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51Y1 - 각종 연료용 기화기 - Google Patents

각종 연료용 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51Y1
KR920006251Y1 KR2019860016973U KR860016973U KR920006251Y1 KR 920006251 Y1 KR920006251 Y1 KR 920006251Y1 KR 2019860016973 U KR2019860016973 U KR 2019860016973U KR 860016973 U KR860016973 U KR 860016973U KR 920006251 Y1 KR920006251 Y1 KR 920006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oline
fuel
fuel passage
passa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529U (ko
Inventor
미쓰루 세끼야
야스오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미꾸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이꾸다 마사끼
엘 씨 에프 한바이 가부시끼가이샤
야스오 가네꼬
하마다 요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꾸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이꾸다 마사끼, 엘 씨 에프 한바이 가부시끼가이샤, 야스오 가네꼬, 하마다 요시로오 filed Critical 미꾸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3/00Arrangements of two or more separate carburettors; Carburettors using more than one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1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16Other means for enriching fuel-air mixture during starting; Priming cups; using different fuels for starting and normal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3/00Arrangements of two or more separate carburettors; Carburettors using more than one fuel
    • F02M13/06Arrangements of two or more separate carburettors; Carburettors using more than one fuel the carburettors using differ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각종 연료용 기화기
첨부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각종 연료용 기화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화기본체 12 : 흡기통로
14 : 알코올용 플로우트(folat)실 24 : 주연료 통로
25 : 메인웰(main wel1) 30 : 가솔린 저장실
36 : 가솔린 연료통로 38 : 부압(負庄)작동밸브장치
44 : 온도 작동 밸브
본 고안은 알코올이나 등유등의 저기화성 연료를 주원료로 하는 기화기에 있어서 저온시에 주연료와 함께 가솔린을 첨가하여 모든 운전속도 범위에서 구동성을 만족시키도록 한 각종 연료용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용의 연료로서 경제성 면에서 가솔린 대신에 기화성이 나쁜 알코올이나 등유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알코올등의 연료만으로는 저온시동시나 워밍업(warming-up)주행시에는 양호한 운진성능을 얻을 수없으므로 종래로부터 저온시동시에어 워밍업 완료까지의 사이에는 알코올과 함께 또는 알코올 대신에 보조연료로서 가솔린이 사용되고 았다.
이와같은 알코올등을 주원료로 하여 보조연료로서 가솔린을 사용하는 형식의 기화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실공소 제57-2675호나 일본 실개소제 57-68152호 등에 나타낸 바와같이 알코올용 플로우트실과 가솔린 탱크와의 두개의 연료실을 갖추고 그 알코올 연료통로와 가솔린 연료통로중 어느 하나를 전환 밸브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메인노즐(main mozzle)에 통하도륵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저온 시동시나 위밍업 주행시에는 메인노즐에 가솔린만을 도입하도록 하여 시동성과 운전성을 향상시켜 위밍업 완료후에는 메인노즐에 알코올만을 도입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하고있다.
그러나, 알코올과 가솔린에는 공기와 연료의 비율이나 온도조건에 의한 기화율이 극단적으로 다르므로 그들의 연료의 전환을 도중에서 급격히 하면 엔진의 연소 조건이 변하여 양호한 운전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불편이 있었다.
더우기 단지 알코올만을 사용하는 아이들링(idling)운전의 경우나 가솔린을 소량 첨가하는 워밍업 주행의 경우라도 종래의 것에서는 가솔린만이 투입되므로써 경제적이 아니라는 결점도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위밍업 완료에 이르기 까지의 사이에는 알코올과 함께 가솔린을 투입하여 워밍업 완료후에 가솔린의 투입을 정지하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 종래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실개소 제59-165952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연료의 통로인 메인웰(mainwell)의 중간에서 가솔린 탱크로 부터의 가솔린 도입통로를 통하도록 연결시켜 가솔린 도입통로의 중간에 그것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그 개폐밸브를 시동작동이나 냉각수 온도를 검지하는 제어회로로써 제어하는 구성인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 종래예에서는 가솔린 탱크가 높은 위치에 놓여 가솔린 도입통로의 개방시에는 그 가솔린 탱크로부터 메인웰을 향하여 수두차(水頭差)에 의한 일정량의 가솔린이 항상 투입되도록 되어있다.
이 결과 운전부하가 변화하여 흡입공기량이 변화했다 하더라도 그것에 따라 가솔린량을 조절할 수가 없게되고 그 결과 알코올과 가솔린의 투입 비율이 불규칙하게 변화하여 공기와 연료비율을 양호하게 조절할수 없다는 불편함이 생겼다.
