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47Y1 -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래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5647Y1 KR920005647Y1 KR2019890008719U KR890008719U KR920005647Y1 KR 920005647 Y1 KR920005647 Y1 KR 920005647Y1 KR 2019890008719 U KR2019890008719 U KR 2019890008719U KR 890008719 U KR890008719 U KR 890008719U KR 920005647 Y1 KR920005647 Y1 KR 92000564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shaft
- closing door
- guide protrusion
- hoo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에서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래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분해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가이드홈의 전개도.
제6도에서 제8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가 로크용으로서 적용되는 개폐문의 회전구조물 나타낸 것으로, 제6도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기기본체의 부착공 구조를 타나낸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개폐문측 걸어맞춤 구멍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10도에서 제12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0도는 개폐문 및 샤프트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개폐문 및 샤프트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4도는 및 제15도는 각각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제16도는 종래 래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래치장치 42 : 하우징
50 : 샤프트 54 : 압축코일스프링
56 : 가이드홈 58 : 가이드돌기
본 고안은 개폐문등의 개폐부재의 로크용으로서 이용되는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폐문등의 개폐부재는 일반적으로 래치장치에 의하여 폐지(閉止:닫힘정지)위치에서 로크될 수 있도록 되어 았다.
제16도에 이러한 종류의 종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래치장치에서는 기기본체(10)에 부착되고 개폐문(12)의 폐지시에는 개폐문(12)의 이면에 돌설된 보스(14)의 선단에 압압되어 이동자(16)이 하우징(18)내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입에 의하여 이동자(16)에 설치된 한쌍의 혹 20이 화샅표 A방향으로 요동되어 보스(14)의 선단화경부(14A)를 단단히 물어줌과 동시에 이 위치에서 이동자(16)가 하우징(18)에 걸리고, 이에 따라 개폐문(12)를 폐지위치에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개폐문(12)의 이면에 보스(14)의 설정이 필요 불가결하고 개폐문측의 외관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구성의 래치장치에서는, 예를들면 개폐문(12)측에 구멍을 설치하고 이 구멍에 훅(20)을 걸어서 개폐문(12)을 폐지위치에서 로크되도록 하여도 이동자(16)을 그 위치까지 압입하기 위한 보스가 필요하게 된다.
또, 이와 유사한 형태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 1002호(공고번호 89-1195호)에 게재된 것도 볼수 있다.
이는 스프링과 회동구가 구비된 고정캡의 선단에 걸림턱으로 형성하고, 개폐문의 전면으로 비교적 길게 돌출된 걸림간이 상기 회동구에 접하며 출몰시킬 때,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되는 회동구가 회전되며 걸림턱에 상기걸림간의 절곡턱을 걸리지게 하는 구성으로 개폐문을 단속토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나름대로 유용한 고안이었다.
그러나, 이 구조의 가장 큰 단점은 상기 개폐문에 전면으로 돌출된 걸림구조, 즉 걸림간이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거나 다른 주변기기의 설치 및 작동에 장해를 주는 등의 걸리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에 설치되는경우 그 품위와 가치를 저하시키는 등의 폐단이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개폐문등의 개폐부재에 보스등의 돌출부를 설정하지 아니하여도 개폐부재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에 관한 래치장치에서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압입가능하게 배설되는 이동자와, 이동자를 압입방향으로 타발하는 탄발수단과, 하우징의 내주 도는 이동자의 외주 가운데 어느 일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하우징내의 내주 또는 이동자의 외주 가운데 어느 일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하우징내의 내주 또는 이동자의 외주 어느 일방에서 가이드돌기의 설정측과 반대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돌기와 끼워맞춤하고 가이드 돌기 및 탄발수단의 탄발력으로 가이드돌기가 순환이동하고 이동자를 압입하여 매번 이동자를 소정각도로 회진시키는 순환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에서는 탄발수단의 탄발력, 가이드돌기 및 순환가이드홈에 의하여 이동자가 압입하여 매번 소정각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동자에 예를 들면 갈고리 형상의 후크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개폐문등에 보스등의 돌출부를 설정하지 않아도 개폐문등을 폐지위치에서 로크할 수 가 있다.
