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19Y1 -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19Y1
KR910000519Y1 KR2019870011553U KR870011553U KR910000519Y1 KR 910000519 Y1 KR910000519 Y1 KR 910000519Y1 KR 2019870011553 U KR2019870011553 U KR 2019870011553U KR 870011553 U KR870011553 U KR 870011553U KR 910000519 Y1 KR910000519 Y1 KR 910000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ume
amplifier
variable resisto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384U (ko
Inventor
정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1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519Y1/ko
Publication of KR890003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음량 대 주파수 특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의한 음량 대 주파수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원 발생부 2 : 반주신호 발생부
30 : 제1증폭부 40 : 제2증폭부
50 : 제3증폭부 60 : 스피커
70 : 음량 음질 제어부 R1-R2 : 저항
VR1-VR2 : 가변저항 L : 코일
C : 캐패시터
본 고안은 전자악기의 음량 및 음질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변화되는 음량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저음 대역 및 고음대역의 신호를 중음대역보다 큰 레벨로 보상할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악기는 익스프레션 페달(Expression Pedal)에 의해 악기음의 출력 음량 레벨을 보상할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음원을 음원발생부(10)와, 자동 반주신호를 발생하는 반주신호 발생부(20)와, 상기 음원 발생부(10) 및 반주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을 입력하여 사운드 음원 및 자동 반주신호를 혼합 증폭하는 제1증폭부(mixer amp)(30)와, 가변저항(VR)에 의해 상기 제1증폭부(30)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부(voltagecontrol amp)(40)와, 상기 제2증폭부(40)의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70)로 인가하는 제3증폭부(main amp)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음원 발생부(10)는 사운드 음원을 발생하며, 반주신호 발생부(20)는 자동 반주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1증폭부(30)는 상기 사운드 음원 및 자동 반주신호를 입력하여 혼합 증폭하며 제2증폭부(4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2증폭부(40)에서는 가변저항(VR)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으로 상기 제1증폭부(30)을 증폭한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VR)은 익스프레션 페달의 세기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으로서, 결국 상기 제2증폭부(30)는 제1증폭부(30)의 출력을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증폭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증폭부(40)의 출력은 제3증폭부(50)에서 다시 증폭되어 스피커(60)로 공급되므로 재생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60)로 재생되는 출력음량은 익스프레션 페달의 세기에 배례하는 음량으로 제어되므로 음량레벨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갖게된다.
그러나 인간의 귀로 느끼는 음량 레벨과 스피커에 의해 재생되는 음량 레벨과의 비율은 주파수에 대해 일정치 않으며, 특히 저음 대역에 있어서는 더욱 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악기음을 청취할 시 소음량 레벨의 저음 대역에서는 동일 음량 레벨의 중음 대역 보다 작게 느껴진다. 즉, 소음량 레벨에서는 중음 대역보다 저음 대역에서 음량 제어정도가 강하게 행해지는 것과 같이 느껴진다.
