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17Y1 - 잭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17Y1
KR900007717Y1 KR2019860017011U KR860017011U KR900007717Y1 KR 900007717 Y1 KR900007717 Y1 KR 900007717Y1 KR 2019860017011 U KR2019860017011 U KR 2019860017011U KR 860017011 U KR860017011 U KR 860017011U KR 900007717 Y1 KR900007717 Y1 KR 900007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ylindrical body
plug
ground welding
wel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998U (ko
Inventor
아끼히도 시찌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9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9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잭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잭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잭의 보디(11), 원통체(13), 접지용접편(25)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보디 12 : 플러그 삽발부
13 : 원통체 24 : 개구부
25 : 접지용접편 27 : 접촉편
본 고안은 플러그 삽발부가 보디와 일체적으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고, 그 플러그삽발부에 금속제 원통체가 감착된 잭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삽발부를 보디와 일체적으로 성형품으로서 구성한 잭에 있어서는, 그 플러그 삽탈부에 부착한 금속제 원통체는 주로 장식을 위한 것으로서, 이 원통체가 접지되어 있지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원통체가 접지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그 원통체에 정전기가 대전되고, 플러그 삽입시에 그 정전기가 플러그쪽에 전달되어, 플러그에 접속된 전기회로를 고장나게 하는등의 원인이 되는일이 있다.
이점에서 원통체를 접지용접편을 통해서 접지시키는 경우, 종래에 있어서는 접지용접편을 원통체에 코오킹하여 장착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접속고정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보디나 접지용접편의 형상이 제약을 받아, 대형의 잭에 밖에 적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보디의 플러그 삽발부의 근처에 있어서, 플러그 삽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로부터 탄성금속판을 U자형상으로 절곡한 접지용접편이 삽입되어, 그 개구부가 거의 막히고, 그 접지용접편의 U자를 이루는 면은 플러그삽발방향과 거의 직각으로 되고, 또한 접지용접편과 원통체의 내단부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접지용접편과 일체적인 단자가 보디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디(11)는 본 예에서는 높이가 낮은 직방체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앞면에 통형상의 플러그삽발부(12)가 앞쪽으로 일체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들 보디(11), 플러그삽발부(12)는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으로서 구성된다. 플러그삽발부(12)의 내주면에 금속제 원통체(13)가 감착되어 있다.
보디(11)내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디(11)의 배면개구로부터, 한쪽의 측판(14)에 따라 U자형상의 팁접편(15)이 삽입되고, 다른쪽의 측판(16)에 따라 3장의 접편(17), (18), (19)이 순차 대향하여, 중앙부쪽으로 배열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접편(17), (18)은 상시 접촉하고, 접편(18)은 짧으며, 접편(17), (19)의 단부는 서로 대향하고, 이들 사이에 절연편(21)이 배설되어 있다. 원통체(13을 통하여 플러그(22)가 보디(11)내에 삽입되면, 그팁에 팁접편(15)의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링에 접편(19)의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변위되어서 절연편(21)을 개재하여 접편(17)을 변위시키고, 접편(17), (18)간의 접촉이 절단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보디(11) 및 플러그삽발부(12)간에 걸쳐서 보디(11)의 상판(23)에 개구부(24)가 제1도,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형성되고, 이 개구부(24)를 통하여 접지용접편(25)이 보디(11)내에 삽입고정된다. 접지용접편(25)은 탄성금속판을 U자형상으로 절곡하고 있으며, 그 U자형상이 이루는 면이 플러그삽발방향과 거의 직가으로 되고, 또한 접지용접편(25)은 원통체(13)의 내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접지용접편(25)은 개구부(24)를 거의막고, 또한 보디(11)에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보디(11)에 계지된다. 이 때문에 U자형상의 중간부(25C)의 양쪽 가장자리에 계합편(26), 접촉편(27) 및 계합편(28), (29)이 각각 돌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계합편(26), (28), (29)이 안쪽으로, 접폭편(27)은 바깥쪽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또한 계합편(26), (28), (29)은 직각삼각형상이며, 그 수직변이 개구부(24)쪽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보디(11)에 계합편(26), 접촉편(27) 및 계합편(28), (29)이 삽입계합되는 계합홈(31), (32)이 형성되고, 이들 계합홈(31), (32)에 계합편, 접촉편이 압입되며, 접촉편(27)은 원통체(13)의 내단부외주면에 압접되고, 또한 계합편(26), (28), (29)은 각각 계합홈(31), (32)과 서로 계합된다.
또한 삽입된 플러그의 접지링과 접촉하도록, 다리부(25a)의 뒤쪽 가장자리중앙부로부터 접편본체(33)가 뒤쪽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다리부(25b)의 뒤쪽 가장자리중앙으로부터 단자(34)가 아래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단자(34)는 보디(11)의 밀판에 형성한 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잭에 의하면 U자형상의 접지용접폄(25)을 보디(11)의 개구부(24)로부터 삽입감착하면 원통체(13)와의 전기적접속이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이 접지용접폄(25)의 단자(34)를 접지하므로서 원통체(13)가 정전기를 대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지용접폄(25)의 보디(11)에 장착, 원통체(13)와의 접속이 매우 간단하고, 소형의 잭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디(11), 접지용접편(25)의 형상의 제약도 적다.