즉, 이동자에 고정후크를 설정하면 후크를 통하여 이동자를 압입함과 동시에 이 압입에 의하여 후크를 압입하고 매번 소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문등에 후크가 회전에 의하여 걸리도록한 구멍을 설정할 뿐일지라도 개폐문등을 폐지 위치에서 로크할 수가 있다.
제1도에서 제5도는, 본 고안이 제1실시예에 관한 래치장치(30)가 도시되어 있고 제6도에는 래치장치(30)가 로크용으로서 적용된 개폐문(32)이 도시되어 있다.
개폐문(32)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받이 되어 있다.
이 개폐문(32)에는 기기본체(34)에의 축받이부와 반대측의 이면에 래치장치 걸어맞춤용의 걸어맞춤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36)은 제8도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트인구멍 깊숙한 곳에, 이것보다도 직경이 확대된 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저부의 직경확대한 유저공(有低孔)으로 되어있다.
기기본체(34)에는 개폐문(32)의 축받이부와 반대축에 래치장치부 착용의 부착판(38)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38)은 개폐문(32)의 폐지상태에서 개폐문(32)과 대향하여, 일부는 개폐문(32)의 걸어맞춤 구멍(36)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부착판(38)에는 개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과 대향하는 부분에 제7도에서도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부착구멍(40)이 형성되어 이 부착구멍(40)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장치(30)이 삽입되어 걸려있게 되는 것이다.
래치장치(30)은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고, 하우징(42)과 제2도에 도시하는 부착판(38)의 부착구멍(40)에 끼워져 걸려 있다.
하우징(42)는 일단축 플랜지(44)와 돌기(46)을 가지며, 이 돌기(46)는 일측편 지지아암상으로 되어 있고 선단을 플랜지(44)방향을 향하여, 또 그 다음에 하우징(42)의 외주에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44)와 반대측에서의 부착판(38)의 부착구멍(40)으로 삽입에 의하여 플랜지(44)와 돌기(46)과의 사이에 부착판(38)의 부착구멍(40)에 삽입하여 걸려져 있다.
이 하우징(42)의 외형은 그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부작판(38)의 부착구멍(40)에의 끼운 상태에서 부주으로 회전되는 일이 없도록 되여 있다.
이 하우징(42)에는 프랜지(44)측에 대략 원형이 유저공(48)이 형성되어 이 유저공(내)에 이동자인 샤프트(50)이 축방향으로 압입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저공(48)의 내주벽에는 샤프트(50)에 대향하여 돌기(51)가 형성되어 샤프트(50)의 선단부근에 형성되는 단부(50A)와 대용하여 샤프트(50)의 빠져나옴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샤프트(50)은 축방향 일단에 후크(52)가 반경방향에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후크(52)와 반대측의 단부선단에서 하우징(42)의 유저공(48)이 삽입되어 있다.
후크(52)는 하우징(42)의 외측에 돌출하여 개폐문(32)의 폐지시에 개폐문(32)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 후크(52)는 개페문(32)의 걸어맞춤구멍(36)에 삽입이 가능하고 또 걸어맞춤구멍(36)에의 삽입후의 샤프트(50)의 회전의 대략 90° 매회전으로 걸어맞춤구멍(36)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불가능으로 되는 상태와,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는 상태로 되도록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샤프트(50)과 하우징(42)와의 사이에는 샤프트(50)을 압입방향(제 2도 오른쪽 방향)으로 탄발하는 압축코일스프링(54)가 설치되고 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샤프트(50)이 하우징(42)내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샤프트(50)에는 외주로 제1도에서도 도시한 바와 같은 가이드홈(56)이 일체로 형성되어 압입시의 회전각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42)의 내주에 대략3각형상의 가이드돌기(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가이드돌기(58)가 가이드홈(56)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가이드홈(56)은 제5도의 전개도 도시한 바와 같이 V자형의 홈을 구성하는 가로긴홈(56A,56B:從長溝)이 샤프트(50)의 원주방향(제5도 상하방향)에 연속하여 2조 형성도어 직렬로 연결한 고리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가로긴홈(56A,56B)이 교호로 배치되어 단부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샤프트(50)의 반(反) 압입방향에의 이동 한계로는 샤프트 압입방향층(제5도 좌측)의 가로긴홈(56A,56B)사이에 가이드 돌기(58)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제5도 가이드돌기(58)D 참조).
