1 true KR840002408B1 (ko) 1984-12-27

Family

ID=1922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73A KR840002408B1 (ko) 1981-03-24 1981-03-24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503A (ko) 198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US7182472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H02248690A (ja) 扇風機
US5028997A (en) Television camera apparatus
US20050123392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US10724529B2 (en) Omnidirectional oscillating fan with clamp
US20070247854A1 (en) Ceiling fan
WO2022184078A1 (zh) 风扇组件及风扇灯
US6537029B1 (en) Electric fan capable to rotate for 360 degrees
KR840002408B1 (ko)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JPS6160999B2 (ko)
CN111059487A (zh) 一种专业台灯
JPS618496A (ja) 扇風機
US11890522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 swimming machine
JP6774538B2 (ja) クランプ付きの全方位首ふり扇風機
KR100576107B1 (ko) 선풍기의 그릴 회전 장치
CN211289673U (zh) 一种专业台灯
CN219412972U (zh) 一种吊扇
KR850001730Y1 (ko) 키보오드의 경사조절 장치
KR940008175B1 (ko) 원통형 다익팬의 지지장치
CN212841059U (zh) 一种多角度可调的球场灯
JPH0714749Y2 (ja) 換気扇
JPH0111994Y2 (ko)
CN219299582U (zh) 一种电风扇
CN219388207U (zh) 一种手持风扇及其风扇太阳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