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618Y1 -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618Y1
KR920006618Y1 KR2019900018144U KR900018144U KR920006618Y1 KR 920006618 Y1 KR920006618 Y1 KR 920006618Y1 KR 2019900018144 U KR2019900018144 U KR 2019900018144U KR 900018144 U KR900018144 U KR 900018144U KR 920006618 Y1 KR920006618 Y1 KR 920006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late
guide
seat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392U (ko
Inventor
김용기
엄상중
Original Assignee
김용기
엄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엄상중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19900018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618Y1/ko
Publication of KR920009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중 몸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A-A'선부 단면도.
제4도는 상기 몸만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사기 제2도의 B-B'선부 단면도, "b"는 상기 제2도의 C-C'선부 단면도, "c"는 상기 제2도의 D-D'선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작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결 상태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고리 2 : 고리판
10 : 덮개 11 : 고리결합부
13 : 안내가이드 14 : 안내홈
21 : 걸림턱 30 : 몸판
40 : 조절노브 41 : 레버
42 : 비틀림 스프링 43 : 힌지핀
44 : 조절편 45 : 안내축
50 : 밑판 51 : 단속축안내홈
53 : 안내벽 55 : 걸림편
A : 삼적식좌석안전벨트 B : 벨트
C : 시트 K : 커버
S : 샤시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된 삼섬식좌석, 안전벨트를 탑승자가 착용했을 때, 발생되는 압박감을 해소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석 안전 벨트의 착용길이를 임의 조필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의 구조적 작용과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도로교통 법규에서 승객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 좌석 안전벨트를 장착하도록 의무화되 있으며, 이와 같은 규제 의무에 의해 자동차의 좌석에는 좌석 안전벨트가 장착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좌석 안전벨트는,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와,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로 분리할 수 있는 두 종류의 좌석 안전벨트를 선택적으로 장착 의무화하고 있으며, 그중 일반적인 대중교통수단의 택시 뒷좌석이나, 버스에는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가 장착되 있고, 상기의 택시 및 버스는. 화물자동차와 같이 운전석과 그 옆의 조수석에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가 장착된다.
또한, 자가용 승용 자동차의 경우는 양측 앞좌석에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를 장착하지만, 고급 자가용 승차가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는, 뒷자석에는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가 장착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형 승용 자가용 자동차 일지라도 고급형이거나, 옵션일 경우는 암좌석과 같은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를 장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와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는 그 작용효과면에 볼때 많은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예를들어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의 경우를 보면, 좌석을 중심으로 한 일측에는 좌석벨트가 고정되 있고, 그 반대편에는 훅크가 결합되어 탑승자가 자기 체위에 맞도록 벨트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되 있으며, 일단 조절해서 착용하고나면, 그 길이가 계속 유지된 채로 당겨져서 줄어지거나, 길게 늘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착용한 사람의 허리부분 만을 단속할 수 있게 되 있으므로, 불의에 추돌사고와 같은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에 비해 안전도가 많이 떨어진다.
반면에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의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추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착용자의 허리와 어깨가슴을 동시에 잡아주게 되어, 상기한 이점식 좌석 안전벨트에 비해 착용자를 보호하는 안전도는 높으나. 일측의 벨트하우징으로 부터 스파이럴 스프링이 항시 착용상태에 있는 벨트를 당기고 있게 되므로 착용하는 상기스파이럴 스프링의 인장력 만큼의 압박감을 감수해야 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운행중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탑승자는 벨트착용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좌석 안전벨트로서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지 못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거나, 국내 실용신안(제90-7250호)에 의해 출원된 바와 같은 제품들이 알려진 바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제품들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사용할 때마다 유동하는 벨트결합 수단을 갖게 하였으므로, 많은 잡음등의 불쾌한 소리를 유발시켜 사용자의 신경을 자극하거나, 오동작 발생이 빈번하여 사용상에 많은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 제품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탑승자가 보다 쉽게 사용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좌석 안전벨트를 사용할 수 있도륵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7도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한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A)는, 벨트하우징(도시없음)과 연결고리(4)와 벨트(B) 그리고 버쿨(도시없음)이 결합되 있으며, 상기 벨트하우징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결합되어 항시, 벨트(B)의 권말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회동가속 단속추가 내장되어, 순간적으로 벨트(B)풀림이 발생될 때, 벨트(B)풀림을 정지시켜 주도록 되 있다.