이 위치에 가이드 돌기(58)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후크(52)는 개폐문(32)의 폐지시에 개폐문은(32)의 걸어맞춤 구멍(36)에 삽입가능한 회전위치로 되도록 도어 있다.
또 가로긴홈(56A,56B)내를 가이드돌기(58)이 제5도 화살표 A, B 방향으로의 진행이, 가이드돌기(58)이 가로긴홈(56A)내를 진행할 경우에는 샤프트(50)의 반압입 방향측(제5도 우측)에, 가로긴홈(56B)내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압입방향측(제5도 좌측)에 이동하도록 가로긴홈(56A,56B)이 경사져 있다.
이 가이드홈 56에는 샤프트(50)의 반압입방향측(제5도 우측)의 가로 긴홈(56A,56B) 사이에 서로 인접하여2개의 산형으로 된 홈(56E,56F)이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홈(56)의 압입방향측에는 산형홈(56E,56F) 사이에 대향하여 산형홈(56G)이 형성되어 샤프트(50)을 눌러넣을 때마다 약 90°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토록 되어있다.
즉, 샤프트 압입방향측 (제5도 좌측)의 가로긴홈(56A,56B)사이에 가이드돌기(58)이 위치한 샤프트(50)의 반 압입방향에의 이동한개(가이드돌기(58)의 D 위치)에서 샤프트(50)을 눌러 넣으면, 가이드돌기(58)이 가로긴홈(56A)에 안내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산형홈(56E)에 이르러(가이드돌기(58)A 위치) 이 위이치에서 샤프트(50)가 그 이상 눌러지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샤프트(50)의 눌러넣기를 마치면 압축코일스프링(54)에 탄발되어샤프트(50)이 반압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으로 가이드돌기(58)이 산형홈(56G)에 걸어맞춤한다.(가이드돌기(58)B 위치).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샤프트(50)이 약 90° 회전된 위치에서 하우징(42)에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더욱 샤프트(50)을 압입하면, 가이드돌기(58)이 산형홈(56F)에 이르고 (가이드돌기(58)C의 위치), 이 위치에서 샤프트(50)이 그 이상 압입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샤프트(50)의 압입을 멈추면 압축스프링(54)에 탄발되어 샤퍄트(50)이 반압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으로 가이드돌기(58)이 가로긴홈(56B)에 안내되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샤프트 압입방향축(제5도 좌측)의 가로긴홈(56A,56B) 사이에 이르러 (가이드돌기(58)D 위치), 이 위치에서 샤프트(50)이 또 약90도 회전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본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개폐문(32)의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샤프트(50)이 압축코일스프링(54)에 탄발되어 반압입 방향(제2도 오른쪽 방향)에의 이동범위에 위치되고 샤프트 압입 방향측의 가로긴홈(56A,56B) 사이에 가이드돌기(58)이 위치되어 있다.(제5도 가이드돌기(58)D 참조).
이 상태에서 개폐문(32)가 폐지되면 개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에 샤프트(50)의 후크(52)가 대향하여 삽입되어 그 후는 후크(52)에 개폐문(32)의 걸어맞춤 구멍(36)의 저벽이 맞닿아 샤프트(50)가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이 약 90°회전하여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크(52)가 개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에 걸리어 정지된다.
즉, 샤프트 압입방향의 가로 긴홈(56A,56B) 사이에 가이드 돌기(58)이 위치되는 샤프트(50)의 반 압입방향에의 이동범위에서 샤프트(50)이 압입되면 가이드돌기(58)이 가로긴홈(56A)에 안내되어 산형홈(56E)에 이르고, 샤프트(50)가 그 이상 압입되지 않는다(제5도 가이드 돌기(58)A 감조).
