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77Y1 -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77Y1
KR910001077Y1 KR2019880020181U KR880020181U KR910001077Y1 KR 910001077 Y1 KR910001077 Y1 KR 910001077Y1 KR 2019880020181 U KR2019880020181 U KR 2019880020181U KR 880020181 U KR880020181 U KR 880020181U KR 910001077 Y1 KR910001077 Y1 KR 910001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trol
voltage
termina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612U (ko
Inventor
김정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77Y1/ko
Publication of KR900013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5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음성출력 제어회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음성출력제어집적회로
30 : 음성출력직선변화제어회로 40 : 스위칭 전압공급부
50 : 음성출력계단변화제어회로
본 고안은 전자볼륨(Electronic Volume)의 출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륨 스킵(Volume Skip)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볼륨이란 전기적 제어신호에 의해 음성신호의 출력을 가변출력하는 볼륨 콘트롤러로써 현재에는 텔레비젼 및 음성재생기에 널리 보급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 볼륨 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도의 도면중 참조부호 1은 D/A(Digital to Analog) 기능을 내장한 마이컴이고, 2는 소정레벨 입력에 따라 음량을 제어출력하는 볼륨 제어회로로써 집적회로이다. 이때 상기 마이컴(1)은 버스(9)로 입력되는 사운드-업(Sound up), 사운드- 다운(sound Down) 데이터 입력에 따라 D/A 변화된 PWM(Pulse with Modulation)신호를 D/A단자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PWM 신호는 사운드-업, 사운드 다운에 따라 펄스폭이 변화 출력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 마이컴(1)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시스템의 전원이 공급되어“파워-온”되면, 상기 마이컴(1)은 초기화된 소정 펄스폭의 PWM 신호를 D/A 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의 PWM 신호는 저항(4)와 캐패시터(C5)의 검역필터링(Low-pass Filtering) 동작에 의해 소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6)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6)는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전압 VBE에 의해 턴온되어 저항(7)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을 에미터로 출력한다.
따라서 음량 제어회로(2)는 상기 트랜지스터(6)의 에미터저항(8)의 양단전압에 따른 전압 제어단자(Vc)로 제공받게 되며 상기 제어단자(Vc)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음성출력량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도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마이컴(1)의 입력버스(9)로 사운드업 또는 다운 데이터가 계속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의 D/A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의 폭이 변화하여 출력된다. 예를들면 사운드-업 일 때 PWM 신호의 폭은 커지고, 사운드 다운일때에 상기 펄스폭은 작아진다.
따라서 저항(4), 캐패시터(5)에 의한 필터링전압이 상기 PWM 신호의 펄스폭 변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됨으로 트랜지스터(6)의 베이스-에미터간의 전압 VBE도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에미터간의 전압 VBE의 변화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6)의 에미터저항(8) 양단간의 전압이 변화함으로써 음량제어회로(2)의 제어단자(Vc)에 입력되는 전압도 변화한다. 그러므로 음량 제어회로(2)는 제어단자(Vc)에 입력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음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음량 출력 제어회로는 PWM신호의 변화에 따라 음량제어를 직선적으로만 변화 출력케 함으로써 초기 설정된 음량 출력 상태에서 특정한 음량까지 업(UP)시키거나 다운(Down)하려면 사운드업 또는 다운키를 계속적으로 눌러 마이컴(10)의 버스에 입력시키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볼륨의 출력 제어회로에 있어서, 음량 출력을 스킵하여 음성출력의 계단변환을 실행할 수 있는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PWM 신호 출력단자인 제1출력 단자(D/A), 메인출력단자(M), 제1,제2,제3출력단자(P1, P2, P3)를 가지는 마이컴( 10)과, 음량제어회로(20)와, 저항(R1-R3), 캐패시터(C1-C3), 다이오드(D7),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의 메인출력과 PWM신호출력에 의해 상기 PWM신호에 따른 제1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제1제어전압발생회로(33)와 저항(R4-R6)과 트랜지스터(Q2)(Q3)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제어전압에 따라 제2제어전압을 상기 을량제어회로(20)에 제공하는 제어전압출력회로(36) 구성된 음성출력 직선변화 제어회로(30)와, 상기 마이컴(10)의 제1, 제2, 제3단자(P1-P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스텝변화 제어신호를 스위칭 출력하는 다이오드(D1-D3)와, 저항(R7-R9), 캐패시 터(C4), 트랜지스터(Q4), 다이오드(D4)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에 의해 제1스텝변화전압을 상기 제어전압 출력회로(36)의 전압에 중첩하는 제1계단전압발생회로(52)와, 저항(R10-R12), 캐패시터(C5), 트랜지스터(Q5), 다이오드(D5)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D2)의 출력에 의해 제2스텝변환전압을 상기 제어전압 출력회로(36)의 전압에 중첩하는 제2계단전압발생회로(53)와, 저항(R13-R15), 캐패시터(C6), 트랜지스터(Q6), 다이오드(D6)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D3)의 출력에 의해 제3스텝변환전압을 상기 제어전압 출력회로(36)의 전압에 중첩하는 제3계단전압 발생회로(48)로 구성된 음성출력 계단변화 제어회로(5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a)는 직선적 변화에 의한 전압 변화 파형도이고, (b)는 계단변화에 의한 전압 변화 파형도이다.
