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466B1 -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466B1
KR920005466B1 KR1019840006996A KR840006996A KR920005466B1 KR 920005466 B1 KR920005466 B1 KR 920005466B1 KR 1019840006996 A KR1019840006996 A KR 1019840006996A KR 840006996 A KR840006996 A KR 840006996A KR 920005466 B1 KR920005466 B1 KR 92000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mold
structural
ben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878A (ko
Inventor
할버슈미트 프리드리히
오디 요제프
라데마헤르 헤르베르트
슈바트 쩬베르크 노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쎙-고벵 비뜨라지
지.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939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546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쎙-고벵 비뜨라지, 지.따시 filed Critical 쎙-고벵 비뜨라지
Publication of KR85000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03B23/0254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in a continuous way, e.g. gravity roll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1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specially adapted for bent sheets or 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3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C03B35/185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having a discontinuous surface for contacting the sheets or ribbons other than cloth or fabric, e.g. having protrusions or depressions, spirally wound cable, projecting discs or ti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제1도는 가변경사로 굽은 축위에 설치된 회전관형 케이스로 형성되고, 그 후부에 프레임 형태의 상부주형과 전면에 걸친 하부주형으로 구성된 보충 벤딩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 베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로서, 가열실과 냉각실이 포함되어 있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중 제1분내의 벤딩실을 제2도의 선(Ⅲ-Ⅲ)를 따라 취한 수직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Ⅳ-Ⅳ)을 따라 취한 벤딩실의 마지막 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판 2 : 가요성관형케이스
3 : 굽은축 5 : 베어링
6 : 빔 7 : 크랭크
9 : 롤러 10 : 레일
11 : 관절 13 : 암
14 : 나사못 16 : 지렛대
17 : 링크 20 : 피벗
22 : 프레임 31 : 체인
36 : 주형 37 : 지지물
44 : 재가열로 47 : 벤딩장치
54 : 인클로저 55 : 공급관
56 : 천공판 64 : 호퍼
70 : 블로윙 케이스 74 : 송풍관
75 : 담금질실 84 : 재크
90 : 이동대 94 : 스터드
본 발명은 회전구조요소를 형성된 구조 베드상에 수평 또는 거의 수평으로 공급되는 변형온도의 유리판을 벤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벤딩방법은 프랑스 특허(제2312463호)에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유리판이 굽은 축은 축 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변형되는 케이스로 둘러싸인 굽은 축으로 구성된 구조베드 위로 진행하고, 굽은 축은 유리판을 원통형이 될때까지 점진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조정된다. 이 벤딩방식은 특히 사용하기가 쉽고, 장치의 조작이 용이하며, 효율이 높다.
프랑스 특허(제2442219호)는 진술한 장치에 근거하여 유리판을 이중으로 벤딩할 수 있는 장치, 즉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굽은 축의 형상에 적합하게 유리판을 구부리는 가로 벤딩과 굽은 축이 유리판의 진행방법에 따라 서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어서 유리판을 곡선형으로 구부리는 세로벤딩을 실시하는 장치를 공개하였다. 이에 의하여 유리판을 이중으로 벤딩하게 된다. 즉, 구형벤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과 장치는 유리판을 원통형 또는 구형 이외의 형태로는 구부리지 못한다.