여기에서 개폐문(32)의 폐지동작 (닫혀서 멈추어지는 동작)을 그치면 압축코일스프링(54)에 탄발되어 샤프트(50)이 반압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작으로 가이드돌기(58)이 산형홈(56G)에 걸어 맞춤한다(제5도 가이드돌기(58) B참조).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샤프트(50)이 약 90도 회전한 위치에서 하우징(42)에 걸려 정지되고 이 샤프트(50)의 회전에 의하여 후크(52)가 회전하여 계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내에서 빠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개폐문(32)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하여 개폐문(32)가 부주의로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개폐문(32)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개폐문(32)를 압입하여 샤프트(50)을 더욱깊게 압입하면 좋다.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이 약90도 회헌하여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후크(52)가 개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에서 빠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이드돌기(58)이 산형홈 56G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샤프트(50)가 압입하면 가이드돌기(58)이 선형홈(58F)에 이르러 (가이드돌기(58C) 위치), 샤프트(50)이 그 이상 압입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개폐문(32)의 압입을 멈추면 압축코일스프링(54)에 탄발되어 샤프트(50)이 반압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으로 가이드돌기(58)가 가로긴홈(56B)에 안되도어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여 샤프트 압입방향측의 가로긴홈(56A,56B) 사이에 이르러 샤프트(50)이 약 90도 회전되는 것이다(가이드돌기 58D 위치).
이 샤프트(50)의 회전에 의하여 후크(52)가 약90도 회전하여 개폐문(32)의 걸어맞춤구멍(36)내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따라, 개폐문(32)가 개방가능하게 된다.
즉, 가로긴홈(56A,56B)에 예를들면 가이드돌기(58)이 제5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할때의 왕복운동 저항이 서서히 크게 되도록 가로긴홈(56A)에 테이퍼를 설정함과 동시에 가이드돌기(58)가 제5도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산형홈(56E)에 이르기 직전까지 왕복운동 저항이 작도록 제5도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부분(56H)에 단차를 설정하면. 샤프트(50)의 압입에 절도를 가질 수가 있고 개폐문(32)의 개폐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샤프트(50)을 압입할 때 마다 회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개폐문(32)에 보스등의 돌출부를 설정하지 않아도 개폐문(32)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할 수 가 있고, 개폐문측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샤프트(50)을 압입할때마다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홈(56) 및 가이드돌기(58)을 각각샤프트(50)의 외주 및 하우징(42)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적은 부품수로 샤프트(50)을 압입할 때마다 회전될 수 가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
가이드홈 56을 하우징(42)의 내주에 가이드돌기(58)을 샤프트(50)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가이드홈(56)은 상기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샤프트(50)을 압입할 때마다 샤프트(5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제9도에는 본 고안에 대한 폐치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폐문(32)의 이면에 한쌍의 L자형 걸림돌기(60)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한쌍의 걸림돌기(60) 사이에 샤프트(50)의 후크(52)가 통과할 수 있고 또 그후의 샤프트(50)의 압입에 의한 회전으로 후크(52)가 걸림돌기(60)의 선단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사이가 떨어져 있다.