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71B1 -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71B1
KR920004571B1 KR1019880010346A KR880010346A KR920004571B1 KR 920004571 B1 KR920004571 B1 KR 920004571B1 KR 1019880010346 A KR1019880010346 A KR 1019880010346A KR 880010346 A KR880010346 A KR 880010346A KR 920004571 B1 KR920004571 B1 KR 92000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olor difference
average value
signals
dif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551A (ko
Inventor
유끼히로 가와다
요시아끼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니시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02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2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89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25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8908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니시 미노루 filed Critical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브록도.
제 2 도는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요부 블록도,
제 4 도 (a) 내지 (d)는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슬라이스레벨의 이동범위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에 대한 요부 블록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제 9 도 (a)와 (b)는 제 8 도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요부블록도.
제 11 도와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저정장치의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대한 요부블록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저정장치의 제 9 실시예에 대한 요부블록도.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10 실시예에 대한 요부블록도.
제 15 도는 종래의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12 : 촬상조자
14, 16, 18 : 증폭기 20 : 매트릭스회로
22 : 인코더 24, 26, 64, 74, 168, 178 : 적분회로
RCONT,BCONT :이득제어신호 28, 30 : 차동증폭기
32, 34, 58, 60 : 기준레벨설정기 40 : 블랭킹제어부
41A, 45A : 상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 41B, 45B : 하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
43, 47 : 앤드게이트
42A, 42B, 46A,70A,70B,80A,80B : 비교기
44, 48 : 블랭킹스위치 62, 72, 94A, 94B, 96A, 96B : 스위치
66A, 66B, 76A, 76B : 레벨시프트회로
36, 38, 68A, 68B, 78A, 78B, 141, 143,162 : 상한리미터
37, 39, 69A, 79A, 79B, 142, 144, 164 : 하한리미터
82, 84, 86 : 오아게이트 90A, 90B, 92A, 92B : 레벨설정기
35, 140 : 진폭제한부
본 발명은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측광 방식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백 바란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에는 외부측광 방식과 내부측광 방식이 있는 바, 외부측광 방식은 색온도를 외부 센서로서 측정하고, 색온도로부터 얻어진 제어신호를 적, 청색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을 오픈 루프 제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피사체에 닿는 광의 색온도가 외부센서에 입사될시 광의 색온도와 상이할 경우, 오차가 발생하여 부자연스러운 색조가 생기게 된다. 예컨대, 조명이 켜져있는 실내로부터 창을 통해 옥외를 촬영할 경우, 외부센서에는 실내의 광선의 낮은 색온도가 감지되기 때문에 색조를 청색으로 하도록 소정의 제어가 수행되므로 청색이 강한 색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내부측광 방식에 있어서 피사체에 닿는 광선이 사용되기 때문에 직접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색조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내부측광 방식의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을 제 1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10)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은 촬상소자(12)에 의해 적, 록 청신호(EK,EG,EB)로 광전 변환된다.
각각의 신호(EK,EG,EB)는 증폭기 (14, 16, 18)를 통해 매트릭스회로(20)에 입력되어 휘도신호(EY)와, 색차신호(ER-EY), (EB-EY)로 변화된 뒤 인코더(22)로 입력된다. 인코더(22)에서 색차신호는 3.58MHZ에 의해 DC/AC로 이상 변조되고, 휘도신호(EY)가 가산된 뒤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한편, 색차신호(ER-EY)와 (EB-EY)는 적분회로(24, 26)에 각각 입력되는 바, 이 회로에서 화면전체의 색차신호의 적분이 수행되고, 적분된 평균치는 차동증폭기(28, 30)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차동증폭기(28, 30)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기준레벨설정기(32, 34)로부터 화면전체의 색의 평균치가 회색을 나타낼때의 시간에 해당하는 색차신호(ER-EY)와 (EB-EY)의 평균치가 되도록 한 기준레벨이 입력된다. 차동증폭기(28)는 상기의 2개의 입력신호의 차이를 증폭한 다음 이득 제어신호 (RCONT)를 증폭기(14)로 출력하고, 증폭기(14)에서 증폭된 원색신호(ER)의 이득을 제어한다. 또한 차동증폭기(30)는 상기 2입력신호의 차이를 증폭하여 얻어진 이득제어신호(BCONT)를 증폭기(18)에 출력하여 증폭기(18)에 의해 증폭된 원색신호(EB)의 이득을 제어한다.
따라서, 원색신호(ER-EB)는 색차신호(ER-EY), (EB-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가 기준레벨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의 자동백 바란스 저정방법은 색이 표시된 화면전체의 색을 평균할 때 회색이 얻어지는(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할때도 화면전체에 평균화된 백색의 피사체를 촬영할때와 동일한 결과를 얻는)일반적인 사실에 근거한 제어방식이다.
그러나, 모든 피사체가 상기의 가정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예컨대, 파란하늘과 파란바다를 배경으로 한 피사체나 빨간벽을 배경으로 한 피사체에 있어서, 화면전체의 색을 적분(평균)하면 청색이나 적색이지 회색은 아니다. 이러한 피사체에 상기의 백 바란스 조정을 수행할 경우 청색과 백색은 회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을 소위 칼라 페일러(Coler Failure)라고 하는 오제어이다.