그 외에도, 유리판의 곡률은 장치의 조절 요소, 즉 굽은 축의 경사, 세로곡선의 형상 등과 직접적인 함수관계에 있기 때문에, 특정한 곡선을 정확히 얻으려면 벤딩실을 거치는 동안 세밀히 살피면서 정밀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법과 장치를 개선하여 유리판을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부릴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형 또는 구형과 다른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불변성과 조정의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공차가 매우 적고, 광학적 관점에서 만족스로운 벤딩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단계에서는 회전 케이스에 둘러싸인 굽은 축으로 구성된 회전구조 요소와 같은 종래의 수단을 이용하여 유리판을 먼저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구부리고, 제2단계에서는 벤딩 압착기의 2개 주형 사이로 유리판을 통과시킴으로써 보충 벤딩을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장치에서, 벤딩 압착기의 하부주형은 회전 구조요소의 접촉면 아래에서 휴지위치에 있다가 벤딩 압착기의 상부 주형과 접촉할 수 있도록 위쪽의 동작 위치로 안내될 수 있고, 그 다음에는 구부러진 유리판을 회전 구조요소위로 다시 내려놓음으로써 유리판이 다음의 처리실로 운송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균일한 동압(dynamic pressure)의 형상을 나타내는 더운 기체, 일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회전 구조요소 사이를 통하여 아래에서 위쪽으로 수직 송풍 시킴으로써 회전 구조요소상에 가하여지는 유리판의 중량중 적어도 일부를 분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도 제공한다. 이 장치에는 회전 구조요소로 구성된 구조 베드가 포함되어 있고, 구조 베드 중 최종부분의 구조 요소에는 벤딩 압착기의 하부주형이 휴지위치에 있을 때, 유리판이 회전 구조요소와 접촉하는 면의 아래쪽에 하부주형이 머물러있는 공간이 제공되어 있고, 이 하부주형은 지렛대 수단과 결합되어 있어서, 접촉면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동일한 벤딩 압착기에 속하여 있는 상보적 상부주형과 일치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구조 베드의 최종부분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운 공기 송풍실을 판유리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의 송풍에 의하여 유리판을 지지함으로써 유리판이 회전 구조요소에 가하는 지지압력이 크게 감소된다. 더운 기체흐름의 유속을 유리의 동압력과 마찬가지로 2 내지 30mm로 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에 의하여 유리의 중량을 약 80%까지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에 의하여 분리된 접촉부분을 유리에 제공함으로써 통상적인 구조 요소를 제공하는 연속 지지물에 갈음하여 흠에 의하여서도 구조요소를 쉽게 실현할 수 있다. 구조 베드의 최종 부분내에 있는 이러한 구조요소는 경우에 따라서는 고리가 달린 통상케이스보다 더 좁은 회전 케이스로 뒤덮인 굽은 축으로 구성된다.
굽은 축의 구역내에 고리가 없기 때문에,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압축기의 하부주형을 유리판과의 접촉면 아래에 놓기가 용이하다.
단순한 원통형 또는 구형곡선과 다른 곡선 형태로 되고, 광학적 질이 높고, 효율이 큰 판유리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점은 기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흐름은 유리수준에서 균일한 동압력의 형상을 지녀야 한다. 이 기체는 600℃ 이상의 온도로 송풍되며, 상부에서 흡인하여 재순환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벤딩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노 및 그 후부에 있는 상승하는 더운 기체흐름을 생성시키는 데 필요한 수단은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이 장치내에서, 구조 베드를 구성하는 회전 구조요소위에 놓여 있는 유리판(1)은 화살표(F)방향으로 운송된다. 이 회전 구조요소는 그 자체가 굽은 축(3) 둘레를 회전하는 가요성관형 케이스(2)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굽은 축(3)은 모두 형태가 동일하고, 곡선반경도 동일하다. 각 굽은 축(3)에는 굽은 중앙부분에 비하여 서로 연장선 내에 있을 수 있도록 곧게 되어있고, 그 둘레에서 축(3)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선회축(S-S')을 이루는 2개의 단부가 있다. 축(3)의 양단(4)은 2개의 빔(6,6')으로 구성된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양단(4)은 빔(6,6')에 속한 베어링(5) 내에서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프레임(6,6')의 외측에는 각 굽은 축이 그 양단중 하나가 롤러(9)로 끝나는 크랭크(8) 위에 끼워져 있고, 롤러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U자형단면의 레일위를 굴러갈 수 있다. 즉, 레일은 장치의 제1부분(A) 내에서는 유리판(1)의 진행방향에 따라 화살표(F)방향으로 배치되고(10), 제2부분에서도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11).
굽은 축은 유리판(1)이 가로 방향으로 점점 더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더 경사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의 제1부분(A) 중 굽은 축(3) 그룹에 속하는 첫번째 굽은 축(3')은 실제로 장치의 상단에 도달한 유리판이 들어있는 운송평면내에 있기 때문에, 제1축(3')과 유리판(1)과의 접촉선은 실제로 이러한 수송면내에 들어있다. 유리판이 장치내로 진행 하여감에 따라 굽은 축(3)의 각 위치가 변경되고, 점진적으로 경사가 크게 되면서 제1부분(A)의 마지막 굽은 축(3")에 이르러 최대의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 최대경사는 유리판(1)에 대하여 바람직한 곡률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조 베드는 오목한 베드로 되어 있다.