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한쌍의 걸립돌기(60)사이에 샤프트(50)의 후크(52)가 대향하여 한쌍의 걸림돌기(60)사이를 통하여 후크(52)가 개폐문(32)의 이면에 맞닿고 그후의 개폐문(32)의 폐지동작으로 개폐문(32)에 압압되어 샤프트(50)가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약 90도 회전되면, 후크(52)가 걸림돌기(60) 사이를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문(32)을 폐지위치에서 로크하여 개폐문(32)이 부주의하게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개폐문(32)의 개방시에는 개폐문(32)의 압입조작에 의하여 개폐문(32)에 압압되어 샤프트(50)이 더욱 깊게 압입되고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약 90도 회전하여 후크(52)(60)가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개폐문(32)이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10도에서 제12도에는 본 고안에 관한 래치장치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샤프트(50)의 하우징(42)에서의 돌출부 선단에 한쌍의 T자형 후크(62)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폐문(32)의 이면측에 보스(64)가 형성되고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보스(64)에 한쌍의 후크(62)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보스(64)는 선단부주의에 한쌍의 걸어맞춤돌기(64A,64B)가 반대방향에 돌출형성되어 대략 T자 형상으로되고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걸어맞춤돌기(64A,64B)가 후크(62) 사이에 배치되고 그후의 샤프트(50)의 압입에 의한 후크(62)의 회전으로 걸어맞춤돌기(64A,64B)에 후크(62)가 걸어 맞춤되어 있다.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보스(64)의 걸어맞춤돌기(64A,64B)사이에 한쌍의 후크(62) 사이가 대향하여 한쌍의 후크(62) 사이의 샤프트(50)의 단면에 보스(64)의 선단이 닿고 그 후의 개폐문(32)의 폐지동작으로 보스(64)에 압압되어 샤프트(50)가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약 90도 회전되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후크(62)가 걸어맞춤돌기(64A,64B)와 걸어맞춤하고 이것에 의하여 개폐문(32)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하여 개폐문(32)가 부주의로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개폐문(32)의 개방시에는 개폐문(32)의 압입조작에 의하여 보스(64)에 압압되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샤프트(50)가 더욱 깊게 압입되고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약 90도 회전되어 후크(62)와 걸어맞춤돌기(64A,64B)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개폐문(32)이 개방가능하게 된다.
제13도에서 제15도에는 본 고안에 관한 래치장치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스(64)의 선단부 주의로 걸어맞춤돌기(64A, 64B)와 직각으로 걸어맞춤돌기(64C,64D)가 형성되고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걸어맞춤돌기(64C,64D)에 한쌍의 후크(62)사이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출돌기(64C,64D)는 개폐문(32)의 폐지시에 한쌍의 후크(62)를 탄성변형하여 후크(62)의 선단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또 후크(62)와 걸어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걸어맞춤돌기(64C,64D)는 보스(64)의 기부측단면(64E)가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후크(62)와의 걸어 맞춤상태는 개폐문(32)의 개방동작으로 후크(62)를 탄성변형하여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문(32)의 폐지시에는 걸어맞춤돌기(64C,64D)에 한쌍의 후크(62) 사이가 대향하여 걸어맞춤돌기(64C,64D)가 후크(62)를 탄성변형하여 후크(62)의 선단부 사이를 통과하여 후크(62)사이의 샤프트(50)의 단면에 보스(64)의 선단이 맞닿고 그후의 개폐문(32)의 폐지동작으로 보스(64)에 압압되어 샤프트(50)가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막 90도 회전되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2)가 걸어맞춤돌기(64A 64B)와 걸어 맞춤하고 이것에 의하여 개폐문(32)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하여 개폐문(32)가 부주의로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개폐문(32)을 압입하면 보스(64)에 압압되어 샤프트(50)이 더욱 깊계 압입되고 이 압입에 의하여 샤프트(50)가 약 90도 회전하여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걸어맞춤돌기(64C,64D)에 후크(62)가 걸어맞춤하여 이것에 의하여도 개폐문(32)을 폐지위치에서 로크하여 개폐문(32)가 부주의 하게 개방하지 않토록 한다.
이 경우, 걸어맞춤돌기(64C,64D)는 개폐문(32)의 개방동작으로 후크(62)를 탄성변형하여 후크(62)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경우 보다도 약한 힘으로 개폐문(32)들 폐지위치로 로크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부용하여 개폐문(32)의 로크력을 변하게 할 수가 있다.
개폐문(32)의 계방시에는 걸어맞춤돌기(64C,64D)에 후크(62)가 걸어맞춤한 상태(제1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개폐문(32)을 개방 조작하면 걸어맞춤돌기(64C,64D)가 후크(62)를 탄성변형하여 후크(62)와의 걷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이것에 의하여 개폐문(32)가 개방가능하게 된다.