또한 상기의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에 대해 색온도가 변화될 경우라도 피사체의 색은 동일한 색으로 조정되어진다.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소위 기억색(예컨대, 백색의 피사체가 조명에 의해 약간의 색을 띌 경우, 피사체는 색을 갖는 것이 아니라 백색으로 인식된다.)은 조정된 색과 색과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소정의 색온도하에서 상기의 백 바란스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색온도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간의 감성과는 전혀 상이한 부자연스런 색조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컨대 약간 붉그스레한 피사체에 대해 백 바란스 조정이 이루어진 동안 피사체 자체가 갑자기 백색으로 변할 경우, 이득제어신호(RCONT)가 대폭적으로 변동되어 이득제어신호(RCONT)에 의해 이득을 제어하는 증폭기(14)는 신호(ER)의 이득을 필요이상으로(적색의 보색 방향으로)제어하므로 실제의 제어치로 하향 설정될때까지 신동(Hunt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페일러나 오제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내부측광 방식의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이상의 백 바란스 조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인간의 감성에 가까운 백 바란스 조정을 할 수 있는 내부측광 방식의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색차신호(ER,-EY)및 (EB-EY)를 각각 생성하고, 이들 색차신호를 화면 전체에 걸쳐 각각 적분하고, 각각의 적분 평균치가 소정의 기준레벨과 동일하도록 적,청색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한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의 각각의 색차신호에 대해 강색차를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고, 각각의 색차신호가 상기의 설정된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를 포함할 경우 상기의 슬라이스레벨보다 약한 색차신호를 표시하는 소정의 레벨이나 슬라이스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강색차 대신 적분하여 각각의 색차 신호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생성된 각각의 색차신호(ER-EY)및 (EB-EY)를 적분하여 화면 전체의 평균치를 구할때에, 어떤레벨(슬라이스레벨)이상의 색차신호(강색차신호)는 적분되지 않지만, 강색차 신호대신, 상기의 슬라이스레벨보다 약한 색차신호를 표시하는 소정의 레벨이나, 슬라이스레벨과 동일한 레벨이 적분된다. 즉, 원그림의 화면전체의 평균이 회색으로 보이지 않을지라도, 평균은 원그림으로부터 강한색을 제거함으로써 정보를 적분하여 회색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칼라 페일러나 오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피사첼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색차신호(ER-EY)와 (EB-EY)를 생성하고, 이들 색차신호를 화면전체에 걸쳐 각각 접분하고, 각각의 평균치가 소정의 기준레벨과 동일하도록 적, 청신호의 이득을 제어토록 한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인 바, 이는 적, 청신호의 이득이 색온도가 소정범위를 초과할 경우에 제어되도록 소정의 제한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색온도가 예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적신호나 청신호의 이득은 상기의 제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색온도가 예정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약간 붉은 색을 띄어 따뜻한 색소가 재현되고, 이와는 달리 색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약간 푸른색을 띄어 차가운 색조가 재현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런 색조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표시한다.
우선, 제 2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원리적으로 설명한다.
제 2a 도에 표시한 강한 적색을 포함하는 그림에서는 제 2b 도에 도시한 색차신호(ER-EY)가 얻어진다. 화면 전체에 걸쳐 색차신호가 적분될 경우 적분의 평균치는 흑레벨로부터 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자동백 바란스 조정이 수행되는 바, 사람얼굴의 색은 적의 보색(시아노겐, 청)방향에서 오제어된다.
그러므로, 제 2a 도의 그림으로부터는 강한 적색이 표시하는 색차신호를 블랭킹하기 위하여 소정의 레벨(슬라이스레벨)이 설정되고,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신호는 제 2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흑레벨(페데스틀되는 DC값 즉, 기준레벨)로 블랭킹된다. 이것은 원그림의 색차신호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제거하므로, 색차신호의 평균치는 회색에 가깝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스 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가 흑레벨로 블랭킹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색차신호의 평균치는 제 2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스레벨과 동일하게 변형되거나 슬라이스레벨과 흑레벨 사이에 있는 임의의 레벨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었다. 제 1 도에서, 제 15 도와 공통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도로부터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2점쇄선으로 표시한 부분(블랭킹 제어부)(40)은 본 발명에 추가되는 부분인바, 블랭킹 제어부(40)는 상기의 강색차신호를 블랭킹하는데 이용된다.
블랭킹 제어부(40)는 색차신호(ER-EY)의 상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41A), 하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41B) 비교기(42A, 42B) 앤드회로(43), 블랭킹스위치(44)와 색차신호(EB-EY)의 상슬라이스레벨설정기(45A), 하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45B), 비교기(46A, 46B), 앤드회로(47) 및 블랭킹스위치(48)로 구성된다.
상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41A)와 하측슬라이스레벨설정기(41B)는 색차신호(EB-EY)의 적색측의 강색차신호 및 시안측의 강색신호를 블랭킹하기 위해 상측슬라이스레벨과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는데 각각 이용되는바, 이들 설정기들은 또한 상측슬라이스레벨과 하측슬라이스레벨을 각각 출력한다.
비교기(42A)의 비반전 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에는 상측슬라이스레벨과 색차신호(ER-EY)가 각각 입력되는바, 비교기(42)는 이들 2입력신호를 비교하여 색차신호(ER-EY)가 상측슬라이스레벨보다 작을 경우에는 H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상측슬라이스레벨보다 클 경우에는 강색차 검출신호(L레벨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비교기(42B)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에는 색차신호(ER-EY)와 하측슬라이스레벨이 각각 인가되는데 비교기(42B)는 이들 그입력신호를 비교하여 색차신호(ER-EY)와 하측슬라이스레벨보다 클 경우에는 H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색차신호가 하측슬라이스레벨보다 작을 경우에는 강색차 검출신호(L레벨신호)를 출력한다.
