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77Y1 - 영상 메뉴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영상 메뉴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77Y1
KR920007377Y1 KR2019900006098U KR900006098U KR920007377Y1 KR 920007377 Y1 KR920007377 Y1 KR 920007377Y1 KR 2019900006098 U KR2019900006098 U KR 2019900006098U KR 900006098 U KR900006098 U KR 900006098U KR 920007377 Y1 KR920007377 Y1 KR 920007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pwm
image menu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298U (ko
Inventor
백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77Y1/ko
Publication of KR910021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메뉴 선택회로
제1도는 종래 영상기기에서의 영상 메뉴 콘트롤 회로.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PWM부의 내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 2-5 : 저역통과필터
6 : PWM부 7-10 : 전압제어 발진기
Q1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sharapness), 틴트(Tint)등의 영상 메뉴를 콘트롤 하여야 하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4모우드로 프리셋팅시킨 영상 메뉴를 선택해 주도록 하여 영상신호의 입력 소오스(source)에 따라서 영상 메뉴를 매번 콘트롤 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시킬수 있도록한 영상 메뉴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각의 입력 소오스에 따른 최적의 화면 상태로 미리 영상 메뉴를 프리셋팅 시킨후 사용자가 임의로 영상 메뉴를 선택해 줄수 있도록 하여 매번 영상 메뉴를 콘트롤 해야 하는 불편을 없앤 것이다.
종의 영상기기에서는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등의 영상 메뉴를 콘트롤 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의 출력단자(P1-P4)에서 추력되는 PWM펄스를 콘트롤 하여 저역통과필터(2-5)에서 DC 값으로 변환시켜 영상메뉴를 콘트롤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브라이트를 콘트롤 하기 위해서는 키매트릭스의 브라이트 조정키를 눌러 마이콤(1)의 출력단자(P1)에서 출력되는 PWM 펄스를 제어해 주므로써 출력단자(P1)의 PWM펄스 출력을 DC 값으로 변환시키는 저역통과필터(2)의 DC 값을 변화시켜 주어 브라이트를 콘트롤 하는 것이었다.
콘트라슬, 샤프니스, 틴트등의 콘트롤도 상기 브라이트의 콘트롤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소오스에 따른 영상메뉴를 콘트롤 하기 위해서는 4가지 조정키를 눌러 원하는 최적상태의 화면을 세팅시켜 주어야 하므로 A/V나 기타 다른 입력 소오스에 따른 화면 상태를 조정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즉 영상신호의 입력 소오스에 따라 영상메뉴가 서로 상이하므로 이를 조절하여 적당한 화면 상태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입력소오스가 바뀔때마다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등의 영상 메뉴를 다시 콘트롤 해주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단하여 미리 4모우드로 영상 메뉴를 세팅시킨후 이를 입력 소오스에 따라 간단히 선택되도록 하므로써 영상기기의 영상 메뉴 콘트롤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목적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로써 마이콤(1)에서 출력되는 영상 메뉴 콘트롤 PWM펄스가 저역통과필터(2-5)를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된 영상 메뉴 콘트롤 회로에 있어서, 영상 메뉴 선택키 입력을 인식한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레벨에 따라 프리셋팅시킨 PWM 펄스중 하나의 PWM 펄스를 선택 출력시키느 PWM부(6)와, 상기 PWM부(6)의 PWM 펄스와 마이콤(1)의 영상 메뉴 콘트롤 PWM 펄스를 스위칭 선택하여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시키는 스위칭소자(SW1)와, 상기 스위칭소자(SW1)의 스위칭동작을 선택하고 모우드 선택키 입력을 인식한 마이콤(1)의 출력단자(P7)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PWM부(6)는 영상신호 입력 소오스에 따라 미리 프리셋팅시킨 전압(V1a-V4d)과 상기 전압(V1a-V4d)을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치(S1-S4)와, 상기 스위치(S1-S4)에서 선택된 전압에 따라 발진주기를 변화시켜 스위칭소자(SW1)에 인가시키는 전압제어 발진기(7-10)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PWM부(6)의 전압(V1a-V4d)은 파우어 '온'시 PWM부(6)에 인가되는 전원을 저항으로 분배시켜 프리셋팅시키게 되며 각 저항의 저항값을 조정하여 파우어 '온'시 각각 상이하게 설정된 일정전압(V1a-V4d)을 얻을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V1a-V4d)은 입력신호 소오스에 따라 미리 세팅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서 먼저 키매트릭스 상의 모우드 선택 키를 눌러 영상 메뉴 선택 모우드를 인식시키며 마이콤(1)에서는 출력단자(P7)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측을 로우레벨로 떨어뜨려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가 단자(L)로 절환되어 PWM부(6)의 출력이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게 하고 키매트릭스의 모든 모우드 선택키를 누르지 않으면 마이콤(1)에서는 출력단자(P7)로 로우레벨을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가 단자(H)로 절환되게 한다.