이하 제2도의 동작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의 회로에 있어서 마이컴(1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어“파워온”이 되면, 상기 마이컴(10)은 메인단자(M)은“로우” 제1, 제2, 제3단자(P1-P3)로는“하이”를 출력하고 D/A 단자(D/A)로는 초기화된 초기치의 폭을 가지는 PWM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Q3)는“온”트랜지스터(Q4-Q6)의 베이스에는 다이오드(D1-D3)의 출력“하이”에 의해“오프”된다.
이때 마이컴(10)의 D/A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는 저항(R2), 캐패시터(C2)에 의해 저역필터링되어 소정 레벨을 가지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액티브 영역으로 천이되어 이로인해 저항(R5)에 의한 제한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콜렉터간을 통해 저항(R4)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베이스간의 저항 RQ2에 걸리게 되며, 상기 저항(R4)와 상기 저항 RQ2의 양단전압이 제3도인 N점과 같은 전압으로 제어단자(Vc)에 제공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한 제어전압을 입력하는 음량 제어회로(20)는 입력전압에 따라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정레벨의 제어전압에 의해 노말한 음성출력을 제어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매트릭스(Key Matrix) (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사운드업 데이터를 버스(15)로 입력시키면, 마이컴(10)의 D/A단자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의 펄스폭은 커진다.
상기 마이컴(10)의 PWM 신호 출력은 저항(R2)(C2)에 의해 저역필터링되어지며 상기의 전압은 PWM출력이 큰 상태임으로 증가된 전압이다. 상기 증가된 필터링 전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증가된 전압이 출력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2)로 오프상태로 치우쳐져 에미터-콜렉터의 저항 RQ2가 증가한다.
따라서“온”되어진 상태의 트랜지스터(Q3)의 부하가 커짐으로써 음량제어회로(20)의 제어단자(Vc)에 제공되는 전압은 제3도 N지점에서 NP점으로 증가한다. 이때 상기 음량제어회로(20)는 증가된 제어전압에 따라 음량을 제어하여 노말상태보다 큰 사운드를 출력케 한다.
만약 사운드 다운키를 눌려 사운드다운 데이터가 입력된 것이라면 마이컴(10)의 D/A단자로부터 출력되는 PWM신호의 펄스폭은 줄어 적은 출력을 저항(R2)(C2)에 의해 필터링되게 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압이 더욱 감소함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2)는 더욱 포화되어 에미터와 콜렉터간에 저항 RQ2가 감소함으로 트랜지스터(Q3)의 부하는 감소하게 된다. 즉, 저항(R4)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온”저항 RQ2가 줄어든 만큼 음량제어회로(20)의 제어단자(Vc)에 입력되는 전압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음량조절회로(20)의 제어단자(Vc)의 전압이 제3도 NP점에서 N점으로 향해 직선적으로 감소함으로 사운드의 출력량은 감소되어 음량은 적어짐으로써 사운드 업/다운키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직선적 변화로 제3a도와 같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노말사운드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음량 제1스텝제어 데이터 또는 제2스텝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제3스텝 제어데이타가 버스(15)로 입력되면, 마이컴(10)가 이를 분석하여 제1출력단자(P0) 또는 제2출력단자(P2)의 출력은“하이”에서“로우”로 천이출력하거나 제3출력단자(P3)의 출력을“로우”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0)의 제1, 제2, 제3출력단자(P1)(P2)(P3)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트랜지스터(Q4) 또는 (Q5) 및 (16)이 선택적으로 스위칭된다. 이때 상기 각 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에 각각 접속된 저항(R7-R8), (R10-R11), (R13-R14)의 각각의 분압전압을 V1, V2, V3라 한다면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야 한다.
