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18Y1 -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 Google Patents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18Y1
KR920004818Y1 KR2019900012639U KR900012639U KR920004818Y1 KR 920004818 Y1 KR920004818 Y1 KR 920004818Y1 KR 2019900012639 U KR2019900012639 U KR 2019900012639U KR 900012639 U KR900012639 U KR 900012639U KR 920004818 Y1 KR920004818 Y1 KR 920004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vref
step mode
puls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557U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818Y1/ko
Publication of KR920005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설명을 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털 펄스 발생기 3 : 사운드 IC
5, 6, 7 : 비교기 8, 9, 10 : 스텝모우드 발생기
11 : 멀티플렉서 R1-R5: 저항
본 고안은 마이콤의 PWM(PULSE WIDTH MODULATION)출력을 사운드IC의 콘트롤 단자에 인가시켜 주어 사운드를 콘트롤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회로에 있어서, 사운드가 급변하는 부분에서 콘트롤 전압이 미세하게 변하도록 하여 사운드 출력이 리니어(LINEAR)하게 변하도록 한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텔레비젼 등에서의 사운드 콘트롤은 마이콤의 PWM펄스 출력을 사운드IC의 콘트롤 단자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시킴으로서 특정부분에서는 사운드가 리니어 하게 변하지 않고 급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마이콤의 PWM출력을 필터를 통하여 직접 사운드IC의 콘트롤 단자에 인가되게 하므로써 마이콤의 PWM출력이 비록 리니어 하더라도 사운드IC의 콘트롤전압에 따른 사운드 앰프의 출력 특성이 넌리니어(NONLINEAR)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특정부분에서 사운드가 급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제 2a 도에서와 같이 (가)부분처럼 사운드가 급변하는 부분에서도 콘트롤 스텝이 동일하게 변화되므로서 (가)부분에서는 사운드가 급변하여 리니어 하게 콘트롤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사운드 출력이 급변하는 부분을 검출한 후 이부분에서는 콘트롤전압이 미세하게 변화토록 하므로서 사운드 출력이 리니어하게 콘트롤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 1 도의 일실시 도면에 의거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살펴본다.
볼륨 업/다운 키입력에 의하여 출력 PWM펄프가 선택되는 디지털 펄스 발생기(1)의 출력을 디지털 아날로그변환기(2)에서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사운드 IC(3)에 인가시켜주어 사운드 앰프(4)를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게 구성된 사운드 출력제어 회로에 있어서,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을 서로 다르게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출력에 의하여 각기 다른 스텝을 발생시키는 스텝 모우드 발생 수단과 상기 스텝모우드 발생 수단의 스텝을 선택하여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키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즉 사운드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은 비교기(5)(6)(7)에 인가되어 저항 (R1-R4)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1)(Vref2)과 비교되게 비교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비교기 (5)(6)(7)의 출력레벨에 의하여 구동되고 각기 다른 스텝을 발생시키는 스텝모우드 발생기(8)(9)(10)로 스텝모우드 발생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스텝모우드 발생기(8)(9)(10)의 출력을 선택하여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키는 멀티플렉서(11)로 스위칭 수단을 구성시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볼륨업/다운 키 입력에 따른 디지털 펄스 발생기(1)의 출력은 디지털 아나로그 변환기(2)에서 아나로그 전압으로 변환된 후 사운드IC(3)의 콘트롤 단자에 인가되므로서 사운드 앰프(4)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이 콘트롤 되어지는 사운드 출력 콘트롤 회로에 있어서, 사운드가 급변하는 부분에서는 스텝을 세분화 시켜 콘트롤 전압이 미세하게 변하도록 하여 사운드 출력을 리니어 하게 변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비교기(5)(6)(7)의 입력단에는 저항(R1∼R4)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기준전압(Vref1)(Vref2)에 인가되게 되고 상기 비교기(5)(6)(7)의 타측 입력단에는 사운드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이 저항(R5)을 통하여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5)(6)(7)에서는 기준 전압(Vref1)(Vref2)과 사운드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을 비교하게 된다.
즉 볼륨 업/다운 키를 누르면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서는 키 입력에 해당하는 펄스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를 출력시켜 주어 아나로그 전압으로 변환시킨후 사운드 IC(3)에 콘트롤 전압으로 인가시키게 되고 사운드IC(3)에서는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라 사운드 앰프(4)에서 출력되어지는 사운드 출력을 콘트롤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은 비교기(5)(6)(7)에 인가되어 기준 전압(Vref1)(Vref2)과 비교되게 되며 이때 콘트롤 전압이 기준전압(Vref1)보다 낮을 때에는 비교기(7)만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고 비교기(5)(6)는 로우 레벨을 출력시키게 되므로 스텝 모우드 발생기(10)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기(5)(6)(7)의 출력은 멀티 플렉서(11)에 인가되어 멀티 플렉서(11)에서는 스텝 모우드 발생기(10)의 스텝을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켜 주게 된다.
이때 스텝 모우드 발생기(10)의 스텝은 그 간격이 크게 설정된다.
즉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이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을 경우에는 비교기(7)로 검출하여 스텝 모우드 발생기(10)를 동작 시킴과 동시에 멀티 플렉서(11)로 선택하여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킴으로써 제 2b 도에서와 같이 기준전압(Vref1)이하에서는 스텝간격이 크게 한다.
