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63Y1 -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63Y1
KR920006363Y1 KR2019890015241U KR890015241U KR920006363Y1 KR 920006363 Y1 KR920006363 Y1 KR 920006363Y1 KR 2019890015241 U KR2019890015241 U KR 2019890015241U KR 890015241 U KR890015241 U KR 890015241U KR 920006363 Y1 KR920006363 Y1 KR 920006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drum
transfer
var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5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63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반송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내장한 반송 안내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반송 가이드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토너비산 원인을 나타낸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토너비산 방지룰 나타낸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드럼 3 : 전사기
7 : 반송가이드 8 : 바리스터
9 : 나사
본 고안은 보통용지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중의 습도변화에 따라서 용지의 함수율이 다르더라도 토너의 비산 및 전사를 바르게 행해지도록 안출한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에 사용되는 용지는 대기중의 습도변판에 따라서 용지가 흡습하고 있는 함수율(수분 함유량)이 달라지며, 이 함수율이 다를 경우 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즉, 종래의 반송장치는 제1도와 같이 반송장치(1)의 대전기(5)에 의해 드럼(2)상에 대전시키고 노광(10)을 거쳐 정전잠상이 드럼(2) 표면에 형성한 후 현상기(4)를 거치면 가시상화 된다.
이 가시상이 전사기(3)에 의해 용지(11)로 옮겨져 용지(11)위에 상이 형성된후 정착기(6)를 거쳐서 용지(11)위의 상이 고착된다.
이때 대기중의 습도변화에 따라 용지의 흡습율이 변하게 되지만 증래에는 이룰 보완해 줄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용지가 흡습이 심한 경우, 예를들면 장마철의 경우 상기 반송장치에 의해 전사를 행하면 과전압이 걸려 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군데군데 하얗게 배지상태로 화상이 빠진 것처럼 복사가 되었다.
또 전사이면에 걸어준 전사전압에 의해 용지위에 전사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토노가 날리는 비산현상도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드럼상의 상선단과 용지의 선단을 일치시켜서 전사를 용이하게 반송시키는 반송가이드와, 전사시 흡습된 용지의 전하누전 방지를 위한 바리스터를 상기 반송가이드에 설치하여 화상이 빠짐이 발생하는 전사불량과 토노의 비산을 미연에 방지하여 복사기의 생명인 고화질화를 도모하여 고뭉질의 화상을 얻기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부호1은 복사기의 일반적 시스템이며. 그 반송장치(1)는 시계방향으로 회진되는 드럼(2)을 중심으로 상부에 설치된 대전기(5)에 의해 드럼(2)상에 대전시키고 노광(10)을 거쳐 정전잠상이 드럼(2) 표면에 형성한 후 좌측의 현상기(4)에 의해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화하고 이 가시상이 하측의 전사기(3)에 의해 용지(11)로 옮겨져 용지위에 상이 형성된 후 정착기(6)를 거쳐 용지(l1)위에 상이 정착되어 배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사기의 반송장치(1)에서 드럼(2)과 전사기(3)의 전방에 금속제 반송가이드(7)를 설치하며, 그 반송가이드(7) 하단에 바리스터(8)룰 나사(9)로 고정설치한 것이다.
상기 반송가이드(7)는 드럼(2)상의 상선단과 용지(11)의 선단을 일치시켜서 전사룰 용이하게 반송시켜 주는것이며, 바리스터(8)는 전사시 흡습된 용지의 전하 누전방지를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옴과 같다. 그럼(2)상에 대전기(5)로서 대전시킨 후 노광(10)을 행한다.
이 경우 드럼(2)상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잠상은 전기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상이므로 현상기(4)를 통하여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화 한 상을 형성한다.
이 토너상이 맺혀진 드럼(2)에 용지(11)가 이송되어 바리스터(8)가 하단에 설치된 반송가이드(7)를 거쳐 전사기(3)룰 통과한다.
이때 토너상은 기록용지(11)로 전사되며, 용지위로 전사된 토너상은 정착기(6)를 거쳐 용지에 고착되어 화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돌어 용지(11)가 흡습되어 있는 경우, 즉 보통용지는 4%정도수분이 흡습되어 있으나 장마철에는 보통 10%이상의 흡습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용지(11)의 전기 전도도가 커져서 용지의 이면에 걸어준 전사기(3)의 전압이 용지(11)를 통해서 반송가이드(7)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금속제 반송가이드(7)를 복사기의 샤시와 분리시켜서 접지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이송되는 용지(11)도 복사기의 샤시에 접지되지 않도록 하여 반송가이드(7)하부에 원하는 용량(에컨데 700V)용량)의 바리스터(8)를 고정해두므로써 용지(11)가 흡습된 경우 전사시 과도한 전압이 용지(11)를 통해 반송가이드(7)로 흐르게 될때 일정용량(700V)이상의 전압을 바리스터(8)에서 흡수되어 항상 용지(11)에는 일정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드럼(2)으로 이송되는 용지(11)위에 드럼(2)상의 가시상화된 상을 전사기(3)의 작용으로 전시를 확실하게 해 줄수가 있는것이다.
