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10B1 -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10B1
KR920004810B1 KR1019870011151A KR870011151A KR920004810B1 KR 920004810 B1 KR920004810 B1 KR 920004810B1 KR 1019870011151 A KR1019870011151 A KR 1019870011151A KR 870011151 A KR870011151 A KR 870011151A KR 920004810 B1 KR920004810 B1 KR 92000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ine powder
composition
inorganic fin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082A (ko
Inventor
히로시 아사우미
젠지 시무라
다께히로 요시다
겐지 다다꾸마
신자부로 스즈끼
노리오 다까다
겐이찌 나까무라
다께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가부시끼가이샤
오또우마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757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8687A/ja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가부시끼가이샤, 오또우마 다까시 filed Critical 니찌아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F16J15/1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generally parallel to the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36Composite
    • Y10S277/938Carbon or graphite particle or fila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 Y10S277/945Containing fluorine
    • Y10S277/946PT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699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707Next to natural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4Including a free metal or alloy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4Including a free metal or alloy constituent
    • Y10T442/656Preformed metallic film or foil or sheet [film or foil or sheet had structural integrity prior to association with the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9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실시예의 일부 파단한 평면도.
제 5 도는 제 3 실시예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
제 6 도는 제 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7 도는 제 4 실시예의 일부의 조립강판(爪立鋼板)을 가스켓 재료로부터 박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8 도는 제 5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9 도는 제 5 실시예의 일부 파단한 평면도.
제 10 도는 제 6 실시예의 시이트 가스켓의 횡단면도.
제 11 내지 13 도는 제 7 실시예의 시이트 가스켓의 횡단면도.
제 14 도는 제 8 실시예, 제 1 번의 연질시이트 가스켓의 횡단면도.
제 15 도는 제 8 실시예, 제 5 번의 연질시이트 가스켓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제1 내지 9도-1 : 가스켓 시이트 2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미분말
3 : 무기질 미분말 4 : 메쉬상 금속판
5 : 무기질 섬유분말 6 : 조립강판
7 : 가스켓 재료 8 : 조립강판
9 : 엠보스 가공 알루미늄판 제10 내지 13도-2 : PTFE
3 : 무기질미분말 5 : 무기질섬유분말
10 : 합성수지 제14 및 15도-2 : PTFE
3 : 카올리나이트 클레이 5 : 알루미나 섬유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하는 특정한 조성물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열성, 내약품성에 뛰어나고 그리고 밀봉성 및 응력 완화 특성에 뛰어난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밸브류, 펌프류, 배관용이음매류, 각종 기기류 등에 사용되는 가스켓 재료로서는 석면을 주성분으로 한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년에 석면은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고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어가고 있다. 석면을 사용하지 않는 가스켓 재료로서는 고무시이트, 고무를 결합재로한 버미큐라이트시이트, 팽창흑연시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디스퍼젼을 함침시킨 유리클로스, 카아본 클로스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석면을 사용하지 않는 가스켓 재료에는 각각 다음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고무시이트는 내열성에 문제가 있어 고온에서의 사용이 곤난하다. 고무를 결합재로한 버미큐라이트시이트는 고무의 열열화에 의하여 소부를 일으키며, 또 밀봉성이 나쁘다. 팽창흑연시이트는 강도가 낮으므로 취급성이 나쁘며, 또, 고가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디스퍼젼을 함침한 유리클로스나 카아본클로스는 응력 완화 특성에 난점이 나타나서 밀봉성이 나쁘며, 또 고가이다.
또, 자동차 엔진용의 실린더헤드 가스켓에 취부되는 고온 고압용 가스켓으로서는 조립강판 또는 엠보스가공 알루미늄판 등의 요철있는 금속판 등의 담체의 양면에 상기와 같은 석면 시이트 기타의 가스켓 재료를 점합하여서 일체로한 복합 가스켓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저체부압으로 사용하는 연질시이트 가스켓으로서는 고무를 결합재로한 석면시이트 또는 상기의 각종 가스켓 재료를 사용한 것도 알려져 있으나,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문제점이 남아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룬 것이다. 즉, 석면시이트에 대신할 수 있는 뛰어난 내열성, 밀붕성을 갖고, 그리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고, 염가이고, 그리고 내유, 내수성에 뛰어나며 응력 완화 특성에도 뛰어난 가스켓 재료를 제공하고자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하는 특정한 조성물이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 극히 뛰어나고, 상술한 목적을 원활히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임을 새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①-③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를 새로히 제공하는 것이다.
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에 대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가 5중량% 이상이고, 무기질 미분말이 40중량% 이상일 것.
②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80중량% 이상일 것.
③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이 서로 분산 혼합되어 있을 것.