V1〈V2〈V3
그러므로 제3도 N점과 같이 노말사운드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마이컴(10)의 제1출력단자(P1)에서“로우”신호가 출력되어지면,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됨으로 제3도 N점 전압에서 V1으로 상승되는 전압(V1)이 다이오드(P4)를 통해 음량제어회로(20)의 제어단자(Vc)에 인가됨으로 사운드는 계단 변화된다. 만약, 제2, 제3출력단자(P2)(P3)로부터“로우” 신호가 출력된다면 음량제어회로(20)의 제어단자(Vc)로는 제3도의 Vc와 Vc와 같은 높은 전압이 인가됨으로 사운드의 출력은 제3b도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 V1, V2, V3을 출력하는 제1, 제2, 제3계단 전압 발생회로(52)(5 4)(58)의 구동에 의해 음성출력의 가변폭을 계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전압 입력에 따라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볼륨에 있어서, 직선변화 및 계단전압 발생회로를 사용하여 청취 사운드 레벨을 쉽게 세팅할 수 있어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음량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메인제어단자, D/A 출력단자, 제1, 제2, 제3출력단자로 분석 결과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소정 제어단자(Vc)의 입력전압에 따라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20)를 구비한 음성신호 출력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0)의 메인 제어단자의 출력에 의해 스위칭되어 소정의 음량 제어 전압을 소정 제어전압에 의해 변화하는 소정부하에 따라 상기 음량제어회로(20)에 입력시키는 제어전압 출력회로(36)와, 상기 메인제어단자의 출력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마이컴(10)의 D/A 단자로 부터의 PWM 출력을 직류화하여 상기 제어전압의 부하 제어전압으로 패싱하는 제어 전압 발생회로(33)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의 D/A단자의 출력에 의해 음량을 직선변화시키는 음성출력 직선변화 수단(30)과, 제1, 제2, 제3전압발생과 상기 제1, 제2, 제3스텝제어 전압스위칭 패스 및 제1, 제2, 제3스위칭 제어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칭 제어신호단자의 제어입력에 따른 스텝제어전압을 상기 음량 제어회로(20)의 제어단자(Vc)로 패싱하는 음성출력 계단변화제어수단(50)과, 상기 마이컴(10)의 제1, 제2, 제3출력단자와 음성출력 계단변화 제어수단(50)의 제1, 제2, 제3스위칭 제어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컴(10)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전압공급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제어회로.
KR2019880020181U 1988-12-07 1988-12-07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KR910001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181U KR910001077Y1 (ko) 1988-12-07 1988-12-07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181U KR910001077Y1 (ko) 1988-12-07 1988-12-07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12U KR900013612U (ko) 1990-07-05
KR910001077Y1 true KR910001077Y1 (ko) 1991-02-21

Family

ID=1928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181U KR910001077Y1 (ko) 1988-12-07 1988-12-07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12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3980B2 (ja) 出力トランジスタのベース電流制御回路および電子装置の出力駆動段回路
JPS5989573A (ja) 電子スイツチ装置
KR910001077Y1 (ko) 음성신호의 계단별 출력 제어회로
US4347531A (en) Circuit converting a pair of differential input signals to single-ended output signals
US5099139A (en) Voltage-current converting circuit having an output switching function
KR920017375A (ko) 디지틀 제어 캐소우드 클램프 회로
KR940007877B1 (ko) 하나의 단자를 이용한 다단 뮤트회로
KR950004048Y1 (ko) 마이콤의 볼륨 콘트롤 전압 제어회로
US4800585A (en) Saturating bipolar switch circuit for telephone dial pulsing
JP3355197B2 (ja) デジタル出力回路
KR920004818Y1 (ko)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KR880001692Y1 (ko) 자동 이득 조절 회로의 입력 제어회로
KR0138675B1 (ko) 모니터의 밝기 조절회로
SU875633A1 (ru) Электронный ключ
JPH06165528A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
KR910006183Y1 (ko) 비디오 모드 스위칭 회로
JP2000013161A (ja) 可変利得増幅器
KR900004784Y1 (ko) 오디오 기기의 전자식 볼륨용 페이드인/아우트 제어장치
KR910001646Y1 (ko) 최대음량 출력회로
JPH0321082Y2 (ko)
TW361009B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KR910003567Y1 (ko)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KR890006039Y1 (ko) 전원 공급 장치
KR910008623Y1 (ko) 마이컴을 내장한 텔레비젼의 주전압 제어회로
KR0127537B1 (ko)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 홀드 조정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