블랭킹 스위치(44)는 색차신호(ER-EY)가 입력되는 입력접점(44A)과, 기준레벨설정기(32)로부터의 기준레벨이 입력되는 입력접점(44B) 및 상기 접점(44A, 44B)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가동접점(44C)을 포함한다. 앤드회로(43)로부터 H레벨신호가 입력될 때 블랭킹 스위치(44)는 가동접점(44C)을 접점(44A)에 접속하여 색차신호(ER-EY)를 적분회로(24)에 출력한다. 그리고, 앤드회로(43)로부터 L레벨신호가 입력될때에는 블랭킹 스위치(44)는 가동접점(44C)을 접점(44B)에 접속하여 기준레벨을 적분회로(24)에 출력한다.
한편, 상측슬라이스레벨 설정기(45A) 및 하측슬라이스레벨 설정기(45B)는 색차신호(EB-EY)의 청색측의 강색차신호 및 황색측의 강색차 신호를 블랭킹하는 상측슬라이스레벨 및 하측슬라이스레벨 설정하는데 각각 이용된다. 또한, 비교기(46A, 46B), 앤드회로(47) 및 블랭킹스위치(48)는 상술한 비교기(42A, 42B), 앤드회로(43) 및 블랭킹스위치(44)와 유사하게 동작될 수 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적분회로(24)(26)는 색차신호(ER-EY)및 (EB-EY)를 각각 적분한다. 이러한 적분시, 색차신호가 상측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신호를 나타낸 경우, 강색차 신호는 색차신호가 적분되기 전에 블랭킹된다(즉, 기준레벨은 강색차 신호 대신에 적분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원그림이 부분적으로 강한색을 포함할 경우일지라도, 그림으로부터 강색을 제거한 색차신호의 나머지 색은 평균화될 수 있다. 그 결과 평균치는 회색에 가깝게 만들 수 있으므로, 강색에 관계없이 백 바란스 조정이 성취될 수 있다.
그 다음, 슬라이스레벨을 자동적으로 적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4 도 (a) 및 (b)는 제 2 도 (a) 및 (b)와 동일한 그림 및 색차신호(ER,EY)를 도시한 것이다. 그림에 대한 색온도가 변화할 경우, 색차신호(ER-EY)가 제 4c 도에 도시한 원파형을 유지하는 동안 흑레벨에 대해 DC오프셋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변화한다. 제 4b 도와 동일한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할 경우에는 제 4c 도 상의 블랭킹이 필요없는 부분(사선부분)(A)이 강색차신호와 같은 오검출이 블랭킹된다.
제 4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색온도변화에 따른 평균치가 소정의 증가량(∇V)에 의해 증가함으로서 슬라이스레벨도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 4b 도와 상대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강한 적색만이 검출되어 블랭킹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블록도인바, 슬라이스레벨을 자동적으로 적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3 도에 있어서, 색차신호(ER-EY) 및 (EB-EY)는 증폭기(50, 52)를 매개로 클램프회로(54, 56)에는 클램프 펄스(CP) 및 설정기(58, 60)로부터 페데스를 클램프된 DC값(기준레벨)이 각각 입력된다. 클램프회로(54, 46)는 색차신호(ER-EY)와 (EB-EY)를 클램프펄스(CP)에 동기되도록 각각 페데스틀 클램프시킨 다음 스위치(62), 적분회로(64), 비교기(70A, 70B) 및 스위치(72), 적분회로(74), 비교기(80A, 80B)에 출력한다.
적분회로(64)는 입력된 색차신호(ER-EY)를 적분하여 화면전체의 적분 평균치를 레벨 시프트회로(66A 및 66B)에 출력한다. 레벨 시프트 회로(66A)는 입력된 평균치를 설정된 레벨보다 큰 소정의 레벨로 시프트시켜, 상한리미터(68A) 및 하한리미터(69A)를 매개로 상측슬라이스레벨로서 비교기(70A)에 출력한다. 이와 유사하게 레벨 시프트회로(66B) 입력된 평균차를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소정의 레벨로 시프트시켜 상한리미터(68B) 및 하한리미터(69B)를 통해 하측슬라이스레벨로서 비교기(70B)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레벨 시프트회로(66A, 66B)에서늬 스프트량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화도(색 농도) 100%레벨의 1/3-1/2로 설정된다. 또한, 상한리미터(68A) 및 하한리미터(69A)는 입력된 레벨을 색차신호(ER-EY)의 포화레벨 (+)의 80%-10%의 레벨로 각각 제한하고, 상한리미터(68B) 및 하한리미터(69B)는 입력된 레벨을 색차신호(ER-EY)의 포화레벨(-)의 16%-18%의 레벨로 각각 제한한다. 환언하면, 상측슬라이스레벨 및 하측슬라이스레벨은 색차신호(ER-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에 대응하여 변동하는데, 상측슬라이스레벨의 변동범위는 상한리미터(68A)와 한한리미터(69A)에 의해 제한되고, 하측슬라이스레벨의 변동범위는 상한리미터(68B)와 하한리미터(69B)에 의해 제한된다.
