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39Y1 -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39Y1
KR920003939Y1 KR2019890020604U KR890020604U KR920003939Y1 KR 920003939 Y1 KR920003939 Y1 KR 920003939Y1 KR 2019890020604 U KR2019890020604 U KR 2019890020604U KR 890020604 U KR890020604 U KR 890020604U KR 920003939 Y1 KR920003939 Y1 KR 920003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ignal
switch
driv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372U (ko
Inventor
현기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39Y1/ko
Publication of KR910011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석측 모터 2 : 조수석측 모터
3 : 부저 4 : 경고램프
5 : 시동키뽑기스위치 6 : 점화스위치
7 : 운전석측 도어스위치 8 : 조수석측 도어스위치
9 : 충격센서 A1∼A8 : 앤드게이트
B1∼B4 : 오아게이트 B+: 자동차 밧데리전원
D1∼D6 : 구동회로 I1∼I8 : 인버터
LG1∼LG5 : 논리게이트부 LF, RF, LR, LW, RR, RW : 리미트스위치
R : 리셋트단자 T1∼T5 : 타이머회로
V1 : 정전압회로 W1∼W4 : 경보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충격센서를 갖춘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충격센서를 채용하여 차량의 충돌시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 주도록 된 종래의 좌석벨트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승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었으나, 그 반면에 정상상태(비충돌시)에서도 도어를 열어야만 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특히 차량의 충돌로 인해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되면 인위적으로 좌석벨트를 해제해야만 하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되면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그 후 운전자가 시동키를 뽑으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한편 이 상태에서 조수석의 승원이 조수석측 도어를 열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승원의 하차가 용이해지도록 하고, 또 정상상태에서 운전자가 라디오를 들으면서 차안에서 쉬고자 할 경우에는 점화스위치만 오프상태로 하면 도어를 열지 않아도 자동으로 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해제)되도록 하며, 더욱이 좌석벨트의 미착용시 및 좌석벨트로서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도록 함으로써, 승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는, 시동키뽑기스위치(5)와 점화스위치(6),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 리미트스위치(LF, RF, LR, LW, RR, RW), 충격센서(9), 운전석 및 조수석측 모터(1, 2)와 부저(3) 및 경고램프(4)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D1∼D6), 이 구동회로(D1∼D6)를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시키는 타이머회로(T1∼T5), 상기 각 스위치(5∼9, LF, RF, LR, LW, RR, RW)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상기 타이머회로(T1∼T5)를 제어하는 논리게이트부(LG1∼LG5)및, 상기 리미트스위치(LR, LW, RR, RW)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논리게이트부(LG5)와 경고램프 구동회로(D6)를 제어하는 경보회로(W1∼W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된 경우, 운전자가 시동키를 뽑으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해제되고, 또 이 상태에서 조수석의 승원이 조수석측 도어를 열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해제되게 된다. 또, 운전자가 라디오를 청취하면서 차내에서 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점화스위치만 오프상태로 하면 좌석벨트가 해제되게 된다. 더욱이, 좌석벨트의 미착용시에 경고를 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시동키뽑기스위치(5)는 키 홀더(key holder)에서 키를 뽑았을 때 오프상태로 되는 스위치이고,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는 운전석측 도어가 열렸을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며,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는 조수석측 도어가 열렸을 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고, 충격센서(9)는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충격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충격이 검출되면 온상태로 된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LF)는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해제위치)에 있을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고, 리미트스위치(RF)는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해제위치)에 있을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며, 리미트스위치(LR)는 운진석측 좌석벨트가 후방(구속위치)에 있을 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고, 리미트스위치(LW)는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장착되었을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며, 리미트스위치(RR)는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후방(구속위치)에 있을 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고, 리미트스위치(RW)는 조수석측좌석벨트가 장착되었을 때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구동회로(D1∼D4)는 운전석 및 조수석측의 모터(l, 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타이머회로(T1∼T4)는 좌석벨트의 이동중에 레일등에 이물질 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모터(l, 2)에 과부하가 걸려 이들 모터(1, 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만 구동회로(D1∼D4)에 신호를 공급하여 모터(1, 2)가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만 구동되도록 해 주는 것이며, 부저(3)및 경고램프(4)는 본 장치의 고장이나, 혹은 좌석벨트의 미착용시 및 좌석벨트로서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도록 된 것이고, 구동회로(D5, D6)는 상기 부저(3)및 경고램프(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타이머회로(T5)는 소정의 시간동안만 부저(3)가 구동되도록 해 주는 것이고, 경보회로(W1∼W4)는 상기 경고램프(4) 및 부저(3)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며, 논리게이트부(LG1∼LG5)는 상기 스위치(5∼9, LF, RF, LR, LW, RR, RW)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타이머회로(T1∼T5)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첫번째로, 운전석측 좌석벨트의 전방이동(해제)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오프상태인 경우와,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고 점화스위치(6)가 오프상태인 경우 및,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이고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가 온상태인 경우이다.