굽은 축(3) 전체에 대하여 그 각이 축에 따라 점진적으로 정연하게 변동되는 경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동시에 변경시키기 위하여 레일(10)이 프레임(6-6')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레일에는 벤딩장치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수평축(z,z')의 둘레를 선회할 수 있도록 관절(12)이 달려있다. 이 관절(12)은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나사(14)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한 요소(15)에 대하여 적당한 높이로 차단시킬 수 있는 암(13)이 달려있다. 접속부분 연결기구(17,18,19)에 속한 지렛대(16)에 의하여 레일(10)이 축(z,z')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한다. 벤딩장치의 제2부분(B)내에 있는 굽은 축(3)의 끝에 달린 롤러(9)가 굴러가는 레일(11)은 레일(10)의 하단에 속한 피벗(20)에서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레일은 지렛대(16)의 작용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렛대는 2개의 평행사변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제1평행사변형은 1개의 크랭크 암(18), 레일(11)의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점에 각각 부착된 2개의 링크(17)로 형성되고, 레일(11)중 이 부분이 제4변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2평행사변형은 2개의 평행사변형에 공통인 크랭크암(18), 암(19) 및 지렛대(16)으로 형성되고, 제4변은 한쪽은 암(19)에, 다른쪽은 지렛대(16)에 부착된 2개의 고정점(21) 사이에 위치한 받침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11)이 평행 이동하기 때문에, 구조 베드의 제2부분(B)내에 설치된 굽은 축(3"') 전부의 경사는 구조 베드의 제1부분(A)의 굽은 축중 마지막 축(3"')의 경사와 동일하게 되도록 동일한 값으로 변경된다.
접속부분 연결기구(16,17,18,19)에 갈음하여 레일(11)의 높이와 레일(10)의 경사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 베드중 제2부분(B)의 굽은 축(3"')은 구조 베드 중 제1부분(A)의 프레임(6-6')하단에서 관절(23) 둘레로 구부러지게 연결된 프레임(22)내에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2)은 레일(11)이 있는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접속부분 연결기구(24,25,26)상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기구(24,25,26)는 지렛대(27)로 작동시킬 수 있고, 이 지렛대는 프레임(22)을 평행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위쪽으로 이동시키며, 구조 베드중 제1부분(A)의 프레임(6-6')을 축(z-z') 위에 있는 장치의 상단에 위치한 관절(28)의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경사도 변경시킨다.
이와같은 조정에 의하여 구조 베드의 곡선 반경도 간단히 변경시킬 수 있다. 이 조절에 의하여 유리판의 세로 연단 또는 유리판의 중앙축에 인접한 부분을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비틀리지 않는 유연한 관형금속 케이스(2)는 굽은 측(3)을 감싸고, 서로 연동 하면서 하나 또는 다수의 체인(31)과 맞물리는 작은 톱니바퀴(30)에 의하여 이 축(3)의 둘레를 회전한다.
가요성관형 케이스(33)는 구조 베드중 제2부분(B)의 굽은 축(3"')으로 감싸고 있다. 고리(34)는 이 케이스(33)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좁게 또는 더 길게 할수 있고, 원통형 롤러의 중요부분과 비슷한 이 고리(34)는 케이스에서 그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있기 때문에 케이스상의 어느 지점에도 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케이스(33)와 고리(34)위에 지지되어 운송되는 유리판(1) 아래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의 스트링거가 놓이는 공간이 남아있게 된다. 주형은 지지물(37)에 의하여 프레임(38) 위에 설치되어 있고, 이 프레임(38)은 지렛대(도시없음) 수단의 작용으로 상하이동을 할 수 있다. 상부주형(40)은 하부주형(36) 위쪽에 제공되어 있고, 하부주형은 위로 들어올려져서 상부주형(40)에 압착될 수 있다. 이 상부주형(40)은 받침(41)에 의하여 프레임(22)위에 놓여져 있다.
굽은 축에 의하여 구조 베드가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주형(40)은 볼록하게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본 발명의 벤딩장치로서 굽은 담금질 판유리를 제조하는 라인내에 합체되어 있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는 회전하는 원통형 컨베이어 롤러(45)와 유리를 벤딩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요소(46)로 구성된 유리판(1)의 재가열로(44), 제1도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벤딩장치 및 담금질실(75)이 도시되어 있다.
벤딩장치의 제1부분(A)에는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굽은 축(3)과 롤러(9)가 굴러가는 레일(10)이 달려 있는 프레임(6-6')의 빔(6')만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6-6')의 위치와 레일(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구는 생략하고, 이를 제3도에 관련하여 도시하였다.
