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567Y1 -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567Y1
KR910003567Y1 KR2019880007363U KR880007363U KR910003567Y1 KR 910003567 Y1 KR910003567 Y1 KR 910003567Y1 KR 2019880007363 U KR2019880007363 U KR 2019880007363U KR 880007363 U KR880007363 U KR 880007363U KR 910003567 Y1 KR910003567 Y1 KR 91000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signal
sustain level
microcomputer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579U (ko
Inventor
전익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7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567Y1/ko
Publication of KR890023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67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서스테인(Sustain)레벨 조정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동작 흐름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서스테인 레벨제어부
30 : 음원신호 생성기 40 : 음색 필터기
50 : 앰프 60 : 스피커
본 고안은 전자악기의 서스테인(sustain) 레벨 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된 악기에 따라 서스테인 레벨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서스테인 레벨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서스테인(sustain) 레벨이나 사용자가 임의의 건반키이를 눌렀을 경우 발생하는 소정의 음이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하는 레벨을 말하는데 상기 서스테인 레벨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 악기음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마이컴의 출력단과 음원신호 발생기의 서스테인 단자를 직접 연결하므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음원신호 발생기의 서스테인 단자에 "로우" 혹은 "하이" 전압만을 인가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스테인 레벨을 갖는 자연악기의 엔벨로프(Envelope)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스테인 레벨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선택된 악기에 따라 서스테인 레벨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서스테인 레벨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10은 사용자가 임의의 악기를 선택할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어단자(C1, C2)를 통해 소정의 제 1 제어신호와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이며 20은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2)와 베이스단을 접속하며 제 1 노드(1)와 컬렉터단을 접속하고 에미터단을 접지하는 트랜지스터(206)와,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베이스단과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2)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1)와, 상기 제 1 노드(1)와 전원(Vcc)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2)와, 제 2 노드(2)와 컬렉터단을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1)와 베이스단을 접속하며 에미터단을 접지하는 트랜지스터(207)와,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베이스단과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1)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205)와 상기 제 2 노드(2)와 전원(Vcc)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4)와, 상기 제 2 노드(2)와 한측단을 접촉하며 상기 제 1 노드(1) 및 상기 음원신호발생기(30)와 다른 측단을 접속하는 저항(203)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의 제 1 제어신호와 제 2 제어신호가 입력함에 따라 스위칭되어 소정의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 생성부이고 30은 상기 마이컴(10)의 데이터와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 생성부(20)의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선택된 악기의 음원신호를 생성하는 음원신호 생성기이며 40은 상기 음원신호 생성기(30)은 음원신호를 필터링하여 선택된 악기의 음색신호로 변환하는 음색필터기이고 50은 상기 음색필터기(40)에서 출력하는 선택된 악기의 음색신호를 증폭하는 앰프이며 60은 상기 앰프(50)에서 증폭된 음색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동작흐름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동작파형도포서 (a)는 피아노가 선택된 경우의 엔벨로프 파형이고 (b)는 바이올린이 선택된 경우의 엔벨로프 파형이며 (c)는 오르간이 선택된 경우의 엔벨로프 파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기의 설명중 저항(203)=2×저항(202)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피아노음을 선택할 경우 마이컴(10)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음원신호 생성기(30)로 입력하는 동시에 제어단자(C1)을 통한 제 1 제어신호 = "로우", 제어단자(C2)를 통한 제 2 제어신호 = "하이"상태로 만드므로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저항(205)를 통해 베이스단으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07)은 "오프"상태이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저항(201)를 통해 베이스단으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06)은 "온"상태이다.
이때 저항(202)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으로 입력하는 전원(Vcc)이 에미터단으로 흘러나가므로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은 "로우"상태이고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컬렉터는 상기 저항(204)를 통한 전원(Vcc)에 의해 "하이"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컬렉터단에 걸리는 "하이"신호는 저항(203)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 및 에미터단으로 출력하므로 상기 저항(203)과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의 접속점에 걸리는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Vs)는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의 상태와 같아지고 이에 따라 "로우"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가 음원신호 발생기(30)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음원신호 발생기(30)는 제 3a 도의 파형과 같이 피아노의 엔베로프 신호를 생성하여 음색필터(40)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음색필터(40)는 입력된 피아노의 엔벨로프 신호를 피아노음으로 변환하며 앰프(50)로 입력하고 상기 앰프(50)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60)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바이올린음을 선택한 경우 마이컴(10)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음원신호 생성기(30)로 입력하는 동시에 제어단자(C1)를 통한 제 1 제어신호 "로우", 제어단자(C2)를 통한 제 2제어신호 "로우"상태로 만드므로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저항(205)를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07)은 "오프"상태이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저항(201)를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06)도 "오프"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은 "하이"상태이고 상기 트랜지스터(207)은 컬렉터단도 "하이"상태이다.
