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67Y1 - 공구용 척 - Google Patents

공구용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67Y1
KR920005967Y1 KR2019860015817U KR860015817U KR920005967Y1 KR 920005967 Y1 KR920005967 Y1 KR 920005967Y1 KR 2019860015817 U KR2019860015817 U KR 2019860015817U KR 860015817 U KR860015817 U KR 860015817U KR 920005967 Y1 KR920005967 Y1 KR 920005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xed
cylinder
base end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200U (ko
Inventor
마사가즈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껜 고오사꾸쇼
마사가즈 마쓰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껜 고오사꾸쇼, 마사가즈 마쓰모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껜 고오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16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23B31/1253Jaws movement actuated by an axially mov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2Jaws, accessories or adjustm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구용 척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반단면도.
제2도 내지 제6도의 각 도면은 본 고안의 제2내지 제6실시예를 각각 표시하는 주요부의 반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비교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반단면도.
제8도 및 제9도의 각 도면은 종래의 1예를 표시하는 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공구용척 4 : 기단고정통
5 : 고정측 나사체 6 : 고정볼트
7 : 척클릭 8 : 승강나사축
9 : 회전안내통 10 : 기부축 개구
17, 19 : 테이퍼부 20, 21 : 나사부
본 고안은 공구용 척(chuc)에 관한 것이다. 공구용척으로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실공소 59-20889호 공보에 있어서, 본원의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것 같은 것을 이미 제안한바 있다.
상기의 공구용척(30)은 기기스핀들(spindle) (31) 내에 붙이고 떼기 자재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32)를 가지고, 축방향 양측에 개구하는 기단고정통(基端固定筒) (33)과;기단고정통(33)에 구비되는 고정측 나사체(34)와; 고정측 나사체(34)에 축방향으로 진퇴자재(進退自在)로 나사맞춤됨과 동시에 선단부측에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 자제인 척클릭(chuck click) (35)을 가지고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척클릭(35)을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시키는 승강(昇降)나사축(36)과, 고정측나사체(34)에 회동(回動)자재이나 축방향으로는 이동불능하게 밖에서 끼워져 승강나사측(36)의 회동조작용으로 됨과 동시에 척클릭(35)을 내주면(內周面)에서 안내하는 회전안내통(37)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있다.
상기 척(30)은 기단고정통(33)이 기기스핀들(31)내에 붙이고 떼기 자재로 끼워맞춰진 끼워맞춤부(32)를 일체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척(30)의 기기스핀들(31)에의 설치부분을 강하게 할수 있으므로 축진동을 작게할수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8도에 표시하는 것에서는, 기단고정통(33)과 고정측나사체(34)가 일체로 되어, 대형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같이 대형의 부재를 정밀도 높게 가공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제19도에 표시하는것으로는, 기단고정통(33)과 고정측 나사체(34)가 별개이기 때문에, 이점에 있어서는 가공은 용이하다.
그러나, 제9도에 표시하는 것에서는 고정측 나사체(34)의 기부측나사부(37)를 기단고정통(33)의 나사부(39)에 나사맞춤함과 동시에, 고정측 나사체(34)의 끼워붙임부(40)를 기단고정통(33)의 끼워붙임지지공(41)에 끼워붙임함으로써 고정측나사체(34)를 기단고정통(33)에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척(30)에 있어서는 기단고정통(33)의 나사부(39)와 끼워붙임지지공(41), 고정측나사체(34)의 나사부(38)와 끼워붙임부(40)의 4개소라고하는 많은 개소를 각각 정밀도 좋게 완성시키지 않으면 고정측나사체(34)의 기단고정통(33)에 대한 편심량(偏心量)이 커져서, 고정측나사체(34)를 기단고정통(33)에 정밀도 높게 설치할수가 없으며 이점에 있어서 척(30)의 제작이 곤란한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구용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이 특징으로하는 곳은, 기기스핀들(1)내에 붙이고 떼기 자재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2)를 가지며, 축방향 양측에 개구하는 기단고정통(4)과; 기단고정통(5)에 구비되는 고정측나사체(5)와; 고정측나사체(5)에 축방향으로 진퇴자재로 나사맞춤됨과 동시에, 선단부측에 지름방향으로 확대및 축소자제인 척클림(7)을 