이같이 키매트릭스의 모우드 선택키를 누르지 않으면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는 단자(H)로 접속되어 마이콤(1)의 출력단자(P1-P4)에서 출력되는 PWM펄스가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1-C4)를 통하여 그대로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게 되며 이때 마이콤(1)의 출력단자(P1-P4)에서 출력되는 PWM 펄스는 사용자가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 조정키를 눌러 조정해 주는 PWM 펄스가 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영상 메뉴 조정방법과 동일하다.
즉 모우드 선택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의 영상 메뉴 콘트롤은 종래와 동일하게 각각의 조정키를 눌러 주어야만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키매트릭스의 모우드 선택키를 누르면 마이콤(1)에서는 출력단자(P7)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써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가 단자(L)로 접속되게 하며 이때 부터는 PWM 부(6)의 PWM 펄스 출력에 의하여 영상 메뉴가 선택되어지게 된다.
이같이 키매트릭스의 모우드 선택키를 눌러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가 단자(L)로 접속되게 한 후에는 영상 메뉴 선택키를 눌러 PWM부(6)의 출력을 선택해 주어야 한다.
마이콤(1)에서는 영상 메뉴 선태키를 눌린 횟수에 따라 출력단자(P5)(P6)로 각각 "L, L", "L, H", "H, L", "H, H" 상태의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게 되고 PWM부(6)는 상기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에 따라 전압(V1a-V4d)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PWM부(5)의 전압(V1a-V4d)은 파우어 '온'시 인가되는 전원을 저항으로 분배시켜 세트 생산시부터 프리셋팅시켜 놓게 되며 상기 전압(V1a-V4d)은 스위치(S1-S4)에서 선택되어 전압제어 발진기(7-10)에 인가되나 여기서 스위치(S1-S4)는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에 의하여 4가지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써 멀티플렉서등의 전자 스위치로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이 "L, L"이면 스위치(S1-S4)는 단자(A)로 접속되어 전압(V1a-V1d)이 선택되고, "L, H"이면 스위치(S1-S4)의 단자(B)로 접속되어 전압(V2a-V2d)이 선택되고, "H, L"이면 스위치(S1-S4)의 단자(C)로 접속되어 전압(V3a-V3d)이 선택되고, "H, H"이면 스위치(S1-S4)의 단자(D)로 접속되어 전압(V4a-V4d)이 선택된다.
이같이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에 의하여 스위치(S1-S4)에서 전압(V1a-V4d)이 선택되게 되면 상기 전압(V1a-V4d)에 따라 전압제어 발진기(7-10)의 발진주기가 변화하게 되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7-10)의 PWM 펄스는 스위칭소자(SW1)를 통하여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므로써 원하는 영상 메뉴를 선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영상신호 입력 소오스 별로 미리 전압(V1a-V4d)을 프리셋팅시켜 놓은후 입력 소오스에 따라 영상 메뉴선택키만 눌러주게 되면 스위치(S1-S4)에서 선택된 전압(V1a-V4d)에 의하여 전압제어 발진기(7-10)에서는 발진주기를 변화시킨 PWM 펄스가 출력되게 되고 이러한 PWM부(6)의 PWM 출력펄스는 스위칭소자(SW1)를 통한후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어 각각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 등의 영상 메뉴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들어 가정용 VTR 소오스에 따른 영상 메뉴를 전압(V1a-V1d)으로 프리셋팅시켜 놓았다면 사용자는 가정용 VTR 소오스의 신호원이 입력될때에는 모우드 선택 키를 눌러 스위칭소자(SW1)의 내부 스위치를 단자(L)로 접속시킨 후, 영상 메뉴 선택키를 눌러 PWM부(6)에서 전압(V1a-V1d)을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이같이 전압(V1a-V1d)이 선택되면 전압(V1a-V1d)에 의해 전압제어 발진기(7-10)에서 PWM 펄스가 출력되게 되고 이때의 PWM 펄스는 스위칭소자(SW1)를 통하여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므로써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의 영상 메뉴는 미리 세팅시켜 놓은 상태로 조정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소오스 원이 바뀌더라도 간단히 프리셋팅된 상태로 영상 메뉴를 선택해 주어 