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65B1 -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 Google Patents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65B1
KR920005865B1 KR1019880013266A KR880013266A KR920005865B1 KR 920005865 B1 KR920005865 B1 KR 920005865B1 KR 1019880013266 A KR1019880013266 A KR 1019880013266A KR 880013266 A KR880013266 A KR 880013266A KR 920005865 B1 KR920005865 B1 KR 92000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information
receiver
transmission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554A (ko
Inventor
마에무라 고이찌로
다나까 시게따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리코
켄지 히루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리코, 켄지 히루마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89000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during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within a single document or p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42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 H04N2201/3335Speed or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에 따라 설계된 팩시밀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아그램.
제2a도는 2aa 및 2ab를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2aa 및 2ab도는, 2a도 및 2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될때, 제1도에 나타난 팩시밀리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과정의 단계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제3도는 정상 전송과정에서 전송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제4도는 재전송과정에서 전송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제5도는 오류율을 계산하는 교호방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전송제어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제6도는 시프트-다운 기능으로써 데이타전송을 세트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의해 구성된 팩시밀리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아그램.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난 구조에 제공되는 파라메터메모리 11에 저장된 내용 및 포맷(format)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9도는 9 a 및 9 b를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9 a 및 9 b도는, 제9도와 같이 결합되었을때, 오류교정모우드(ECM)의 세트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 및 ECM 모우드가 세트된 경우 프레임크기를 결정하기위한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0도는 제7도의 구조에서 이행되는 절차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타이밍챠트.
제11a도는 본 발명의 그 이상의 구체화에서 전송자측에서 이행되는 영상해독과정의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1b도는 11a도에 나타난 구체화에서 전송자측에서 이행되는 영상정보전달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2a도는 11a 및 11b도에서 나타난 구체화와 결합되어 수신자측에서 이행되는 영상정보수신과정의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2b도는 12a도에 나타난 구체화에서 수신자측에서 이행되는 영상기록과정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3도는 11a,11b,12a 및 12b도에 나타난 구체화에서 영상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계통예시도.
제14a도는 통상의 오류교정모우드에 따라 프레임형태로 배열된 영상정보를 전달하기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4b도는 재전송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5a 및 15b도는 버스트소음(burst noise) 및 프레임크기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네트워크상태에 따라 데이타전송속도를 시프트다운(shift down)하는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팩시밀리데이타전송을 위한 전송라인으로서 전화네트워크가 이용되고 있다.
전화네트워크의 경우에 있어서, 내트워크조건은 특히 해외통화와 같은 장거리통화시 소음등에 의해 변화되기 쉽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팩시밀리전송이 이루어질때, 영상정보의 전달에 오류(error)가 생겨 수신기에서 영상이 정확히 재생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G3 타입과 같은 전형적인 팩시밀리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태는 영상정보의 전송개시전에 MODEM 트레이닝에 의해 시험되며, 영상정보를 전송하기위한 데이타전송속도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CCITT는 최근 G3 타입의 팩시밀리의 근거가되는 리콤멘데이션(Recommendation) T.30에 대한 안넥스A(Annex A)형태(Annex A to Recommendation T.30)로된 오류교정모우드(error correction mode)(이하 'ECM'이라 한다)라고 불리우는 전송제어절차를 위한 부가적인 리콤멘데이션을 발표하였다.
이 ECM 모우드에 따라 팩시밀리전송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영상정보는 하나의 유니트로써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date frame)을 포함한 블록(block)으로써 전송되며, 전송된 영상정보내에 오류가 발생했을때 오류가 발생한 이들 데이타프레임은 다시 전송된다.
또한, 재전송의 수가 예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 데이타전송속도는 시프트다운되어 낮은 데이타전송속도에서 데이타프레임의 재송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네트워크상태가 전송시작직후는 좋았으나 그후 영상정보의 전송개시후에 극단적으로 나빠졌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는, 데이타전송속도는 영상정보의 전송에 대하여 처음에는 예를들어 9600bps에서 고정되었다.
그러나, 네트워크상태가 나쁘게되고 또한 전송된 데이타에는 많은 오류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재전송과정이 예정된 횟수를 넘어 반복적으로 이행된다. 이 재전송(retransmission)과정동안 데이타가 적절하게 전송되지 않으면, 데이타전송속도는 예를들어 7200bps까지 시프트다운되며, 이 시프트다운 속도로써 다른 재전송과정이 예정된 횟수를 넘어 이행된다. 만일 데이타가 여전히 적절하게 전송되지않으면 데이타전송속도는 예를들어 4800bps까지 더욱 시프트다운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타전송속도는 결국 2400bps까지 시프트다운된다.
통상의 ECM 모우드에 의한 이 방법에 있어서, 데이타전송속도는 저하된 네트워크조건이 야기된때 한단계시프트다운되므로 영상정보의 재전송이 성공적으로 이행될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통화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ECM 모우드에 있어서, 부호화(coding)에 의한 압축(compression)후 영상정보는 그 최초부터 256 혹은 64바이트(bytes)(옥텟 1바이트=1옥텟=8비트)의 프레임으로 분리되며, 한 프레임의 영상정보는 전송전에 제14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HDLC(고수준데이타연결제어,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타임의 절차의 프레임 FLM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FLM은 예정된 비트패턴의 (전면)플래그 시퀘언스(sequence) F, 예정된 비트패턴(글로벌어드레스)의 어드레스필드(address field) A, 특정팩시밀리에 독특한 예정된 비트패턴의 콘트롤필드(control field) C, 정보필드 I, 오류탐지용 프레임 체크시퀴언스 FCS 및 언급된 순서로 배열된 (배면)플래그 F를 포함한다.
정보필드 I는 팩시밀리전송절차신호가 배열된 팩시밀리콘트롤필드 FCE 및 팩시밀리전송절차신호에 부가된 여리신호가 배열된 팩시밀리정보필드 FIF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팩시밀리전송절차신호의 팩시밀리코딩 데이타 FCD가 팩시밀리콘트롤필드 FCF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임번호 FNo 및 하나의 프레임크기 FSZ의 코딩인 프레임 데이타 FDC가 팩시밀리정보필드 FIF내에 배열되어 있다.
프레임번호 FNo는 이진수의 8비트로써 한정되므로, 256프레임의 연속시리즈가 하나의 블록으로 세트되도록 단지 0-255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수신자는 이러한 블록의 재전송을 요구한다.
만일 1페이지의 영상정보가 하나의 블록으로 전송되지 못했다면, 이 영상정보의 나머지부분이 전송을 위하여 다음블록으로 삽입된다. 수신자가 재전송을 요구할때, 이는 수신자에게 팩시밀리전송절차신호 PPR(일부페이지요구신호)의 프레임을 보낸다.
비록 팩시밀리전송절차신호가 필요한 파라메타와 함께 이 일부페이지요구신호 PPR의 것과 비슷한 프레임포맷(frame format)으로 전달되더라도,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PPR 시그널로써 단지 일컬어지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PPR 신호는 팩시밀리콘트롤필드 FCF내에서, PPR 신호라고 가르키는, 특정비트패턴 PPR 및 팩시밀리정보필드 FIF내의 256비트의 에러 맵데이타 EMp(error map date EMp)를 모두 포함한다.
이 오류맵데이트 EMp에 있어서, 전달된 블록데이타중 하나의 블록가운데, 데이타 "0"은 전송에러가 일어나지 않은 프레임 각각으로 할당되며, 데이타 "1"은 하나이상의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각각으로 할당되며, 이들 할당된 데이타는 프레임순서대로 배열된다. 이 PPR 신호를 받고, 송신기는 에러맵데이트 EMp내로 할당된 이들 프레임의 데이타만을 수신기에게 전송한다.
모든 데이타오류가 제거될때까지 재전송을 위한 요구를 계속적으로 야기시킴으로써, 에러없이 수신된 이미지는 수신기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프레임크기는 2가지 즉 256바이트 및 64바이트중 한가지로 고정될 수 있다.
이 프레임크기가 예비-전송절차(pre-transmission procedure)동안 전송자와 수신자사이에서 일단세트될때, 1페이지의 영상정보전송이 완결될때까지 이는 유효하게 남아있으며 변경될 수 없다. 이 프레임크기가 팩시밀리내에 세트될때, 예를들어 팩시밀리내에 제공된 내부회로상에 설치된 스위치등을 조작함에 의해 만일 반영구적으로 세트된다면, 다음 불이익이 야기될 것이다.