또한 대음량 레벨에서는 고음 대역의 신호가 소음량 레벨에서 저음 대역 신호와 비교할 때 정도차이는 다르지만, 중음대역과 비교하면 역시 음량 제어가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음량 레벨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음 및 고음대역에서 음량 레벨이 작게 느껴지게 되어 악기음 청취시 정확한 음량을 느낄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악기에서 익스프레션 페달에 연동되어 소음량 레벨시 저음 대역의 음량을 보상하고 대음량 레벨시 고음대역의 음량을 보상하여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체회로도로서, 사운드 음원 신호를 발생하는 음원발생부(10)와, 자동 반주신호를 발생하는 반주신호 발생부(20)와, 상기 사운드 음원 신호와 자동 반주신호를 입력하여 혼합 증폭한 후 제1노드(N1)로 출력하는 제1증폭부(30)와, 상기 제1노드(N1)의 출력신호를 음량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여 제2노드(N2)로 출력하는 제2증폭부(40)와, 상기 제1노드(N1) 및 제2노드(N2)사이에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연동되어 가변되는 음량 레벨 제어용 가변저항(VR1)을 접속하고, 상기 제1노드(N1)의 궤환 음량 레벨에 의해 연동되어 가변되는 가변저항(VR2)을 제3노드(N3) 및 제4노드(N4)사이에 접속하며, 상기 제3노드(N3)와 접지사이에 저역 필터(LPF)를 접속하고, 상기 제4노드(N4)와 접지사이에 고역필터(HPF)를 접속하도록 이루어져 음량 레벨에 따라 저음 또는 고음대역의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음량 레벨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음량을 음질 제어부(70)와, 상기 제2노드(N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60)으로 공급하는 제3증폭부(50)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라 소음량 레벨에서의 저음대역과 대용량 레벨에서의 고음대역의 신호가 보상됨을 도시하고 있는 음량대 주파수의 특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먼저 제1증폭부(30)는 전술한 바와같이 사운드 음원 및 자동 반주신호를 혼합 증폭하여 제1노드(N1)로 출력하며, 제1노드(N1)의 신호는 제2증폭부(40)에서 증폭되어 제2노드(N2)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1노드(N1) 및 제2노드(N2)사이에는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저항(VR1)을 접속하여 익스프레션 페달의 조작에 따른 음량 레벨 변화신호를 다시 제1노드(N1)로 부궤환시킨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VR1)에 증폭 결합된 가변저항(VR2)는 상기 가변저항(VR1)에서 발생하는 음량 레벨에 따라 섭동 단자가 제3노드(N3) 또는 제4노드(N4)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저항(VR1,VR2)을 익스프레션 페달이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음량 레벨의 크기에 따라 저음대역 또는 고음대역이 음량을 보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익스프레션 페달을 세게 조작하여 대음량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이 커지게 되어 가변저항(Vr2)의 섭동단자는 제4노드(N4)측으로 이동된다. 이로인해 상기 가변저항(VR2)의 제4노드(N4)측에 접속된 저항(R2) 및 캐패시터(C)의 고역필터(HPF)가 동작되어 고음대역의 주파수가 바이패스 된다. 따라서 대음량 레벨일시에는 상기 가변저항(VR2) 및 고역필터(HPF)에 의해 고음대역의 주파수가 바이패스 되므로, 제1노드(N1)로 공급되는 공음대역의 궤환량이 적게 되어 제2증폭부(40)는 고음대역의 음량을 더 크게 증폭하게 된다.
그러므로 대음량 레벨일시 제3증폭부(50)를 통해 스피커(60)에서 재생되는 음량신호는 제4도의(4a)와 같이 고음대역의 음량이 보상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익스프레션 페달을 미세하게 조작하여 소음량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이 작아지게 되며, 이로인해 가변저항(VR2)의 섭동단자는 제3노드(N3)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변저항(VR2)의 제3노드(N3)측에 접속된 저항(R1) 및 코일(L)의 저역필터(LPF)가 동작되어 저음대역의 주파수가 바이패스 된다. 따라서 소음량 레벨일시에는 상기 가변저항(VR2) 및 저역필터(LPF)에 의해 저음대역의 주파수가 바이패스 되므로, 제1노드(N1)로 공급되는 저음대역의 궤환량이 적게되어 제2증폭부(40)는 저음대역의 음량을 더 크게 증폭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음량 레벨일시에는 스피커(60)를 통해 재생되는 음량신호가 제4도(4a)와 같이 저음대역에서 음량이 보상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중음량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VR2)의 섭동단자는 중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저음영역 및 고음영역의 신호에 대한 보상없이 제1노드(N1)로 궤환되므로 제2증폭부(40)는 중음량 레벨에서 전영역의 신호를 동일하게 증폭하여 제3증폭부(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스피커(60)에서 재생되는 중음량 레벨의 신호는 제4도의(4b)와 같이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갖게된다.