본 발명에 있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이하, PTFE라 한다)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뿐만 아니라 용융 유동성을 부여하기에 이르지 못한 정도의 소량(예를들면, 0.5몰% 정도 이하)의 다른 공단량체를 공중합시켜서 변성된 것도 포함된다. 이와같은 공단량체로서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알콕시알킬비닐에테르),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등이 예시된다. 또, 너무 저분자량의 것은 액상 또는 겔상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기는 표준비중에서 계산되는 분자량이 103이상의 고체를 50% 이상 함유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은 PTFE는 유화중합에 의하여 얻어진 것이 무기질 미분말과의 혼합성 또는 후술하는 화이브릴화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지만 유화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PTFE에 다른 중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PTFE의 미분쇄물이 혼합되어도 무방하다. 또 이들 PTFE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전단력에 의하여 화이브릴화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이브릴화된 PTFE의 존재는 조성물중의 PTFE 또는 무기질 미분말의 분산 상태를 양호하게하여 시이트상 성형체 등으로 성형했을 때의 유연성이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무기질 미분말로서는, 평균입경이 100μ정도 이하의 내열성, 내약품성에 뛰어난 무기질 미분말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평균 입경이 너무크면 가스켓의 표면의 평활성이 상실되거나, 또, 밀봉성이 나빠지거나 성형가공이 곤난하게 되거나 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이와같은 무기질 미분말로서는 여러가지 채용 가능하지만 규소 및 알루미나를 주체로하고, 마그네슘, 철, 알카리토류금속, 알카리금속 등을 함유하는 함수규산염 광물이 성형의 용이성, 시이트 가스켓의 밀봉성 및 응력 완화율이 뛰어나는 등의 이유로해서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특히, 카올리나이트, 할로시이트, 기수할로시이트 등의 카올린형의 점토광물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서는, PTFE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에 대하여, PTFE가 5중량% 이상이고, 무기질 미분말이 40중량% 이상이다. PTFE량이 5중량%보다도 작을때는 치밀하고 밀봉성이 뛰어난 가스켓의 성형이 곤난하게 되며, 또, 성형된 가스켓도 압축에 대한 복원율이 작은 것으로 되어 기공율이 작은 가스켓재가 얻어지기 힘들며, 가스켓으로서의 사용에 감당하기 힘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PTFE가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TFE의 양의 상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너무 많아지면 고가의 것이 되므로 범용 가스켓 재료로서의 특징이 희박해지는점, 가스켓 재료의 압축율이 저하하는 일 등으로하여 60중량% 이하, 특히 50중량%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질 미분말의 양이 40중량%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웅력 완화율이 커지며, 또 고가의 PTFE의 양이 커지므로 가스켓으로서도 고가의 것으로 되어 범용에 부적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무기질 미분말의 양이 커지면 응력 완화율이 작아지지만 기공율 및 기공직경이 작고 치밀한 가스켓 재료를 얻기 힘들다. 즉, 밀봉성이 저하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바람직한 무기질 미분말의 함유량은 50∼90중량%이다.
또,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조성물은 상술한 PTFE 및 무기질 미분말 이외에 무기질 섬유분말, 합성수지 등의 다른 충전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무기질섬유 분말으로서는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난 것이 채용되며, 예를들면, 카아본 섬유 분말, 유리섬유 분말, 알루미나섬유 분말등이 예시된다. 또, 합성수지로서는 내열성이 뛰어난 퍼플루오로알콕시수지,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수지, 폐놀수지 등이 예시된다. 무기질 섬유 분말을 병용함으로써 가스켓의 압축성이 높아져서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무기질 섬유 분말으로서는 직경 3∼30μ정도, 특히 바람직하기는, 6∼15μ정도로서, 길이 50∼300μ정도, 특히 바람직하기는, 70∼200μ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합성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무기질 미분말의 지지성이 향상하며, 또 밀봉성도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질 섬유 분말 및 합성 수지 등의 다른 충전제를 병용할 경우에는 PTFE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이 가스켓 재료로서의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80중량%를 하회하지 않는 양임이 필요하다. PTFE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이 너무 적으면, 가스켓으로서 적당한 응력 완화율이 얻기 힘들며, 장기 사용에 감당키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무기질 섬유 분말의 양은 PTFE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무기질 섬유 분말의 양이 너무크면, 가스켓의 성형이 곤난하게 된다. 합성 수지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의 양이 너무 많으면 압축에 대한 복원율이 작아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 PTFE와 무기질 미분말과는 조성물 중에서 서로 분산 혼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통상은 PTFE가 화이브릴화되어 있으며, 그 얽힌 화이브릴 사이에 무기질 미분말이 존재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가 화이브릴화 되어 있음으로써 무기질 미분말은 강고하게 유지되고, 성형이 용이하게 되며, 가스켓의 강도도 향상한다.