이 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래치장치에서는, 이동자를 압입할 때마다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개폐부재에 보스들이 돌출부를 설정하지 않아도 개폐부재를 폐지위치에서 로크할 수 가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압입가능하게 배설되는 이동자와, 이동자를 반(反)압입방향으로 탄발하는 탄발수단과, 하우징의 내주 또는 이동자의 외주가운데 어느 일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하우징의 내주 또는이동자의 외주가운데 어느 일방으로 가이드돌기의 설정위치 반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와 끼워맞춤하고 가이드 돌기 및 탄발수단의 탄발력으로 가이드 돌기가 순환이동하여 이동자를 압입할 때마다 이동자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순환가이드홈과, 상기 순환가이드홈의 타측으로 이동자가 개폐문에 걸려지도록 하는후크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하우징으로 부터 노출되게 설치하고, 이 후크가 결합되는 걸어맞춤구멍은 개폐문의 트인구멍 보다 깊숙한 위치에서 확대되도록 형성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8-142612 | 1988-10-31 | ||
JP1988142612U JPH0631080Y2 (ja) | 1988-10-31 | 1988-10-31 | ラツ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8515U KR900008515U (ko) | 1990-05-03 |
KR920005647Y1 true KR920005647Y1 (ko) | 1992-08-18 |
Family
ID=1531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08719U KR920005647Y1 (ko) | 1988-10-31 | 1989-06-23 | 래치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631080Y2 (ko) |
KR (1) | KR92000564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51723A1 (en) * | 2010-01-25 | 2012-06-21 | Hideyuki Hirota | Display lock device |
US9038499B2 (en) * | 2013-03-11 | 2015-05-26 |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JP6309276B2 (ja) * | 2014-01-10 | 2018-04-11 | 株式会社ニフコ | ラッチ装置 |
EP3529432B1 (en) * | 2016-10-24 | 2021-01-13 | Kvadrat Soft Cells A/S | Fastening device and system of fastening panels to a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365Y2 (ko) * | 1985-02-19 | 1993-02-18 | ||
JPH057407Y2 (ko) * | 1986-08-04 | 1993-02-24 |
-
1988
- 1988-10-31 JP JP1988142612U patent/JPH0631080Y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
- 1989-06-23 KR KR2019890008719U patent/KR92000564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631080Y2 (ja) | 1994-08-22 |
JPH0262075U (ko) | 1990-05-09 |
KR900008515U (ko) | 1990-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56564A (en) | Vehicle door latch | |
JP3087332U (ja) | 径方向押圧装置を有する回転シャフト | |
JPH0919514A (ja) | スナップ式フック | |
KR920005647Y1 (ko) | 래치 장치 | |
US4993763A (en) | Door inside handle device | |
KR20010014174A (ko) | 부정 조작이 방지된 수납체용 회전식 로킹 기구 | |
US6106441A (en) | Height adjustable foot anchoring wheel assembly | |
US5103533A (en) | Lock handle pivot structure | |
CN211524387U (zh) | 圆柱锁 | |
US20040055111A1 (en) | Door bearing and method of mounting a door | |
WO2011086996A1 (ja) | マグネットキャッチ | |
JP2002227824A (ja) | スナップフィットヒンジ | |
JPH086997Y2 (ja) | ラッチ装置 | |
JP2511639Y2 (ja) | ピポットヒンジ | |
KR910010187B1 (ko) | 문짝용 로크장치 | |
JP2589503B2 (ja) | ロック装置 | |
JP2764026B2 (ja) | 引抜破壊防止錠 | |
JP2572539B2 (ja) | ボビンケースと内かまとの組合せ体 | |
JP4218841B2 (ja) | フック | |
JPS5843984B2 (ja) | チヨクリユウモ−タヨウブラシホルダ | |
JPH0239003Y2 (ko) | ||
KR950001052Y1 (ko) | 전자식 자물쇠의 개폐장치 | |
KR200310417Y1 (ko) | 휴대폰의 힌지구조 | |
KR200162400Y1 (ko) | 전자제품의 콘트롤부도어 떨림방지 구조 | |
JPH053615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