이는 만일 프레임크기가 256바이트에서 반영구적으로 세트된다면,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가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데이타에 첨가되어지는 정보의 량은 보다 적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크기가 64바이트인 경우와 비교해볼때, 전송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제15a 및 15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만일 전송라인내에 비스트오류(burst error)BN 및 BN2가 야기되었다면, 재전송되는 데이타의 량은 프레임크기가 64바이트인 경우와 비교해볼때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만일 네트워크조건이 열등하면, 재전송시간은 64바이트의 프레임크기(FSZ2)에 대하여 보다 256바이트의 프레임크기(FSZ1)에 대하여 보다 길것이며, 그리하여 전체 영상정보전송시간 역시 256바이트경우에 대하여 보다 길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전송이 ECM 모우드내에서 이행되는 경우에서 전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크기는 네트워크조건에 따라 달리한다. 반면, 만일 네트워크조건이 극히 좋다면, 영상전송에 가상적으로 데이타오류가 발생되지 않기때문에, ECM 모우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만일 네트워크조건이 극히 나쁘다면, 재전송동안 많은 오류가 또한 발생됨으로, 이는 아무런 이익없이 전송시간만을 연정하기 때문에 ECM의 사용은 뜻이 없다.
ECM 및 정상모우드 조작 모두를 갖는 종전의 팩시밀리에 있어서는, ECM과 정상모우드사이의 선택이 항상 적절히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ECM 모우드에 사용하기위한 프레임크기가 항상 적절히 세트되는 것은 아니므로, ECM 모우드가 항상 효과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세팅이 조작자에 의해 이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조작자가 전송전에 적절한 파라메터를 결정해야하므로 조작자가 귀찮을 뿐만 아니라 또한 비실용적인 것이다.
통상의 G3 타입 정상모우드에 있어서, 팩시밀리통화로 영상정보를 전송할때, 영상정보가 먼저 부호화되고(coded) 그리고 이같이 코드화된 영상정보는 보통 임시적으로 FIFO 완충기(buffer)내로 저장된다.
그후 코드화된 영상정보는 완충기로부터 읽혀지고, MODEM내에 세트된 데이타전달속도와 일치하는 속도로 수신기에게 전송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FIFO 완충기는 영상정보의 부호화(coding)와 MODEM으로부터 영상정보의 전달사이의 시간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의 역활을 한다.
ECM 모우드의 경우에서, HDLC 데이타프레임을 조립할때 프레임데이타내의 플래그의 것과 같은 비트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0"데이타삽입 및 오류체크조작을 의한 CRC 계산이 이행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ECM 모우드로의 팩시밀리전송의 경우에 있어서, 전송동안, 코드화된 영상정보의 블록은 일시적으로 완충기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프레임데이타내에 데이타 "0"를 삽입하는 것 및 CRC 계산과정을 쉽게 하며, 영상정보의 재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통상의 G3 타입 정상모우드통화 및 ECM 모우드통화 모두, 전송되는 영상정보가 완충기내에 저장된다.
또한, 종전의 팩시밀리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위한 2개의 분리완충기가 상기 2가지 종류의 통화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ECM 모우드에 의하면, 영상정보전달의 시작후 네트워크조건이 나빠질때, 통화시간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더우기, 종전의 팩시밀리에 있어서, ECM 모우드는 적절하게 세트되지도 효과적으로 사용되지도 않았다.
게다가, 종래의 팩시밀리에서는, 일시적으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위한 2개의 분리완충기가 제공되며, 이는 가격인상의 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1983.11.19 공개된 일본특허공개공보 No.58-198964는 재전송조작이 일어나는 방식에 따라, 즉 연속적이냐 간헐적이냐, 2-단계 시프트-다운 조작 혹은 1단계시프트-다운 조작중 어느것을 선택적으로 이행하는 재전송조작의 수를 계산하는 시프트-다운/시프트-업 조건결정회로 7을 이용한 데이타전송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1985.8.19 공고된 일본공고 60-36145는 고도의 중요성을 갖는 프레임정보에 전승오류가 발생했을때만 재전송이 이행되고, 전체 전송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비록 전승오류가 발생되더라도 낮은 중요성을 갖는 프레임 정보에 대하여는 재전송이 이행되지 않는 신호전달 시스템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에 있어서 데이타전달속도를 결정하는 새로운 기구가 제공되며, 이에의하면 전송된 영상정보 프레임의 전체수와 수신자에 의해 데이타오류를 포함한 것으로 나타난 프레임수 사이의 비율에 근거하여 데이타전송속도의 시프트-다운 정도가 결정된다.
이 새로운 기구에 있어서, 통화시간은 항상 최저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전송된 프레임의 전체수와 본 발명의 견지에서 전송결과로써 데이타오류를 포함하는 프레임수를 근거로 데이타전송속도가 결정됨으로써, 데이타전송속도는 네트워크조건에 따라 적절하고 적정하게 세트될 수 있다.
따라서, 재송신이 불필요하게 이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전체 전송시간이 항상 최소로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오류발생시 재전송(retransmission upon error occurence)"이 가해지는 영역에 관하여 정보를 저장하기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팩시밀리가 제공된다.
저장되는 정보는 ECM 모우드가 가해지는 착신영역(destination areas) 및 착신영역 각각에 대한 프레임크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착신정보(destination information)가 오류재전송응용영역 메모리내에 저장된 착신영역중 하나에 속할때, ECM 모우드는 활성화되고 메모리내에 저장된 부합되는 착신영역에 프레임크기가 영상정보전송에 사용되도록 선택된다.
이 방식에는, ECM 모우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이 구조에서는, ECM 모우드를 사용하기위해 조작자가 수동으로 적절한 조건을 세트하는 것이 필요하지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ECM 모우드동안 모든 영상정보를 수신자에게 적절히 전송시키기위해 재전송과정이 완료될때까지 잠정적으로 코드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통상의 G3 타입정상모우드동안 영상정보전송이 완료될때까지 잠정적으로 코드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위해 사용되는 보통의 완충기메모리(buffer memory)를 포함하는 팩시밀리가 제공된다.
이 구조에서, 보통의 완충기메모리는 ECM 및 정상모우드로 분배되며, 그리하여 이는 단지 하나의 완충기메모리를 제공하는데 필요할뿐이며, 이는 팩시밀리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한 개선된 팩시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새로운 데이타전송속도 시프트-다운기능을 가진 개선된 팩시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전송시간을 항상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와 같은, 개선된 데이타전송방법 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ECM 모우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팩시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데이타전송, 높은 효율, 및 낮은 비용을 갖는 팩시밀리를 제공하는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 잇점 및 새로운 점은 다음 기술하는 바에 따라 명확히 될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제히 설명한다.
제1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에 의해 구성된 팩시밀리 전체구조가 블록형태로 나타나 있다.
게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팩시밀리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전체 제어를 맡고, 팩시밀리 전송제어절차과정 및 ROM 2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이행하는 CPU(1)을 포함한다.
작업지역(work area) 밋 전송완충기를 제공하는 RAM(3)이 또한 제공된다.
전송완충기는 256바이트프레임의 하나의 블록을 저장할 수 있도록 최소 64Kbyte(K=1,024)의 기역용량을 갖도록 설계된 것이 주목된다.
팩시밀리는 또한 예정된 해상도로 전송된 원본을 읽기위한 주사장치(4) 및, 예정도해상도도 한장의 기록매체상에 수신영상을 기록하기위한 플로터(plotter)(5)를 포함한다.
조작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이, 이를 통하여 여러가지 조작명령 및 조건이 조작자에 의해 공급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interface)로써 또한 제공된다.
부호화(coding)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압축하고, 복호(複號,decoding)에 의해 수신된 영상정보를 감압시키는 CODEC(7) 및 디지탈영상데이타를 이러한 디지탈영상데이타가 아나로그네트워크인 일반전화 네트워크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변조 및 복조시키는 MODEM(8)이 또한 제공된다.
네트제어유니트(net control unit)(9)가 또한 제공되며 이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와 일반전화 네트워크사이의 연결을 하게된다.
상기 네트제어유니트(9)에는 자동호출 및 호출수신기능이 부여된 것이 주목된다.