이 PTFE의 화이브릴화는 무기질 미분말과의 혼합전, 혼합후 또는 성형시에 기계적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예를들면,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 또는 함유하지 않은 PTFE를 납사와 같은 가공조제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고속 교반함으로써, 화이브릴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무기질 미분말로서는 전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것이 채용 가능하나, 그 총량에 대하여 점토광물을 30중량% 이상 함유함이 특히 적합하다. 이와같은 점토광물이란 폐로규산염류를 주성분으로하는 것이며, 특히, 카올리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일반적으로 클레이라 불리우는 것이 본 발명 조성물중의 분산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또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에 뛰어나서 가스켓으로서의 성형물에 적합한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므로 바람직하다. 점토광물의 양이 너무 적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성형 가공성이 저하하고, 또 성형 시이트에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곤난하다. 점토광물의 양은 무기질 미분말의 총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는 80중량% 이상이다. 이들 점토 광물은 평균입경 300∼0.01μ, 나아가서는 100∼0.01μ임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큰 경우에는 조성물의 성형체의 표면의 평활성이 손상되어 가스켓 재료로서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평균 입경이 작은 경우에는 조성물의 성형체의 유연성이 나빠져서 내크립성이나, 밀봉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점토광물의 평균 입경이 작을 경우에도 입경이 큰 무기질 미분말 또는 다른 충전제와 조합함으로써 내크립성과 밀봉성을 양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 시이트 가스켓은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정 비율의 PTFE 미분말, 무기질 미분말 및 필요에 따라 무기질 섬유 분말, 합성수지 분말의 혼합물에 납사 등의 가공조제를 첨가 또는 무첨가하여 믹서로 고속 교반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전 단력하에 교반 혼합하여 PTFE를 화이브릴화 시킨후 칼렌더링등에 의하여 소정 형상의 시이트로 가공한후, PTFE의 소결온도 이상으로 소성함으로써 시트 가스켓을 제조할 수 있다. 또. PTFE의 화이브릴화를 보다 고도로 하기 위하여, 전술한 고전단력하의 교반 혼합후,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 단면적의 비가 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을 행할 수도 있다. 또, 칼렌더링등에 의하여 시트 성형한후, 또는 PTFE를 소결한후, 재차 칼렌더링 또는 로울 압연함으로써 표면의 평활성이 뛰어나고 치밀한 밀봉성이 향상한 시이트 가스켓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 가스켓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방법으로 측정되는 압출율이 30% 이하이고, 복원율이 10% 이상의 것이 응력 완화가 작고 수명이 길어져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서 말하는 기공율이란, CARLO ERBA 사제, 포로시미터 2000을 사용하고, 23℃, 25RH%에 있어 압력을 상압에서 2000 기압까지 변화시킨때에 측정되는 평균 기공량(cm3/g) 및 ASTM D-792에 의하여 측정되는 물질량(그 물질의 단위질량당의 용적)(cm3/g)로부터, 다음 식
Figure kpo00001
에 의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또 기공 직경이란, CARLO ERBA 사제 포로시미터 2000을 사용하고 23℃, 25RH%에 있어 압력을 상압에서 2000 기압까지 변화시킨 때, 식 Pr=2σ cosθ(p는 가해진 절대압 : kg/cm2, r은 세경반경 : nm, σ은 수은의 표면장력 : 480mN/m2, θ은 접촉각(젖음각) : 141.3°이다)에 의하여 구해지는 세공반경의 평균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의 시이트 가스켓은 기공율이 20% 이하임이 중요하다. 기공율이 20%보다도 크면 응력 완화율이 커져서 가스켓의 수명이 짧아지며, 또 밀봉성도 악화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기공율의 하한에 대하여는 특히 한정은 없으나 작을수록 밀봉성 등이 양호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나 실질적으로는 기공율 0%의 시이트 가스켓을 제조하는 것은 극히 곤난하며, 통상 기공율은 1% 정도 이상으로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이트 가스켓은 기공직경이 0.15μ이하이다. 기공율이 작은 경우이라도 직경이 큰 기공이 존재하면 밀봉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직경이 큰 기공이 존재하면 기공율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기공직경의 하한은 작을수록 좋으며, 기공직경 0인 것이 밀봉성의 면에서 가장 바랑직하지만 실질적으로 기공직경 0 즉 기공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가스켓을 제조하는 것은 상당히 곤난하며, 통상은 0.009μ정도의 기공이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하기는 기공직경을 0.08μ∼0.01μ정도로 하는 일이다.
기공율 및 기공 직경이 작은 시이트 가스켓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있으나, 용이한 방법 2가지를 다음에 예시한다. 하나는 합성수지 또는 액상물을 함침 또는 첨가하는 방법이며, 또 하나는 시이트상 물을 성형후 재차 가압하는 방법이다. 전자는 시이트상물 성형전에 열가소성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첨가해 놓고, 시이트상 성형시 또는 시이트 성형후에 합성수지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기공부분에 합성수지를 충전시킴으로써 기공율 및 기공직경을 저하시킬 수가 있으며, 또 시트상물 성형후, 오일, 합성수지 용융물 등의 액상물을 함침시킴으로써 기공율 및 기공직경을 저하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에서는 시이트 가스켓 내부 및 표면에 합성수지 등이 존재하므로 고온에서 시이트 가스켓을 사용했을 경우에 소부등이 생길 염려가 있으므로 고온에서 사용하는 시이트 가스켓의 제법으로서는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후자의 방법은 시트상물 성형후 또는 소성후에 가압을 행하는 방법이다. 이 가압방법으로서는 프레스형 또는 로울에 의한 가압방법이 예시된다. 여기서 프레스형에 의한 가압보다도 로울에 의한 가압편이 연속적인 가압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뛰어나서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가압압력으로서는 통상 시이트상 성형물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력은 시이트상 물의 상태 또는 요구하는 가스켓의 물성등에 의하여 적의 선정되지만, 너무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도 그 개량효과는 기대하는 만큼 얻어지지 못한다. 