상기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가변저항(VR1)은 익스프레션 페달의 조작에 따라 음량을 제어하는 수단(Volume control)이 되고, 가변저항(VR2), 고역필터(HPF) 및 저역필터(LPF)는 상기 가변저항(VR1)의 출력 레벨에 따라 고음영역 및 저음영역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음질을 제어하는 수단(Tone control)이 된다. 따라서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연동되는 가변저항(VR1,VR2)에 의해 대음량 레벨시 고역필터(HPF)가 동작되어 제1노드(N1)로 고역 궤환량을 적게 함으로서 제2증폭부(40)에서 고음영역의 음량을 크게 보상하고, 소음량 레벨시 저역필터(LPF)가 동작되어 제1노드(N1)로 저역궤환량을 적게하여 제2증폭부(40)에 저음영역의 음량을 크게 보상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최종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출력 음량 형태는 소음량 레벨에서는 저음영역의 음량레벨이 강조되고, 대음량 레벨에서는 고음영역의 음량레벨이 강조되므로, 청취시 음량레벨에 관계없이 자연적인 악기의 음색을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운드 음원 신호와 자동반주 신호를 입력하여 혼합 증폭한 후 제1노드(N1)로 출력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제1노드(N1)의 출력신호를 음량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여 제2노드(N2)로 출력하는 제2증폭부와, 상기 제2노드(N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공급하는 제3증폭부를 구비한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N1) 및 제2노드(N2)사이에 익스프레션 페달에 의해 연동되어 가변되는 음량 레벨 제어용 가변저항(VR1)을 접속하고 상기 제1노드(N1)의 궤환 음량 레벨에 의해 연동되어 가변되는 가변저항(VR2)을 제3노드(N3) 및 제4노드(N4)사이에 접속하며, 상기 제3노드(N3)와 접지사이에 저역필터(LPF)를 접속하고, 상기 제4노드(N4)와 접지사이에 고역필터(HPF)를 접속하도록 구성하여, 음량 레벨이 클시 상기 가변저항(VR2)에 의해 고역필터(HPF)가 동작되어 상기 제1노드(N1)의 고역 궤환량을 감소시켜 고역음량을 높이는 동시에 음량 레벨이 작을시 상기 가변저항(VR2)에 의해 저역필터(LPF)가 동작되어 상기 저역 궤환량을 감소시켜 저역 음량을 높일수 있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음량음질 제어회로.
KR2019870011553U 1987-07-14 1987-07-14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KR910000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553U KR910000519Y1 (ko) 1987-07-14 1987-07-14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553U KR910000519Y1 (ko) 1987-07-14 1987-07-14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384U KR890003384U (ko) 1989-04-13
KR910000519Y1 true KR910000519Y1 (ko) 1991-01-25

Family

ID=1926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553U KR910000519Y1 (ko) 1987-07-14 1987-07-14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5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384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893A (en) Dual mode music instrument amplifier
US4982435A (en) Automatic loudness control circuit
US4701957A (en) Dual mode music instrument preamplifier
US5977474A (en) Continuously variable circuit for produc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amount of clean and distorted signals
US4191852A (en) Stereophonic sense enhancing apparatus
US4166197A (en) Parametric adjustment circuit
GB2062995A (en) Negative feedback amplifying circuit
US4055818A (en) Tone control circuit
US4320534A (en) Loudness control circuit
US4890331A (en) Specialized amplifier systems for musical instruments
JP2861885B2 (ja) 効果付与アダプタ
US4286492A (en) Control for electronic amplifiers
US5023915A (en) Specialized amplifier systems for musical instruments
US4916409A (en) Signal conditioner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KR910000519Y1 (ko) 전자악기의 음량 음질 제어회로
JPS63314099A (ja) 音響機器の騒音補償装置
JP3951767B2 (ja) オーディオミキサー
JP4038850B2 (ja) マイク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S6137038Y2 (ko)
JPH0611632Y2 (ja) 自動ラウドネス制御回路
JP2522936B2 (ja) 自動ラウドネス制御回路
JP2767389B2 (ja) イコライザ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KR910003567Y1 (ko) 전자악기의 서스테인 (Sustain) 레벨 조정회로
US4303891A (en)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with frequency dependent amplification
JP2005321566A (ja) 真空管を用いた電子楽器の歪付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