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91Y1 -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91Y1
KR200214491Y1 KR2020000027929U KR20000027929U KR200214491Y1 KR 200214491 Y1 KR200214491 Y1 KR 200214491Y1 KR 2020000027929 U KR2020000027929 U KR 2020000027929U KR 20000027929 U KR20000027929 U KR 20000027929U KR 200214491 Y1 KR200214491 Y1 KR 200214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clip
belt clip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학
Original Assignee
양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학 filed Critical 양성학
Priority to KR2020000027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91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클립의 앞커버 하부에 훅크(HOOK)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버클 숫부재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트벨트의 사용자가 상기 시트벨트를 사용할 때 마다 벨트클립의 걸림/해제버튼을 조절하거나 시트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처음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된 시트벨트의 길이를 그대로 재이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SEAT BELT CLIP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클립의 앞커버 하부에 훅크(HOOK)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버클 숫부재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하므로 시트벨트의 사용자가 상기 시트벨트를 사용할 때 마다 벨트클립의 걸림/해제버튼을 조절하거나 시트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처음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된 시트벨트의 길이를 그대로 재이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시트벨트는 착용시 벨트권취기의 지속적인 권취력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착용자에게 압박감을 주게 되므로 많은 운전자들이 시트벨트의 사용을 꺼려하게 되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트벨트상에 별도의 벨트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즉, 시트벨트상에 밸트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벨트클립의 걸림/해제버튼으로 벨트클립을 경유하는 시트벨트의 걸림/해제를 조절하므로서,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시에는 벨트클립의 걸림기능으로 착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게되고, 상기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벨트클립의 해제기능으로 시트벨트가 권취기에 감길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5)은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커버(2)에 단지 걸림/해제 버튼(1)만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시트벨트(4)를 사용 할 때 마다 상기 걸림/해제버튼(1)을 조절하여 걸림 또는 해제를 선택하도록 되어있었다.
즉, 사용자가 시트벨트(4)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시트벨트(4)의 버클숫부재(10)를 당겨 버클암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주고 시트벨트(4)가 적당하게 착 용된 상태에서 상기 벨트클립(5)의 걸림/해제버튼(1)을 눌러 걸림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시트벨트(4)가 더이상 벨트권취기(7)의 권취력으로 압박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벨트(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벨트(4)의 암,숫부재를 분리하고 상기 벨트클립(5)의 걸림/해제버튼(1)을 눌러 해제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착용했던 시트벨트(4)가 벨트권취기(7)로 권취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5)은 시트벨트(4)의 탈/착용에 따라 걸림/해제버튼(1)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트벨트(4)를 착용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벨트클립(5)의 해제기능으로 조절해 주어 권취기(7)로부터 인출되어진 시트벨트(4)가 다시 벨트클립(5)의 내부를 경유하여 권취기(7)에 감겨 지도록 하여야만 되는 것이다. 이는 착용했던 시트벨트(4)가 벨트클립(4)의 걸림기능으로 권취기(7)에 되감기지 않으면 상기 시트벨트(4)가 차량의 시트상에 널부러져 있게 되거나, 상기 늘어져 있는 시트밸트(4)가 차량의 도어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차량이 질주를 하게 되므로 여러가지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박감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시트벨트(4)의 탈/착용시마다 벨트클립(5)의 걸림/해제버튼(1)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시트벨트(4)를 필요이상으로 길게 인출시켜 상기 벨트클립(4)의 걸림기능으로 고정시켜 놓고 가식적인 착용을 하는 운전자가 늘고 있는바, 이는 차량의 사고시 시트벨트(4)가 본래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대형참사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의 상부커버 하단부에 훅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시트벨트의 길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벨트권취기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벨트클립이 걸림기능을 갖도록 설정해 놓고, 시트벨트의 탈/착용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에 설치되어져 있는 버클숫부재를 상기 벨트클립의 훅크에 걸러두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시트벨트의 탈/착용에 따라 수시로 시트벨트의 길이를 맞추거나 벨트클립의 걸림/해제버튼을 조절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편리한 시트벨트의 착용이 가능하게 하고, 착용하지 않는 시트벨트가 벨트클립의 걸림기능으로 차량의 시트상에 늘어지거나 도어의 밖으로 노출되어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벨트클립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벨트클립부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벨트 걸림기능의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벨트클립부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벨트 해제기능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벨트클립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벨트클립부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벨트 걸림기능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걸림/해제버튼
2-앞커버
3-뒷판
4-시트벨트
5-벨트클립
6-훅크(HOOK)
7-권취기
8-시트밸트앵커
9-벨트덮개부
10-버클 숫부재