가압압력으로서는 면압으로 1000kgf/cm2정도 이하가 바람직하며, 통상 200∼700kgf/cm2정도가 채용된다. 또한, 이 가압하는 방법은 동시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함으로써, PTFE의 가소성이 향상하므로 가압압력이 그다지 크지 않아도 기공율 및 기공직경을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가 있다. 가압온도로서는 너무 저온에서는 그 효과는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또 너무 고온에서는 PTFE가 열분해하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람직하기는 250∼400℃정도, 특히 300∼380℃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 PTFE는 화이브릴화 되어 있고 무기질 미분말이 그 화이브릴 사이에 존재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가 화이브릴화 되어 있지 않은 또는 무기질 미분말이 PTFE의 화이브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이트 가스켓은 극히 취약한 것으로 되어서, 실제의 사용에는 감당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는, PTFE가 화이브릴화 되어 있는, 즉 미크로 3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무기질 미분말이 그 3차원 망목 구조의 사이에 균일하게 분산해 존재하여 있는, 즉 무기질 미분말이 PTFE의 화이브릴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스켓 재료로서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시이트 가스켓은 PTFE가 가스켓재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존재하므로, 소량의 PTFE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가스켓 재료 전체에 PTFE의 뛰어난 발수, 발유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즉, 가스켓재가 내유성, 내수성에 뛰어난 것으로 된다. PTFE는 고전단력을 걸음으로써 용이하며, 화이브릴화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PTFE의 화이브릴 사이에 균일하게 무기질 미분말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화이브릴화 되어 있지 않은 PTFE와 무기질 미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과 동시 또는 균일 혼합후에 PTFE를 화이브릴화 하는 방법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된다. 예를들면, 소정비율의 PTFE 분말과 무기질 미분말을 납사등의 가공조제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예를 들면 믹서등에 의하여 고속 교반하는 방법등 고전단력하에 교반혼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이 혼합물을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의 비가 큰 압출기로 압출하는등 더욱 고전단력을 가함으로써 PTFE를 보다 고도로 화이브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의 시트 가스켓은 전술한 PTFE 화이브릴 사이에 무기질 미분말을 분산시킨 조성물을 프레스형 또는 로울 등에 의하여 가압성형, 압연성형등 공지의 시이트 성형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특히, 제조작업상, 연속성형이 가능한 로울압연 성형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 PTFE는 소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미소성이어도 무방하다. PTFE가 미소성인 경우에는 시이트 가스켓은 비교적 압축율이 큰것으로 되므로 저체부압이어도 밀봉면에 적용하여서 뛰어난 밀봉성을 발휘한다. 즉 유리배관등, 강한 체부압을 걸수 없는 용도에 있어 특히 유용하다. 또 PTFE가 소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이트 가스켓은 강도에 뛰어나므로, 비교적 고체부압이 걸리는 용도에 있어 특히 유용하다. PTFE를 소성할때 시이트 성형후에 소성함이 바람직하다. PTFE를 시이트 성형전에 소성하면, 시이트 성형이 곤난하게 된다. 또 PTFE를 화이브릴화전에 소성하면 화이브릴화가 곤난하게 되는 문제가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이트 가스켓은 그 단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금속판등과 적층하여 복합 가스켓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복합 가스켓으로 할때 조립강판이나, 엠보슨가공 알루미늄판 등의 요철이 있는 금속판, 메쉬상의 개구를 갖는 금속판이나 금속망등의 담체에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를 정합 또는 압착등의 방법으로 일체화 성형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들면, 철제 2축 로울을 사용하여 금속망의 양면에 시이트 가스켓을 압착함으로써 금속 코어의 복합 가스켓으로 할 수가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시이트 가스켓의 양면에 조립강판을 압착함으로써 금속 피복의 복합 가스켓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는, 특히 고온고압용 가스켓으로서 요철부착 금속관 메쉬상의 개구를 갖는 금속판 또는 금속망 등의 담체에 상기 특정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가스켓재를 점합하여 일체화하여 구성되는 복합 가스켓이 적합하다. 이와같은 복합 가스켓은 자동차용 엔진 헤드용 가스켓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복합 가스켓은 종래의 석면 초조시이트를 사용한 것에 비하여 두께 정도가 양호하며, 밀도가 균일하며, 내유, 내연료유성, 내수성에 뛰어나며, 또 프렌지면에의 소부가 없고 소부방지 처리가 불필요하며, 그리고 고무재에 비하여 열열화, 가열 감략이 적고 노화가 없는등 내열성에 뛰어나며, 게다가 밀봉 특성으로서 플로우현상이 없고 응력 완화의 변화도 적고, 그리고 기재의 박리가 없으므로 그로멧트가 생략되는등 종래의 가스켓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뛰어난 물성이 발휘된다. 특히, PTFE에 무기질 미분말을 비교적 고배합율로 배합한 조성물로부터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을 각별히 높일 수가 있으며, 동시에 원가의 저감이 기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조법을 설명하면, (1)연질으로서 화이브릴 화성이 큰 PTFE 파인파우더 2(아사히플로로 폴리머제 CD-1) 10-40중량%에 연질미분말 무기질 충전재 3(도야 카올린공업제 카올리나이트 클레이카타루포) 60∼90중량%와 저점도 유기용제 1,1,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를 믹서에 의하여 20분 교반하고, 여과한 여과물을 상온 건조한다.
(2)건조체에 고점도 유기용제(엑손(주)제 아이소퍼 M)을 17중량% 가하고 니더로 10분 교반하고나서 약 15시간 숙성한다.
(3)압출부 단면치수 105mm로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 15의 금형에 숙성물을 넣고, 상온, 압력 4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로 한다.
(4)봉상체를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36, 속도 1800mm/hr로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0.5mm의 장척 시이트로 한다.
(5)장척시이트를 300℃로 열풍건조한다.
(6)건조체를 350℃로 3시간 소성하고, PTFE를 소결시킨다.