더우기, CPU(1), ROM(2), RAM(3) 주사장치(4), 플롯퍼(5), 조작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 CODEC(7), MODEM(8) 및 네트제어유니트(9)는 데이타가 어떠한 2개의 요구되는 요소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시스템버스(bus)(10)을 통하여 내부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팩시밀리의 전송조작을 제2a 및 2b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맨 먼저, 전송될 원고는 주사장치(4)내에 세트되고, 그후 전송도착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예정된 전송조작이 조작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단계 21)에서 수행된다. 그 결과 네트제어유니트(9)가 활성화되고(단계 22), 또한 수신자측 팩시밀리에 의해 호출이 수신되었을때, 전송제어절차가 제3도에 나타난바와 같이 개시되어, 신호 CED 및 DIS가 수신자로부터 전송자로 첫째 전송된다(단계 23). 이에 응답하여,송신기는 MODEM 트레이닝신호 및 신호 TCF와 함께 신호 DCS를 전송한다.
상기 DCS신호에서, 데이타전송속도는 최대속도 9,600bps로 지정된다. 네트워크의 상태를 정하기 위하여, 수신기는 TCF 신호에 의해 전달된 정해진 데이트를 검사하여 그후 데이타오류율이 정해진 값과 같거나 이보다 적을 경우에는 CFR 신호를 전송한다. 송신기에서는, 이 CFR 신호(단계 25의 Y)를 받으면, 전송되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읽고 이에 의해 시각적 영상정보를 전기적 영상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해 주사장치(4)가 활성화된다.
이같이 읽은 영상정보는 CODEC(7)에 의해 부호화되며, 이같이 부호화된 영상정보는 예를들어, 256바이트 HDLC 데아타프레임의 FIF 섹션내에 정렬된다. 이들 데이타프레임은 256프레임까지를 1블록으로 제한되기 위해 수집된다.
이와 같이, 1프레임당 256바이트(bytes)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블록은 최대 64K 바이트를 갖는다. 영상정보 1블록은 그후 장정적으로 RAM(3)내에 저장되고 프레임의 전체수(N) 역시 RAM(3)내에 저장된다(단계 27).
그후 이 영상정보 1블록은 앞서 지정된 데이타 전송속도 9600로 계속적으로 영상정보 PIX로써 전송된다(단계 28). 전송되는 원고가 단지 1 폐이지이고 그 영상정보가 64K 바이트 혹은 그 이하라고 가정해 보자. 모든 영상정보를 잇달아 전송할때, 신호 PPS와 EOP가 전송된다(단계 29).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오류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데이타오류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수신기는 신호 MGF를 송신기로 보낸다. 만일 송신기가 MCF 신호를 받으면(단계 30의 Y), 이는 네트워크를 복구하도록 신호 DCN을 전송한다(단계 31).
이제, 네트워크상태가 초기에는 뛰어나나 영상정보 PIX의 전달동안 나빠지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경우,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상정보의 전송은 앞 경우에서와 비슷하게 9600bps의 데이타전송속도로 시작되고, 그후 신호 PPS 및 EOP가 전송된다. 네트워크상태가 나빠지고 전송된 영상정보내에 데이타오류가 발생될때, 수신기는 이 데이터오류를 탐지하고 256프레임까지의 영상정보인 하나의 블록내에서 어느 프레임이 오류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PPS.EOP 신호를 받은 뒤, 수신기는 데이타 오류를 발생시킨 프레임 위치를 송신기에게 알리기 위하여 PPR 신호를 보낸다.
이 PPR 신호를 받고(제2a도에서 단계 30의 NO), 송신기는 그때까지 이행된 재전송의수를 검사한다(단계 32).
이 경우에서, 이는 재전송의 첫번째 이벤트(event)이므로(단계 32의 NO), PPR 신호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위치에 부합되는 영상정보는 RMA으로부터 읽혀진다. 그리고 나서, 이와 같이 읽혀진 영상정보는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으로 재전송된다(단계 33).
PPR 신호로, 복수의 프레임이 지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정된 프레임의 각각의 영상정보는 한개씩 계속하여 전달되고, 완료시, PPS.EOF' 신호가 전달된다(단계 29).
그후, 상술된 과정은 반복되고 만일 영상정보가 수신기에 다시한번 적절히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PPR신호가 나와서 데이타오류의 발생을 지시하고 데이타오류를 발생시킨 한개 혹은 그 이상의 프레임위치를 송신기에 알린다. 이 경우, 부합하는 데이타 프레임은 다시 비슷한 방법으로 재송신된다.
이 영상정보의 재전송수가 3회에 이를때(단계 32의 YES), PPR 신호로써 데이타 오류를 발생시킨 송신기에 알려진 프레임의 수 n가 정해진다(단계 34).
그후 현재의 데이타 전송속도가 검사된다.
현재 세트된 데이타 전송속도가 9600bps 이므로(단계 36)으로 향한 단계 35의 NO 및 단계 36의 YES),최초로 전송된 프레임의 전체수 N에 대한 데이타 오류를 발생시킨 상술한 프레임의 수 n의 비율, 즉 오류율 n/N이 계산되며 그후 계산된 결과가 미리 정해진 값 a와 비교된다(단계 37).
네트워크상태가 보다 나빠짐에 따라 에러율 n/N은 보다 커진다. 미리 정해진 값 a는, 데이타 전송속도가 열악한 네트워크상태때문에 2400bps로 리세트(reset)되어야 함을 지시하는 오류율 n/N값을 갖도록 정해진다.
만일 계산된 오류율 n/N이 미리 정해진 값 a와 같거나 이보다 크면(단계 37의 YES), 송신기는 데이타 전송속도를 2400bps로 세트하도록 MODEN(8)을 제어한다. 그러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수신기에게 데이타 전송속도가 2400bps(단계 39)까지 시프트 다운 되어야 한다고 알려주기 위해 CTC 신호를 수신기로 보낸다.이 CTC 신호를 받고, 수신기는 내부조건을 데이타 전송속도 2400bps로 세트하고 그후 CTR 신호를 보낸다. 이 CTC 신호의 수신을 확인한 후(단계 40), 송신기는 PPR 신호에 의해 지정된 1 혹은 그 이상의 프레임의 영상정보를 재전송하며(단계 41), 또한 그후, 미리 정해진 PPS.EOP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29).
이는 가장 낮은 데이타 전송속도이므로, 비록 네트워크상태가 비교적 나쁘더라도 영상정보는 적절히 전달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수신기는 데이타 오류의 발생이 없이 영상정보를 받아 MCF 신호를 송신기로 보낼것이다(단계 30의 YES).
이에 응답하여, 송신기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도록 DCN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31).
이 방식으로, 비록 네트워크상태가 처음에는 뛰어나나 영상정보 PIX의 전송동안 현저하게 나빠지더라도,영상정보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타 전달속도의 시프트-다운조작을 단지 한번 이행함으로써 적절히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7에서, 만일 오류을 n/N의 계산치가 미리 정해진 값 a 보다 적다면(단계 37의 NO), 오류율 n/N 값은 그후 다른 미리 정해진 값 b(단계 41)과 비교된다. 만일 계산된 오류율 n/N이 미리 정해진값 b와 같거나 이보다 크다면(단계 42의 YES), 데이타 전송속도는 4800bps에서 세트된다(단계 43): 반면, 만일 계산된 오류율 n/N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적다면(단계 42의 NO), 데이타 전송속도는 7200bps로 세트된다(단계 44).
미리 정해진 값 a와 비슷하게, 미리 정해진 값 a는 현재의 네크워크조건에 따라 데이타 전송속도를 세트하는 값이다. 그러면, 영상정보는 새롭게 세트된 데이타 전달속도와 비슷한 방식으로 재전송된다.
상술한 구체화에 있어서, 데이타 전송속도는 처음에는 9600bps로 세트되었다. 송신기가 DCS 신호, MODEM 트레이닝 신호 및 TCF 신호를 전송했을때(단계 24),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데이타 오류값이 탐지되었다면 수신기는 FTT 신호를 전송한다. FTT 신호를 받고(단계 25의 NO), 송신기는 데이타 전송속도가 한단계 시프트다운 되도록 하며 그후 다시 DCS 신호, MODEM 트레이닝 신호 및 TCF 신호를 보낸다.
그후, 만일 다른 FTT 신호가 다시 수신되었다면, 데이타 전송속도는 유사하게 다시 한번 시프트다운된다. 그리고 나서, 영상정보의 전송은 CFR 신호가 수신된때의 데이타 전송속도로 이행된다.
이 방식에서, 만일 영상정보의 전송이 9600bps가 아닌 데이타 전송속도로 이행되었고 또한 재전송수가 3회에 도달했다면(단계 32의 YES) 오류 프레임의 수 n이 결정되며, 만일 데이타 전송속도가 예를들어 2400bps와 같다면, 데이타 전송속도가 더이상 시프트다운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단계 31로 진행하여 전송과정이 종결되게 한다.