더구나 크랭킹(cranking)을4-5회 계속하면 헤드차에 의한 소정량의 가솔린이 주연료 통로에 밀려들어가 그 가솔린이 알코올용 플로우트실로 역류할 우려가 있었다.
이 알코올용 플로우트실로의 가솔린의 혼입은 플로우트실 벽면의 부식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가솔린이 넘쳐 흘러서 시동을 더욱 곤란하게 하는 경우도 생겼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점에 감안하여 되어진 것으로 알코올등의 저기화성 연료를 주원료로 하여 가솔린을 보조연료로 하는 각종 연료용 기화기에 있어서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워밍업주행중에서의 알코올과 가솔린과의 혼합비율의 변화를 없게하여 모든 운전속도범위에서의 구동성을 만족시키고 또한 가솔린의 알코올용 플로우트실로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아이들링 운전시나 워밍업주행시에서의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코올등의 저기화성 연로를 수용하는 주연료용 플로우트실과 가솔린을 수용하는 가솔린 저장실이 각종 연료용 기화기에 있어서, 주연료의 통로인 메인웰의 가솔린 저장실의 연료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 그 가솔린 저장실로 부터의 가솔린 연료 통로를 통하도륵 연결시켜 그 가솔린 저장실의 연료표면을 전술한 플로우트실의 연료표면보다 더 높게하고, 전술한 가솔린 연료 통로의 중간을 전술한 플로우트실의 연료표면보다 낮게하는 동시에 소정의 온도로 전술한 가솔린 연료통로를 개폐하도록 온도작동장치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워밍업 완료전에 있어서는 가솔린 저장실에서 메인웰로 통하는 가솔린 연료통로를 열어 저온시동시에 메인노즐에서 가솔린을 주로 분출하고, 아이들링 운전시에는 저속계 연료 분사구로부터 알코올을 분출하며 워밍업 주행시에 메인노즐로 부터 일정한 비율의 알코올과 가솔린을 분출하여 워밍업완료후에 있어서는 전술한 가솔린 연료통로를 닫아서 메인노즐로부터 알코올만을 분출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첨부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각종 연료용 기화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기화기 본체(10)내에는 흡기통로(12)와 알코올 연료옹 플로우트실(14)이 설치되어 있다.
그 흡기통로(12)내에는 내부 벤튜리(16)가 설치되고 그 내부 벤튜리(16)의 상류쪽에 초우크 밸브(18)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며 그 내부 벤튜리(16)의 하류쪽에 가속기와 연통하는 스로틀밸브(20)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플로우트실(14)은 스로틀(22)을 구비한 주연료통로(24)로부터 메인웰(25)을 거쳐 메인노즐(26)에 통하고 있다.
이 주연료통로(24)의 저위 위치로부터 저속계(低速系)연료통로(27)가 분기되어 있고 이 저속계 연료통로(27)가 바이패스 구멍과 아이들 분무구멍(29)에 통하여 있다.
한편, 알코올 연료용 플로우트실(14)과는 별체인 가솔린 저장실(30)이 기화기 본체(10)부근에 설치된다.
그 가솔린 저장실(30)에는 펌프(32)에 의해 가솔린이 공급되고 그 가솔린 저장실(30)에서 넘친 가솔린은 가솔린 탱크(34)에 이르며 그후 펌프(32)에 의해 재차 가솔린 저장실(30)로 순환 공급된다.
이 가솔린 저장실(30)의 가솔린 연료표면은 진술한 플로우트실(14)의 알코올 연료표면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가솔린 저장실(30)은 스로틀(35)를 구비한 가솔린 연료통로(36)를 통하여 전술한 메인웰(25)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가솔린 연료통로(36)의 메인웰(25)로의 통하도록 연결된 위치의 높이는 전술한 가솔린 저장실(30)의 연료의 표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았다.
이 가솔린 연료통로(36)의 메인웰(25)로의 통하도록 연결된 위치는 주연료 통로(24)로 부티 메인노즐(26)의 도입위치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솔린 연료통로(36)는 적어도 그 중간인 곳이 전술한 플로우트실(14)의 알코올 연료표면 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가솔린 연료통로(36)의 스로틀(35)과 전술한 주연료통로(24)의 스로틀(2)은 워밍업 주행중에 메인노즐(26)로부러 흡기통로(12)로 투입되는 가솔린과 알코올의 비율중 가솔린의 비율이 20-25%이 되도록 각각의 구경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 비율은 보낼곳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냉한지에서는 가솔린을 많게한다)
이 가솔린 저장실(30)과 가솔린 연료통로(36)의 사이에는 그 가솔린 연료통로(36)을 개폐하기 위하여 종래에 이미 알려진 부압 작동밸브 장치(38)가 구비되어 있어 그 부압 작동 밸브장치(38)와 흡기통로(12)의 하류쪽과는 스로틀(40)을 구비한 부압도입통로(42)로 통하도륵 연결되어 았다.