슬라이스레벨이 전술한 바와같이 리머터를 제한하는 이유는 그림 및 색온도에 기인하여 색차신호의 화면전체의 평균치가 매우 높을 경우에 상기의 제한을 설정하지 않는다며, 상측슬라이스레벨과 하측슬라이스레벨 모두가 평균치에 따라 변동하므로 상측슬라이스레벨이 포화레벨을 초과하거나 하측슬라이스레벨이 흑레벨을 초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는 슬라이스레벨이 포화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강색차 신호의 블랭킹이 전혀 불가능하거나, 대부분의 강색차신호의 블랭킹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그 결과 칼라 페일러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각각의 리미터에 의한 제한 레벨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비교기(70A, 70B)는 제 1 도의 비교기(42A, 42B)와 동일한 것이지만, 비교기(70A, 70B)는 색차신호(ER-EY)가 상측슬라이스레벨과 하측슬라이스레벡사이에 있을 경우 L레벨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색차신호가 상측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거나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경우에는 H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적분회로(74), 레벨시프트회로(76A, 76B), 상한리미터(78A, 78B), 하한리미터(79A, 79B)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색차신호(EB-EY)에 대한 상측슬라이스레벨 및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생성한다. 비교기(80A)(80B)는 색차신호(EB-EY)가 상측슬라이스레벨과 하측슬라이스레벨 사이에 존재할 경우 L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색차신호가 하측레벨의 상측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H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62, 72)는 통상적으로 가동접점(62C, 72C)을 접점(62A, 72A)에 각각 접속시켜 페데스틀 클램프된 색차신호(ER-EY)와 (EB-EY)를 적분회로(24, 26)에 각각 인가한다. 비교기(70A)나 (70B)로부터 오아회로(82, 86)를 통해 H레벨신호가 입력될 경우, 혹은, 비교기(80A)나 (80B)로부터 오아회로(84, 86)를 통해 H레벨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스위치(62, 72)는 가동접점(62C, 72C)을 기준레벨이 입력되는 접점(62B, 72B)으로 절환하여 기준레벨을 적분회로(24, 26)에 인가한다.
적분회로(24, 26)의 적분치에 근거한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를 생성하는 회로 제 15 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색차신호(ER-EY)와 (EB-EY)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경우, 색차신호(ER-EY)와 (EB-EY)는 블랭킹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색차신호는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와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블랭킹될 수도 있다.
제 6도 및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3 및 제 4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 회로도이다. 제 1 도 및 제 3도에 도시한 장치가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를 무색을 표시하는 소정의 기준레벨로 블랭킹시키는데 반해,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장치는 상기의 기준레벨을 자동적으로 변경하거나, 임의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 6 도에서 적분회로(64, 74)의 출력레벨(색차신호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은 스위치(62, 72)의 접점(62B, 72B)에 각각 인가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가 입력될 경우, 화면상의 색차신호의 평균치는 강색차 신호 대신에 후단의 적분회로(24 또는 26)로 출력된다. 제 6 도에 도시한 다른 회로는 제 3 도의 회로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7 도에는 강색차 신호 대신에 적분회로(64, 74)에 출력되어지는 레벨을 각각 설정하는 레벨설정기(90A, 90B, 92A, 92B)와, 레벨설정기(90A, 90B)의 설정레벨을 스위치(62)의 접점(62B)에 각각 출력하는 스위치(94A, 94B)와, 레벨설정기(92A, 92B)의 설정레벨을 스위치(72)의 접점(72B)에 출력하는 스위치(96A, 96B)가 제공되어 있다.
레벨설정기(90A, 90B)는 색차신호(ER-EY)가 그의 상측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때 이러한 색차신호를 대신하여 적분회로(24)에 출력되는 레벨을 선정하고, 특히, 이들 레벨 설 정기들은 슬라이스레벨보다 약한 색차신호를 표시하는 임의의 레벨을 설정한다.
이와 마친가지로, 레벨설정기(92A, 92B)는 색차신호(EB-EY)가 그의 상측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때 이러한 색차신호를 대신하여 적분회로(26)에 출력되는 레벨을 설정하고, 특히, 이들 레벨설정기들은 슬라이스 레벨보다 약한 임의의 레벨을 설정한다.
또한, 스위치(94A, 94B, 96A, 96B)는 비교기(70A, 70B, 80A, 80B)가 강색차 신호를 검출하여 H레벨신호를 출력한 경우, 출력된 H레벨신호에 의해 각각 턴온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비교기(70A)가 강색차 신호를 검출할 경우 H레벨신호를 출력한 다음 레벨설정기(90A)에 의해 프리셋된 레벨은 스위치(62)의 접점(62B)에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의 H레벨신호는 오아회로(82)를 통해 스위치(62)에 입력되므로 스위치(62)의 가동접점(62C)을 접점(62B)에 연결시킨다. 그 결과, 레벨설정기(90A)에 의해 미리 설정된 레벨은 강색차 신호 대신에 적분회로(24)에 인가된다. 제 7 도중 다른 회로는 제 3 도와 유사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자동백 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중 제 15 도와 공통된 부분은 통일부호로 표시하였는바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8 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2점쇄선으로 표시한 부분(진폭 제한부)(140)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새로이 추가된 부분인바, 진폭제한부(140)에 의해 상기의 강색차 신호의 진폭이 제한된다.
