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85Y1 - 핀잭 - Google Patents

핀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85Y1
KR920006485Y1 KR2019890010111U KR890010111U KR920006485Y1 KR 920006485 Y1 KR920006485 Y1 KR 920006485Y1 KR 2019890010111 U KR2019890010111 U KR 2019890010111U KR 890010111 U KR890010111 U KR 890010111U KR 920006485 Y1 KR920006485 Y1 KR 920006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cave portion
shallow concave
grooves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25U (ko
Inventor
아끼히도 시치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잭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핀잭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핀플러그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핀잭의 커버(15)와 핀플러그의 커버(25)의 접촉상태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보디 12 : 플랜지
13 : 얕은 오목부 15 : 커버
16 : 홈 17 : 양쪽 가장자리부
18 : 간격 19 : 단자
21 : 잘라일으킨 돌출편 22 : 리브
23 : 콘택트 24 : 단자
25 : 커버
본 고안은 핀플러그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핀잭에 관한 것이다.
핀잭은 절연재(絶緣材)의 원통 형상 보디내에 콘택트가 수용되고, 상기 보디의 바깥쪽에는 금속제(金屬製)의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금속제 커버는 보디의 전체둘레면상에 덮어 씌우는 원통 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재료비가 많이 들고, 도금처리비용도 많이 들었다. 또 드로오잉 가공으로 만들기 때문에 금형도 고가의 것으로 되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재의 원통형상 보디의 둘레면에 얕은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얕은 오목부에 원호형상의 금속제 커버가 끼워넣어진다. 또, 얕은 오목부의 양쪽에는 축방향을 따른 홈이 형성되고, 이들 홈에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부가 꺾어굽혀져서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또, 보디에 형성된 플랜지와 커버에 형성된 잘라일으킨 돌출편이 걸어맞추어져서 빠져나감 방지가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절연재의 원통형상 보디(11)에는 후방끝부분에 플랜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보디(11)의 둘레면의 일부에 얕은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얕은 오목부(13)의 후방끝과 연통해서 원호형상구멍(14)이 플랜지(12)에 형성되어 있다.
보디(11)의 얕은 오목부(13)에는 금속제의 원호형상커버(15)가 끼워넣어져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얕은 오목부(13)의 양쪽에 축방향을 따른 홈(16)이 형성되고, 이들 홈(16)에 커버(15)의 양쪽 가장자리부(17)가 꺾어굽혀져서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진다. 즉 커버(15)는 보디(11)의 후반쪽에서부터 앞쪽을 향해서, 가장자리부(17)가 홈(16)에 삽입되어 원호형상구멍(14)을 통해서 얕은 오목부(13)에 끼워넣어진다. 이경우, 가장자리부(17)의 가장자리가 홈(16)의 바닥과 접촉하고, 커버(15)의 내주면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얕은 오목부(13)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고 간격(18)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5)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보디(11)의 측심에 대해서 대략 120°가 되도록 하면 된다.
커버(15)의 후방끝에는 단자(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커버(15)로부터 잘라 일으킨 돌출편(21)이 돌출하여, 커버(15)를 얕은 오목부(13) 내에 삽입하였을때, 돌출편(21)이 플랜지(12)와 걸어맞추어져서 커버(15)의 빠져나감 방지가 된다.
또한 커버(15)에는 둘레방향의 리브(22)가 돌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1)내에는 예를들면 포오크형상 콘택트(23)가 축방향을 따라서 삽입유지된다. 콘택트(23)에는 단자(2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5)를 보디(11)의 얕은 오목부(13)에 대하여, 앞쪽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해도된다.
또, 단자(19), (24)는 축심과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에, 축심과 평행하게 연장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커버(15)는 보디(11)의 전체 둘레면이 아니고, 일부의 둘레면을 씌우는 것이므로, 커버(15)의 재료비가 종래보다 염가로 되고, 도금비용도 싸게되며, 또한 커버를 드로오잉가공이 아니고 프레스 금형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커버(15)의 양쪽 가장자리부(17)가 안쪽으로 굽혀지고, 또한 그 양쪽 가장자리부(17)가 보디(11)의 홈(16)에 끼워맞추어져서 커버(15)가 보디(11)에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보디(11)와 커버(15)와의 맞춤둘레면에 간격(18)을 형성하는 경우는 플러그를 끼우고 뺄때에 커버(15)에 탄성을 얻게 된다. 그리고, 커버(15)의 돌출면(21)에 의해 커버(15)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리브(22)를 형성한 경우는 플러그와의 접촉안정성을 가지게할 수 있다.
또, 커버(15)의 둘레방향의 길이를 보디(11)의 축심에 대하여 120°에 걸치는 커버(15)로 할 경우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등분의 커버(25)의 플러그에 대하여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5)는 플러그의 커버(25)와 2점이상에서 접촉을 할수 있다.

Claims (1)

  1. 둘레면의 일부에 얕은 오목부(13)를 가진 원통형상보디(11)와, 상기 보디(11)의 얕은 오목부(13)에 끼워넣어진 원호형상의 금속제 커버(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얕은 오목부(13)의 양쪽에 축방향을 따른 홈(16)(16)이 형성되고, 이들 홈(16)(16)에 상기 커버(15)의 양쪽 가장자리부(17)(17)가 꺽여굽혀져서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보디(11)의 후방끝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12)와 상기 커버(15)에 형성된 잘라일으킨 돌출편(21)이 걸어맞추어져서 빠져나감 방지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잭.
KR2019890010111U 1988-07-27 1989-07-11 핀잭 KR9200064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00531U JPH0449835Y2 (ko) 1988-07-27 1988-07-27
JP63-100531 198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25U KR900003825U (ko) 1990-02-08
KR920006485Y1 true KR920006485Y1 (ko) 1992-09-18

Family

ID=1427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111U KR920006485Y1 (ko) 1988-07-27 1989-07-11 핀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9835Y2 (ko)
KR (1) KR9200064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KR102628630B1 (ko) * 2021-04-06 2024-01-25 박신영 스크류 뚜껑을 가진 비누로 만든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2587U (ko) 1990-02-15
KR900003825U (ko) 1990-02-08
JPH0449835Y2 (ko) 199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938Y1 (ko)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S61116091U (ko)
KR890702420A (ko) 개량된 콘택트 단자를 구비한 칩 캐리어 소켓(chip carrier socket)
KR910004400Y1 (ko) 전화용코넥터
KR960016011A (ko) 전기 터미날
JPS6340863Y2 (ko)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04961B2 (en) Shield connector for minimizing assembly error with a connector housing
KR920006485Y1 (ko) 핀잭
KR920008724Y1 (ko) 재크
JPH0680283U (ja) 電気コネクタ
JP2002298968A (ja) コネクタ
KR900010350Y1 (ko)
JPH02106688U (ko)
JP2723432B2 (ja) 雌型端子金具
KR920002497Y1 (ko) 핀재크
US5267879A (en) Panel mount fuse assembly
JP3825238B2 (ja) 防水コネクタ
KR900007717Y1 (ko)
JPS5928624Y2 (ja) ピンジヤツク
EP4181324B1 (en) Connector assembly and waterproof cap
JP3279129B2 (ja) スイッチ付コネクタソケット
KR940002225Y1 (ko) 핀 잭
US5239145A (en) Pin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