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43Y1 - 슬러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43Y1
KR920006343Y1 KR2019900006105U KR900006105U KR920006343Y1 KR 920006343 Y1 KR920006343 Y1 KR 920006343Y1 KR 2019900006105 U KR2019900006105 U KR 2019900006105U KR 900006105 U KR900006105 U KR 900006105U KR 920006343 Y1 KR920006343 Y1 KR 920006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supply
water
pon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750U (ko
Inventor
양곤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43Y1/ko
Publication of KR910019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4Inlets or outlets provided with regulating devices, e.g. valves, fl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러지 배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수처리용 침전지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급수헤더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급수헤더의 정면도, (b)는 (a)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
제5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용수처리용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를 나타낸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급수헤더 10 : 분사노즐
11 : 급수펌프 12 : 급수배관
13 : 급수밸브
본 고안은 용수처리용 침전지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상기 침전지의 슬러지(Sludge)를 완전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전지는 용수처리설비로 유입되는 원수(자연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소립자, 콜로이드(Colloid)상 입자등의 부유물을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키고, 이를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침전시켜 담수를 생산토록된 용수처리 설비이다.
이 침전지의 슬러지폰드(Sludge Pond)에는 원수(자연수)중의 부유물이 응집되어 침전된 슬러지가 누적된 슬러지층이 형성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슬러지층의 높이가 점차 상승하게 되고, 이로인해 침전지의 용수처리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러지 폰드의 하부에 슬러지 배출장치를 마련하여 슬러지폰드 하부에서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것으로는 제5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광하협의 슬러지폰드(1)내에 슬러지검지센서(2)와 원수(자연수) 유입관(3)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드레인배관(4)과, 슬러지 배출밸브(6)가 부착된 슬러지 배출배관(5)이 설치되어 있다.
또, 다수의 소레노이드 밸브(8)를 포함하는 콘트롤장치(7)가 상기 슬러지 배출밸브(6)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배출장치는 슬러지 폰드(1)내의 슬러지 검지센서(2)가 슬러지폰드(1) 내에 적층된 슬러지층의 위치를 검지하여 콘트롤장치(7)의 소레노이드밸브(8)를 작동시키면 이 소레노이드밸브(8)가 슬러지폰드(1)의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밸브(6)를 개방시켜 준다.
그러므로, 슬러지폰드(1)내의 슬러지가 슬러지배출배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따라 슬러지층의 높이가 점차 하강됨에 따라 슬러지 검지센서(2)의 검지직용으로 소레노이드밸브(8)의 작동을 중단시켜 슬러지배출밸브(6)를 닫아주므로서 슬러지배출은 중단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슬러지배출장치는 슬러지배출밸브(6)를 열어 슬러지를 배출시킬때, 슬러지층의 중앙부는 배출되어지거나 슬러지폰드(1)의 내부벽면에 인접된 슬러지층의 일부분은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어 슬러지 검지센서(2)가 계속하여 슬러지층을 검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러지 배출밸브(6)는 계속 개방된 상태로 되어 슬러지가 아닌 용수의 지나친 손실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용수배출량의 증가로 폐수처리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 처리수(담수)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항시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러지폰드내의 슬러지층을 완전히 제거배출시켜 용수의 손실이 방지되고 적절한 폐수처리량으로 인해 처리수(담수)의 질이 양호하게 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슬러지폰드의 하부에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급수헤더가 설치된 슬러지배출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슬러지폰드(1) 하부에 다수의 분사노즐(10)이 부착된 2개의 급수헤더(9)가 경사진 내벽에 인접되어 설치되고, 이 급수헤더(9)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11)가 설치되어 상기 급수헤더(9)와 급수펌프(11)가 급수배관(12)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급수배관(12)에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급수밸브(13)가 각 슬러지폰드(1)별로 설치되고, 급수밸브(13)와 급수펌프(11)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콘트롤장치(7)의 소레노이드밸브(8)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 급수헤더(9)의 분사노즐(10)은 제3도와 같이 급수헤더(9)의 중심축과 약45°를 이루도록 슬러지폰드(1)의 하방으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폰드(1) 내에 슬러지가 침전되어 슬러지층이 상승되게 되면 슬러지검지센서(2)가 슬러지층을 검지하여 검출신호를 콘트롤장치(7)의 소레노이드밸브(8)에 보내주게 된다.