반면, 데이타 전송속도가 4800bps이면(단계 35의 NO로부터 단계 36까지), 단계 36의 NO로부터 단계 46까지, 그리고 단계 46의 YES로), 데이타 전송속도는 2400bps에서 세트된다(단계 38로).
만일 데이타 전송속도가 7200bps이면(단계 35의 NO로부터 단계 36으로, 단계 36의 NO로부터 단계 46으로, 단계 46의 NO로), 계산된 오류율 n/N은 나아가 미리 정해진 값 C(단계 47)과 비교된다.
만일 계산된 오류율 n/N이 값 C와 같거나 크다면(단계 47의 YES), 데이타 전송속도는 2400bps에서 세트되며(단계 38로); 반면 만일 계산된 오류율 n/N이 값 C보다 적다면(단계 47의 NO) 데이타 전송속도는 4800bps에서 세트된다(단계 43).
이 방식에서, 최초로 세트된 데이타 전송속도 각각은 네크워크 조건의 열화도에 따라 요구되는 값까지 시프트다운되며, 그리고나서 시프트다운된 데이타전송속도로써 영상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송신기는 미리 정해진 횟수를 넘어 1 혹은 그 이상의 오류 프레임 영상정보의 재송신을 수행하며, 또한 만일 모든 이들 프레임의 영상정보가 적절히 수신기로 전송되지 않았다면, 송신기는 하나의 블록내에서 최초로 전송된 프레임의 전체수 N에 대한, PPR 신호에 의해 재전송되는 프레임으로써 지정된 오류 프레임의 수 n의 비 즉 오류율 n/N를 계산하며, 이와 같이 계산된 오류율 n/N에 근거하여 데이타 전송속도는 적절한 값으로 시프트다운된다.
따라서, 오류 프레임의 다음 재송신은 현재의 네트워크상태의 정도에 상응하여 적절한 데이타 전송속도로 이행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로써, 비록 네트워크상태가 영상정보의 전송동안 갑자기 나빠지더라도, 데이타 오류를 명백히 만드는 프레임의 재송신이 불필요하게 이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송신시간을 최소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체화에 있어서, 오류비는 최초로 전송된 블록 블레임의 전체수 N에 대한 재전송 프레임의 수 n의 비, 즉 n/N로써 계산되나, 이 오류비는 후술되는 실시예의 어떠한 다른 바람직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제5도에 예시된 전송절차가 이행된다고 가정해보자. 이는 송신기가, 프레임의 수 8를 갖는 첫째 블록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기는 최초로 전송된 프레임의 수 a 주에서 프레임수 b의 재전송을 요구한다. 그러면, 송신기가 프레임수 b를 수신기에 성공적으로 재전송한다.
이어서, 송신기는 프레임수 c를 갖는 두번째 블록의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이 가운데 프레임수 d는 성공적으로 재전송된다. 그러면 프레임수 e를 갖는 세번째 블록의 영상정보가 전송되며 그후 프레임수 e중에서 프레임수 f가 재전송된다. 그러나, 프레임수 e 가운데 프레임수 g에 오류가 발생하며 이 프레임수 g에 대하여는 재송신이 이행된다. 더우기 프레임수 g 가운데 프레임수 h에 오류가 발생하며, 그래서 데이타 전송속도 시프트다운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기가 CTC 신호를 전송한다.
다음 표는 오류비를 계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표]
Figure kpo00001
상기 표에서, 방법(a)는 프레임 전체수에 대한 재전송 프레임수의 비로써 오류비을 계산하는 방법이며,이 방법이 상술된 구체화에 적용될때 오류비는 프레임 전체수 즉(a+b+c+d+e+f+g)로써 재전송된 프레임의 수(즉 b+d+f+g+h)를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방법(b)에 의하면, 페이지당 전체 프레임의 수에 대한 페이지당 재전송된 프레임수의 비로써 오류비가 결정되며, 이 방법이 상술한 구체화에 적용될때, 오류비는 페이지당 전체 프레임수 즉(a+c)로써 페이지당 재송신된 프레임의 수, 즉(b+d)를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방법(c)에 의하면, 전체 블록수에 대한 오류 블록수의 비로써 오류비가 결정되며, 이 방법이 상술된 구체화에 적용될대, 오류비는 3/3으로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방법(d)는 전체 페이지수에 대한 오류 페이지수의 비로써 오류비가 결정되며, 이 방법이 상술된 구체화에 적용될때, 오류비는 2/2로써 계산된다.
택일적으로, 방법(c) 및 (d)에서 오류 블록 및 오류 페이지를 정할때, 오류 프레임의 수가 페이지 혹은 블록당 프레임 전체수를 초과할때 오류 페이지 혹은 오류 블록의 발생을 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나아가 택일적인 것으로써, 미리 정해진 수의 프레임이 최초로 전송되었을때 마다 오류 프레임수를 정함므로써, 오류비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우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원고 면적에 대한 영상정보가 전송될때 마다 오류 프레임과 최초로 전송된 프레임 전체수 사이의 비를 정함으로써 오류비가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9600bps로 영상정보의 전송이 시작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류비가 계산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같이 계산된 오류비에 근거하여 데이타 전송속도 시프트다운조작이 수행될때, 데이타 전송속도는 예를들어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산된 오류비가 25% 혹은 이하이면 7200bps로 시프트다운되며, 계산된 오류비가 25%-75%이면 4800bps로 시프트다운되며, 계산된 오류비가 75% 이상이면 2400bps로 시프트 다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임계값이 이미 제공되었으며, 이들 임계값과 계산된 오류비를 비교함으로써 데이타 전송속도는 적정값까지 시프트다운된다.
이들 임계값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9600bps에서 계산된 오류비로부터 판단하여 데이타 오류의 발생을 피하도록 데이타 전송속도가 9600bps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시프트다운되게 임계값이 결정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4도에 기술된 구체화에서, 특정 전송속도에서 데이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 속도에서 재전송은 3회수행되나 ; 재전송의 반복횟수는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구제화에 나타난 플로우챠트의 경우에 있어서, 만일 예를들어 9600bps로 세트된 초기데이타 전송속도에 네트워크상태가 점차적으로 열화되면, 데이타 전송속도는 3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7200bps에서 2400bps로 시프트다운될 수 있다. 그리나 이전송과정은 시프트다운조작이 2번 수행된때는 종결된다. 덧붙여서, 이 구체화에 있어서, 영상정보의 1프레임은 256바이트로 세트되었으나 ; 이 역시 CCITT의 리콤멘데이션(Recmommendation)에 기술된 바와 같이 64바이트로 세트될 수 있다.
제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구축된 팩시밀리의 전체 구조를 블록형태로 도시되어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구체화는 여러가지 관점에서 제1도에 도시된 구체화와 유사하며, 비슷한 요소가 비슷한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본 구체화는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기억장치와 같은 영속성(non-volatile) 기억장치를 포함한 파라메타기억장치(11)를 부가 설비함에 있어서 제1도에 나타난 앞서의 구체화와 주로 달리한다. 이 파라메타 기억장치(11)은 제1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근거하여 선택된 EGM 모우드가 적용되는 착지 영역정보 DI 및 관련영역이 선택될때 사용되어지는 관련 프레임크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조합을 저장한다.
EGM 모우드가 적용되는 착지지역 및 이에 관련된 프레임크기와 같은 데이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세트된다. 즉, 본 발명의 팩시밀리가 설치된 소스(source)지역으로부터, 외국을 포함한, 지구상의 여러가지 도착지역에 호출이 행하여질때 특정지역과 소스지역 사이의 네크워크 상태는 항상 본질적으로 같이 유지된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특정 지역과 각각의 주요착지 사이의 네트워크상태의 리스트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지역에 팩시밀리를 설치할때, 이러한 리스트에 근거하여 어떤 착지가 팩시밀리가 설치되는 특정 소스지역과 뛰어난 네트워크상태를 갖고, 어떤 착지가 아주 나쁜 네크워크 상태를 갖는지 알 수 있다.
이같이, 이러한 리스트를 참고로 하여, 팩시밀리를 설치할때 극단적으로 좋은 네트워크상태를 갖지 않은 도착지 및 극단적으로 나쁜 네트워크상태가 아닌 도착지들이 오류 교정 모우드(EGM)가 사용되는 도착지로써 선택된다. 이는 극단적으로 좋은 네트워크상태를 갖는 도착지에 대하여는 영상정보전달에서의 오류 발생은 있을수 없기 때문에 ECM 모우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네크워크상태가 극단적으로 나쁜 경우에는, 영상정보의 재전송에 있어서도 데이타오류가 극렬하게 발생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경우 ECM 모우드의 사용은 시간의 낭비만을 초래하며 별이익 없이 전체 전송시간을 연장하기 때문이다.