먼저,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오프상태인 경우, 즉 키 홀더에서 키를 뽑은 경우에는, 풀다운(pull down) 저항에 의해 로우레벨(이하"0"이라 칭함)의 신호가 인버터(I5)에 입력된 후, 이 인버터(I5)에 의해 반전되어 하이레벨(이하 "1"이라 칭함)의 신호로서 출력되어 논리게이트부(LGl)의 오아(OR) 게이트(Bl)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점화스위치(6)및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의 온·오프상태에 따른 신호가 각각 인버터(I6, I7)를 매개해서 오아게이트(B2)에 입력되어 논리합 연산되고, 이 연산결과와 충격센서(9)의 온·오프상태에 따른 신호가 앤드(AND) 게이트(A5)에서 논리곱 연산되어 상기 오아게이트(B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 경우 오아게이트(B1)의 출력은 상기 인버터(I5)의 출력이 "1"이므로 상기 앤드게이트(A5)의 출력에 관계없이[즉, 상기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와 충격센서(9)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1"로 되게 된다. 따라서, 이 오아게이트(Bl)로부터 출력된 "1"의 신호가 앤드게이트(A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때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에 있을 때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LF)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고 하면 풀업(pull up)저항에 의해 "1"의 신호가 앤드게이트(A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1)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1)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그에 따라, 타이머회로(T1)가 리셋트되어 이 타이머회로(T1)로부터 "1"의 신호가 구동신호로서 구동회로(D1)에 인가되게 되고, 이 구동회로(D1)에 의해 운전석측 모터(1)가 구동되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구속이 해제되게)된다.
그후,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완전히 전방으로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LF)가 온상태로 되게 되면, 상기 앤드게이트(A1)의 한쪽 입력단자에 "0"이 입력되므로, 다른쪽 입력단자에 "1"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타이머회로(T1)의 리셋트단자(R)에는 "0"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타이머회로(T1)의 작동이 중지되어 구동회로(D1)에 의한 운전석측모터(1)의 구동이 중단되게 되므로, 운전석측 좌석벨트는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물질 등에 의해 레일 중간에서 정지한 경우에는, 타이머회로(T1)로부터 소정의 설정시간(벨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충분한 시간에 여유시간을 합한 시간)후에 "0"의 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석측 모터(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운전석측 모터(1)의 구속전류에 의해 모터(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머회로(T2∼T4) 및 구동회로(D2∼D4)에 대한 설명은 상기 타이머회로(T1)와 구동회로(D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고 점화스위치(6)가 오프상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점화스위치(6)가 오프상태이므로 인버터(I6)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B2)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 오아게이트(B2)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의 온·오프상태에 따른 신호가 인버터(I7)를 매개해서 입력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아게이트(B2)의 출력은 상기 인버터(I6)의 출력신호가 "1"이므로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1"로 되게 된다. 이 오아게이트(B21)로부터 출력된 "1"의 신호가 앤드게이트(A5)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때 앤드게이트(A5)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연결된 충격센서(9)가 오프상태(충격을 받지 않은 정상상태)라고 하면 상기 앤드게이트(A5)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5)로부터는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B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오아게이트(B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버터(I5)로부터 "0"의 신호[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므로]가 입력되더라도 오아게이트(B1)로부터는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때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에 있을 때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LF)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고 하면 앤드게이트(A1)의 다른쪽 입력단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1)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1)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측 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이 경우는 차량이 충격을 받지않은 상태(정상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라디오 등을 들으면서 차안에서 쉬고자 할 경우에 매우 편리하다.
계속해서,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이고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가 온상태(운전석측 도어가 열린 상태)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가 온상태이므로 인버터(I7)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B2)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이므로 인버터(I6)로부터 "0"의 신호가 츌력되어 오아게이트(B2)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입력되더라도. 이 오아게이트(B2)로부터는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5)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충격센서(9)가 오프상태(정상상태)라고 하면, 상기 앤드게이트(A5)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5)로부터도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B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므로 인버터(I5)로부터 "0"의 신호가 상기 오아게이트(B1)의 단른쪽 입력단자에 입력되더라도, 이 오아게이트(B1)로부터는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리미트스위치(LF)가 오프상태로 되어있다고 하면 앤드게이트(A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1)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1)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모터(1)가 구동되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두번째로, 조수석측 좌석벨트의 전방이동(해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충격센서(9)가 오프상태(정상상태)이고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인 경우와, 충격센서(9)가 온상태(비정상상태)일때,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오프상태이고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인 경우이다.
