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89B1 -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89B1
KR920006289B1 KR1019890019511A KR890019511A KR920006289B1 KR 920006289 B1 KR920006289 B1 KR 920006289B1 KR 1019890019511 A KR1019890019511 A KR 1019890019511A KR 890019511 A KR890019511 A KR 890019511A KR 920006289 B1 KR920006289 B1 KR 92000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rocessor
interrupt
control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990A (ko
Inventor
성홍석
이해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9001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89B1/ko
Publication of KR91001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초기화와 전체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인터럽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온도, 유량, 압력, 습도, 농도등의 여러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자기동조제어기에 있어서, 수치에 따른 제이터를 제어하는 부프로세서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한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동조제어기는 초기의 입력값에 따라 스스로 비례계산과 적분계산 및 미분계산등의 공정 파라미터를 조절하면서 작동기(actuator)에 제어신호로써 공정 출력을 인가하여 이의 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임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자기동조제어기의 기능면에서 볼때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의 프로세서 즉, 메인프로세서에서 수치에 따른 데이터의 제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부프로세서를 별도로 연결하여 주고, 이에따라 메인프로세서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환 통신, 외부의 상부 컴퓨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을수행하여야 함은 물론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수치에 따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야만 하였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자기동조제어기에서, 메인 프로세서 또는 상위 컴퓨터와의 데이터 통신은 물론, 제어알고리즘의 운용을 부프로세서에서 원활히 운용하도륵한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주변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며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1)와, 메인프로세서(1)와 데이터의 교환을 의한 통신을 수행하면서 수치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하는 부프로세서(2)와, 부프로세서(2)에서 필요한 데이터와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3)와, 부프로세서(2)에서 결정한 공정 파라미터와 계단 방법등 꼭필요한 정보들을 영구히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alatile RAM)(4)와, 자기동조제어기의 동작을 외부에서 제어하는 상위 컴퓨터(5)들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부프로세서(2)는 처음에는 본 제어기에서 알맞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 다음에, 인터럽트를 기다려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거나 상위 컴퓨터와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스택(stack)을 지정하면서 확장된 롬리스(ROM less)모우드우 기다리는 웨이팅(waiting) 상태로 세팅하는 동시에 인터럽트(Interrupt)인에이블 비트를 리셋하고(단계 11), 메인플로세서(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를 설정하면서 상위 컴퓨터(5)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UART(Universal Asq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초기화하는 동시에 메모리(3)의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12).
여기서 메인프로세서(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데이터 포맷은 8개의 데이터 비트와 1스톱(stop)비트이고 9600보오드레이트(board rato)로 한다.
그리고 메인프로세서(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UART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시킨다(단계 13).
여기서 상위 컴퓨터(5)와의 통신을 자기동조 제어기를 상위 컴퓨터(5)상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으로, 모든 파라미터를 상위 컴퓨터(5)에서 변경하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는 자기 동조제어기가 리모드(remote)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기동조제어기가 노말(normal)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부프로세서(5)가 메인프로세서(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어알고리즘을 처리하도록 하였다.
다음에 제어알고리즘을 위하여 메모리(3)의 해당 번지를 크리어 하면서 제어알고리즘과 출력 범위의 크기(dimension)를 설정하고(단계 14), 메인프로세서(1)의 동작형태를 입력받고 이에 병행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다(단계 l5).
제13도는 제2인터럽트에 의해 메인프로세서(1)의 각 샘플링시간(Sampling Time)마다 제2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메인프로세서(1)에서 입력 채널로 받아들인 프로세서 제어값(PV : Proces Value)와 작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초기에 세팅한 초기 임력값(SV : Set Value) 그리고 바로전의 샘플링 시간에 제어알고리즘에 의하여 얻어져서 작동기로 출력되었던 공정 출력값(MV : Manipulated Value)을 메인프로세서(1)로부터 받아 제어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2인터럽트를 발생시켜 통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면 수행중인 공정의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단계 20), 메인프로세서(1)의 통신주기와 일치시킨 다음(단계 21), 입력된 프로세서 제어값을 해당되는 번지에 저장하고(단계 22), 다시 초기 입력값에서 프로세서 제어값을 뺀 값을 다른 해당되는 번지에 저장한 후(단계 23), 제어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데이터와 프로세서 제어값 및 공정 출력값을 메모리내에서 이동시킨다(단계 25).
다음에 제어알고리즘을 동작시키면서 새로운 공정출력 값을 계산하고(단계 25), 계산된 공정 출력값을 부프로세서(2)에서 메인프로세서(1)의 메모리로 이동시킨다(단계 26).
그리고 레지스터에 저장하였던 데이터를 복귀시키고(단계 27) 인터럽트를 해제하면서 메인 프로세서(1)와의 데이터 교환을 의한 통신을 마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프로세서(2)는 사용자가 선택한 계산방법에 해당하는 제어알고리즘대로 동작을 수행하고, 이결과로 새로운 공정출력 값이 얻어지면 메인프로세서(1)로 보내어 다음 샘플링 시간에 작동기를 구동하고난후 제어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로 출력되는 것이다.