결과로써, ECM 모우드는 네트워크상태가 극단적으로 좋은 경우와 극단적 나쁜 경우 사이인 경우에 대하여 사용할때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면, 선택된 도착지에 대하여, 프레임크기는 네트워크상태가 비교적 좋으면 256바이트 혹은 네트워크상태가 비교적 나쁘면 64바이로 세트된다. 각각의 도착지 데이타 DI 및 이에 관련된 프레임크기 데이타 FS는 조작을 통하여 파라메타 기억장치(11)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으로 저장되어야 한다.
이 방식으로, 팩시밀리가 설치되는 특정지역 및, 팩시밀리가 설치되는 소스지역에 대하여 중간정도의 네트워크상태를 갖는 각각의 도착지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가 파라메타 기억장치(11)내로 저장될 수 있다.
조작에 있어서, CPU(1)은 제9도에 게시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조작자에 의해 이행되는 전송조작을 모니터한다. 즉, 팩시밀리가 전송가능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먼저 결정하며(단계 101), 만일 그 결과가 긍정적이면, 전송되어질 원고가 주사장치(4)내에 세트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전송될 원고가 주사장치(4)내에 세트됨으로써 단계 102의 결정결과가 긍정적이면, 조작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공된 스타트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및 디스플레이(6)를 누름으로써 전송조작을 개시하기전에, 숫자키(도시되어 있지 않은)등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를 통해 도착지 정보입력이 저장된다(단계103-105).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도착지에 관한 정보를 팩시밀리가 인식하도록 하기위해, 조작자가 도착지정보와 다른정보를 분리히여 입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조작자에 의한 전송 개시용명령의 입력시, CPU(1)은 이같이 입력된 도착지정보의 지역정보에 관한 첫번째 디지트(digit)데이타를 검사하며, 파라메타 기억창치(11)내에 저장된 도착지정보 DI가 이에 부합하는 테이타를 가졌는지를 검사한다(단계 106).
만일 긍정적이면, 입력어드레스정보중 지역정보의 다음 데이타 각각은 동일한 정보가 파라메티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부합하는 데이타와 비교된다(단계 107-109).
만일 입력도착지정보의 지역정보가 파라메타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된 도착지정보 DI중 하나와 일치하면(단계 108의 YES), ECM 모우드의 사용이 결정되고(단계 110), 그리고 이와 같이 발견된 도착지정보 DI에 일치하는 프레임크기 FS가 ECM 모우드내에 사용될 프레임크기로써 세트된다(단계 111).
그러면, ECM 모우드로써 전송과정이 진행된다.
반면, 입력된 도착지정보와 동일한 부합하는 도착지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단계 107의 NO), ECM 모우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 결정되며(단계 112), 그리하여 ECM의 사용없이 정상적인 전송과정이 진행된다. 만일 단계 101 혹은 102에서 결정결과가 부정적이면, 이는 즉각 원래과정으로 회귀한다.
이 방식에서, CPU(1)은 ECM 모우드가 전송과정에 사용되어지는지의 여부 및 만일 조작자의 도착지 정보입력에 반응하여 ECM 모우드가 사용되어진다면 ECM 모우드에 사용되어질 프레임 모오드를 결정한다. 그리면, 전송되는 원고가 주사장치(4)내에 세트됨과 함께, 송신기측의 조작자가 조작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을 통해 전송을 위한 도작지정보 및 개시명령을 입력할때, 송신기의 CPU(1)은 이 도착지에 대하여 ECM 모우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ECM 모우드가 사용되어진다면 프레임크기를 또한 결정하기 위한 상술된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서, CPU(1)이 ECM 모우드를 사용하고 프레임크기를 256바이트(bytes)로 결정했다고 가정해보자.
또한 전송을 위해 주사장치(4)내에 세트된 원고의 수가 단지 1장이며 원고로부터 읽은 영상을 압축시킴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의 크기가 하나의 블록내에 맞도록 64K 바이트와 같거나 적다고 가정해 보자.
나아가 도착지 및 수신기 팩시밀리가 송신기 팩시밀리와 동일한 기능을 가졌다고 가정해 보자.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는 CPU(1)에 의해 제어되나, 이는 다음 기술에서 단지 송신기 및 수신조작으로써 기술된 것이다. 송신기 TX는 수신기 RX를 호출하며, 송신기로부터 호출을 받은 수신기는 송신기에 대하여 그 자신이 비음향단자(non-audio terminal)임을 알리는 CED 신호를 송신기로 보내며, 그후에 수신기가 갖는 표준 및 광학적 기능을 각각 나타내는 DIS 및 NSF 신호를 송신기로 보낸다. 그러면 송신기는 수신기에게 통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능을 알리는 NSS 신호를 보내며, 그후 송신기는 MODEN 트레이닝을 이루기 위해 MODEM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MODEM 트레이닝 신호 및 TCF 신호를 보낸다.
만일 MODEM 트레이닝 결과가 만족스럽다면, 수신기는 송신기로 CFR 신호를 보내며, 이 신호에 반응하여 송신기는 영상정보 PIX의 전송을 개신한다. 이 예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그후 CODEC(7)에 의해 부호화됨에 의해 압축되는 영상신호를 만들기 위해 원고는 주사장치(4)에 의해 읽혀지며 그리고 나서 이와 같이 압축된 영상정보는 앞서 기술한 프레임 데이타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바와 같이 RAM(3)의 일부분내에 제한된 완충기내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그후 이 완충기내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프레임 데이타는 변조(modulation)를 위해 MODEM(8)로 이송되며, 이같이 변조된 프레임 데이타는 네트제어유니트(9)를 지나 수신기로 전송된다. 1페이지의 영상정보 PIX의 전송을 완료하면, 전송완료를 지시하는 PPS 신호 및 EOP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전송된다. 수신기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RAM(3)내에 일시로 저장하며, 이같이 저장된 데이타 프레임 각각에 데이타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오류탐지코드 FCS에 맡겨 검사를 행한다. 또한 수신자측에 수시된 각각의 프레임의 프레임 체크 시퀴언스 FCS의 검사결과, 만일 수신된 1 혹은 그 이상의 프레임내에서 어떠한 데이타 오류가 존재한다면, 수신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부 페이지 요구신호 PPR를 송신기로 보내어 송신기에게 수신기측에 데이타 오류를 야기한 테이타 프레임을 알려준다.
이러한 PPR 신호를 받아, 송신기는 수신기에 의해 지정된 1 혹은 그 이상의 프레임수를 갖는 데이타 프레임만을 포함한 영상정보 PIXr을 수신기로 전송(재전송이라 함이 정확하다)하며, 이 요구된 데이타 프레임의 재전송이 완료되면 PPS 및 EOP 신호가 수신기로 전송된다.
만일 수신기가 어떠한 데이타 오류가 없이 성공적으로 상기 영상정보 PIXr을 수신하였다면, 이는 MCF 신호를 송신기로 보낸다.
그 결과, 송신기는 영상전송조작이 적절히 완료되었음을 알게되며, 그래서 송신기는 영상정보 전송조작을 종결시키기 위해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게 하는 DCN 신호를 수신기로 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일 수신기가 수신된 데이타중에 어떠한 데이타 오류의 발생을 탐지하면, 수신기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오류가 야기된 프레임을 재전송하라는 요청을 송신기로 보내며, 이 요청에 감응하여, 송신기는 예정된 횟수를 넘어서 이를 요청된 데이타 프레임만을 재전송하고, 필요하면, 이에 따라 수신자가 영상정보를 지연됨이 없이 정확히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ECM 모우드가 사용되는 도착지 및 ECM 모우드에 사용되는 관련 프레임크기에 관한 정보가 미리 파라메타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되며, 또한 만일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도착지가 파라메터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된 도착지역중 1에 해당되면, 이 특정도착지역에 사용되어질 관련 프레임크기의 선택과 함께 통화를 위해 ECM 모우드가 사용되어질 것이 결정된다.