먼저, 충격센서(9)가 오프상태이므로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인 경우에는, 충격센서(9)가 오프상태이므로 오아게이트(B4)의 한쪽 입력단자에 "1"의 신호가 입력되고, 이 오아게이트(B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시동키뽑기스위치(5)의 온·오프상태에 따른 신호가 인버터(I5)를 매개해서 입력되게 되는데, 이 오아게이트(B4)의 출력은 한쪽 입력단자에 "1"의 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므로 상기 시동키뽑기스위치(5)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1"로 되게 된다. 이 오아게이트(B4)로부터 출력된 "1"의 신호가 앤드게이트(A7)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 앤드게이트(A7)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인버터(I8)로부터 "1"의 신호[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이므로]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7)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3)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에 있을 때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RF)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고 하면 앤드게이트(A3)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3)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3)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모터(2)가 구동되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 경우는 주차상태에서 조수석에 승원이 탑승할 때 편리하다.
다음으로, 충격센서(9)가 온상태일 때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오프상태이고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충격센서(9)가 온상태이므로 오아게이트(B4)의 한쪽 입력단자에 "0"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오프상태이므로 인버터(I5)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오아게이트(B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오아게이트(B4)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7)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 앤드게이트(A7)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인버터(I8)로부터 "1"의 신호[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온상태이므로]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7)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3)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리미트스위치(RF)가 오프상태로되어 있다고 하면 앤드게이트(A3)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3)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3)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모터(2)가 구동되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세번째로,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구속되는 경우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기 위해 도어를 닫고 시동을 건 상태로서, 즉 이때에는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이고,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가 오프상태이므로, 인버터(I1, I2)로부터 "1"의 신호가 앤드게이트(A6)에 입력되고, 이 앤드게이트(A6)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2)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에 있을때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LR)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고 하면 상기 앤드게이트(A2)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2)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A2)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2)의 리셋트(R)에 입력되게 되므로, 구동회로(D2)에 의해 모터(1)가 구동되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되게 된다.
네번째로,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구속되는 경우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이고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가 오프상태인 경우로서, 이때에는 인버터(I3, I4)의 출력이 "1"로 되므로 앤드게이트(A8)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4)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또 리미트스위치(RR)가 오프상태로 되어있다고 하면 상기 앤드게이트(A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1"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앤드게이트(A4)로부터 "1"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밍회로(T4)의 리셋트단자(R)에 입력되게 되므로, 구동회로(D4)에 의해 모터(2)가 구동되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예컨대,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석측 좌석벨트의 경우에는. 충격센서(9)가 온상태이므로 앤드게이트(A5)의 한쪽 입력단자에 "0"의 신호가 입력되고, 그에 따라 이 앤드게이트(A5)로부터 "0"의 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B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 오아게이트(B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버터(I5)로부터 "0"의 신호[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므로]가 입력되게 되므로, 이 오아게이트(B1)로부터도 "0"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1)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에따라 앤드게이트(A1)로부터 "0"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회로(T1)의 리세트단자(R)에 인가되게 되므로, 운전석측 모터(1)가 구동되지 않게 되어 운전석측 좌석벨트는 구속(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 운전자가 하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동키뽑기스위치(5)를 오프상태로 하면(즉, 시동키를 키 홀더에서 뽑으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 반면에 조수석측 좌석벨트의 경우에는, 충격센서(9)가 온상태이고 시동키뽑기스위치(5)가 온상태이므로, 오아게이트(B4)의 양 입력단자에 "0"의 신호가 입력되어 오아게이트(B4)로부터 "0"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7)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그에따라 이 앤드게이트(A7)로부터 "0"의 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3)에 입력되게 되므로, 이 앤드게이트(A3)로부터도 "0"의 신호가 출력되어 타이머 회로(T3)의 리셋트단자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조수석측 모터(2)가 구동되지 않게 되어 조수석측 좌석벨트도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조수석의 승원이 하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뽑기스위치(5)를 오프상태로 하고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를 온상태로 하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좌석벨트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후 시동키를 뽑게 되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또 이 상태에서 조수석측 도어를 열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차량의 충돌시에 승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충돌후에 승원의 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섯번째로, 부저(3)와 경고램프(4)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로 되면 IG전원이 부저(3)와 경고램프(4)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리미트스위치(LR)가 오프상태라고 하면 경보회로(W3)를 통해 구동회로(D6)에 "1"의 신호가 구동신호로서 인가되어 이 구동회로(D6)에 의해 경고램프(4)가 점등되게 된다. 또, 이와 마찬가지로 리미트스위치(RR)가 오프상태이면 경보회로(W4)를 통해 구동회로(D6)에 "1"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이때에도 구동회로(D6)에 의해 경고램프(4)가 점등되게 된다. 즉, 점화스위치(6)가 온상태로 된 상태는 주행을 위해 시동을 건 상태라 할 수 있으므로, 운전석(또는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승원을 구속시켜야 하는데, 이때 어느 한쪽이라도 확실한 구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리미트스위치(LR, RR)중 어느 하나라도 온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경고를 발하게 된다. 또한, 리미트스위치(LR, RR)는 모두 온상태로 되어 있지만, 운전석측 좌석벨트를 착용하면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LW), 혹은 조수석측 좌석벨트를 착용하면 온상태로 되는 리미트스위치(RW)중 어느 하나라도 온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경보회로(W1, W3) 및 경보회로(W2, W4)로부터 구동회로(D6)로 "1"의 신호가 출력되어 이 구동회로(D6)에 의해 경고램프(4)가 점등됨과 더불어, 오아게이트(B3)에 "1"의 신호가 입력되어 타이머회로(T5)의 리셋트단자(R)에 "1"의 신호가 인가되게 되므로 타이머회로(T5)가 작동되어 소정의 설정시간동안 구동회로(D5)에 "1"의 신호가 구동신호로서 입력되게 되고, 그에 따라 이 구동회로(D5)에 의해 부저(3)가 구동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충격센서가 온상태로 되면 좌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구속)된 싱태를 유지하도톡 함과 더불어, 그 후 운전자가 시동키를 뽑으면 운전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한편 이 상태에서 조수석의 승원이 조수석측 도어를 열면 조수석측 좌석벨트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승원의 하차가 용이해지도록 하고, 또 정상상태에서 운전자가 라디오를 들으면서 차안에서 쉬고자 할 경우에는 점화스위치만 오프상태로 하면 도어를 열지 않아도 자동으로 벨트가 전방으로 이동(해제)되도록 하며, 더욱이 좌석벨트의 미착용시 및 좌석벨트로서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도록 함으로써, 승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시동키뽑기스위치(5)와 점화스위치(6), 운전석측 도어스위치(7), 조수석측 도어스위치(8), 리미트스위치(LF, RF, LR, LW, RR, RW), 충격센서(9), 운전석 및 조수석측 모터(1, 2)와 부저(3) 및 경고램프(4)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D1∼D6), 이 구동회로(D1∼D6)를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시키는 타이머회로(T1∼T5), 상기 각 스위치(5∼9LF, RF, LR, LW, RR, RW)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상기 타이머회로(T1∼T5)를 제어하는 논리게이트부(LG1∼LG5)및, 상기 리미트스위치(LR, LW, RR, RW)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상기 논리게이트부(LG5)와 경고램프 구동회로(D6)를 제어하는 경보회로(W1∼W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KR2019890020604U 1989-12-29 1989-12-29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KR920003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604U KR920003939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604U KR920003939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72U KR910011372U (ko) 1991-07-29
KR920003939Y1 true KR920003939Y1 (ko) 1992-06-13

Family

ID=1929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604U KR920003939Y1 (ko) 1989-12-29 1989-12-29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72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7645A (en) Seat belt system with starter engine lock and alarm
US4723078A (en) Arrangement for the automatic engagement of a hazard warning system
US4965546A (en) Warning device to alert passers-by before opening an automobile door
GB2265240A (en) A safety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US4321979A (en) Passive seatbelt system
US4410061A (en) Passive seatbelt system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920003939Y1 (ko)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US5037133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for vehicle
US4781267A (en) Passive restraint control system
US3985193A (en) Vehicle semi-passive occupant restraining belt arrangement
KR920003876Y1 (ko) 차량용 좌석벨트의 자동제어장치
JPH0585262A (ja) 車両用ランプの点滅制御装置
US5054574A (en) Control for automotive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manual retrigger
JPS6382853A (ja) シ−トベルト装置
US5058701A (en)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manual lap belt interlock
JPS6139644Y2 (ko)
JPS62286851A (ja) 自動車のパワ−シ−ト制御装置
KR920003938Y1 (ko) 전동식 좌석벨트의 제어장치
JP303826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4844507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KR0165784B1 (ko) 자동차 도어 해제장치
JPH0110284Y2 (ko)
JPH0355467Y2 (ko)
JP2002120646A (ja) 車両の室内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