진폭제한부(140)는 색차신호(ER-EY)의 상측바이어스전원부(141A)와 다이오드(141B)로 구성된 상한리미터(141)와, 하측바이어스전원부(142A)와 다이오드(142B)로 구성된 하한 리미터(142)와, 색차신호(EB-EY)의 상측 바이어스 전원부(143A)와 다이오드(143B)로 된 상한 리미터(143) 및 하측 바이어스전원부(144A)와 다이오드(144B)로 된 하한 리미터(144)로 구성된다.
상측 바이어스 전원부(141A)와 하측 바이어스 전원부(142A)는 색차신호(ER-EY)의 적색측상의 강색차신호와 색차신호의 사안측상의 강색차 신호를 슬라이스하는데 이용하는 상측 슬라이스레벨과 하측 슬라이스레벨을 각각 설정한다. 또한 상측 바이어스 전원부(143A)와 하측 바이어스 전원부(144A)는 색차신호(EB-EY)의 청색측상의 강색차 신호와 색차신호의 황색측상의 강색차 신호를 슬라이스 하는데 이용되는 상측 슬라이스레벨과 하측 슬라이스레벨을 각각 설정한다.
이 때문에, 상기의 상측 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의 진폭은 상한 리미터나 하한 리미터에 의해 상측 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 슬라이스레벨로 제한된다. 예컨대, 상한 리미터(141)의 바이어스 전원부(141A)에 의한 바이어스 정압이 E1이고, 하한 리미터(142)의 바이어스 전원부(142A)에 의한 바이어스 전압이 E2일 때 제 9 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색차신호(ER-EY)가 입력될 경우, 색차신호는 제 9 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한 리미터(141)와 하한 리미터(142)에 의한 색차신호로 제한되며 적분회로(24)로 출력된다.
원래의 그림이 부분적으로 강한색을 포함할 경우라도, 그림으로부터 강색을 제거한 색의 평균치는 회색에 근접될 수 있으므로 강한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서도 백바란스는 적당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블록도인바, 제 5 실시예와 다른점은 슬라이스레벨을 적당한 RQT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0 도에 있어서, 색차신호(ER-EY) 및 (EB-EY)는 증폭기(50,52)를 통해 클램프 회로(54, 56)에 각각 입력된다. 클램프 회로(54, 56)에는 클램프 펄스(CP)가 각각 인가되며, 클램프 회로(54, 56)는 색차신호(ER-EY)와 (EB-EY)를 클램프 펄스(CP)에 동기화되게 각각 페데스를 클램프시킨다.
클램프 회로(54)에 의해 페데스를 클램프된 색차신호(ER-EY)는 버퍼(158), 진폭제한부(160) 및 버퍼(166)를 통해 적분회로(24)에 입력되고 또한 적분회로(168)에도 입력된다. 적분회로(168)는 입력된 색차신호(ER-EY)를 적분하여 화면전체의 적분 평균치를 버퍼(169)를 통해 진폭제한부(160)에 출력한다.
진폭제한부(160)는 상측 바이어스 전원부(162A)와 다이오드(162B)로 된 상한 리미터(162)와, 하측 바이어스 전원부(164A)와 다이오드(164B)로 된 하한 리미터(164)로 구성된다. 상측 바이어스 전원부(162A)는 적분회로(168)로부터 입력된 적분평균치보다 일정레벨만큼 큰 바이어스 전압(상측 슬라이스레벨)을 다이오드(162B)로 역방향으로 인가한다. 하측 바이어스 전원부(164A)는 적분회로(168)로부터 입력된 적분 평균치보다 일정레벨만큼 적은 바이어스 전압(하측 슬라이스레벨)을 다이오드(164B)의 순방향으로 인가한다. 이 때문에, 상측 슬라이스레벨과 하측 슬라이스레벨은 적분회로(168)로부터 인가된 적분평균치에 따라 각각 변동한다.
그리고, 상기의 진폭제한부(160)에 입력된 색차신호(ER-EY)중에서, 상기 슬라이스레벨이나 T하측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신호는 그의 진폭치가 상측 슬라이스레벨이나 하측 슬라이스레벨로 제한된 후 후단의 적분회로(24)에 출력되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클램프 회로(56)에 의해 페데스를 클램프된 색차신호(EB-EY)는 버퍼(172), 진폭제한부(174) 및 버퍼(176)를 통해 적분회로(26)에 입력되고 또한 적분회로(178)에도 입력된다. 적분회로(178)는 입력된 색차신호(ER-EY)를 적분하여 화면전체의 적분평균치를 버퍼(179)를 통해 진폭제한부(174)에 출력한다. 진폭제한부(174)는 전술한 진폭제한부(16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적분회로(24, 26)의 적분치에 따른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를 생성하는 회로는 제 15 도에 도시한 회로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제 15 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도시하였는바,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1 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진폭제한부)(35)가 제 7 실시예에서 추가된 부분이다. 비교증폭기(28, 30)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는 진폭제한부(35)에 의해 그의 진폭이 제한된 뒤, 증폭기(14, 18)에 인가된다.
진폭제한부(35)는 비교증폭기(28)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신호(RCONT)의 상한 및 하한을 제한하는 상한 리미터(36) 및 하한 리미터(37)와, 비교증폭기(30)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신호(BCONT)의 상한 및 하한을 제한하는 상한 리미터(38) 및 하한 리미터(39)로 구성된다.