(7)철제 2전 로울러에 의하여 메쉬 40 스테인리스제 금속망 4(쯔루미금속망제)의 양면에 소성시트를 면압 450kgf/cm2로 압착하여 점합하여 두께 1.0mm의 가스켓 시이트 1을 얻었다.
전기 제조법에 의하면, PTFE 미립자와 연질미분말 무기질 충전재가 혼합시에 균일하게 혼합해 있고 그리고 PTFE 미립자가 연질이므로 PTFE 미립자에는 저도한 화이브릴화가 부여된다. 그러므로, 숙성시 및 압출시 유기 용제의 유출을 고도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압출성이 얻어진다. 또 압출물은 특이한 금형 구조에 의하여 PTFE 미립자가 큰 이방성을 갖고 고도로 화이브릴화할 수 있으므로 압출물을 압출방향으로부터 칼렌더링 성형하여도 성형체는 상당히 이방성을 갖고 있는 결과, 압출→칼렌더링→소성→메쉬상 금속판 압착의 연속제조가 행해진다. 그결과로서 높은 생산성이 얻어진다. 또, 전기 성형체를 소성하여 얻어지는 시이트 가스켓 재료는 PTFE 미립자가 고도로 화이브릴화하여 엉켜있는 점 및 PTFE 본래의 강한 분자간결 합력에 의하여 화이브릴 엉킴망의 목구조중에 연질 미분말 무기질 충전재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켓 재료의 강도와 유연성과 내약품성이 높아지므로 밀봉성, 내압성 및 내약품성에 뛰어난 가스켓이 얻어진다. 또, 연질 미분말 무기질 충전재를 고충전한 것에 의하면 가스켓의 내열성을 한충 더 높일 수가 있으며, 소부방지와 동시에 가스켓의 가격의 저감이 기해진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조법을 설명하면, (1)연질이고 화이브릴화성이 큰 PTFE 파인파우더 2(아사히플로로폴리머제 CD-1) 20중량%에 연질 미분말 무기질 충전재 3(도야카올린공업주, 카올리나이트클레이카타루포) 80중량%와 연질 미분말상 무기섬유 충전재 5(니찌아스제 알루미나섬유 파인푸렉스) 5중량%와 저점도 유기용제 1,1,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를 믹서에 의하여 20분 교반하고, 여과한 여과물을 상온건조한다.
(2)건조체에 고점도 유기용제(엑손(주)제 아이소퍼 M)을 20중량% 가하고, 니더로 10분 교반하고나서 약 15시간 숙성한다.
(3)압출부 단면치수 105mm로서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 15의 금형에 숙성물을 주입하고, 상온, 압력 5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로 한다.
(4)봉상체를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18, 속도 1800mm/hr로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1mm의 장척 시이트로 한다.
(5)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다.
(6)건조체를 350℃로 3시간 소성하고, PTFE를 소결시킨다.
(7)철제 2전 로울러에 의하여, 메쉬 40 스테인레스제 금속망 4(쯔루미 금속망제)의 양면에 소성 시이트를 면압 500kgf/cm2로 압착 점합하여 두께 1.0mm의 가스켓 시이트 1을 얻다.
전기 제조법에 의하면, 연질 미분말 무기질 충전재에 연질 미분말상 무기섬유 충전재를 첨가하면 섬유의 엉킴에 의하여 가스켓 재료의 압축성을 높일 수가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더하여 더욱 가스켓의 적응성이 양호하게 되어 결과로서 저체부압으로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PTFE는 C-F 결합 거리가 작으므로 F 원자가 탄소쇄의 주위를 꽉메운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표면은 매끈하고 치밀하다. 또, PTFE 분자간 응집에너지가 대단히 작다. 그러므로, PTFE는 결정내 및 결정사이에서 압축 전단력에 의한 미끄럼이 일어나기 쉬운 성향이 있으며(소위 콜드풀로우), 이는 PTFE의 분자쇄가 F 원자 끼리의 반발이 크므로 엉킴이 적고 직쇄상으로되어 있다는 특이한 결정 구조에 의하여 증폭되어 있다.
따라서, PTFE는 냉간에서도 압축 전단력에 의한 미끄럼이 일어나기 쉬우나 열간에서는 더욱 증폭된다. 무기질 미분말은 이 현상 진행의 억지재로서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는 한계치가 무기질 미분말 40중량%이다.
이와같은 전기의 무기질 미분말을 40중량% 이상과 고배합 비율로 한 가스켓 재료는 특허 내열성의 향상이 현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석면계 가스켓 재료에 비하여 가스켓 재료로서의 제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표 1]
Figure kpo00002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요철부착 금속판으로서 조립강판 6을 사용하여 그 양면에 PTFE에 무기질 미분말을 배함하여서된 가스켓재료 7을 접합하여 구성한 복합 가스켓을 나타낸다.
다음에, 제조법을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의 제조법과 마찬가지로, (1)연질이고 섬유화성이 큰 PTFE 파인파우더(아사히플로로폴리머제 CD-1) 20중량%에 연질 미분말 무기질 충전재(도야카올린공업제 카올리나이트클레이 카타루포) 80중량%와 저점도 유기용제 1, 1, 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를 믹서에 의하여 20분 교반하고, 여과한 여과물을 상온건조한다.