이 부압작동 밸브장치(38)는 흡기통로 부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대기가 도입되었을때에 전술한 가솔린 연료통로(36)을 열고 그 내부에 부압이 도입되었을 때에 가솔린 연료통로(36)를 닫는 것이다.
전술한 부압 도입통로(42)의 스로틀(40)의 위치로 부티 부압작동 밸브장치(38)쪽에는 그 부압도입통로(42)내로 대기를 도임 또는 차단하기 위한 종래에 이미 알려진 온도작동 밸브(4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온도작동 밸브(44)는 냉각수 온도가 약 60℃이하의 경우에는 부압 도입통로(42)로 대기를 도입하고 냉각수 온도가 약 60℃이상이 되었을때에 부압도입 통로(42)로의 대기의 도입을 차단하도륵 설정되어 있다.
즉 온도작동밸브(44)는 냉각수 온도가 약 60℃이하에서는 부압작동 밸브장치(38)의 내부로 대기를 도입하여 가솔린의 연료통로(36)를 열고 전술한 메인웰(25)의 가솔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한펀 냉각수온도가 약 60℃이상이 되면 부압작동 밸브장치(38)의 내부에 부압을 도입하여 가솔린 연료통로(36)를 닫아서 전술한 메인웰(25)로의 가솔린의 유입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냉각수 온도가 약 60℃이하인 경우에는 온도작동 밸브(44)에 의해 부압작동밸브장치(38)에 대기가 도입되고 그 결과 가솔린 연료통로(36)가 개방되어 메인웰(25)에 가솔린이 도입된다.
여기서 가솔린 저장실(30)의 연료표면은 알코올용 플로우트실(14)의 연료표면 보다도 높고 또한 가솔린 연료통로(36)와 메인웰(25)과의 합류점은 가솔린의 연료표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지므로 시동시에는 가솔린은 메인웰(25)내에서 알코올 보다도 높은 위치로 채워진다.
그 결과 시동 작동완료때 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에는 단지 가솔린만이 메인노즐(26)로 부터 분사된다.
그후 워밍업이 진행되며 첫번째 아이들 개방상태로 되었을때에 스로틀 밸브(20)가 위치하는 바이패스구멍(28)과 아이들 분무구멍(29)로 부터 저속계 연료가 분출된다.
이때 주연료 통로(24)의 저속계 연료통로(27)로의 분기 위치는 가솔린의 메인웰(25)로의 투입위치 보다도 매우 낮으므로 저속계 연료통로(27)로는 가솔린이 혼입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저속계 연료로서는 알코올만이 사용된다.
또한 아이들 상태로 부터 가속기를 밟은 워밍업 주행상태에 있어서는 가솔린과 알코올의 쌍방이 메인노즐(26)을 통해 흡기통로(12)내로 분사된다.
이때 가솔린과 알코올과의 비율은 각각의 스로틀(35)과 스로틀(22)에 의해 대략 일정하게 되면 그 일정비율의 가솔린과 알코올이 운전부하 상태에 따라 증감 분사된다.
그뒤 냉각수 온도가 약 60℃이상이 되면 온도작동 밸브(44)로부터 부압도입 통로(42)로의 대기의 도입이 차단되고 이 결과 부압작동 밸브장치(38)에 의해 가솔린 연료통로(36)가 폐쇄되고 메인웰(25)로의 가솔린의 도입이 정지된다.
따라서 위밍업 완료후는 메인노즐(26)로 부터는 알코올만이 분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각종 연료용 기화기에 따르면 가솔린 저장실의 연료표면은 알코올용 플로우트실의 연료표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가솔린 연료통로의 메인웰로의 통하도록 연결된 위치의 높이는 전술한 가솔린 저장실의 연료표면 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솔린은 메인웰 내의 높은 위치에 도입되게 되어 시동시에는 주로 가솔린이 메인노즐로 부터분사되어 저온시의 시동성을 높을 수가 있다.