따라서 특정도착지로 특정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첫번째 단계로써 조작자가 정상적인 모우드 및 ECM 모우드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 및 프레임크기를 결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팩시밀리를 조작함에 있어서 조작자의 부담은 크게 경감되며, 또한 회로상태에 따라 ECM 모우드가 적절하고도 자동적으로 세트됨으로써 ECM 모우드가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구체화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전송조작의 완료직후에, ECM과 정상 모우드간의 선택 및 ECM 모우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프레임크기의 세팅이 이행된다. 그러나, 이들 과정의 이행시점은 영상정보전송을 위한 조건이 세트되어질때까지 어느때라도 이행될 수 있다.
상술된 구체화에 있어서, 파라메타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된 정보내용은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전송결과가 각각의 도착지에 대하여 저장되고 또한 파라메타 기억장치(11)내에 저장된 정보내용은 이와 같이 저장된 결과에 따라 변경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만일 팩시밀리에 원-타취(on-touch)다이얼링 기능과 같은 단축 다이얼링이 구비되어 있다면, 도착지 정보뿐만 아니라 ECM 및 정상 모우드의 선택 및 ECM 선택시 관련 프레임크기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정보는 각각의 단축다이얼 번호에 등록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단축다이얼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정보가 한번에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측면의 팩시밀리는 제1도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이 측면의 요점은 ECM 모우드 혹은 정상적인 모우드로 전송동안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정하기 위한 통상의 완충기억장치(buffer memory)로써 RAM 3이 사용된다는 사실이다. 이 경우에서 전송조작의 연쇄적인 단계가 제11a 및 11b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수신조작의 연쇄적인 단가 12a 및 12b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송신기측 조작자는 첫째로 전송될 원고를 주사장치(4)내에 세트하고, 조작 및 디스플레이유니트(6)에서, 도착지정보를 입력시키는 것과 같은 요구되는 조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써, 네트제어유니트(9)은 미리 정해진 호출조작을 수행한다. 수신기가 이 호출을 받으면, 송신기와 수신기간에는 미리 정해진 전송제어 절차가 개시된다.
본 구체화의 팩시밀리에 있어서는, 정상 모우드로의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ECM 모우드로의 통화기능 모우드가 제공되며, 이들 2가지 모우드 가운데 어느 한가지가 상술된 전송제어절차 동안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이 전송제어절차를 따라, 영상정보의 전송과정이 송신기에서 시작되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과정이 수신기에서 시작된다.
제11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기에서는, 주사장치(4)가 먼저 활성화되어 전송될 원고의 존재를 확인하며(단계 201의 YES), 원 정보가 읽혀진다(단계 202).
그후 이같이 읽혀진 영상정보는 데이타 압축을 위해 한줄한줄 부호화된다(단계 203).
그후 사용되어질 통화 모우드가 결정된다.
만일 정상 모우드이면(단계 204의 NO) 만일 영상정보 데이타의 수가 1라인당 미리 정해진 수보다 적으면, 1라안의 영상정보 데이타에 정해진 데이타를 부가하기 위한 비트충진과정(fill bit process)이 수행된다 (단계 205).
덧붙여서, 자세히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구획표시((demarcation mark)로써 1라인에 대하여 영상정보의 끝에 EOL코드가 부가된다.
그후 라인데이타는 잠정적으로 RAM3내에 저장된다(단계 206). 이 라인 데이타는 상술된 부호화조작의 속도와 MODEM 8의 전속속도간의 불일치를 흡수하도록 RAM3내에 저장된다.
RAM8내에 저장된 라인 데이타는 이와같이하여 수신기에 전송되어진후에 삭제된다. ECM모우드가 사용된 경우에는(단계 204의 YES), EOL코드가 직접부호화된 영상정보에 부가되며, 그후 이는 RAM3내에 잠정적으로 저장된다(단계 206).
영상정보는 만일 이것이 적절히 수신기에 전달되지 않았다면 재전송되어질 것이기 때문에 잠정적으로 저장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영상정보는 송신기가 수신기로부터 영상정보를 안전하게 수신하였다는 신호를 받을때까지 저장된채로 남아있다.
이 과정의 완료시, 이는 다시 비슷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20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영상정보는 점차적으로 한줄 한줄 RAM3내에 저장된다. 그후, 원본의 마지막이 탐지될때(단계 201의 NO), 상술된 판독과정이 종결된다. 상술된 판독과정과 병행하여, 전송과정이 또한 이행된다. 이는, 제1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상술된과정의 결과로써 RAM3내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그후 한줄한줄 읽혀 진다(단계 207).
ECM모우드의 경우에 있어서(단계 208의 YES), HDLC데이타프레임이 형성되며 여러가지 제어정보, 상술된 영상정보, CRC코드, 등이 데이타프레임내에 세트된다. 플래그(flag)의 것과 동일한 각각의 데이타프레임내의 비트패턴(bit pattern)을 제거하기 위하여 "0"데이타의 삽입이 수행된다(단계 209).
이와 같이 데이타 프레임형태로 배열된 영상정보는 그후 MODEM8을 통하여 수신기로 전송된다.
한편, 정상모우드가 사용되는 경우에서(단계 208의 NO), RAM3으로부터 판독된 영상정보는 그대로 MODEM8로 공급되며, 그후 전송을 위해 공급된다(단계 210). 그후 영상정보가 RAM3내에 존재하느냐의 여부가 체크되며(단계 211), 만일 존재하면(단계 211의 YES), 이는 영상정보를 한줄한줄 전송시키기 위해 비슷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단계 207로 돌아가며, RAM내에 남은 영상정보가 없을때(단계211의 NO)전송과정은 종결된다.
이방식에 있어서, 송신기에서는, 영상정보는, 예를들어 256바이트의, 1프레임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1블록은 수신기로 전송을 위해 연속시리즈의 256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수신기에서는, 상술된 영상정보는 MODEM8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된다.
이는, 제12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째로, 사용될 통화모우드의 형태가 결정되며(단계 301), 만일 ECM 모우드이면(단계 301의 YES), 수신된 데이타프레임내의 플래그의 위치가 탐지되고(단계 302), 플래그의 위치가 탐지되었을때(단계 302의 YES), 수신된 데이타가 존재한다는(단계 303의 YES)사실을 결정한후 단계 301로 되돌아간다.
만일 플래그의 위치가 탐지되지않은 데이타프레임이 있으면(단계 302의 NO), "Os"를 제거하기 위한 "0"제거조작이 이 데이타 스트림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후 데이타프레임내의 각각의 필드는 검사되며, 이에 따라 그 데이타 프레임중 역시 한의 데이타인 CRC 코드에 의해 데이타 오류의 존재를 검사하게 된다. 그후, 테이타프레임은 영상정보를 추출시키도록 분해된다(단계 304). 이같이 추출된 영상정보는 그후 잠정적으로 RAM3내에 저장된다(단계 305).
정상모우드의 경우에 있어서(단계 301의 NO), 수신된 영상정보는 직접 RAM3내에 저장된다(단계 305). 그후, 만일 수신데이타가 남아있으면(단계 303의 YES), 이는 단계 301로 되돌아가서 상술된 바와 비슷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만일 더 이상 수신된 데이터가 없으며(단계 303의 YES), 수신과정은 종결된다.
상술된 수신과정과 병행하여, 기록과정이 수행된다.
이는, 만일 영상정보가 RAM3내에 저장된 것이 발견되었다면(단계 306의 YES), RAM3내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제1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줄한줄 판독된다(단계 307). 그리고나서, 통화모우드가 검사되며(단계 308), 만일 정상모우드로 세트되면(단계 308의 NO), 제11a도에 도시된 플로우의 단계 205에서 부가된 필비트(fill bits)를 제허한후(단계 309), 이는 복호에 의해 원래 영상정보의 형태로 저장된다(단계310).
ECM모우드의 경우에는(단계 308의 YES), RAM3로부터 판독된 영상정보는 바로 복호된다(단계 310). 그리고나서, 이와 같이 복호된영상정보는 기록매체상에 영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플로터 5에 공급된다(단계311).
그후, 이는 단계 306으로 되돌아가서 유사한과정을 반복하게된다. 이방식으로, 수신된 영상정보는 한줄한줄 기록되며, 더이상 RAM3내에 영상기록이 남지않게되면, 기록과정은 종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에서는, 영상정보 1블록이 계속적으로 수신된다. 그후,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CRC코드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타 오류가 발견된 각각의 데이타프레임의 프레임수는 미리 정해진 전송제어절차에 따라 송신기로 보내진다.
이 경우, 1 또는 그 이상의 그러한 프레임수를 수신하여, 송신기는 RAM3으로부터 부합하는 영상정보를 읽고 그 영상정보를 수신기로 재전송한다.