따라서 "하이"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VS)가 상기 음원신호 발생기(30)로 인가되고 이에따라 상기 음원신호 발생기(30)는 제 3b 도의 파형과 같이 바이올린의 엔벨로프 신호를 생성하여 음색필터(40), 앰프(50), 스피커(60)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오르간음을 선택할 경우 상기 마이컴(10)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음원신호생성기(30)로 입력하는 동시에 제어단자(C1)을 통한 제 1 제어신호 "하이"제어단자(C2)를 통한 제 2 제어단자 "로우"상태로 만드므로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저항(205)를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07)은 "온"상태이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저항(201)를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는 상기 트랜지스터(206)은 "오프"상태이다. 이때 저항(204)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컬렉터로 입력하는 전원(Vcc)이 에미터로 흘러나가므로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컬렉터는 "로우"상태이고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는 저항(202)를 통한 전원(Vcc)에 의해 "하이"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컬렉터단과 상기 저항(203)의 접속점에 걸리는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Vs)=
따라서,의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가 상기 음원신호발생기(30)로 인가되고 이에따라 상기 음원신호발생기(30)는 제 3c 도의 파형과 같이 오르간의 엔벨로프 신호를 생성하여 음색필터(40), 앰프(50), 스피커(60)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3가지 악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는데 상기 저항(202)와 (203)의 값을 조정해두면 다른 악기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서스테인 레벨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선택된 악기에 따라 다양하게 서스테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색필터기, 앰프 스피커를 구비한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레벨 조정회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악기를 선택할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어단자(C1, C2)를 통해 소정의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의 제 1 제어신호와 제 2 제어신호가 입력함에 따라 스위칭되어 소정의 서스테인 레벨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생성부(20)와, 상기 마이컴(10)의 데이타와 상기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생성부(20)의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선택된 악기의 음원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색필터기,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신호생성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테인 레벨 조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레벨 제어신호생성부(20)가 제 1 노드(1)와, 제 2 노드(2)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단자(C2)와 베이스단을 접속하여 상기 제 1 노드(1)와 컬렉터단을 접속하고 에미터단을 접지하는 트랜지스터(206)와, 상기 트랜지스터(206)의 베이스단과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2)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201)와, 상기 제 1 노드(1)와 전원(Vcc)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2)와, 상기 제 2 노드(2)와 컬렉터단을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단자(C1) 와 베이스단을 접속하며 에미터단을 접지하는 트랜지스터(207)와, 상기 트랜지스터(207)의 베이스단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단자(C1)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5)와, 상기 제 2 노드(2)와 전원(Vcc)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204)와, 상기 제 2 노드(2)와 한측단을 접속하며 상기 제 1 노드(1) 및 상기 음원신호 발생기(30)와 다른 측단을 접속하는 저항(20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레벨제어회로.
KR2019880007363U 1988-05-18 1988-05-18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KR91000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363U KR910003567Y1 (ko) 1988-05-18 1988-05-18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363U KR910003567Y1 (ko) 1988-05-18 1988-05-18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79U KR890023579U (ko) 1989-12-04
KR910003567Y1 true KR910003567Y1 (ko) 1991-05-31

Family

ID=1927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363U KR910003567Y1 (ko) 1988-05-18 1988-05-18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5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79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2796A (en) Solid state amplifier simulating vacuum tube distortion characteristics
KR930004923A (ko) 악음신호 합성장치
US4567806A (en) Sound generator
US4314207A (en) Transistor amplifier
KR910003567Y1 (ko)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US4175465A (en) Circuit for simulating string bass sound
KR910003568Y1 (ko) 전자 키보드의 플루트 (flurte) 음색 발생회로
US3823244A (en) Audio signal keyer
JPS63210894A (ja) 電子楽器の入力装置
JP2630699B2 (ja) 電子楽器
KR200143635Y1 (ko)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US4141270A (en) Modulated keyer supply sampling circuit
KR910000520Y1 (ko) 전자악기의 엔벨로프 파형 발생회로
JP3585647B2 (ja) 効果装置
KR970002328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어택 효과 발생장치
JPH06208378A (ja) 真空管を用いた電子楽器の歪付加装置
KR910005582Y1 (ko) 전자악기의 하이-하트 심벌음 발생회로
KR940015966A (ko) 전자악기의 엔벨로프 제어장치
JPS5856879B2 (ja) 電子楽器
KR940015960A (ko) 전자악기의 공간효과음장치
JPH067680Y2 (ja) 音響信号制御装置
KR910004664Y1 (ko) 전자오르간의 자동 반주 엔벨로프 발생회로
JPS5850386Y2 (ja) 電子楽器
KR910000519Y1 (ko)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JPS5855426Y2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