또 제4도와 같이 종래에는 용지가 전사 정위치영억(A)에 들어가기전에 용지이면(선단부근)에 전사전압이 걸리게 되고. 이때 드럼(2)에 부착된 토너(12)중 부착력이 작은 일부 토너가 미리 전사되어 토너비산의 원인이 발생되지만 제5도와 같이 본 고안은 감광드럼(2)과 전사기(3) 전방에 설치된 반송가이드(7)에 안내되어 이송되는 용지(l1)선단에 전사 정위치 영억(B)에 들어가기전에 전사전압이 걸리더라도 금속제인 반송가이드(7)로 바로 빠져 하단에 나사(9)로 고정된 바리스터(8)로 흡수되기 때문에 토너(12)의 비산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사하기 위해 용지가 전사기로 돌어가기전에 금속제 반송가이드와 그 하부에 바리스터를 설치해 두므로써 화상의 빠짐이 발생하는 전사불량과 토노의 비산을 미연에 방지하여 복사기의 생명인 고화질화룰 꾀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되는 드럼(2)을 중심으로 상부에 설치된 대전기(5)에 의해 드럼(2)상에 대전시키고 노광(10)을 거쳐 정전잠상이 드럼(2) 표면에 형성한 후 현상기(4)에 의해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화하고 하부의 전사기(3)에 의해 가시상이 용지(11)로 옮겨져 용지(11)위에 상이 형성된 후 정착기(6)를 거쳐 용지(11)위에 상이 정착되어 배지되는 복사기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2)과 전사기(3)의 전방에 금속제 반송가이드(7)를 본체샤시와 분리시켜서 접지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반송가이드(7)하단에 원하는 용량(700v용량)의 바리스터(8)를 나사(9)로 고정하여 용지(11)가 반송 가이드(7)에 안내되어 드럼(2)상의 상선단과 용지(11)의 선단을 일치시켜 전사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용지(11)가 흡습된 경우 전사시 과도한 전압이 용지(11)를 통해 반송가이드(7)로 흐르게 될때 일정용량(700v) 이상의 전압을 바리스터(8)에서 흡수되어 항상 용지(11)에 일정전압이 걸리게하여 화상의 빠짐이 발생하는 전사불량과 토너의 비산을 미연에 방지하여 복사시 고품질의 화상을 얻어낼수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반송안내장치.
KR2019890015241U 1989-10-19 1989-10-19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KR920006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241U KR920006363Y1 (ko) 1989-10-19 1989-10-19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241U KR920006363Y1 (ko) 1989-10-19 1989-10-19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63Y1 true KR920006363Y1 (ko) 1992-09-17

Family

ID=1929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241U KR920006363Y1 (ko) 1989-10-19 1989-10-19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6043A (en) Split developer housing with interlocked flow gate and catch
US4348979A (en) Developer unit for dry toner electrophotographic copier
US3751155A (en) Pre-development exposure assembly
JP200402126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920006363Y1 (ko) 복사기의 반송 안내장치
US3058444A (en)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on electrographic sheet
JPS5957264A (ja) 静電式画像記録装置の制御装置
US4496232A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making bimodal electrophotographic copies
JPS6044653B2 (ja) 現像バイアス自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159865A (ja) 画像乱れ防止装置
JP3183990B2 (ja) 放電転写装置
US4389478A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making bimodal electrophotographic copies
KR940002128B1 (ko) 현상장치의 일성분 비자성 토너 도포장치
JPH09106190A (ja) 液体現像式複写機の過剰キャリヤ液除去装置及び方法
JP3532363B2 (ja) 転写装置
CA1168298A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making bimodal electrophotographic copies
JPH0423788B2 (ko)
JPS6364784B2 (ko)
JPS60169871A (ja) 画像形成装置
JPS60159869A (ja) 現像器
JPS6310428B2 (ko)
JPH04288573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ガイド装置
JPS5912458A (ja) 電子複写機の用紙ガイド装置
JPH071410B2 (ja) 電子写真複写機における転写方法および装置
JPH0821175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