복사에 의한 가열수단(48)이 벤딩장치의 제1부분(A) 내에 제공되어 있고, 지지물(9,50,51)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 제1부분(A) 아래에는 유리판(1)의 지지를 돕기 위하여 약 650℃의 공기를 불어보내는 송풍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같은 송풍을 위하여 공급관(55)을 거쳐 밑에서 더운 공기를 공급하고, 구멍이 고르게 뚫려 있는 판(56)으로 상부가 덮여 있는 깔때기 모양의 인클로저(54)가 제1부분(A) 아래쪽에 유리판(1)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만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의 유량은 송풍기(도시없음)에 의하여 조절한다. 굽은 축(3)을 감싸고 있는 관형 케이스(2)위에 지지되면서 공급되는 유리판(1)의 하부면에는 2내지 30mm(수두)의 균일한 동압력을 가진 더운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된다. 이에 의하여 더운 공기의 흐름이 유리판(1)의 중량중 일부를 떠맡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관형케이스(33), 이 케이스(33) 위에 제공된 고리(34), 프레임형으로된 하부주형(36) 및 상부주형(40) 만이 도시된 구조 베드 중 제2부분(B) 아래에는 공급관(59)을 통하여 아래로부터 약 650℃의 더운 공기가 공급되는 깔때기모양의 인클로저(58)가 배치되어 있다. 천공판(60)이 인클로저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1)쪽으로 수직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이 유리판 수준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더운 공기의 흐름이 유리판(1)의 중량을 받쳐 줌으로써 고리(34)는 유리판(1)의 중량을 경미하게 받게되고, 이로 인하여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벤딩실 전체의 위에는 천공판(56,60)을 통하여 배출되는 더운 공기의 흐름을 흡입하는 배기관(65)에 연결된 호퍼(64)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관에서 회수된 더운 기체는 케이스(도시없음) 내로 운반하여 재순환시키고, 재가열한 후 관(55,59)을 통하여 다시 인클로저(54,58)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유리한다.
구조 베드의 제2부분(B) 내에는 유리판(1)이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 및 하부주형(36) 사이에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검출기(67)가 제공되어 있다. 유리판(1)이 하부주형(36)에 정확히 놓이게 되면, 주형(36)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지렛대 수단이 즉시 작동하여, 유리판(1)을 상부주형(40)에 대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유리판(1)에 최종형태를 제공한다. 그 다음에, 하부주형(36)이 아래로 내려와서 고리(34) 사이의 공간 내에 있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의하여 위치한 담금질실(75)로 운송된다.
담금질실(75) 내에서는 유리판(1)은 구조 베드의 제1부분(A)에서와 같이, 즉 굽은 축(3)의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관형 케이스(2)에 실려서 운송된다. 제2도에는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굽은 측(3)의 조정수단을 도시하지 않았다. 담금질실(75)은 찬 공기를 공급관(71)에 의하여 공급하는 하부송풍 케이스(70)와 찬 공기를 공급관(73)을 통하여 공급하는 상부 송풍 케이스(72)로 구성되어 있다. 차공기는 종래의 방법으로 관형송풍기의 사면에 의하여 배출되고, 담금질실로 안내되는 유리판을 냉각시킨다. 굽은 판유리의 제조라인, 특히 벤딩장치의 제1부분(A)에서의 제조라인 구조 및 조작을 제3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직선으로된 양단(4)이 프레임(6-6')에 속한 베어링(5) 내에 물려있는 굽은 축(3)을 도시한 것이다. 굽은 축(3)은 U자형 레일(10)에 맞물리는 롤러(9)가 달린 크랭크에 의하여 적당한 각위치에 유지된다. 축(3) 위에는 관형 케이스(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케이스와 연동하는 톱니바퀴(30)가 모터축에 연결된 머리없는 나사못(78) 위에 있는 톱니(77)와 연결된 톱니바퀴(32)와 맞물린다.
구조 베드에 있는 프레임(6-6')은 지지물(80)에 의하여 프레임(81,82) 위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81,82)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재크(84)의 축(83) 위에 놓여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레일(10)도 재크(85)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재크(85)에 지지요소(86)에 의하여 프레임(81,82) 위에 지지되어 있고, 그 축(87)을 통하여 레인(10)에 작용한다. 굽은 축(3) 위에는 지지물(50,51)에 의하여 벤딩실의 제1부분(A)을 둘러싸고 있는 실의 내화재로된 부분(52)에 고정된 가열수단(40)이 배치되어 있다. 구조물(52)의 상부 격벽에는 대형 개구부(53)가 제공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유리판(1)을 받쳐주는 더운 공기가 흡인호퍼(64)에 도달하게 된다. 이 더운 공기는 공급관(55)을 통하여 천공분배판(56)으로 덮여있는 깔때기의 모양의 인클로저(54)내로 들어간다.