11-홈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걸림/해제버튼(1)을 가지는 앞커버(2)와, 상기 앞커버(2)와 결합되는 뒷판(3)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앞커버(2)와 뒷판(3)의 사이로 시트벨트(4)가 경유하도록 되어진 자동차용 벨트클립(5)에 있어서, 상기 앞커버(2)의 하부에 훅크(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4도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자동차용 벨트클립(5)은 걸림/해제버튼(1)이 형성되어져 있는 앞커버(2)와, 상기 앞커버(2)와 시트벨트(4)를 사이에 두고 뒷판(3)이 결합되어서 상기 걸림/해제버튼(1)의 조절로 벨트권취기(7)로부터 인출되어진 시트벨트(4)가 걸림 또는해제 될 수 있도록 되어지되, 상기 걸림/해제버튼(1)이 형성되어져 있는 앞커버(2)의 하부에 훅크(6)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물론, 앞커버(2)상에 힌지를 중심으로 걸림/해제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걸림/해제버튼(1)과, 상기 앞커버(2)와 뒷판(3)의 결합에 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벨트클립(5)은 상부커버(2)와 뒷판(3)이 시트벨트(5)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서 차체 센터필러의 밸트앵커(8)하부와 벨트덮개부(9)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므로서 시트벨트(4)는 자유롭게 벨트클립(5)의 내부를 경유하며 벨트권취기(7)로부터 인출 또는 권취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벨트착용자는 시트벨트(4)에 설치되어져 있는 버클숫부재(10)를 당겨서 버클암부재에 체결하고 상기 시트벨트(4)가 적당한 상태로 착용된 상태에서 벨트클립(5)의 걸림/해제버튼(1)을 조절하여 걸림기능을 갖도록 하면 상기 벨트클립(5)은 시트벨트(4)의 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벨트(4)는 상기 시트벨트(4)상에 고정된 벨트클립(5)이 벨트덮개부(9)에 걸리게 되므로 더이상 권취기(7)에 감길 수 없게되고, 따라서 시트벨트(4)착용자는 시트벨트(4)에 의한 압박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벨트(4)사용자가 착용했던 시트벨트(4)를 풀 때에는 버클의 암부재로부터 숫부재(10)를 통상의 방법으로 분리한 후에도 상기 시트벨트(4)가 벨트클립(5)에 의하여 권취기(7)에 감기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버클숫부재(10)에 형성되어져 있는 홈(11)을 벨트클립(5)에 형성되어져 있는 훅크(6)에 걸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는 시트벨트(4)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먼저 착용했던 상태의 길이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버클숫부재(10)에 걸린상태로 벨트클립(5)의 훅크(6)에 걸려져 있는 것이므로 다시 시트벨트(4)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벨트클립(5)의 훅크(6)로부터 버클숫부재(10)를 분리하여 버클암부재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벨트클립(5)은 착용자가 바뀌지 않거나 비슷한 체형의 사람이 사용을 할 경우에는 상기 벨트클립(5)으로 시트벨트(4)의 착용길이를 단 한번 설정해 놓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새로운 체형의 탑승자가 시트밸트(5)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벨트클립(5)의 걸림/해제버튼(1)을 해제기능으로 조절하여 적당한 시트벨트(4)의 길이를 설정한 후 다시 걸림기능으로 조절하면 되므로 상기 벨트클립(5)은 사용자가 바뀜에 따라 시트벨트(4)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만 사용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훅크(6)에 버클숫부재(10)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벼운 봉지나 작은 소품등을 걸어 둘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벨트클립의 하부에 훅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버클숫부재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착용자가 동일인이거나 유사한 체형의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시트벨트의 착용길이를 단 한번의 설정으로 편안하게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밸트클립의 조절을 기피하여서 시트벨트가 시트상에 늘어지거나, 차량의 도어밖으로 나온 상태로 질주를 하게 되므로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원인의 제거는 물론, 상기 시트벨트가 지나칠 정도로 느슨하게 늘어진 상태에서 착용하므로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등 시트벨트와 관련된 여러가지 안전사고의 예방에 큰 도움을 주고 보다 편안한 운전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걸림/해제버튼(1)을 가지는 앞커버(2)와, 상기 앞커버(2)와 결합되는 뒷판(3)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앞커버(2)와 뒷판(3)의 사이로 시트벨트(4)가 경유하도록 되어진 자동차용 벨트클립(5)에 있어서, 상기 앞커버(2)의 하부에 훅크(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KR2020000027929U 2000-10-06 2000-10-06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KR200214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29U KR200214491Y1 (ko) 2000-10-06 2000-10-06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29U KR200214491Y1 (ko) 2000-10-06 2000-10-06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91Y1 true KR200214491Y1 (ko) 2001-02-15

Family

ID=7305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29U KR200214491Y1 (ko) 2000-10-06 2000-10-06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06B1 (ko) * 2013-12-18 2015-03-19 (주)우석파츠 기타용 스트랩 버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06B1 (ko) * 2013-12-18 2015-03-19 (주)우석파츠 기타용 스트랩 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449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클립
EP0412942B1 (en) Quick-release device for safety belts for motorvehicles
JPS6325155A (ja) シ−トクツシヨン
JP2535439Y2 (ja) シートベルト用保持具
KR200239311Y1 (ko)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위치 고정대
KR920006618Y1 (ko)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의 압박감 해소용 조절편
US5678859A (en) Seat belt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0124653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가이드풀리의 위치조정구조
JPH0447004Y2 (ko)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JPS63222957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JPH0464893B2 (ko)
JPH0447003Y2 (ko)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0126085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0142349B1 (ko) 리어시트 벨트의 리트렉터(Retractor) 고정 구조
KR20025426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JPH0242529Y2 (ko)
KR012081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JPH027090Y2 (ko)
KR011529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가이드풀리의 위치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