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69Y1 -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69Y1
KR920005669Y1 KR2019900004324U KR900004324U KR920005669Y1 KR 920005669 Y1 KR920005669 Y1 KR 920005669Y1 KR 2019900004324 U KR2019900004324 U KR 2019900004324U KR 900004324 U KR900004324 U KR 900004324U KR 920005669 Y1 KR920005669 Y1 KR 920005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witching
mode
frequenc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832U (ko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669Y1/ko
Publication of KR910018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제1도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인 기록시 주파수대역 모드 절환회로.
제2도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환기간 설정수단 30 : 모드선택수단
11 : 모드감지 스위치 MM1, 2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FF1 : 플립플롭
본 고안은 영상신호회로계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시 주파수의 하이밴드(High Band)와 노멀밴드(Normal Band)모드의 절환이 1프레임 시작점에서 이루어지도록한 주파수 대역모드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재생장치는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이하 VTR로 약함)와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Digital Audio Tape Recorder), 캠코더(Cam Corder), 광디스크플레이어(Optical Disc Player)등이있다.
특히 VTR의 경우는 상기 하이밴드(5.7∼7.7MHz)와 노멀밴드(4.2∼5.4MHz)의 주파수모드를 선택하여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재생한다. 그런데 이들 2 주파수모드는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파형을 충실히 재현키 위한 휘도신호의 주파수변조(Frequency Modulation;이하 FM으로 약함) 신호의 캐리어(Carrier 또는 반송파)주파수가 다르므로, 변·복조에 따르는 모듈레이션/디모듈레이션(Modulation/Demodulation)계 및 엠퍼시스/디엠퍼시스(Emphasis/De-emphasis)회로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회로상으로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트랙상에서 2주파수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노멀밴드(하이밴드)의 주파수모드로 정보가 기록되고 있는 트랙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고화질(정상화질)의 화면을 얻기위한 하이밴드(노멀밴드)의 주파수모드가 인식되어 주파수 모드의 절환이 이루어지면. 주파수의 차이로 화면은 깜박이는 현상을 일으킨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때. 기록시의 모드 절환시점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림에 따라 완벽한 모드절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화면이 깜박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C(기록제어신호)중에는 주파수 모드의 절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주파수모드를 절환할 때는 REC동작을 중지(REC PAUSE 동작)시킨뒤 절환시키며, 절환이 끝나면 REC를 동작시키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키동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REC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면의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모드 절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주파수모드 절환이 1프레임 시작점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록시, 주파수 모드를 선택하여 절환할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절환기간 설정수단과, 상기 절환기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간동안에만 회전드럼의 헤드 스위칭펄스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서 발생한 스위칭펄스에 의해 주파수모드 절환동작펄스를 출력하는 플립플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인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도로서, 주파수 모드를 선택하여 절환할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절환기간 설정수단(10)은 주파수모드 선택 스위치(11)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로 이루어져 있다.
감지수단(20)은 하이밴드 주파수모드에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VTR 테이프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로 이루어져 있다.
플립플롭(FF1)은 상기 감지수단(20)의 출력신호를 입력단자(T)와 프리세트(PRESET)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절환기간 설정수단(10)에 의해 설정된 기간동안만 헤드 스위칭펄스를 클럭단자(CK)에 인가되도록 한 T플립플롭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위치(SW2)는 노멀밴드 주파수모드에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VTR 테이프의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ON동작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립플롭(FF1)과 스위치(SW2)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의해 하이밴드인지 노멀밴드인지를 선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주는 모드선택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파형도로서, (A)는 모드감지스위치(11)의 출력파형도이고, (B)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출력 파형도이다. (C)는 헤드스위칭펄스의 파형도이고 (D)는 스위치(SW1)의 파형도이다. (E)는 하이밴드 주파수모드를 수행하는 VTR테이프의 파형도이고, (F)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의 출력파형도이다. (G)는 플립플롭(FF1)의 출력 파형도이고 (H)는 스위치(SW2)의 동작파형도이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작동을 제2도에 도시된 동작파형도와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VTR의 테이프에는 주파수밴드에 따라 하이밴드 테이프와 노멀밴드 테이프로 대별하는데, VTR의 테크(Deck)에 카세트센서(Cassette Sensor)가 부착되어 있어 주파수에 따라 하이밴드의 테이프인지 노멀밴드의 테이프인지를 감지한다. 따라서 현재 작동 테이프가 하이밴드의 테이프이면 라인(3)을 통해 감지수단(20)에 인가되는 신호는 제2도(C)와 같이 하이논리상태가 되고 반면 라인(8)을 통해 스위치(SW2)에 인가되는 노멀밴드의 테이프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2도의 (H)와 같이 로우논리상태가 된다. 상기 하이밴드의 테이프의 경우는 하이밴드와 노멀밴드의 주파수대역을 모두 커버한다.
따라서 하이밴드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 제1도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일단 하이밴드의 테이프 신호가 데크의 센서에서 감지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3)을 통해 감지수단(20)으로 인가되는 신호는 하이논리레벨이 된다.