이득제어신호(RCONT)의 상한 리미터(36) 및 하한 리미터(37)와, 이득제어신호(BCONT)의 상한 리미터(38) 및 하한 리미터(39)의 각각의 제한값은 색은도가 소정범위를 초과할 경우에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에 적 및 청신호의 증폭기(14, 18)의 이득제어가 제어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예컨대, 상기의 색온도의 소정의 범위를 288°K-7200°K로 가정한 경우 리미터(36-39)의 각각의 제한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우선, 상한 리미터(36) 및 하한 리미터(39)의 제한치는 하얀 피사체를 색온도(7200°K)의 광원으로 조명을 받도록 할 경우 비교증폭기(28, 30)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의 각각의 레벨과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7200°K의 색온도를 갖는 광원으로 조명받을 경우, 백피사체는 소정의 기준 백색(예컨대, 백 피사체를 색온도 4000°K-5000°K의 광원에 조명받도록 할경우)으로 복귀되는바, 소정의 레벨을 갖는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는 적신호의 이득을 증가시키고, 청신호의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해 출력된다. 그리고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에 이용된 각각의 레벨은 상한 리미터(36)와 하한 리미터(39)의 제한값으로 간주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한 리미터(37) 및 상한 리미터(38)의 제한치는 하얀 피사체를 색온도 2800°K의 광원으로 조명을 받도록 할 경우, 비교증폭기(28, 30)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의 각 레벨과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2800°K의 색온도를 갖는 광원에 의해 조명을 받을 경우, 백피사체는 적색을 띄게 된다. 피사체의 백바란스를 조정하여 소정의 기준 백색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레벨을 갖는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는 적신호의 이득을 낮추고, 청신호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에 이용된 각각의 레벨을 하한 리미터(37)와 상한 리미터(38)의 제한값으로 이용된다.
그러므로, 색온도가 소정범위(상기예에서는 2800°K-7200°K)내에서 변화할 경우에,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는 각각의 리미터(36-39)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그 결과 백피사체는 색온도에 무관하에 백색(즉 기준백색)으로 조정된다. 한편, 색온도가 소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이득제어신호(RCONT,BCONT)는 리미터(36, 39)나 리미터(37, 38)에 의해 제한되어 그 결과 색온도가 낮을때에는 백피사체는 약간 붉게 되며, 색온도가 높을때에는 약간 청색을 띄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득제어신호(RCONT,BCONT)의 상한 및 하한을 리미터(36, 39)에 제한시켜 적, 청의 신호에 대해 필요 이상의 이득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 청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4, 18)의 가변이득범위를 미리 제한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2 도 내지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의 제 8 내지 제 10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인바, 이들 실시예는 전술한 오제어나 칼라페일러를 최소한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들 세 개의 실시예는 제 1, 제 2, 제 5 실시예에다 색온도의 변화에 대한 인간의 감성에 매우 근접한 특성을 갖는 백바란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제 7 실시예를 결합한 것이다.
즉, 제 12 도에 도시한 제 8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제 1 도)의 블록도와, 제 7 실시예(제 11 도)의 진폭제한부(35)를 결합한 것이고, 이하 마찬가지로 제 13 도에 도시한 제 9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제 3 도)의 블록도와 제 7 실시예의 진폭제한부(35)를 결합한 것이며, 제 14 도에 도시한 제 10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제 8 도)의 블록도와 제 7 실시예의 진폭제한부(35)를 조합한 것이다.
또한, 제 8내지 제 10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는 제 1, 제 2, 제 5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의 쌍방에 특유한 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이다. 제 12 도 내지 제 14 도의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제 1, 3, 8 및 제 11 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백바란스 조정 방법 및 장치는 그림에 강한색(포화도가 큰 색)이 포함될 경우, 그 색을 블랭킹하거나, 색의 크기가 소정의 레벨로 제한된 후 색이 평균되므로, 화면전체의 색의 평균치를 회색에 가깝게 하여 오제어나 칼라 페일러를 극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양호한 백바란스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적, 청신호의 이득에 대한 소정의 제한을 설정하여 색온도가 소정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적 또는 청신호의 이득제어가 제한되므로 인간의 감성에 가까운 특성의 백바란스 조정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8)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생성하고, 각각의 색차신호를 화면전체에 걸쳐 각각 적분하고, 각각의 적분 평균치가 소정의 기준레벨과 동일하도록 적, 청신호의 이득을 제어토록 한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에 있어서 ; 상기 각각의 색차 신호에 대해 강색차 검출용 슬라이스레벨을 각각 설정하고 ; 상기 각각의 색차신호중에서 상기의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하는 강색차 신호를 상기의 해당 강색차 신호에 대신하여 상기 슬라이스레벨보다 약한 색차신호를 표시하는 소정의 레벨이나 상기의 슬라이스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적분하며 ; 각각의 색차신호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슬라이스레벨은 상기의 색차신호를 화면전체에 걸쳐 적분한 적분평균치보다 소정의 레벨만큼 높거나 낮은 레벨로 설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슬라이스레벨은 상기의 색차신호를 화면전체에 걸쳐 적분된 적분 평균치보다 소정의 레벨만큼을 높거나 낮은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의 상측 슬라이스레벨 및 하측 슬라이스레벨에 대해 상한 및 하한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4.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생성하고, 각각의 색차신호를 화면전체에 걸쳐 각각 적분하고, 각각의 적분 평균치가 소정의 기준레벨과 동일하도록 적, 청신호의 이득을 제어토록 한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적, 청신호의 이득은 색온도가 2800°K이하일 경우 약간 붉은 색을 띄어 따뜻한 색조를 재현토록하고, 색온도가 7200°K이상일 경우 약간 푸른색을 띄어 차가운 색조를 재현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5.