(2)건조체에 고점도유기용제(엑숀(주)제 아이소퍼 M)을 17중량% 가하고 니더로 10분 교반하고나서 약 15시 간 숙성한다.
(3)압출부 단면치수 105mm이고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 15의 금형에 숙성물을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로 한다.
(4)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36, 속도 1800mm/hr로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0.6mm의 장척 시이트로 한다.
(5)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다.
(6)건조체를 350℃로 3시간 소성하고, PTFE를 소결시킨다.
(7)건철제 2전 로울러에 의하여 재질 SPCC, 두께 0.25mm 구멍형상 Φ 1.2mm 환혈훅의 조립강판 6의 양면에 소성 시이트인 가스켓 재 7을 면압 450kgf/cm2로 압착하여 점합하고 두께 1.2mm, 수지부 밀도 2.2g/cm2의 복합 가스켓을 얻었다.
전기 가스켓 재료 7의 제성능은 하기 표 2의 본 발명품의 란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기 가스켓 재료 7을 조립강판 8,8로 협지하여 구성한 복합 가스켓을 나타낸 것이다.
또, 제 8 도 및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능형 요철상으로 가공한 엠보스가공 알루미늄판 9의 양면에 전기의 가스켓 재료 7을 접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전기의 가스켓 재료 7로서는, 예를들면 PTFE에 실리콘 및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는 카올리나이트를 주성분으로한 분말상 무기질 충전재를 고배합비율로 배합하고, 건식교반 장치에 의하여 충분히 혼합하고, 이 혼합분말을 압축 성형법에 의하여 예비 성형물로 한후, 350℃이상의 오븐에서 소결하고 이 소결 소재를 박피상으로 절삭하여 엷은 테이프로 한 것이 실용적이며, 이를 전기의 조립강판이나 엠보스가공 알루미늄판에 중합하여 열로울 또는 냉간 로울에 의해 압연 압착 시킴으로써 복합 가스켓 제품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가스켓 재료 7(PTFE에 연질 미분말을 80중량% 배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을 종래의 석면계 가스켓 재료와 제성능에서 비교하면,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3
[실시예6]
표 3에 나타낸 조성비율의 PTFE(아사히플로로폴리머제 CD-1), 무기질 미분말(카올리나이트클레이, 평균입경 10μ, 도야카올린공업제 카타루포) 및 1,1,1-트리를로로에탄 250중량부를 믹서에 의하여 20분간 교반하고, 여과한후 여과물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이 건조체에 고점도 유기용제(엑숀(주)제, 아이소퍼 M)을 가하고, 니더로 10분 교반한후 약 15시간 숙성하였다. 이 숙성물을 압출부 단면치수 105mm이고, 압출부형상이 각도 40°의 원추형이고,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가 15인 금형에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압출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을 얻었다. 이 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재 2전 로울러에 압축비 18, 속도 180mm/hr로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1mm의 장척 시이트를 얻었다. 이 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건조한후, 350℃로 3시간 소성하였다. 이 소성품을 면압 400kgf/cm2인 철제 2전 로울러에 삽입하고, 제 10 도에 나타낸 시이트 가스켓을 얻었다. 이 시이트 가스켓을 사용하여 행한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4
[실시예 7]
표 3의 조성비율로 변경하고 표 4의 조성비율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제 11 도 내지 제 13 도에 나타낸 시이트 가스켓을 얻었다. 이 시이트 가스켓을 사용하여 행한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05
(표 4 중, 알루미나 섬유는 니찌아스제 파인플렉스, PFA는 미쯔이듀폰 플로로제 퍼플루오로알콕시수지 미분말 NP-10이다).
[실시예 8]
표 5에 나타낸 조성비율의 PTFE분말(아사히플로로플리머제 CD-1), 무기질 충전재(카올리나이트클레이, (평균입경 10μ) : 도야카올린공업제 카타루포, 알루미나섬유 : 니찌아스제파인렉스) 및 1,1,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부를 믹서에 의하여 20분간 교반 혼합한 후 여과하고 상온에서 건조시켜 건조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고점도 유기용제(엑숀(주)제 아이소퍼 M) 17중량부를 가하고, 니더로 10분간 교반한후, 약 15시간 숙성하였다. 이 숙성물을 압출부 단면치수 105mm이고, 압출부 형상이 각도 40°의 원추형이고,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가 15인 금형에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압출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을 얻었다. 이 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1mm의 장척 시이트를 얻었다. 이 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후 재차 철제 2전 로울러에 삽입하고, 표면이 평활한 시이트로써된 제 14 도 내지 제 15 도에 나타낸 연질시이트 가스켓을 얻었다. 이 시이트를 사용하여 행한 시험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표 5]
Figure kpo00006
[표 6]
Figure kpo00007
1)연질석면 죠인트 시트(고무 15중량%를 함유하는 석면 죠인트 시트)
[실시예 9]
실시예 8 제 1 번 내지 제 4 번의 시이트 가스켓을 다시 칼렌더링 함으로써 밀도 2.3g/cm3의 시이트 가스켓을 얻었다. 각각의 시이트 가스켓에 대하여 응력 완화율(%)(ASTMF38 100℃×24h)을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kpo00008
[실시예 10]
PTFE 분말(아사히플로로폴리머제 CD-1) 40중량부, 우기질 미분말(카올리나이트클레이 : 도야카올린공업제 카타루포) 60중량부 및 1,1,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부를 믹서에 의하여 20분간 교반하고, 여과후 여과물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물에 고점도 유기용제(액손제 아이소퍼 M) 17중량부를 가하고, 니더로 10분 교반한 후 약 15시간 숙성하고, 그후 압출부 단면치수 105mm로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의 비가 15인 금형에 숙성물을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로 하였다. 이 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18, 속도 1800mm/hr로 삽입하여 폭 300mm, 두께 1mm의 장척 시이트를 얻었다. 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 후, 350℃로 3시간 소성하였다.