제13도는 상술된 과정 각각에서, 수신기나 송신기중 하나에서, 팩시밀리내의 데이타의 플로우를 계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는, 정상모우드의 경우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송동안, 영상정보는 주사장치(4)에 의해 읽혀지고 부호화(coding)에 의해 압축된다.
그후, 이같이 부호화된 영상정보는 필-비트(fill-bit)과정을 거친후 RAM3내에 잠정적으로 저장되며, 영상정보는 MODFM8을 통하여 직접 수신기 로 전송된다. 한편, 수신동안, 수신된 영상정보는, MODEM8을 통하여 직접 RAM3내로 잠정적으로 저장되며, 그후 필-비트 과정을 거친후 원래의 압축되지 않은 영상정보로 복호되기위해 한줄한줄 RAM3로부터 읽혀진다.
그후 이같이 회복된 영상정보는 그후 플로터(5)로 공급되어 지록지상에 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한편, ECM모우드에 있어서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동안, 부호화된 영상정보는 직접 RAM내로 잠정적으로 저장되며,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의 형태로 영상정보를 배열한후, 이 영상정보는 수신기로 전송된다.
수신동안, 수신된 데이타프레임은 RAM3내에 잠정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분해되고, 기록매체상에 영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플로터 5에 차례로 공급되는 원래 영상정보를 회복시키기 위해 복호(復號)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이측면에 의하면, ECM모우드 전송동안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장정적으로 저장하고 또한 정상모우드로 전송동안 수신기로 전송될때까지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잠정적으로 저장하는 공통(common) 완충기억장치로써 RAM3가 사용된다.
이 구조에서는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2개의 별도의 완충기억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것이다. ECM모우드의 경우에서, 데이타프레임형태로 형성시키기전에 부호화된 영상정보가 RAM3내에 저장되기때문에 RAM3에 필요한 기역용량은, 미리정해진 데이타프레임형태로 배열된 후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경우와 비교해볼때, 완화된다. 즉, 영상정보 1블록은 최대 64k byte이며, 그래서 RAM3의 용량은 64k byte일 수 있다.
더우기, 통화는 ECM 및 정상모우드모두로 공통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므로, 송신 및 수신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된 구체화에 있어서, ECM 및 정상모우드사이에 비록 RAM3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재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과정을 위해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완충기억장치로써 주로 RAM3를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RAM3를 주로 사용하는 것은 OCITT의 ECM모우드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공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데이타전송속도의 시프트-다운조작이 최초로 전송된 한블록의 프레임전체수 및 수신기에서 하나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오류가 발생한 오류프레임의 수에 근거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최적데이타 전송속도가 네트워크상태에 따라 즉시 세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하며, 불필요한 재전송조작을 반복할 필요없이 영상정보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전송시간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게한다.
더우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오류교정모우드조작이 사용되는 도착지역 및 ECM모우드에 사용되어지는 관련 프레임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파라메타기억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만일 조작에 의해 압력된 도착지 어드레스가 파라메터기억장치내에 레지스터되어 있는 것중 하나이면 ECM모우드가 자동적으로 세트되는 것이 확실히 되는 것이다.
덧붙여서, ECM모우드가 이방식으로 세트될때, 파라메타기억장치로부터 읽음으로써 이와 관련된 프레임 크기역시 자동적으로 세트된다. 결과로써, ECM모우드는 항상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반면 조작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ECM모우드로 전송동안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잠정적으로 저장하고 또한 정상적인 모우드로 전송동안 영상정보를 잠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통완충기억장치를사용하는 구조가 제공되므로써, 부품수가 감소되며, 이는 제조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한다.

Claims (37)

  1. 팩시밀리시스템에서 데이타오류를 갖는 데이타프레임의 재전송을 위한 수신기(RX)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송신기(TX)에서 데이타전송 속도를 시프트다운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TX)로부터 수신기(RX)까지 복수의 영상정보(PIX)의 데이타 프레임을 일차 데이타전송속도로 전송하는 단계(28) ; 상기 수신기(RX)에서 상기 데이타프레임 각각이 하나 혹은 그이상의 데이타오류(data error)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29) ; 수신기(RX)에서 하나 혹은 그이상의 데이타오류가 발생된 하나 혹은 그이상의 데이타프레임의 재전송(retransmission)을 위해 상기 수신기(RX)로부터 상기 송신기(TX)로 요청을 보내는 단계(30) ; 및 상기 일차 데이타전송속도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하나 혹은 그이상의 데이타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기(TX)로부터 상기 수신기(RX)까지 전송되어진 데이타프레임의 전체수(N) 및 재전송되어지는 데이타프레임의 수(n)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이차데이타전송속도로 상기 데이타전송속도를 시프트-다운(shifting down)시키는 단계(37)(42)(47) ;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타전송속도가 선택을 위해 미리 제공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데이타전송속도중의 하나가 상기 데이타프레임의 전체수(N)와 상기 재전송되는 데이타프레임의 수(n) 사이의 비(比)의 값(n/N)을 비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다운단계(37)(42)(47)는 상기 전송단계가 미리 정해진 시간수(a)(b)(c)(predetermined number of time)를 넘어 수행되었을때 실행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 전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수단(reading means)(4) ; 영상정보(PIX)로부터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판독수단(4)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processing means)(7) ; 상기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전송통로를 통하여 원격위치에서 수신기(RX)로 전송시키기 위한 전송수단(8)(9) ; 및 상기 판독수단(4)과 처리수단(7) 및 전송수단(8)(9)을 제어하고, 하나 혹은 그이상의 상기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을 재전송할때 데이타전송속도가 일차속도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의 전체수(N) 및 재전송되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수(n)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정해지는 이차속도로 시프트다운되도록 상기 전송수단(8)(9)의 데이타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 ;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facsimile machine).
  5. 4항에 있어서, 나아가 영상정보(PIX) 및 데이타프레임을 잠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차저장수단(first storing means)(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6. 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이차저장수단(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7.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processing means)(7)은 상기 영상정보(PIX)를 상기 데이타프레임으로 변환시키기 전에 일차로 상기 판독수단(4)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PIX)를 디지탈 영상데이타로 변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8.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대중전화라인이며, 상기 팩시밀리는 나아가 상기 데이타프레임을 상기 대중전화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는데 적절한 데이타로 변환시키기 위한 MODEM(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7)은 부호화(coding)에 의해 상기 디지탈 영상데이타를 압축(compressing)시키기 위한 압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탈 영상데이타는 데이타프레임으로 형성되기 전에 압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9.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7)은 부호화(coding)에 의해 상기 디지탈 영상데이타를 압축(compressing)시키기 위한 압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탈 영상데이타는 데이타프레임으로 형성되기 전에 압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10.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은 CODEC(7)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11. 영상정보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이 수신기로 일차전송되고, 그후상기 수신기(RX)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이상의 복수개의 데이타 프레임이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되는 일차전송모우드와, 영상정보(RIX)가 데이타프레임으로 형성됨이 없이 직접 수신기(RX)로 전송되는 정상전송모우드(normal transmission mode)를 갖춘 팩시밀리시스템에 있어서, 전송되는 원고를 읽기위한 판독수단(reading means)(4) ; 영상정보(PIX)를 일차전송모우드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의 형태로 포메트(format)하고, 이차전송모우드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형태로 포메트함없이 전송통로를 통하여 원격지점에 있는 수신기(RX)로 전송시키기 위한 전송수단(8)(9)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조작명령 및/혹은 정보를 상기 전송수단(8)(9) 및 상기 수신기(RX)에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수단(inputting means)(6) ; 상기 1차전송수단이 사용되어지는 도착지역(destination area)에 관한 일차정보(DI) 및 각각의 상기 도착지역에 사용될 데이타프레임 크기(FS)에 관한 이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11) ; 및 상기 판독수단(4), 전송수단(8)(9), 입력수단(6) 및 저장수단(11)을 제어하고,상기 입력수단(6)을 통하여 입력된 도착지정보(destination informtion) 가 상기 저장수단(11) 내에 저장된 도착지역정보(DI) 하나와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6)을 통하여 입력된 도착지정보를 상기 저장수단(11)내에 저장된 도착지역정보(DI)와 비교하며, 만일 일치하면 상기 영상정보(PIX)를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로서 수신기(RX)로 전송시키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영상정보(PIX)를 상기 이차전송모우드로서 상기 수신(RX)로 전송시키는 제어수단(1) ;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시스템.