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중에서 적 및 청신호의 이득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이득제어신호(14, 18) ;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생성된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각각 화면전체에 걸쳐 적분하는 제 1 및 제 2 적분회로(24, 26) ; 색차신호(ER-EY)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검출하여 제 1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색차신호(ER-EY)를 적분하는 적분회로(64), 적분된 평균치를 설정된 레벨보다 큰 레벨로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트회로(66A), 적분된 평균치를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레벨로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트회로(66B), 색차신호(ER-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에 대응하여 변동하는 상측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는 상, 하한 리미터(68A, 69A), 색차신호(ER-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에 대응하여 변동하는 하측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는 상, 하한 리미터(68B, 69B)를 포함하는 제 1 슬라이스레벨 설정수단 ; 색차신호(ER-EY)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검출하여 제 2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색차신호(ER-EY)를 적분하는 적분회로(74), 적분된 평균치를 설정된 레벨보다 큰 레벨로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트회로(76A), 적분된 평균치를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레벨로 시프트시키는 레벨시프트회로(76B), 색차신호(ER-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에 대응하여 변동하는 상측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는 상, 하한 리미터(78A, 79A), 색차신호(ER-EY)의 화면전체의 평균치에 대응하여 변동하는 하즉 슬라이스레벨을 설정하는 상, 하한 리미터(78B, 79B)를 포함하는 제 2 슬라이스레벨 설정수단 ; 상기의 색차신호(ER-EY)와 제 1 슬라이스레벨을 입력하여 색차신호가 제 1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강색차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기(70A, 70B) ; 상기의 색차신호(ER-EY)와 제 2 슬라이스레벨을 입력하여 색차신호가 제 2 슬라이스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강색차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비교기(80A, 80B) ; 상기의 제 1 및 제 2 슬라이스레벨보다 약한 색차신호를 표시하는 소정의 레벨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레벨설정기(90A, 90B)와 (92A, 92B) ; 상기 제 1 비교기의 강색차 검출신호나 제 1 및 제 2 비교기중 어느 하나의 강색차 검출신호의 출력시에 상기의 색차신호(ER-EY)에 대신하여 상기 제 1 레벨설정기의 소정의 레벨을 상기 제 1 적분회로에 출력하는 제 1 스위치(94A, 94B, 62) ; 상기 제 2 비교기의 강색차 검출신호나 제 1 및 제 2 비교기중 어느 하나의 강색차 검출신호의 출력시에 상기의 색차신호(EB-EY)에 대신하여 상기 제 2 레벨설정기의 소정의 레벨을 상기 제 2 적분회로에 출력하는 제 2 스위치(96A, 96B, 72) ; 각각의 색차 신호의 화면전체의 평균치가 동일하게 되는 소정의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제 1 및 제 2 기준레벨설정기(32, 34) ; 상기 제 1 적분회로의 적분 평균치와 상기 제 1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28) ; 및 상기 제 2 적분회로의 적분 평균치와 상기 제 2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설정기(90A, 90B)와 제 1 기준레벨설정기(32) 및 제 2 레벨설정기(92A, 92B)와 제 2 기준레벨설정기(34)는 각각 동일한 설정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
  7.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중에서 적 및 청신호의 이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이득제어회로(14, 18) ;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생성된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입력하여 상기의 색차신호로부터 강색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상한 리미터(141)와 하한 리미터(142)를 포함하는 제 1 진폭제한회로와 상한 리미터(143)와 하한 리미터(144)를 포함하는 제 2 진폭제한회로로된 진폭제한부(140) ; 상기의 제 1 및 제 2 진폭제한회로를 통과한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각각 화면전체에 걸쳐 적분하는 제 1 및 제 2 적분회로(24, 26) ; 상기 각각의 색차신호의 화면전체의 평균치가 동일하게 되는 소정의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제 1 및 제 2 기준레벨설정기(32, 34) ; 상기 제 1 적분회로의 적분 평균치와 상기 제 1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 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28) ; 및 상기 제 2 적분회로의 적분평균치와 상기 제 2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
  8.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중에서 적 및 청신호의 이득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이득제어회로(14, 18) ;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신호로부터 생성된 색차신호(ER-EY) 및 (EB-EY)를 각각 적분하는 제 1 및 제 2 적분회로(24, 26) ; 각각의 색차신호의 화면전체의 평균치가 동일하게 되는 소정의 기준레벨을 각각 설정하는 제 1 및 제 2 기준레벨설정기(32, 34) ; 상기 제 1 적분회로의 적분평균치와 상기 제 1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이득제어신호를 제 1 이득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제 1 비교수단(28) ; 상기 제 2 적분회로의 적분평균치와 상기 제 2 기준레벨설정기의 기준레벨을 비교하고, 상기의 적분평균치와 기준레벨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이득제어신호를 제 2 이득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제 2 비교수단(30) ; 및 상기 제 1 이득제어신호의 상한 및 하한을 각각 제한하기 위한 상한 리미터(36)와 하한 리미터(37)를 포함하는 제 1 진폭제한회로, 및 상기 제 2 이득제어신호의 상한 및 하한을 각각 제한하기 위해 상한 리미터(38)와 하한 리미터(39)를 포함하는 제 2 진폭제한회로로된 진폭제한부(3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
KR1019880010346A 1987-08-13 1988-08-13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KR920004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2510A JPH074019B2 (ja) 1987-08-13 1987-08-13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JP62202511A JP2618909B2 (ja) 1987-08-13 1987-08-13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JP?62-202510 1987-08-13
JP?62-202509 1987-08-13
JP?62-202511 1987-08-13
JP62202509A JP2618908B2 (ja) 1987-08-13 1987-08-13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51A KR890004551A (ko) 1989-04-22
KR920004571B1 true KR920004571B1 (ko) 1992-06-08

Family

ID=2732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346A KR920004571B1 (ko) 1987-08-13 1988-08-13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83360A (ko)
KR (1) KR920004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713A (en) * 1986-02-21 1992-10-06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forming device