소성 시이트를 철제 2전 로울러에 의하여 면압 300kg/cm2로 플럿닝하고 기공율 5%, 기공직경 0.02μ의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 제1번을 얻었다. 이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에 대하여 압축율, 복원율, 응력 완화율, 내수성, 내유성, 밀봉성의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플럿닝의 조건을 변경하여, 표 8에 나타낸 기공율, 기공직경의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 제 2 번 내지 제 6 번을 얻었다. 이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에 대하여 같은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kpo00009
* 참고예 1로서, 석면 죠인트 시트를 사용하여 같은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11]
PTFE 분말(아사히플로로폴리더제 CD-1) 20중량부 무기질 미분말(카올리나이트클레이 : 도야카올린공업제 카타루포) 80중량부 및 1, 1, 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부를 믹서에 의하여 20분간 교반혼합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이 건조물에 고점도 유기용매 17중량부를 가하고, 니더로 10분간 교반한 후, 약 15시간 속성하고, 그후 압출부 단면치수 105mm로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가 15인 금형에 속성물을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로 하였다. 이 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18, 속도 1800mm/hr로 삽입하고, 폭 300mm, 두께 0.65mm의 장척 시이트를 얻었다. 이 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 후, 350℃로 3시간 소성하였다. 철제 2전 로울로에 의하여 SPCC재, 두께 0.25mm 구멍형상직경 1.2mm의 환혈훅의 조립강판의 양면에 소성시트를 면압 1000kgf/cm2로 압착하여 두께 1.2mm의 복합 가스켓 제 1 번을 얻었다. 이 복합 가스켓의 소성체 부분의 기공율은 8%, 기공직경 0.04μ이었다. 이 복합 가스켓에 대하여, 압축율, 복원율, 응력완화율, 내유성, 내수성 및 밀봉성의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또, 기공율 및 기공직경이 다른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를 사용한 복합 가스켓 제 2 번 내지 제 4 번에 대하여 같은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표 9]
Figure kpo00010
* 참고예2로서 석면사 헤드 가스켓을 사용하여 같은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12]
표 10에 나타낸 중량부와 PTFE 분말(아사히플로로폴리더제 CD-1) 무기질 미분말(카올리나이트클레어 : 도야카올린공업제 카타루포) 및 1,1,1-트리클로로에탄 250중량부를 믹서에 의하여 20분간 교반하고, 여과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이 건조물에 고점도 유기용제(엑손제 아이소퍼 M)을 17중량부 가하고, 니더로 10분간 교반한 후 약 15시간 속성하였다. 이 속성물을 압출부 단면치수 105mm로 각도 40°의 원추부, 실린더 단면적과 노즐부 단면적과의 비가 15인 금형에 주입하고 상온, 압력 40kgf/cm2, 가압속도 120mm/hr로 압출하여 봉상물을 얻었다. 이 봉상물을 외경 200mm, 길이 400mm의 철제 2전 로울러에 압축비 18, 속도 1800mm/hr로 삽입하여 폭 300mm, 두께 1mm의 장척 시이트를 얻었다. 이 장척 시이트를 300℃로 열풍 건조한 후 철제 2전 로울러에 의하여 면압 600kgf/cm2로 플럿닝하여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 제 1 번 내지 제 3 번을 얻었다. 이 시이트상 가스켓 재료에 대하여 압축율, 복원율, 응력 완화율, 내유성, 내수성 및 밀봉성의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10]
Figure kpo00011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은 내열성, 내약품성에 뛰어나고 그리고 양호한 성형성을 갖고, 또한 본 조성물에 의하여 성형되는 성형품은 내크립성, 밀봉성이 뛰어난 것으로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은 금속판, 금속망등에 튀어난 밀착성을 가지므로, 금속판등과의 적층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의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에 있어는 환경 오염등의 문제가 없고, 석면 가스켓을 대체할 수 있는 성능을 발휘하므로, 극히 유효하다.