가지고,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척클릭(7)을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시키는 승강나사축(8)과; 고정측 나사체(5)에 회동자재이나 축방향으로는 이동불능하게 밖에서 끼워져 승강나사축(8)의 회동조작용으로 됨과 동시에 척클릭(7)을 내주면에서 안내하는 회전안내통(9)과; 를 가지는 공구용 척에 있어서, 고정측나사체(5)를 기단고정통(4)과 별개로해서, 고정측 나사체(5)의 기부외주면을 기단을 향해 테이퍼(taper)상으로된 테이퍼부(19)로 하고, 기단고정통(4) 내주면의 선단부측을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하여 고정측나사체(5)의 테이퍼부(19)가 테이퍼 결합되는 테이퍼부(17)로 하고, 기단고정통(4)의 내주면에 있는 테이퍼부(17) 보다도 기부쪽에 볼트받침부(16)를 형성하고, 볼트받침부(16)에 기단고정통(4)의 기부측 개구(10)로 부터 삽입되어서 기부측개구(10)에서 회동조작가능하게 되고 또한 고정측나사체(5)에 나사맞춤되어서 고정측나사체(5)를 끌어당기는 고정볼트(6)를 회동자재로 끼워 통하게 유지시킨 점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공구용척(3)의 조립시에는, 기단고정통(4)의 선단부측 개구(11)에서 고정측나사체(5)를 삽입함과 동시에, 기단고정통(4)의 기부축개구(10)에서 고정볼트(6)를 볼트받침부(16)내에 끼워통하게하여, 기부측개구(10)에서의 고정볼트(6)의 회동조작에 의해, 고정볼트(6)를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측나사부(20)에 나사결합해서, 고정측나사체(5)를 고정볼트(6)쪽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그 테이퍼부(19)가 기단고정통(4)의 테이퍼부(17)에 테이퍼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제1도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은 공작기계에 구비된 스핀들로, 이 스핀들(1)에는, 대직경(大直徑)의 테이퍼 구멍으로된 끼워넣은 구멍(2)이 아래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1)에 붙이고 떼기자재로 구비되는 공구용척(3)은, 기단고정통(4)과, 고정측나사체(5)와, 고정볼트(6)와, 척클릭(7)을 구비하는 승강나사축(8)과, 회전안내통(9)등으로 주구성되어 있다.
기단고정통(4)은 축방향 양측에 개구되는 중공상(中空狀)으로되어, 기부측 개구(10)와 선단부측 개구(11)를 가진다. 기단고정통(4)은, 기부측의 끼워맞춤부(12)와 선단부측의 지지플랜지(13)를 일체형성하는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2)의 외주면은 기단을 향해서 테이퍼상으로 되어서, 스핀들(1)의 끼워맞춤구멍(2)에 붙이고 떼기자재로 끼워맞춤되어, 도시를 생략한 드로우 바(draw bar)로 스핀들(1)에 고정된다.
지지플랜지(3)는 스핀들(1)의 단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고, 그 외주면에는 NC기의 이설핸드(移設 hand)가 맞물리기 때문에 V홈(14)이 형성되어있다. 기단고정통(4)내에는, 드로우 바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드로우 바 설치부(15), 볼트받침부(16), 테이퍼부(17), 대구경끼워 맞춤부(18) 상기의 순으로 기단에서 선단에 향해 축방향으로 연속설치되어 있다.
볼트받침부(16)는 드로우 바 삽입부(15)및 테이퍼부(17)에서 소직경으로되어, 테이퍼부(17)는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되고, 대경 끼워맞춤부(18)는 테이퍼부(17)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고정측나사체(5)는 축방향 양측에 개구하는 통상(筒狀)으로되어, 그 기부 외주면이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된 테이퍼부(19)로 되어, 이 테이퍼부(19)가 기단고정통(4)의 테이퍼부(17)에 붙이고 떼기자제로 테이퍼결합되어서, 기단 고정통(4)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측과 선단부측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20, 21)가 각성(刻成)됨과 동시에, 고정측나사체(5)의 기단고정통(4)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에는 지름방향 외방향으로 돌출하는 링(ring)상의 안내부(22)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6)는 기단고정통(4)의 기부측개구(10)에서 볼트 받침부(16)에 끼우고 빼기 자재로 끼워통하게되어, 회전자재로 그 두부(6a)로 지지되는것으로 기부측개구(10)에서 회동조작가능하게 되어서,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의 나사부(20)에 붙이고 떼기자재로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측나사체(5)를 끌어당겨서 그 테이퍼부(19)를 기단고정통(4)의 테이퍼부(19)에 해제(解除)자재로 테이퍼 결합한다.
승강나사축(8)은 고정측나사체(5)의 선단부측의 나사부(21)에 축방향으로 진퇴자재로 나사끼움되어서, 선단부측에 공구를 해제자재로 고정하는 척클릭(7)이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 자재로 구비되어 있고, 승강나사축(8)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척클릭(7)이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한다.
회전안내통(9)은,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에 회전자재로 밖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본체(23)와 지지부재(24)와, 고정너트(25)를 축방향으로 연속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23)는 회전안내통(9)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거사으로, 그 기부에 지지부재(24)가 붙이고 떼기자제로 나사붙임 내지 고착되어 있다.