이와 같은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A)의 벨트하우징은 첨부도면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시(S)하단부에 볼트로 고정되 있고, 그 상부에 커버(K)가 씌워져 상기 벨트(B)가 인출되게 하고 있으며, 그 상단은 상기벨트(B)가 유통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벨트고리(1)가 형성된 고리판(2)에 볼트공(2a)이 천공되어 볼트(3)로 고정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B)의 타단부는 벨트하우징이 장착된 위치와 거의 같은 위치의 샤시(S)하단부에 고정되 있어, 클립을 끌어 당겨서 시트(C)일축에 가진 버클에 체결할 수 있게 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B)를 탑승자가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착석위치로 부터 벨트(B)의 지지점은 삼각점이 형성되면서, 일측 어깨가슴 상측으로 부터 하방향 일측의 경사상으로 착용됨과 동시에 허리 부분을 동시에 착용할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이 설치되는 위치는 첨부도면 제7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벨트(B)의 상단지지점이 형성되는 고리판(2)의 벨트고리(1)에. 덮개(10)를 결합시켜서 사용함과 동시에 몸판(30)하단부와 밑판(40) 사이에 벨트(B)가 유통되도륵 결합시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양측이 반원 형성된 고리 결합부(11)와 압압부(12)를 가진 상기 덮개(10)를 형성하여, 안내가이드(13)사이에 형성된 안내홈(14)과 핀구멍(15)이 관통 형성된 몸판(30)에 형성되 있다.
또한 상기 몸판(30)상면 양측에는 레버장공(16)이 천공되어, 조절노브(40)가 일체 형성된 레버(4l)가 삽입되고, 상기 레버(41)하단에는 고리형상의 축 안착홈이 형성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형성된 레버(41)는 몸판(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비틀림 스프링(42)과 힌지핀(42)에 축설되 있으며. 상기 힌지핀(43)은 상기 몸판(30)의 핀구멍(15)에 압압된 상태로 결합되어 단속편(44)과 일체형성된 안내축(45)을 안내홈(14)에 안착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몸판(30)의 앞판(17)과 뒷판(18)에는, 벨트유통 홈(19)이 혈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내향 형성한 요홈(20)을 가진 걸림턱(21)이 연장형성되 있고, 그 저면에는 밑판 결합부(22)가 형성되 있다.
따라서 상기 형성된 몸판(30)저면의 밑판 결합부(22)에 밑판(50)을 결합시켜서, 벨트(B)를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밑판(50)에는, 첨부도면 제1 및 제5도 내지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양측에 단속축 안내홈(51)과, 핀삽입홈(52)을 가진 안내벽(53)이 형성되 있으며, 그 외측에는 돌출턱(53)이 형성되 있고, 상단에 걸림편(55)이 일체 형성되 있다.
상기 형성된 안내벽(53)내측 바닥에는 상단에 각이 형성된 전면 스톱퍼(56)와 만곡 형성된 배면 스톱퍼(57)가 반원형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 형성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 형성된 상기 몸판(30)의 덮개(10)를 차량의 샤시(S)에 볼트(3)결합한 벨트고리(1)에 눌러 끼우게 되면, 양측의 고리결합부(11)가 상기의 벨트고리(1)를 감싸드시 결합되며. 이때의 압압부(12)단부는, 상기 벨트고리(1)와 용착형성된 고리판(2)에 밀착되어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벨트고리(1)에 몸판(30)이 결합된 후에는, 벨트(B)를 밑판(50)양측의 안내벽(53)에 넣은 상태로 일치시켜서 상기 몸판(30)의 밀판 결합부(22)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밑판(50)은, 몸판(30)저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양측의 안내벽(53)이, 걸림턱(21)내측으로 안내되면서, 걸림편(55) 이 요홈(20)으로 안내결합되어 돌출턱(54)이 요홈(20)으로 삽입되므로, 첨부도면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판(2)에 고정되어 첨두보면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B)를 단속하는 조절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벨트(B)를 착용하기 위해 당기게 되면, 벨트(B)는 상기 탑승자가 당기는 힘에 작용으로 상기 제5도에서와 같이 탄설 압압상태에 있던 단속편(44)이 탄설되 있는 비틀림 스프링(42)을 회동 압축시키면서, 약간 상승이동되어 벨트유통구멍(19)을 통해, 탑승자가 당기는 방향으로 인출유통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당기는 작용을 멈추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42)을 약간 압축시키면서 상승이동 되었던 상기 단속편(44)은 당기는 힘이 해재된 상태에 의해 압축되었던 비틀림 스프링(42)이 복원하게 되어 다시 안내홈(14)을 따라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B)가 전면 스톱퍼(56) 배면 스톱퍼(57)사이에서 압압되므로, 유동이동 상태가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B)는, 벨트하우징의 스파이럴 스프링이 가지고 있는 만큼의 인장력으로 일저한 팽창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단속된(44)에 눌러 절곡되어, 양측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이 불가능하게 단속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탑승자는 자기가 요구하는 만큼의 벨트(B)착용길이를 임의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당겨진 착용길이가 너무 길게 늘어졌을 때는 몸판(30)상면에 가진 조절노브(40)를 이용하여 제조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조정 하는 수단은, 탑승자가 목적지에 다와서 벨트(B)를 해체하는 수단과도 그 작동을 같이 하게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조절노브(40)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서, 벨트(B)를 단속하고 있는 단속편(44)을 들어올려 주게 된다.