Claims (1)

  1. 절연재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보디(11)을 플러그 삽발구머엥 플러그가 삽발됨으로서 보디내의 접편이 구동되고, 상기 플러그삽발부(12)의 내주면에 금속제 원통체(13)가 감착된 잭에 있어서, 상기 보디(11)의 원통체(13)의 가까이에, 플러그 삽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개구부(24)가 형성되고, 탄성금속판을 U자형상으로 절곡한 접지용접편(25)이 상기 개구부(24)를 통하여 상기 보디(11)내에 삽입되고, 그 접지용접편(25)의 U자를 이루는 면은 상기 플러그삽발방향과의 거의 직각이며, 그 접지용접편(25)과 상기 원통체(13)가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접지용접편(25)과 일체적인 단자(34)가 상기 보디(11)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는 잭.
KR2019860017011U 1985-11-08 1986-11-03 KR9000077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60-171907 1985-11-08
JP1985171907U JPH0329894Y2 (ko) 1985-11-08 198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998U KR870008998U (ko) 1987-06-15
KR900007717Y1 true KR900007717Y1 (ko) 1990-08-23

Family

ID=3110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011U KR900007717Y1 (ko) 1985-11-08 1986-11-03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9894Y2 (ko)
KR (1) KR9000077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514Y2 (ko) * 1989-10-17 1993-10-20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686U (ko) * 1977-03-28 1978-10-20
JPS59141674U (ja) * 1983-03-10 1984-09-21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ジヤツ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9894Y2 (ko) 1991-06-25
KR870008998U (ko) 1987-06-15
JPS6279372U (ko) 198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422Y1 (ko) 광소자 부착 핀재크
JPH01187783A (ja) 密封型電気コネクタ
KR870001260U (ko) 코넥터 소켓
KR910004400Y1 (ko) 전화용코넥터
KR960006149A (ko) 전기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840005610A (ko) 리브 케이지 단자
JPH027150B2 (ko)
KR840004622A (ko) 휴즈홀더 및 제조방법
US4210382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EP1045483A3 (en) Connector and assembly jig for assembling the connector
US4682838A (en) Multipolar plug
KR900007139A (ko) 코 넥 터
KR900007717Y1 (ko)
US5224879A (en) Electric power outlet
US20020090863A1 (en) Plug connector with a switch
JPH08124621A (ja) 差込みプラグおよびコンセント
KR960706212A (ko) 전기 커넥터 및 고정 부재(Electrical Connector and Affixing Member)
JPH10172642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H07335337A (ja) ジャック
KR920006485Y1 (ko) 핀잭
KR920019012A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JPH045058U (ko)
JPH0119830Y2 (ko)
KR890001664Y1 (ko) 전선 접속용 단자대
US5239145A (en) Pin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