상기 하이논리레벨의 신호는 플립플롭(FF1)의 입력단(T)에 연결됨과 동시에 플립플롭(FF1)의 프리세트(PRESET)단과 연결되어 있는 단안정 머티바이브레이터(MM2)에 인가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2)는 플립플롭((FF1)이 디폴트(Default)치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펄스폭을 라인(4)을 통해 플립플롭(FF1)의 프리세트(PRESET)단자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플립플롭(FF1)은 클럭단자(CK)에 입력된 클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제2도의 (G)와 같이 하이밴드모드를 수행하는 디폴트치를 비반전 출력단자(Q)에서 출력한다.
그 다음 절환기간 설정수단(10)에서 1프레임 초기단계에서 노멀밴드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제2도(A)와 같은 스위칭펄스를 라인(1)을 통해 단안정 멀티바브레이터(MM1)로 인가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는 제2도(B)와 같이 1프레임의 기간을 가진 펄스를 라인(2)을 통해 스위치(SW1)로 인가한다. 그러면 헤드의 회전에 따라 제2도(C)와 같이 규칙적으로 발생하던 헤드스위칭펄스(HDSWP)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의 펄스가 스위치(SW1)에 인가되는 동안의 펄스만을 제2도의 (D)와 같이 라인(6)을 통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된다.
플립플롭(FF1) 은 클럭펄스의라이징에지 (Rising Edge) 에서 출력값을 반전시키므로, 제2도(D) 의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에서 노멀밴드모드(NOR)로 변환한 제2도(G)와 같은 펄스를 플립플롭(FF1)의 비반전 출력단자(Q)에서 출력하면, 라인(7)을 통해 모드선택수단(30)에 인가하여 노멀모드(NOR) 입력후 처음 발생하는 1프레임의 초기단계(첫번째 헤드가 구동하는 필드)부터 노멀밴드모드(NOR)로 수행하는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한다. 그리고 또 다시 하이밴드 모드로(Hi-B) 세팅(Setting 또는 설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노멀밴드 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라인(8)을 통해 인가하는 카세트센서의 출력이 하이논리상태가 되어 스위치(SW2)는 ON이 되고, 모드절환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노멀밴드모드가 수행되는 신호를 모드선택수단(30)에 인가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하이밴드와 노멀밴드를 선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기간을 1프레임 시작점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절환에 따른 화면의 깜박임을 방지하고 동시에 REC수행을 정지시켜 상기문제를 해결했던 종래의 불편한 키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하이밴드와 노멀밴드의 주파수모드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밴드와 노멀밴드의 주파수모드를 선택하여 절환한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하기 위해 모드감지스위치(11)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1)로 이루어진 절환기간 설정수단(10), 상기 절환기간 설정수단(10)에서 설정된 기간동안에만 헤드의 스위칭펄스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SW1)와, 상기 스위치(SW1)에서 발생한 스위칭펄스를 클럭단자(CK)에 연결하고 하이밴드테이프(Hi-TAPE)의 신호를 입력단(T)과 프리세트단(PRESET)에 연결하여 주파수모드 절환동작 펄스를 출력하는 플립플롭(FF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KR2019900004324U 1990-04-11 1990-04-1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KR920005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324U KR920005669Y1 (ko) 1990-04-11 1990-04-1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324U KR920005669Y1 (ko) 1990-04-11 1990-04-1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832U KR910018832U (ko) 1991-11-29
KR920005669Y1 true KR920005669Y1 (ko) 1992-08-18

Family

ID=1929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324U KR920005669Y1 (ko) 1990-04-11 1990-04-1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6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832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0794A (en) Tape speed determining apparatus for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960030086A (ko) 디지탈/아날로그 호환성의 비디오테이프레코더
KR920005669Y1 (ko)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주파수대역모드 절환회로
US53716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time-varying image using optical disk
JPH08147805A (ja) 情報記録方法、磁気テープ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KR900003309B1 (ko) 경사주사형 자기 기록 재생방법
JP2576115B2 (ja) 高解像度ビデオデイスク再生装置
JP2000149357A (ja) 画像再生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S60111369A (ja) 記録再生装置
JP2599030B2 (ja) 記録モード制御回路
KR0111781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탐색장치
KR100221839B1 (ko) 휘도레벨을 이용한 비스신호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0146455B1 (ko) 기존녹화물에 대한 데이터 검색 및 검색결과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JPS61167288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KR960005646B1 (ko) 자기기록 재생모드 제어방법
KR100240347B1 (ko) 하이-파이 브이씨알의 트랙킹 방법
KR860001842B1 (ko) 자성막을 부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드럼 및 그 제어 장치
JP270896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50505B2 (ja) 記録再生装置
KR930005600Y1 (ko) 자기(自己)기록트랙 자동스캔장치
KR19980012667U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시간 기록 및 재생 장치
JPH10241283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336553A (ja) Vtrのrf系の自己診断回路
JPH074493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82878A (ko) 테이프 상태 정보 기록 및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