최적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또한 소오스 원이 바뀔때마다 영상 메뉴를 콘트롤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입력 영상 소오스원이 변할때마다 매번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틴트 등의 영상 메뉴를 조절해 주는 불편을 해소시킬수 있는 것으로 입력 소오스원에 따른 영상 메뉴 조절값을 미리 셋팅시킨후 소오스원이 바뀔때 마다 간단히 선택해 주면 영상 메뉴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절되게 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소오스원이 변하더라도 영상 메뉴가 조절된 최적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마이콤(1)의 영상 메뉴 조절용 PWM 펄스가 저역통과필터(2-5)를 통하여 영상 메뉴를 조절하게 구성된 영상 메뉴 조절 회로에 있어서, 영상 메뉴 선택키 입력을 인식한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레벨에 따라 프리셋팅시킨 PWM 펄스중 하나의 PWM 펄스를 선택 출력시키는 PWM부(6)와, 상기 PWM부(6)의 PWM 펄스와 마이콤(1)의 영상 메뉴 콘트롤 PWM 펄스를 스위칭 선택하여 저역통과필터(2-5)에 인가시키는 스위칭소자(SW1)와, 상기 스위칭소자(SW1)의 스위칭동작을 선택하고 모우드 선택키 입력을 인식한 마이콤(1)의 출력단자(P7) 출력에 의하여 구성되는 트랜지스터(Q1)를 연결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메뉴 선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PWM부(6)는 영상신호 입력 소오스에 따라 미리 프리셋팅시킨 전압(V1a-V4d)과, 상기 전압(V1a-V4d)을 마이콤(1)의 출력단자(P5)(P6)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치(S1-S4)와, 상기 스위치(S1-S4)에서 선택된 전압에 따라 발진주기를 변화시켜 스위칭소자(SW1)에 인가시키는 전압제어 발진기(7-10)를 연결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메뉴 선택회로.
KR2019900006098U 1990-05-08 1990-05-08 영상 메뉴 선택회로 KR920007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98U KR920007377Y1 (ko) 1990-05-08 1990-05-08 영상 메뉴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98U KR920007377Y1 (ko) 1990-05-08 1990-05-08 영상 메뉴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298U KR910021298U (ko) 1991-12-20
KR920007377Y1 true KR920007377Y1 (ko) 1992-10-12

Family

ID=1929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098U KR920007377Y1 (ko) 1990-05-08 1990-05-08 영상 메뉴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298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458A (en) Fader device having a fine adjustment of the signal level
CA2094769C (en) Automatic adjustment circuit for analog control unit
JPS5811789B2 (ja) テレビジヨンジユゾウキ ノ セイギヨホウホウ
KR920007377Y1 (ko) 영상 메뉴 선택회로
FR2683414A1 (fr) Commande de contraste et de luminosite pour recepteur de television avec teletexte.
US5125106A (en) Switching control apparatus for tuning system
JPS5846113B2 (ja) 制御装置
KR930003011B1 (ko) 표준 모우드 프리세팅 시스템
JPH0656938B2 (ja) デジタル振幅調整装置
JP2735582B2 (ja) セラミツク型水晶振動子を有する電圧制御発振器
KR950004166Y1 (ko) Vtr의 원 터치 화질 음질 선택회로
KR200170031Y1 (ko) 브이씨알의 자동이득 제어회로
KR910007198Y1 (ko) 브라운관의 밝기 조절회로
KR920008527Y1 (ko)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CN218679430U (zh) 一种调节装置
KR0184023B1 (ko) 셔틀스위치 조작에 대한 동작상태 표시장치와 표시방법
KR920004942Y1 (ko) 방송신호의 세기를 이용한 자동 샤프니스회로
KR0174491B1 (ko) 중심 주파수의 자동 조정이 가능한 필터
KR900006395B1 (ko) 컴퓨터를 이용한 모니터 제어회로
KR900005946Y1 (ko) 안티 오토 아이리스 회로
KR910002784Y1 (ko) 멀티시스템 tv의 색신호 대역 보상회로
KR910000650Y1 (ko) 스위칭 회로
KR0134163B1 (ko) 리모콘 장치 및 텔레비젼 수상기
KR920004818Y1 (ko) 사운드 출력의 리니어 콘트롤 회로
KR100200824B1 (ko) 영상 페이드 속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