제4도는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벤딩실의 제2부분(B)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는 제조하는 판유리의 모델이 변함에 따라 신속히 변경시킬 수 있게 제공되어 있으며, 제조할 판유리의 새로운 모델형태로된 새로운 압착기를 교체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부분(B)은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본다.
제2부분(B)의 벤딩수단 전체, 즉 가요성 관형 케이스(33)로 덮여있고 고리(34)가 끼워져 있는 굽은 축(3"'), 벤딩 압착기의 하부주형(36) 및 상부주형(40)은 모두 프레임(88)에 달려있고, 이 프레임은 화살표(P)에 따라 이동시켜서 장치로부터 떼어내고, 아래에 있는 X-X'면으로부터 Y-Y'면의 수준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벤딩수단을 떼어낼 때에는 크랭크(8)의 끝에 달린 롤러(9)도 U자형 레일(10)로부터 분리된다.
프레임(88)에는 바퀴(92)가 달린 이동대(90)가 공기식 재크(91)의 작용으로 이중 화살표(D)로 표시한 방향에 따라 굴러가는 바(89)가 장비되어 있다. 이동대(90)에는 홈이 비스듬히 파여있는 스터드(94)가 있고, 홈속에서 하부주형(36)을 지지하는 프레임(38)에 속한 수평제동자(95)가 미끄럼 이동한다. 프레임(38)은 재크(91)의 작용으로 상하로 안내되고, 제동자(95)는 스터드(94)의 경사홈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상부주형(40)은 부재(41)에 의하여 지지물(42)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물은 벤딩장치의 제2부분(B)을 감싸고 있는 실의 측벽(43)에 고정되어 있다. 측벽(43)도 굽은 축(3"')이 물려있는 빔(99)의 받침대인 프레임(98)과 동일하게 프레임(88) 위에 놓여있다. 벤딩장치의 제2부분(B)에 있어서는 유리판(1)을 지지하는데 조력하는 기체흐름의 생성, 분배 및 안내수단이 특히 중요하다. 유리판(1)을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공기를 깔때기 모양의 인클로저(58) 아래에 위치한 가열수단에 의하여 620 내지 660℃로 가열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는다. 인클로저(58) 내에서, 초과압력은 유리판 수준에서 적당한 압력에 따라서 조절하며, 이 적정 압력은 유리판 중량의 함수가 되고, 중량의 일부를 분담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유리판 수준에서의 압력은 실제로 동압력이고, 인클로저(58) 내의 초과압력을 10 내지 60mm 수두(C.E.),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30mm C.E(또는 250Pa)로 조절한다. 이와 같은 초과압력에 의하여 유리수준에서 2 내지 30mm C.E.의 압력으로 유리판 중량의 20 내지 80%를 지지할 수 있다.
천공판(60)은 유리판(1)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이 실제로 동압력 뿐이고, 정압력은 무시할 수 있도록 유리판(1)에서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250mm 또는 300mm로 한다. 판(60)의 천공은 직경이 12 내지 15mm이고, 가로 및 세로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25 내지 35mm의 간격으로 배분되어 있다. 천공에서 사출된 공기는 다시 합쳐지고, 부분적으로 회수되어 유리수준에 균질적이고 균일한 흐름을 제공한다. 압력, 거리, 천공의 직경 등과 같은 매개변수는 벤딩장치의 제1부분(A)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은 각 굽은 축(3)에 그 고유한 경사조절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벤딩장치에 대하여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3)이 모두 동일하지 않고, 곡률이 서로 다른 장치에 대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벤딩 압착기 및 유리판의 지지를 분담시키기 위한 더운 공기의 송품 시스템도 유리판에 대하여 가로곡선과 세로곡선을 동시에 부여하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굽은 축이 물리는 빔을 일렬로 되게 하지 않고, 유리판이 진행하는 세로방향에 따라 굽은 프레임위에 배치한다.