지지부재(24)의 선단부는, 고정측나사체(5)의 선단부측에 회동자재로 끼워맞춤되어, 그 기부측은 고정측나사체(5)의 안내부(22)보다도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기단고정통(4)의 대직경 끼워맞춤부(18)에 회전 및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롭게 삽입되어 있다.
안내부(22)상에는, 고정측나사체(5)의 외주면과 협지부재(24)의 내주면사이에 위치하는 안내보올(26)이 운동 자재롭게 둘레방향으로 다수 배설되어 있다.
고정너트(25)는 지지부재(24)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측나사체(5)에 밖으로 끼워져서, 지지부재(24)와 고정너트(25)에 의해 안내부(22)와 안내보올(26)이 축방향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회전안내통(9)의 고정측나사체(5)에 대한 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또, 본체(23)는 승강나사축(8)에 축방향으로만 이동자재로 걸어맞춤되어서, 회전안내통(9)의 회동에 의해 승강나사축(8)이 회동조작됨과 동시에, 본체(23)의 선단부측의 내주면에 의해 척클릭(7)이 안내된다.
또, 본체(23)의 외주면에는, 공구용 걸어맞춤오목부(27)가 둘레방향으로 복수 배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구용 척(3)을 조립할 때는, 고정측나사체(5)에, 척클릭(7)을 구비하는 승강 나사축(8)과, 회전안내통(9)을 맞붙여서, 유니트(unit) 체를 구성한다.
그러한 후, 상기 유니트체를 기단고정통(4)의 선단부측 개구(11)에서 삽입함과 동시에 기단고정통(4)의 기부측개구(10)로부터 고정볼트(6)를 볼트받침부(16)내로 끼워통하게 해서 기부축개구(10) 에서의 고정볼트(6)의 회동조작에 의해 고정볼트(6)를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측나사부(20)에 나사 결합해서 고정측나사체(5)의 끌어올림으로써, 그 테이퍼부(19)를 기단고정통(4)의 테이퍼부(17)에 테이퍼 결합되는 것이고, 이와같이하여, 공구용척(3)을 용이하게 조립할수가 있다.
또, 공구용 척(3)의 조립시에 있어서, 고정측나사체(5)에 회전안내통(9)의 협지부재(24)와 고정너트(25)만을 맞붙여두고, 고정측나사체(5)를 기단고정통(4)에 설치한후, 고정나사체(5)에 척클릭(7)을 구비하는 승강나사축(8)과, 회전안내통(9)의 본체(23)를 맞붙이는 경우도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기단고정통(4)의 대직경 끼워맞춤부(18)내에 회전안내통(9)의 기부인 지지부재(24)을 회전및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입해서 척(3)의 강도로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공구에 작용하는 가공응력이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막아낼수가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표시한것으로, 기단고정통(4)의 테이퍼부(17)와 대직경 끼워맞춤부(18)사이의 경계의 단부면(43)과 고정너트(25)사이에 축받침(44)이 설치되어서, 척(3)의 강도의 향상이 더욱 도모되어서, 이것에 의해, 공구에 작용하는 가공응력이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막아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제3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기단고정통(4)의 단부면(43)과 회전 안내통(9)의 고정너트(25)사이에, 상하 한쌍의 링체(ring) (45, 46)가 개장되어 있다.
양 링체(45, 46)로서는 유동(流動) 라이너(liner)만이 사용되는 경우와 양 링체(46, 46)의 한편에 축받침이나 유동라이너등의 축지지부재가 사용되고 다른편에 탄성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양 링체(45, 46)의 한편의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공구에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탄성체에 의해 완화흡수할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기단 고정통(4)은 지지플랜지를 가지고 있지않으며, 끼워맞춤부(12)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5도및 제6도의 각 도면은 본 고안의 제5, 6각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제3 각 실시예에 채용한 구조를 상기 제4실시예의 구조에 적용한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비교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척(3)은 기단고정통을 갖지않으며, 고정나사체(5)의 테이퍼부(19)가 스핀들(1)의 설치공(47)의 테이퍼부(48)에 직접 테이퍼 결합되어, 설치공(47)의 볼트 받침부(49)에 받쳐진 고정볼트(6)가 고정측나사체(5)의 기부측나사부(2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제7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스핀들(1)의 하방돌출부(50)가 회전안내통(9)의 기부인 지지부재(24)에 상대회전 및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밖에서 끼워질때도 있다.