상기 가해지는 윈위적인 힘에 의해 레버(41)작동으로 단속편(44)이 들어 올려지게 되면, 양측의 안내축(45)에 탄설된 비틀림 스프링(42)도 압축됨과 동시에 벨트단속력이 해재되므로. 벨트하우징의 스파이럴 스프링이 압축된 만큼 다시 풀리게 되어 인출되었던 상기 벨트(B)률 원위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용한 상태의 길이가 필요이상 늘어져 있거나, 사용이 종료된 벨트(B)의 작용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원 상태로 권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기존 장착되 있는 삼점식 좌석 안전벨트(A)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설치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므로 양산 가능하여 널리 보급시켜서, 안전벨트 착용 부담감을 해소시켜 주게 되므로써, 교통사고로 부터의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도옴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벨트(B)를 연결설치하는 수단으로 샤시(S)상단에 고정체결하는 벨트고리(1)가 형서된 고리판(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벨트(B)를 조절단속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몸판(30)과 밑판(50)을 결합형성하되, 상기몸판(30)에 레버장공(16)과 핀구멍(l5)이 각각 상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고리결합부(11)가 형성된 덮개(10)를 형성하고 상기 몸판(30)내부 양측과 저면에 요홈(20)형성된 걸림턱(21)을 갖게하여 그 상면으로 안내홈(14)이 형성되도록 안내 가이드(13)를 형성하며, 그 저면으로 밑판 결합부(22)가 형성하여 앞판(17)과 뒷판(18)에 벨트유통구멍(l9)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장공(16)과 핀구멍(15)에는, 축으로 형성한 단속핀(44)양측에 안내축(45)을 형성하여, 조절노브(40)가 일체 형성된 레버(41)를 끼워서 힌지핀(43)에 비틀림 스프링(42)을 축설하여 상기 몸판(30)내측에 탄설되게 하며, 상기의 밑판(50)에는, 양측으로 안내벽(53)을 형성하여, 그 안내벽(53)에 핀삽입홈(52)과 단속축 안내홈(51)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안내벽(53) 외측에는 돌출턱(54)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에 걸림편(55)이 일체 형성되게 하여 상기 벨트(B)의 작용길이를 신축조절 할 수 있드록 결합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KR2019900018144U 1990-11-24 1990-11-24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KR920006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4U KR920006618Y1 (ko) 1990-11-24 1990-11-24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4U KR920006618Y1 (ko) 1990-11-24 1990-11-24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92U KR920009392U (ko) 1992-06-16
KR920006618Y1 true KR920006618Y1 (ko) 1992-09-21

Family

ID=1930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144U KR920006618Y1 (ko) 1990-11-24 1990-11-24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6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6145A (zh) * 2018-03-30 2019-10-11 李荫柱 一种汽车安全带松紧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6145A (zh) * 2018-03-30 2019-10-11 李荫柱 一种汽车安全带松紧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92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4289Y2 (ko)
US20040169411A1 (en) Add-on safety harness for vehicles
US4470618A (en)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JP2004130920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920006618Y1 (ko)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JPH05112204A (ja) 車両等の座席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H0672285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KR200147500Y1 (ko) 꼬임방지용 텅플레이트
JPS63130449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JPH0343892Y2 (ko)
JPS63222957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JPH0137954Y2 (ko)
JPS5810667Y2 (ja) 安全ベルト装置
JPS598913Y2 (ja) パツシブベルト装置におけるインナ−側ベルト持上装置
JPS5873459A (ja) 車両等の座席における拘束装置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100366591B1 (ko) 자동차용 이동식 시트 벨트 구조
KR100456556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버클
KR20021449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KR0124363Y1 (ko) 자동차용 후방 시트의 안전 벨트 버클 수납 장치
KR20025426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장치
JPH0355470Y2 (ko)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100379963B1 (ko) 다방향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