Claims (2)

  1. 자기동조제어기에 있어서, 수치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하면서 제어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부프로세서(2)는 스택을 지정하고 롬리스모드와 웨이팅 상태로 셋하면서 인터럽트를 리셋하는 단계와, 통신포트를 설정하면서 UART를 초기화하고 메모리를 체크하는 단계에 의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제2인터럽트와 UART 인터럽트를 알고리즘과 출력범위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메인 프로세서의 동작형태에 병행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등에 의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한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인터럽트에 의한 메인 프로세서(1)와의 데이터 통신은 수행중인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와, 통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단계와, 프로세서 제어값과 초기의 입력치 및 그 차이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제어알고리즘의 데이터와 PV.MV를 메모리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어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계산된 공청출력 값을 메인프로세서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데이터를 복귀시키면서 인터럽트를 해제하는 단계등에 의하여 수행하도록한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KR1019890019511A 1989-12-26 1989-12-26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KR92000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511A KR920006289B1 (ko) 1989-12-26 1989-12-26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511A KR920006289B1 (ko) 1989-12-26 1989-12-26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990A KR910012990A (ko) 1991-08-08
KR920006289B1 true KR920006289B1 (ko) 1992-08-03

Family

ID=1929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511A KR920006289B1 (ko) 1989-12-26 1989-12-26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387B1 (ko) * 2010-08-24 2012-05-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제어기 및 제어기의 초기화 방법
US10041715B2 (en) 2009-04-0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is detachably coupl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1715B2 (en) 2009-04-0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is detachably coupled
US10047995B2 (en) 2009-04-01 2018-08-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rotates upside down in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KR101141387B1 (ko) * 2010-08-24 2012-05-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제어기 및 제어기의 초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990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0098A3 (en) Signal processor
US5163154A (en) Microcontroller for the rapid execution of a large number of operations which can be broken down into sequences of operations of the same kind
CN100378698C (zh) 信息处理系统以及控制该信息处理系统的方法
KR920006289B1 (ko)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JPH06162228A (ja) データフロープロセッサ装置
JPH04352230A (ja) 演算器およびマイクロプロセッサ
JPH0573112A (ja) プログラマブル制御装置用プロセツサ
US624985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CPU and an auxiliary arithmetic unit for achieving high-speed operation
US6320927B1 (en) Electronic counter
WO1990008989A1 (en) External extension type programmable controller
JPH07160392A (ja) キーコード可変キーボード
JPH0997133A (ja)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入力装置の入力システム
KR910000646B1 (ko)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KR920006079B1 (ko) 자기동조 제어기의 입출력 신호처리 방법
KR0128049B1 (ko) 키보드 인터페이스 장치
JPS6041102A (ja) シ−ケンス制御装置
JPH06110693A (ja) ファジー制御装置
US2006013653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microprocessor and with additional arithmetic unit and associated method
KR10042960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S63143656A (ja) マイクロコンピユ−タ装置
JP3195102B2 (ja)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JPH05241815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制御による信号処理装置
JP3120908B2 (ja) 光学的位置検出装置
KR0134255B1 (ko) 퍼지 제어 회로
JPH04195513A (ja) 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