  12.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11)은 영속성 기억장치(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 시스템.
  13. 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는 오류교정모우드(ECM)로써, 상기 수신기(RX)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타오류가 발생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에 대하여 요청에 따라 재전송이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14.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송모우드는 정상전송모우드로써 상기 영상정보(PIX)는 첫째로 디지탈 영상정보로 변환되고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coding)되어 압축됨(compressed)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15.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대중전화라인이며, 상기 부호화된 디지탈영상정보는 상기 대중전화라인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변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16.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6)은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조작 및 디스플레이 유니트(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시스템.
  17.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지역정보(DI)는 통화하는 팩시밀리사이의 네트워크상태가 극단적으로 나뿐수준과 극단적으로 좋은 수준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18.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데이타프레임은 HDLC데이타프레임 포맷트(forma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19.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프레임의 미리 정해진 수는 하나의 블록(a block)으로써 수집되며, 상기 데이타 프레임은 블록단위로 상기 수신기(RX)에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시스템.
  20. 영상정보(PIX)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이 수신기(RX)로 일차 전송되고, 그후 상기 수신기(RX)로부터 요청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일차전송모우드와, 영상정보(PIX)가 데이타프레임으로 형성되어짐 없이 직접수신기(RX)로 전송되는 정상전송모우드를 갖춘 팩시밀리에 있어서, 전송되는 원고를 읽기위한 판독수단(4) ; 부호화된 영상정보(PIX)를 만들기 위해 상기 판독수단(4)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PIX)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processing means)(7) ; 상기 부호화된 영상정보(PIX)를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의 형태로 포메트하고, 상기 이차전송모우도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의 형태로 포메트함없이 전송통로를 통하여 원격거리에 있는 수신기로 코드화된 영상정보(PIX)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8)(9) ; 일차전송모우드의 경우에 상기 전송수단(8)(9)에 의해 모든 상기 코드화된 영상정보(PIX)가 상기 수신기(RX)로 적절히 전송되어질때까지 또는 상기 전송수단(9)에 의해 상기 코드화된 영상정보(PIX)의 수신기(RX)로의 전송이 일단 완료된 때까지, 상기 코드화된 영상정보(PIX)를 잠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통저장수단(common storing means)(3): 및 상기 판독수단(4), 처리수단(7), 전송수단(8)(9), 및 공통저장수단(3)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control means)(1),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1. 20항에 있어서,상기 공통저장수단(3)은 공통완충기억장치(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2. 20항에 있어서, 나아가 그 일부분이 상기 공동완충기억장치로 정의되는 RAM(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3. 20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는 오류교정모우드(ECM)로서 상기 수신기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오류가 발생한 하나 혹은 그이상의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에 대하여 수신기로부터 요청이 있을때 재전송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4.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 차전송모우드는 정상전송모우드(normal transmission mode)로써, 상기 영상정보(PIX)는 첫째 디지탈 영상정보로 변화되고 미리 정해진 부호화방법에 의해 부호화(coding)함으로써 압축되어 코드화된 영상정보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5. 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대중전화라인이며, 상기 코드화된 디지탈영상정보(PIX)는 대중전화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변조됨(modulated)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6. 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데이타프레임은 HDLC데이타프레임포매트(forma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7. 20항에 있어서,상기 일차전송모우드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데이타프레임이 블록으로서 수집되며(collected) 또한 상기 데이타프레임은 블록단위로 상기 수신기(RX)에 전달됨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
  28.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CPU(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9. 전송되는 영상정보(PIX)의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4)(7);상기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전송통로를 통하여 원격지역에 있는 수신기팩시밀리로 전송시키기 위한 전송수단(8)(9); 및 상기 생성수단(4)(7)과 전송수단(8)(9)을 제어하고,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재전송할때 데이타전송속도를 일차속도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타프레임 전체수(N) 및 전송될 상기 데이타프레임의 수(n)를 근거로하여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해지는 이차속도로 시프트다운되도록 상기 전송수단(8)(9)의 데이타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30. 2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4)(7)은 전송되는 원고를 읽기 위한 판독수단(reading mensa)(4) 및, 상기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을 생성시키기위해 상기 판독수단(4)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정보(PIX)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7)(a processing means)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시스템.
  31. 29항에 있어서, 나아가 영상정보(PIX) 및 데이타프레임을 잠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일차저장수단(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30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하여 이차저장수단(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영상정보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이 수신기(RX)로 일차전송되고, 그후 상기 수신기(RX)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하나 혹는 그 이상의 복수개의 데이타프레임이 상기 수신기로 재송신 되는 일차전송모우드와 데이타프레임으로 형성됨이 없이 직접 영상정보(PIX)가 수신기로 전송되는 정상전송모우드를 갖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전송되는 원고를 영상정보(PIX)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4)(7);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으로 포매트시킨 후, 또한 상기 이차전송모우드로 전송시는 미리 정해진 데이타프레임 형태로 포매트시키지 않고 상기 영상정보(PIX)를 전송통로를 통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수신기(RX)로 전송시키는 전송수단(8)(9);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조작명령 및/혹은 정보를 상기 전송수단(8)(9) 및 상기 수신기(RX)로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수단(6); 상기 일차전송모우드가 사용되어지는 도착지역에 관한 일차정보(DI) 및 각각의 상기 도착지역에 사용되어지는 데이타프레임 크기(FS)에 관한 이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11); 및 상기 판독수단(4), 전송수단(8)(9), 입력수단(6) 및 저장수단(11)을 제어하고,상기 입력수단(6)을 통하여 입력된 도착지정보가 상기 저장수단(11)내에 저장된 도착지역정보(DI)중의 하나와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6)을 통하여 입력된 도착지정보를 상기 저장수단(11)내에 저장된 도착지역정보(DI)와 비교하여, 만일 부합하면 상기 영상정보(PIX)를 일차전송모우드로서 수신기(RX)로 전송시키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영상정보(PIX)를 이차전송모우드로서 상기 수신기(RX)로 전송시키는 제어수단(1);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34. 3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4)(7)은 전송되는 원고를 읽기 위한 판독수단(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
  35. 3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11)은 영속성기억장치(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
  36. 33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전송모우드는 오류교정모우드(ECM)로써, 수신기(RX)에서 하나 혹은 그이상의 데이타오류가 발생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데이타프레임에 대하여 요청 재전송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37. 3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송모우드는 정상전송모우드(normal transmission mode)로써, 영상정보(PIX)는 첫째로 디지탈 영상정보로 변환되고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되어 압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KR1019880013266A 1987-10-09 1988-10-10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KR920005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3541 1987-10-09
JP25354187 1987-10-09
JP?62-277369 1987-11-04
JP27736987 1987-11-04
JP?62-280945 1987-11-09
JP28094587 1987-11-09
JP63154916A JP2904350B2 (ja) 1987-10-09 1988-06-24 ファクシミリ装置
JP?63-154916 1988-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54A KR890007554A (ko) 1989-06-20
KR920005865B1 true KR920005865B1 (ko) 1992-07-23

Family

ID=2733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66A KR920005865B1 (ko) 1987-10-09 1988-10-10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04350B2 (ko)
KR (1) KR920005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220B2 (ja) * 1991-06-18 1999-03-08 株式会社テック ファクシミ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873A (ja) * 1985-11-25 1987-06-05 Nec Corp フアクシミリ装置の通信速度決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54A (ko) 1989-06-20
JP2904350B2 (ja) 1999-06-14
JPH01236767A (ja) 198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9465A (en) Facsimile machine having a transmission speed selective shiftdown function
US5105423A (en) Digital transmission device having an error correction mode and method for shifting down a data transmission rate
US4887162A (en) Facsimile machine having retransmission function
FI114431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telekopiolähetyksiä varten
US5077742A (en) Error-corrected facsim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EP0480744B1 (en) Facsimile apparatus
US5289582A (en) Communication control unit
US5001571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frame size of image data in data transmission
KR920005865B1 (ko) 전송속도의 선택적 시프트다운(shift down)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EP05413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JP294501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式
JP3908132B2 (ja) 画像通信装置
AU708503B2 (en) Facsimile data transmission over a low data rate network by one dimensional decoding and two dimensional re-encoding
JP2574604B2 (ja) 画像通信装置
JP2798405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278846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H08204940A (ja) 画像伝送装置
JPH06315076A (ja) ファクシミリ送受信方法
JPS5910195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77491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321913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3272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AU2802401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ttlenecks in low data rate networks processing facsimile data transmission
JPH10336415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H05728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