Claims (35)

  1. 유리판의 벤딩 온도에 도달한 후 구조베드의 가로방향으로 구부러진 회전 구조 요소가 있는 구조베드 위로 운송되었을 때 수평 위치에 있는 유리판을 벤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베드의 마지막 부분(B) 내에서 유리판이 프레임 모양으로 되고, 휴지위치에서 구조요소가 유리판과 접촉하는 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주형(36)과 구조 베드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주형(40)으로 구성된 벤딩 압착기내에서 최종 형태로 압착되고, 하부주형(36)이 압착시까지 상부주형(40)쪽으로 안내된 다음에 다시 휴지 위치로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하부면에 대하여 구조요소(2) 사이로 유리수준에 균질적으로 균일한 동압력을 가하면서 상승하는 더운 기체의 흐름을 안내하여 유리판의 중량부 일부를 지지할 수 있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구조베드의 최종 부분(B)내에서 유리판이 프레임모양으로 되고, 휴지위치에 구조요소가 유리판과 접촉하는 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주형(36)과 구조 베드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주형(40)으로 구성된 벤딩 압착기내에서 최종 형태로 압착되고, 하부주형(36)이 압착시까지 상부주형(40) 쪽으로 안내된 다음에 다시 휴지위치로 내려가며, 유리판의 벤딩온도에 도달한 후 구조베드의 가로방향으로 구부러진 회전 구조 요소가 있는 구조 베드 위로 운동되었을 때 수평 위치에 있는 유리판을 벤딩하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벤딩장치에 있어서, 유리판이 운송되는 새로방향에 수직되는 가로 방향으로 구부러진 회전 구조요소로된 구조 베드를 구비하고, 구조 베드중 최종부분(B)내에 있는 회전 구조요소(33-34)에서 구조요소(33-34)가 유리판과 접촉하는 면의 아래쪽으로 공간이 있고, 이 공간내에 프레임 모양으로된 벤딩 압착기의 주형(36)이 휴지위치에 놓여있고, 주형(36)이 지렛대 수단에 의하여 구조요소(33-34)의 위쪽에 위치한 작업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벤딩 압착기에 속한 볼록한 전면상부주형에 대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의 최종 부분(B) 아래쪽에서 압력하에 있는 더운 기체가 들어있고, 유리판(1)의 하부면방향으로 더운 기체를 사출하는 인클로저(5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더운 기체가 들어있는 인클로저(58)의 상부가 회전 구조요소와 유리판(1)이 접촉하는 면의 아래쪽으로 100 내지 300mm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 천공판(6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의 최종부분(B) 위쪽에 더운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호퍼(64)가 설치되어 있고, 회수된 더욱 기체가 케이스에 의하여 그 배출된 인클로저까지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의 최종부분(B) 위쪽에 더운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호퍼(64)가 설치되어 있고, 회수된 더운 기체가 케이스에 의하여 그 배출된 인클로저까지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3항 내지 5항, 6항,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회전 구조요소가 굽은 축(3"')의 둘레를 회전하는 가요성 관형 케이스(33)와 이 관형 케이스 위에 끼워져 있는 고리(34)로 형성되어 있고, 고리(34) 사이에는 공간이 있고, 공간내에 벤딩 압착기의 하부주형(36) 프레임이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고리(34)가 관형 케이스(33) 위로 활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의 길이에 따라 이동시켜서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굽은 축에는 특정한 곡률이 제시되어 있는 축이 선회축을 형성하는 그 양단의 둘레에서 경사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경사의 변동에 의하여 구조 베드의 곡률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굽은 축에는 특정한 곡률이 제시되어 있는 축이 선회축을 형성하는 그 양단의 둘레에서 경사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경사의 변동에 의하여 구조 베드의 곡률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3 내지 5항, 6항,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가 곡선의 반경이 유리판(1)의 진행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회전 구조요소로 형성된 제1부분(A)과 곡선 반경이 일정한 제2부분(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가 곡선의 반경이 유리판(1)의 진행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회전 구조요소로 형성된 제1부분(A)과 곡선 반경이 일정한 제2부분(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9항, 10항,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조 베드가 곡선의 반경이 유리판(1)의 진행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회전 구조요소로 형성된 제1부분(A)과 곡선반경이 일정한 제2부분(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3 내지 제5항, 6항,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벤딩 압축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8)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 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 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 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9항, 10항,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B)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 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 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힝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B)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 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 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B)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에 속한 프레임 모양의 주형(36)이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B) 내에 유리판(1)을 주형(36) 위쪽에 정확히 정위시키고, 유리판이 바르게 위치한 때 상기 주형(36)의 지렛대 수단을 작동 정지시키는 