이때 스텝 모우드 발생기(10)에서 발생되는 간격이 큰 스텝을 인가시켜도 사운드 레벨이 급변하지 않으므로 사운드 출력 레벨은 리니어하게 조정된다.
그러나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이 기준전압(Vref1)보다는 크고 기준전압(Vref2)보다는 작을 경우에는 비교기(6)만 하이레벨로 출력되고 비교기(5)(7)는 로우 레벨로 출력되므로 스텝모우드 발생기(9)가 동작되는 한편 멀티 플렉서(11)에서는 스텝 모우드 발생기(9)의 스텝을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스텝 모우드 발생기(9)에서는 간격이 좁은 스텝을 발생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콘트롤 전압이 미세하게 변하게 한다.
(제 2b 도 참조).
즉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이 기준전압(Vref1)보다 크고 기준전압(Vref2)보다 낮을 경우 즉 사운드 출력이 급변하는 경우에는 스텝 모우드 발생기(9)를 동작시켜 간격이 좁은 스텝을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킴으로써 이때에는 좀더 세분화되어 사운드출력이 조절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이 기준전압(Vref2)보다 높을 경우에는 비교기(5)가 하이 레벨이 되고 비교기(6)(7)는 로우 레벨이 되어 스텝 모우드 발생기(8)가 동작되고 멀티 플렉서(11)에서 스텝모우드 발생기(8)를 선택하게 되므로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서는 스텝 모우드 발생기(8)에서 발생된 간격이 큰 스텝을 인가시키게 되고 이때에는 사운드 레벨이 급변하지 않으므로 리니어하게 사운드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제 2b 도에서와 같이 사운드 레벨이 급격히 변하지 않는 부분(Vref1이하나 Vref2이상)에서는 간격이 큰 스텝으로 사운드 출력 레벨이 제어되게 하고 사운드 레벨이 급격히 변하는 부분(Vref1이상 Vref2이하)에서는 간격이 좁은 스텝으로 사운드 출력 레벨이 제어되게 하므로써 결국 어떠한 사운드 레벨에서도 사운드 출력 레벨은 제 2c 도에서와 같이 리니어하게 콘트롤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운드 레벨이 변함에 따라 콘트롤 스텝을 변화시켜 주어 사운드 출력 레벨을 리니어 하게 변화시키므로 특정의 사운드 레벨에서 사운드가 급격하게 변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디지털 펄스 발생기(1)의 출력이 디지털 아나로그 변환기(2)를 통하여 사운드IC(3)의 콘트롤 전압으로 인가시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을 서로 다르게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서 비교출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각기 다른 스텝을 발생시키는 스텝 모우드 발생 수단과 , 상기 스텝 모우드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스텝을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스위칭시켜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키는 멀티 플렉서(11)로 구성된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운드 IC(3)에 인가되는 콘트롤 전압은 비교기(5)(6)(7)에 인가되어 기준전압(Vref1)(Vref2)과 비교되게 비교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비교기(5)(6)(7)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각기 다른 간격의 스텝을 발생시키는 스텝 모우드 발생기(8)(9)(10)로 스텝 모우드 발생 수단을 구성시킨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 플렉서(11)는 비교기(5)(6)(7)의 출력 레벨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어 스텝 모우드 발생기(8)(9)(10)의 한 스텝을 디지털 펄스 발생기(1)에 인가시키도록 구성한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KR2019900012639U 1990-08-20 1990-08-20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KR920004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639U KR920004818Y1 (ko) 1990-08-20 1990-08-20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639U KR920004818Y1 (ko) 1990-08-20 1990-08-20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557U KR920005557U (ko) 1992-03-26
KR920004818Y1 true KR920004818Y1 (ko) 1992-07-20

Family

ID=1930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639U KR920004818Y1 (ko) 1990-08-20 1990-08-20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557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6873A (en) Laser diode driving circuit
WO2004030218A1 (en) Digital controller with two control paths
JPH05196661A (ja) プログラム可能なヒステリシスを有する比較器およびプログラム可能なヒステリシスを導出するための方法
KR950015226A (ko) 제2고조파발생방법 및 장치
US5633637A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circuit
KR910013732A (ko) 제어 회로
KR100220383B1 (ko) Pwm을 이용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장치 및 그 변환방법
KR920004818Y1 (ko)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KR950005174B1 (ko) 범용의 저가의 디지탈 진폭 조정기
KR100259287B1 (ko) 디스플레이 소자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 제어장치
KR920700419A (ko) 제어장치
EP0793339B1 (en) Electronic volume control circuit with controlled output characteristic
KR910002341B1 (ko) 아날로그신호 비교회로
JP2000092830A (ja) 電源回路
KR910001077Y1 (ko)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US5907300A (en) A/D conversion device with dynamic input control
JPH07231255A (ja) A/d変換器
KR0174491B1 (ko) 중심 주파수의 자동 조정이 가능한 필터
JPH02294269A (ja) 電源装置
KR920003034Y1 (ko) Pwm 제어특성 가변회로
KR950004048Y1 (ko) 마이콤의 볼륨 콘트롤 전압 제어회로
KR960001256Y1 (ko) 칼라이득 자동조절장치
KR970031292A (ko) 온도 보상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a comparator with temperature-compensated hysteresis)
JP4007840B2 (ja) D/a変換器を有する制御回路
KR920007377Y1 (ko) 영상 메뉴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