특히, 그 구성을 내열성, 내약품성, 결합성에 뛰어난 연질의 PTFE 미분말에 염가로 내열성에 뛰어난 연질 미분말상 무기질 충전재를 교배합한 무기질 릿지의 가스켓 재료와 요철부착 금속판, 메쉬상 금속판 또는 금속망등의 담체와의 복합체로 하였으므로, 내열성이 높아서 고온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 열열화, 경화, 소부가 없으므로 장기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 소부방지제 사용료, 가스켓 비용등의 런닝코스트의 대폭적인 저감이 가해진다. 뿐만 아니라 무기질 미분말을 교배합한 것에 있어는 가스켓 재료로서의 대폭적인 가격의 저감이 가해짐과 동시에 가스켓에 요구되는 유연성이 얻어진다. 또한, 무기질 미분말이 PTFE 화이브릴내에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스켓은 강도가 크고 취급성이 뛰어나며, 그리고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석면을 전혀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이 없다. 무기질 미분말의 내약품성에 PTFE의 강력한 내약품성이 가해져서 본 발명의 가스켓은 각종 약액유체의 밀봉에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가스켓은 장착 제조에 의한 높은 생산성을 갖는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므로, 전기 구성상 및 사용상에 의한 가격 저감성과 함께 가격면에서도 범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용도에 있어는 PTFE를 소결한 소성 시이트 가스켓으로서, 내열성이 높으므로 고온사용이 가능하다. 또, 열열화경화, 소부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장기간의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보수비용이 대폭적으로 저감됨과 동시에 소부방지제의 사용이 무용인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 석면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다. 또 본 발명의 시이트 가스켓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그리고 강도가 크므로 취급성이 극히 뛰어난다. 또한, 내수성, 내유성이 극히 뛰어나므로 각종 액체의 밀봉재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도에 있어, PTFE의 소성의 연질 시이트 가스켓은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고온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또 열열화, 경화, 소부등이 없으므로 장기간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수비용이 대폭적으로 저감되며, 또 소부방지제의 사용이 불필요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이 연질 시이트 가스켓은 유연성이 뛰어나므로 저체부압에 있어서도 뛰어난 밀봉성을 발휘할 수가 있다. 즉, 유리 라이닝등의 고체부압으로 할 수가 없는 것에의 적용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연질 시이트 가스켓은 석면을 전혀 함유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다. 또, 내유성, 내수성이 극히 뛰어나므로, 각종 약품액 유체의 밀봉재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특정한 기공율 및 기공직경의 시이트 가스켓으로 함으로써 응력 완화율을 작게 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3)

  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에 대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5중량% 이상이고, 무기질 미분말이 40중량% 이상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80중량% 이상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이 상호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하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질 미분말의 평균 입경이 100μ 이하인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질 미분말이 그의 총량에 대하여 점토광물을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점토광물이 카올리나이트 점토인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5. 가스켓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에 대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5중량% 이상이고, 무기질 미분말이 40중량% 이상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의 합계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80중량% 이상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와 무기질 미분말을 함유하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가스켓 시이트상 가스켓재 및 시이트상 물질용 금속제 담체로 이루어진 복합 가스켓.
  6. 제 5 항에 있어서, 금속제 담체가 요철이 있는 금속판, 메쉬상의 개구를 갖는 금속판, 및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가스켓.
  7. 제 5 항에 있어서, 복합 가스켓이 자동차용 엔진 헤드용 가스켓인 복합 가스켓.
  8.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그의 전체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의 무기질 섬유분말을 함유하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그의 전체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의 내열성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소결되어 있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미소결인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화이브릴화 되어 있고, 무기질 미분말이 그 화이브릴 사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기공율이 20% 이하, 기공직경이 0.15㎛ 이하의 시이트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가스켓 재료용 조성물.
KR1019870011151A 1987-01-09 1987-10-06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KR92000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1/1987 1987-01-09
JP184187 1987-01-09
JP57613/1987 1987-03-12
JP8757613A JPH0198687A (ja) 1986-04-11 1987-03-12 ガスケツト
JP81243/1987 1987-04-03
JP8124387 1987-04-03
JP8124487 1987-04-03
JP81244/1987 1987-04-03
JP157847/1987 1987-06-26
JP15784787 198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082A KR880009082A (ko) 1988-09-14
KR920004810B1 true KR920004810B1 (ko) 1992-06-18

Family

ID=6995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51A KR920004810B1 (ko) 1987-01-09 1987-10-06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082A (ko)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4010B1 (en) Use of a composition for a gasket
JP4074671B2 (ja) より少なくフィブリル化したアラミド繊維及び人造黒鉛を含む摩擦ライニング材料
US5998339A (en) Wet type sliding apparatus comprising radial bearing
RU2353640C2 (ru) Плоский уплотняющий материал в виде армированной композитной фольги (композитной пленки)
US5028036A (en) Filter for molten ferrous metal
US20110189472A1 (en) Uniaxially and Biaxially-Oriented Polytetrafluoroethylene Structures
US7744792B2 (en) Methods for continuous processin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resin
EP0683807B1 (en) Plain bearing
KR920004810B1 (ko) 가스켓 재료로서의 용도
JP4005824B2 (ja) 自動車エンジン周りのシール材用ガスケット、自動車エンジン周りのシール材用複合ガスケット、給湯機用ガスケット及び給湯機用複合ガスケット
JP4990503B2 (ja) Ptfeペースト体、ptfe多孔体、ptfe多孔体を用いた複合体、及び、ptfe多孔体の製造方法
US5045111A (en) Filtration of molten ferrous metal
EP2168998A1 (en) Fluororesin sheet for gask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heet gasket
AU603807B2 (en) Molten metal fil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502118B2 (ja) 軟質シ―トガスケツト
JPH01198676A (ja) シート状ガスケット材
JPH0222375A (ja) 複合ガスケツト
JPH0637617B2 (ja) シート状ガスケット材
JPH01198674A (ja) シートガスケツト
JPH0277484A (ja) シート状ガスケット材
JPH0649863B2 (ja) シート伏ガスケット材
JPH0198687A (ja) ガスケツト
JPH08109368A (ja) 複合ガスケット
US6558782B1 (en) Flexible graphite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875728B2 (ja) シーリ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