검파기(6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3항 내지 5항, 6항,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8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9항, 10항,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벤딩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6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17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18항 내지 2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벤딩 압착기가 장비된 구조 베드의 제2부분(B)이 교체할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1항에 있어서, 교체할 수 있는 제2부분(B)에 관형 케이스(33)로 둘러싸인 굽은 축(3"')의 빔(99)과 롤러(34)의 지지물(98)이 달린 프레임(88)이 있고, 벤딩실의 측벽(43)의 제2부분(B),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 및 하부주형(36)과 하부주형(36)이 달린 프레임(38)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교체할 수 있는 제2부분(B)에 관형 케이스(33)로 둘러싸인 굽은 축(3"')의 빔(99)과 롤러(34)의 지지물(98)이 달린 프레임(88)이 있고, 벤딩실의 측벽(43)의 제2부분(B),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과 하부주형(36)이 달린 프레임(38)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교체할 수 있는 제2부분(B)에 관형 케이스(33)로 둘러싸인 굽은축(3"')의 빔(99)과 롤러(34)이 지지물(98)이 달린 프레임(88)이 있고, 벤딩실의 측벽(43)의 제2부분(B),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 및 하부주형(36)과 하부주형(36)이 달린 프레임(38)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4항 내지 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교체할 수 있는 제2부분(B)에 관형 케이스(33)로 둘러싸인 굽은 축(3"')의 빔(99)과 롤러(34)의 지지물(98)이 달린 프레임(88)이 있고, 벤딩실의 측벽(43)의 제2부분(B),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 및 하부주형(36)과 하부주형(36)이 달린 프레임(38)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0항에 있어서, 교체할 수 있는 제2부분(B)에 관형 케이스(33)로 둘러싸인 굽은 축(3"')의 빔(99)과 롤러(34)의 지지물(98)이 달린 프레임(88)이 있고, 벤딩실의 측벽(43)의 제2부분(B), 벤딩 압착기의 상부주형(40) 및 하부주형(36)과 하부주형(36)이 달린 프레임(38)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40006996A 1983-11-09 1984-11-08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KR920005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17829A FR2554436B1 (fr) 1983-11-09 1983-11-09 Bombage de volumes de verre sur lit de conformation constitue d'elements tournants
FR8317829 1983-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78A KR850003878A (ko) 1985-06-29
KR920005466B1 true KR920005466B1 (ko) 1992-07-04

Family

ID=929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996A KR920005466B1 (ko) 1983-11-09 1984-11-08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557745A (ko)
EP (1) EP0143691B1 (ko)
JP (1) JPS60171239A (ko)
KR (1) KR920005466B1 (ko)
BR (1) BR8405697A (ko)
CA (1) CA1245452A (ko)
DE (2) DE3438705A1 (ko)
ES (1) ES537492A0 (ko)
FI (1) FI77010C (ko)
FR (1) FR2554436B1 (ko)
PT (1) PT79475B (ko)
YU (1) YU43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4992B1 (fr) * 1986-10-01 1988-12-02 Saint Gobain Vitrage Bombage et trempe de plaques de verre defilant sur un lit de conformation courbe dans la direction de defilement
WO1989000539A1 (en) * 1987-07-10 1989-01-26 Libbey-Owens-Ford Co. Conveyor roll construction
US4934514A (en) * 1987-07-10 1990-06-19 Libbey-Owens-Ford Co. Conveyor roll construction
AU602257B2 (en) * 1987-08-20 1990-10-04 Libbey-Owens-Ford Co. Adjustable bearing rail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799948A (en) * 1987-08-20 1989-01-24 Libbey-Owens-Ford Co. Adjustable bearing rail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FR2621906B1 (fr) * 1987-10-14 1990-01-26 Saint Gobain Vitrage Amelioration de la trempe du verre
DE3819503C1 (ko) * 1988-06-08 1989-07-20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FR2648803B1 (fr) * 1989-06-22 1993-07-16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et la trempe par contact
US5004492A (en) * 1989-08-29 1991-04-02 Libbey-Owens-Ford Co. Glass sheet conveying and bending apparatus
EP0431895A3 (en) * 1989-12-05 1991-08-21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sheet glass
JPH0764575B2 (ja) * 1990-01-11 1995-07-1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プレス曲げ方法及び装置
EP0477913A3 (en) * 1990-09-26 1993-04-07 Asahi Glass Company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bend-shaping glass plates
US6014873A (en) * 1990-09-26 2000-01-18 Asahi Glass Company Ltd. Process for bend-shaping a glass plate and an apparatus for bend-shaping the glass plate
TR26952A (tr) * 1992-02-06 1994-09-12 Nippon Sheet Glass Co Ltd Cam levhalarina ön bükme uygulamak icin tasiyici merdaneli düzenek.