상기 소레노이드밸브(8)는 슬러지배출밸브(6)와 급수밸브(13)를 작동시켜 동시에 열어주면서 급수펌프(11)를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 슬러지폰드(1)내에 설치된 급수헤더(9)의 분사노즐(10)을 통해서 급수분사되어 슬러지폰드(1)의 측면벽에 적층된 슬러지를 중앙부로 밀어주고 슬러지폰드(1) 하부의 슬러지배출배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외부로 슬러지가 배출됨에 따라 슬러지층이 하강되면 슬러지검지센서(2)는 소레노이드밸브(8)를 작동시켜 슬러지배출밸브(6)와 급수밸브(13)를 동시에 폐쇄시키면서 급수펌프(11)의 가동을 중단시킨다.
이후, 슬러지가 다시 침전됨에 따라 슬러지폰드(1)내의 슬러지층이 상승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슬러지가 상기한 바와같은 작동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슬러지폰드(1)의 내면벽에 인접되어 형성된 급수헤더(9)에 의해 슬러지를 중앙부로 밀어주어 완전히 배출시켜 주므로써, 처리수(담수)의 질이 양호해지고 슬러지검지센서(2)의 오동작에 의한 용수의 과다배출이 방지되어 침전지의 용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각의 슬러지폰드내에 슬러지검지센서가 설치된 통상의 침전지에 있어서, 슬러지폰드(1)내의 경사진 벽면과 인접되어 다수의 분사노즐(10)이 45° 하방으로 경사져 부착된 급수헤더(9)가 설치되고 이 급수헤더(9)는 급수배관(12)으로 급수펌프(11)에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폰드(1)의 하부에 슬러지배출밸브(6)를 갖는 슬러지배출배관(5)이 설치되어 상기 급수펌프(11), 슬러지 배출밸브(6) 및 급수밸브(13)가 작동되도록 소레노이드밸브(8)가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
KR2019900006105U 1990-05-10 1990-05-10 슬러지 배출장치 KR920006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105U KR920006343Y1 (ko) 1990-05-10 1990-05-10 슬러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105U KR920006343Y1 (ko) 1990-05-10 1990-05-10 슬러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50U KR910019750U (ko) 1991-12-19
KR920006343Y1 true KR920006343Y1 (ko) 1992-09-17

Family

ID=1929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105U KR920006343Y1 (ko) 1990-05-10 1990-05-10 슬러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83B1 (ko) * 2007-07-05 2008-08-04 한국수자원공사 고비중 슬러지의 재순환을 이용한 저에너지형 고효율콤팩트 정수장치
KR101019206B1 (ko) * 2009-06-25 2011-03-04 서울특별시 침전슬러지 배출유동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74Y1 (ko) * 2010-03-22 2010-10-13 주식회사 청호엔텍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83B1 (ko) * 2007-07-05 2008-08-04 한국수자원공사 고비중 슬러지의 재순환을 이용한 저에너지형 고효율콤팩트 정수장치
KR101019206B1 (ko) * 2009-06-25 2011-03-04 서울특별시 침전슬러지 배출유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50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9122A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JP3961722B2 (ja) 堆積物の収集移送設備の閉塞開放機構
KR920006343Y1 (ko) 슬러지 배출장치
KR101532275B1 (ko) 슬러지 배출 저류조
JPH0667447B2 (ja) 液体からの固体粒子の分離装置
JP3743437B2 (ja) 異物分離装置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JP3947310B2 (ja) 沈澱池
KR200252258Y1 (ko) 폐수 부유물 제거 장치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RU2232618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220410181A1 (en) Spout nozzle for scum removal device and water conduit with that spout nozzle for scum removal device
SU1636012A1 (ru)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зернистой загрузки фильт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H064885Y2 (ja) 上澄液排出装置
KR200329887Y1 (ko) 회분식 폐수처리 장치에서 효율적인 처리수 배출 장치
JPH019608Y2 (ko)
SU10173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CN212102247U (zh) 一种小型废水处理装置
KR102096208B1 (ko) Ss 배제용 바닥판 개폐부가 구비되는 부유식 상등수 배출장치
KR20100057198A (ko) 계곡수용 여과장치
SU1099976A1 (ru) Сгуститель
KR200243070Y1 (ko) 부유식 정화수 배출장치
KR200365421Y1 (ko) 오.폐수의 처리장치
JPH105782A (ja) 浄化槽
JPS6020404Y2 (ja) 汚泥引抜装置つき汚泥処理槽
SU1178313A3 (ru) Фильт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