US5023704A (en) * 1987-05-15 1991-06-11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wherein comparison is made between color component levels and reference levels which vary with the illuminance of incident light
US5563656A (en) * 1987-08-27 1996-10-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white balance adjustment
JPH0263394A (ja) * 1988-08-30 1990-03-02 Fuji Photo Film Co Ltd 彩度調整方法及び装置
JP2582140B2 (ja) * 1988-10-31 1997-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形ディスプレイ
DE69030984T2 (de) * 1989-04-28 1997-11-06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US5282024A (en) * 1989-08-23 1994-01-25 Canon Kabushiki Kaisha White balance correction device
US5442408A (en) * 1989-11-17 1995-08-15 Sanyo Electric Co., Ltd.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white balance in response to luminance information signal and color information signal obtained from image sensing device
US5633677A (en) * 1989-11-30 1997-05-27 Canon Kabushiki Kaisha Television camera apparatus
JP3034542B2 (ja) * 1990-01-17 2000-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JPH03238992A (ja) * 1990-02-15 1991-10-24 Sony Corp ビデオカメラ装置
US5162913A (en) * 1990-02-26 1992-11-10 Medical Concepts, Inc. Apparatus for modulating the output of a ccd camera
US5654753A (en) * 1990-03-22 1997-08-05 Canon Kabushiki Kaisha White balance correcting device for an image sensing apparatus
US5402182A (en) * 1990-07-17 1995-03-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hite-balance controlling apparatus
US5177599A (en) * 1990-07-23 1993-01-05 Hitachi, Ltd.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US5267026A (en) * 1990-08-31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with white balance control having the function of inhibiting auto while balance control under a special light source or of a special object
JPH04279142A (ja) * 1990-12-21 1992-10-0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tvカメラ装置
US5319449A (en) * 1991-04-17 1994-06-07 Fuji Photo Film Company, Limited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and video camera with a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JP3163660B2 (ja) * 1991-07-31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ビデオカメラ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KR950004464B1 (ko) * 1992-06-26 1995-05-01 주식회사금성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회로 및 조절방법
JP3607654B2 (ja) * 2001-09-14 2005-01-05 株式会社東芝 白バランスを得るための照明光の色推定方法および撮像装置
GB0211486D0 (en) * 2002-05-18 2002-06-26 Eastman Kodak Co Processing of digital images
JP4366966B2 (ja) * 2003-03-13 2009-11-18 株式会社ニコン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US20060092171A1 (en) * 2004-11-01 2006-05-04 Xuemei Zhang Method and system for image white point esti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4853A (en) * 1981-11-25 1985-03-12 Faroudja Y C Enhancement of quadrature modulated chroma by luminance or chroma transitions without chroma demodulation
US4646754A (en) * 1985-02-19 1987-03-03 Seale Joseph B Non-invasive determination of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th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51A (ko) 1989-04-22
US4883360A (en) 198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571B1 (ko) 자동 백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KR930011974B1 (ko) 칼라 비디오 카메라의 화이트 발란스 조정장치
US5289268A (en) Apparatus using brightness information from a photometering circuit and a brightness-converted green component from a color metering circuit to ultimately adjust white balance
EP0224904A2 (en)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of color video camera
US49223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white balance
KR960016444B1 (ko) 자동 백 바란스 조정방법 및 장치
KR940001979B1 (ko) 컬러 촬상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시스템
US2002002760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4750032A (en)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ing system for a color video camera
US6963362B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flash and color adjustment control
US5045928A (en) White balance control with choice of control dependent on brightness
EP045522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JP2618908B2 (ja)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JP2618909B2 (ja)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KR960008992B1 (ko) 채도 조정방법 및 장치
US5329362A (en) Color video camera using common white balance control circuitry in negative and postive image photoimaging modes
KR910006478Y1 (ko) 칼라 텔레비젼 카메라의 백색 밸런스 회로
US5272521A (en) White balance control based upon negative or positive mode selection
JP2743393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JPH074019B2 (ja)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EP0632647B1 (en) Color video camera capable of improving gradation of dark signal level
JPS6235792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システム
KR940002610B1 (ko)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
JP2001119716A (ja) 白バランス調整装置
JPH03270392A (ja) 色ずれ軽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