EP0634371B1 (de) * 1993-07-15 1999-04-21 Cristales Automatrices De Jalisco,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reidimensionalen Verformen von Platten, insbesondere Glasscheiben
JPH0731999U (ja) * 1994-07-28 1995-06-16 鹿島建設株式会社 セグメント連結用の通しボルト
BR9906620A (pt) * 1998-06-19 2000-09-19 Asahi Glass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conformação em curva para uma chapa de vidro
US6543255B2 (en) * 2001-06-19 2003-04-08 Glasstech, Inc. Press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job switching
US6513348B2 (en) 2001-06-19 2003-02-04 Glasstech, Inc. Quench station and method for quenching formed glass sheets
US6578383B2 (en) * 2001-06-19 2003-06-17 Glass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 bending heated glass sheets
FI115768B (fi) * 2003-02-21 2005-07-15 Tamglass Ltd Oy Menetelmä ja laite kahteen suuntaan kaarevan lasilevyn taivuttamiseksi ja karkaisemiseksi tai lämpölujittamiseksi
EP1484291B1 (en) * 2003-06-04 2011-09-1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using curved rollers.
FR2862056B1 (fr) * 2003-11-12 2006-01-13 Saint Gobain Procede et machine d'obtention de feuilles de verre bombees
TW202041474A (zh) * 2019-01-10 2020-11-16 美商玻璃技術股份有限公司 玻璃片焠火配置
CN114315109B (zh) * 2022-01-14 2023-06-23 深圳市汇诚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幕墙玻璃制造用高速离心式压制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4516A (en) * 1964-09-02 1966-12-27 Libbey Owens Ford Glass Co Apparatus for press bending glass sheets
CA945375A (en) * 1970-03-10 1974-04-16 Robert G. Frank Shaping glass sheets
US3881906A (en) * 1973-08-20 1975-05-06 Libbey Owens Ford Co Heat treating glass sheets
US3934996A (en) * 1974-05-02 1976-01-27 Ppg Industries, Inc. Conveyor rolls on conveyor roll systems for roll forming apparatus
FR2342947A1 (fr) * 1976-03-05 1977-09-30 Saint Gobain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US4015968A (en) * 1975-11-20 1977-04-05 Libbey-Owens-Ford Company Glass sheet support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4139359A (en) * 1977-11-02 1979-02-13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by roll forming
US4298368A (en) * 1979-06-01 1981-11-03 Ppg Industries, Inc. Delivering and aligning glass sheets in a bending station
US4305746A (en) * 1980-05-01 1981-12-15 Libbey-Owens-For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376643A (en) * 1981-09-28 1983-03-15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onveying glass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78A (ko) 1985-06-29
DE3438705C2 (ko) 1987-05-21
DE3469165D1 (en) 1988-03-10
EP0143691A2 (fr) 1985-06-05
FR2554436B1 (fr) 1986-01-31
ES8507430A1 (es) 1985-09-16
FR2554436A1 (fr) 1985-05-10
FI77010B (fi) 1988-09-30
PT79475A (fr) 1984-12-01
EP0143691A3 (en) 1985-07-17
ES537492A0 (es) 1985-09-16
DE3438705A1 (de) 1985-05-23
PT79475B (fr) 1986-08-05
CA1245452A (fr) 1988-11-29
FI844400A0 (fi) 1984-11-08
YU188484A (en) 1987-10-31
JPS60171239A (ja) 1985-09-04
US4557745A (en) 1985-12-10
BR8405697A (pt) 1985-09-10
EP0143691B1 (fr) 1988-02-03
YU43939B (en) 1989-12-31
FI77010C (fi) 1989-01-10
FI844400L (fi) 198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466B1 (ko) 유리판의 벤딩방법 및 장치
US34094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ound bend in a glass sheet on a gas support bed
US4197108A (en) Slotted glass sheet shaping mold
US3846106A (en) Tempering glass sheets
CA11124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by roll forming
US4292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US5118334A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US4711655A (en) Adjustable quench for tempering a glass sheet
US4272274A (en) Slotted glass sheet shaping mold
US42772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using deformable vacuum mold
RU20835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 отпуска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US49767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a glass sheet
JP3778965B2 (ja) 板ガラス用の曲げ及び加熱装置
US4575389A (en) Device for bending glass plates
FI8202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boeja en glasskiva.
JP2688414B2 (ja) 板状ガラスの製造装置
US4043783A (en) Press shaping glass sheets
US3834885A (en) Method of conveying glass sheets through a furnace
JPS5929530B2 (ja) 可塑状態の板状物の湾曲方法および装置
US3457060A (en) Glass bending furnace with partitions defining separate longitudinally disposed heating areas
US4444579A (en) Apparatus for tempering glass sheet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CA2073401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heets of glass having a complex shape
US4976763A (en) Installation for curving and tempering a sheet of glass
US4074995A (en) Method of shaping glass sheets by the roll forming method
KR830002372B1 (ko) 일련의 유리판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