또한 가솔린 연료통로의 메인웰의 통하도륵 연결된 위치를 높게 하고 있으므로 저속게 연료통로에는 가솔린이 도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가솔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아이들시에는 저속계 연료 분사구로부터 저렴한 알코올만을 투입할 수가 있어서 경제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가솔린 연료 통로의 메인웰로의 통하도록 연결된 위치의 높이를 가솔린 저장실의 연료표면 보다도 높은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가솔린이 알코올용 플로우트실로 역류할 우려는 없다.
또한 종래와 같은 높은 위치로부터 수두차에 의해 가솔린이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노즐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가솔린 연료통로는 플로우트실의 연료표면보다도 낮은 위치 통하고 있으므로 가솔린은 알코올과 함께 흡기부압에 의해 빨아내어진다.
따라서 가솔린과 알코올의 투입 비율을 각각의 스로틀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유지할수가 있고 운진부하상황에 따른 적정한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시동시에는 가솔린을 주로 분사하고 가솔린과 알코올의 겸용시에는 양자를 적정비율로 분사하여 가솔린이 필요없을때에 가솔린의 공급을 정지하여 알코올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든 운전속도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구등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저기화성이 주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플로우트실(14)과, 보조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실(30)을 가지며, 이 저장실(30)의 연료표면을 상기 플로우트실(14)의 연료표면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우트실(14)과 흡기통로(12)를 연통시키는 메인웰(25)에 상기 저장실(30)로부터의 연료통로(36)를 연출시키고,이 연료통로의 중간에서 소정의 온도이하 일때 이 연료 통로(36)를 개방시키는 온도작동밸브(44)를 설치한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웰(25)과 상기 연료통로(36)와의 합류점을 상기 저장실(30)의 연료표면보다 높게위치 설정하고, 상기 연료통로(36)는 메인웰과의 합류점에 도달할때 까지의 위치를 상기 저장실(30)의 연료표면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연료용 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통로(36)과 주연료통로(24)와의 연통위치보다 충분히 낮은 위치에서 주연료통로(24)와 저속계 연료통로(27)를 연통하고, 아이들링시에는 저속계 연료통로(27)로 저기화성 연료만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연료용 기화기.
KR2019860016973U 1985-11-19 1986-11-01 각종 연료용 기화기 KR9200062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76849U JPH0410370Y2 (ko) 1985-11-19 1985-11-19
JP???60-176849 1985-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29U KR870008529U (ko) 1987-06-12
KR920006251Y1 true KR920006251Y1 (ko) 1992-09-17

Family

ID=1602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973U KR920006251Y1 (ko) 1985-11-19 1986-11-01 각종 연료용 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10370Y2 (ko)
KR (1) KR920006251Y1 (ko)
DE (1) DE3639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8372A1 (de) * 1990-03-15 1991-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brennstoffen unterschiedlicher zusammensetzung
US8313091B2 (en) * 2009-04-03 2012-11-20 Honda Motor Co., Ltd. Multi-fuel carburetor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952U (ja) * 1983-04-23 1984-11-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アルコ−ル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S60120256U (ja) * 1984-01-23 1985-08-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アルコ−ル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29U (ko) 1987-06-12
JPS6284658U (ko) 1987-05-29
JPH0410370Y2 (ko) 1992-03-13
DE3639248A1 (de) 198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8223A (en) Carburetor enrichment system
CA1209869A (en) Fuel priming system with integral auxilliary enrichment feature
US4499887A (en) Dual fuel supply system
GB153413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20006251Y1 (ko) 각종 연료용 기화기
US4346682A (en) Carburetor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4307692A (en) Fuel injection apparatus
GB1045820A (en) Improvements in carburetting devic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00004899Y1 (ko) 컴파운드(compound)형 각종 연료용 기화기
KR900010658Y1 (ko) 각종 연료용 기화기
JPH0415974Y2 (ko)
JPS621404Y2 (ko)
JPS626274Y2 (ko)
KR930002637Y1 (ko) 알콜 엔진의 보조 연료 공급 장치
JPH0338445Y2 (ko)
US6196524B1 (en) Fuel enrichment system
JPH1182082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KR800000461B1 (ko)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시동 촉진장치
JPS62147043A (ja) アルコ−ル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H0335868Y2 (ko)
JPS58133466A (ja) 内燃機関の燃料蒸発ガス制御装置
KR820000038Y1 (ko) 다종 연료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장치
JPS6260972A (ja) 多種燃料用気化器
KR19980052773U (ko) 저온시동성 향상을 위한 lpg전용 기화기
JPS608138Y2 (ja) エンジンの始動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