또, 스핀들(1)의 하단면과 회전안내통(9)의 기단면사이에, 상기 제2, 제3실시예로 채용한 구조를 적용할때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기단공정통과 고정측 나사체를 별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에 있어서, 가공이 용이하다. 또, 고정측나사체의 기부외주면을,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된 테이퍼부로 하고 기단고정통 내주면을 기단을 향해서 테이퍼상으로하여 고정축나사체의 테이퍼부가 테이퍼 결합되는 테이퍼부로 하고, 기단고정통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테이퍼부보다도 기부쪽에 볼트받침부를 형성하고 볼트 받침부에 기단고정통의 기부측 개구로부터 삽입되어서 기부측 개구에서 회동조작가능하게하며 고정측 나사체에 나사맞춤되어서 고정측나사체를 끌어당기는 고정볼트를 회동자재로 끼워통하게 유지시켰으므로, 기단고정통의 테이퍼부와 고정측나사체의 테이퍼부의 2개소라하는 종래보다 작은 개소를 정밀도 좋게 완성함으로써 고정측나사체를 기단고정통에 고정밀도로 설치할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 공구용척의 제작을 용이하게 행함과 동시에, 공구용 척의 조립도 용이하다.
본고안은 상기 이점을 가지며, 실익이 크다.

Claims (1)

  1. 기기스핀들(1)내에 붙이고 떼기 자재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12)를 가지며, 축방향 양측에 개구하는 기단 고정통(4)과; 기단고정통(4)에 구비되는 고정측나사체(5)와; 고정측나사체(5)에 축방향에 진퇴자재로 나사맞춤됨과 동시에, 선단부측에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자재인 척클릭(7)을 가지며,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척클릭(7)을 지름방향으로 확대 및 축소시키는 승강나사축(8)과; 고정축나사체(5)에 회동자재이나 축방향으로 이동불능하게 밖으로 끼워서 승강나사축(8)의 회동조작용으로 되여짐과 동시에 척클릭(7)을 내주면으로 안내하는 회진안내통(9)과; 를 가지는 공구용 척에 있어서, 고정측나사체(5)를 기단고정통(4)과 별개로 해서, 고정측 나사체(5)의 기부외주면을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 된 테이퍼부(19)로 하고, 기단고정통(4) 내주면의 선단부측을 기단을 향해 테이퍼상으로하여 고정측나사체(5)의 테이퍼부(19)가 테이퍼 결합되는 테이퍼부(17)로하여, 기단고정통(4)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7)보다도 기부쪽에 볼트받침부(16)를 형성하고, 볼트받침부(16)에 기단고정통(4)의 기부측개구(10)로부터 삽입되어서 기부측개구(10)에서 회동조작 가능하게 되어 또한 고정측나사체(5)에 나사맞춤되어서 고정측 나사체(5)를 끌어 당기는 고정볼트(6)를 회동자재로 끼워통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척.
KR2019860015817U 1986-04-14 1986-10-16 공구용 척 KR9200059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6444(U) 1986-04-14
JP1986056444U JPH039928Y2 (ko) 1986-04-14 198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200U KR870016200U (ko) 1987-11-24
KR920005967Y1 true KR920005967Y1 (ko) 1992-08-27

Family

ID=1302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817U KR920005967Y1 (ko) 1986-04-14 1986-10-16 공구용 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9928Y2 (ko)
KR (1) KR92000596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889U (ja) * 1982-07-28 1984-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ア−シヤワ−室
DE3314591A1 (de) * 1983-04-22 1984-10-25 Montanwerke Walter GmbH, 7400 Tübingen Mehrteiliges spannsystem, insbesondere fuer rundlaufende werk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72507U (ko) 1987-11-02
JPH039928Y2 (ko) 1991-03-12
KR870016200U (ko) 198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717A (en) Compound ball bearing
CA2298698C (en) Apparatus for crack splitting an annular part
KR20120016257A (ko) 척 장치
US5269607A (en) Bearing assembly with locking device
US4969754A (en) Rotational bearing arrangement for high speeds of rotation
US7402927B2 (en) Quick-change bearing assembly that obviates the need to recenter replacement spindles
KR920005967Y1 (ko) 공구용 척
JPH06226506A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US4607989A (en) Machine tool
US4012086A (en) Shaft mounted bearing for withdrawal over burrs on shaft
KR950004525B1 (ko) 부속장치의 자동착탈장치
US6817273B2 (en) High precision spindle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803618A (en) Compound ball bearing
CN2125470U (zh) 可更换顶尖头的活顶尖
US6050729A (en) Compound ball bearing
KR100585882B1 (ko) 선반용 심압대 센터
JPS5856086Y2 (ja) チヤツク
JPH0144243Y2 (ko)
CN113027912B (zh) 非圆外圈滚动轴承
CN217095712U (zh) 一种车床顶针及一种顶针组件
CN213744557U (zh) 一种高精度张减机轴承套组件
KR910000609Y1 (ko) 콜렛트 척
JPS5933534Y2 (ja) チヤツク
CN219691970U (zh) 一种薄壁空心轴
JP2010264554A (ja) コレット式工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