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21Y1 - 지시계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시계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21Y1
KR920003521Y1 KR2019850011045U KR850011045U KR920003521Y1 KR 920003521 Y1 KR920003521 Y1 KR 920003521Y1 KR 2019850011045 U KR2019850011045 U KR 2019850011045U KR 850011045 U KR850011045 U KR 850011045U KR 920003521 Y1 KR920003521 Y1 KR 920003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082U (ko
Inventor
세이소오 다나까
시게오 니시와끼
Original Assignee
니뽄 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쓰오 filed Critical 니뽄 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시계의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지시계기와 홀더의 분해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프린트기판을 홀더에 결합한 상태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계기본체 27 : 홀더
29 : 프린트기판 39 : 계기케이스
본 고안은, 예를들어 자동차나 오토바이등에 장비되는 지시계기, 특히 계기케이스내에 계기본체 및 프린트기판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한 지시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지시계기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어 속도계, 회전계 등의 가동코일식계기(1)가 계기케이스(2)의 밑바닥부에 부착고정되고, 전기한 가동코일식계기(1)의 작동을 위한 회로부품(3)등을 결합부착한 프린트기판(4)이 가동코일식계기(1)의 옆부분에서 계기케이스(2)의 밑바닥부에 설치한 계합홈(5)에 꽂혀 보전지지되거나 혹은 나사로써 고정부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동코일식계기(1)등의 지시계기의 옆부분에 프린트기판(4)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지시계기의 옆부분에 조명장치나 다른 계기, 예를들어 유압계나 연료계를 결합한 경우, 지시계기 및 프린트기판(4)의 결합부착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서, 계기케이스의 수용공간이 비교적 크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계기의 소형화경향에 부합되지 않는다.
또, 프린트기판(4)을 직접 계기케이스(2)에 부착하기 때문에, 프린트기판(4)의 도전부(導電部)나 전기부품 등이 외부와 접촉할 우려가 있어서, 조립상 그점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 하는 문제점은, 계기케이스내에 계기본체 및 프린트기판을 수용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한 프린트기판을 계기 본체의 아래부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계기케이스내에 계기본체 및 프린트기판을 수용배치하는 차량용 회전속도계에 있어서, 계기가동부와 이 계기가동부를 내장하는 하우징에 의해 전기한 계기본체를 형성하고, 이 계기 본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전기한 프린트기판의 가장자리부를 둘러싸서 프린트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형상의 홀더를 형성하고, 그 프레임형상의 홀더의 내벽에는 프린트기판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평면적으로 맞닿아 지지하는 계단부를 형성하며, 전기한 계기본체의 하우징과 전기한 홀더에 각각 하우징과 홀더를 계탈가능하게 계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계기본체의 하우징에 나사부를 형성해서, 계기케이스 배면쪽으로부터 고정용나사를 삽입하여 하우징의 나사부에 체결하여 나사부에 체결하여 계기본체와 홀더를 적측상태로해서 계기케이스에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계의 고정장치에 있다.
홀더에 형성된 지지부에 프린트기판을 결합부착한 후, 홀더를 계기본체의 밑바닥부에 배치하여 계기케이스에 부착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비교적 작게 되어 프린트기판은 안정한 상태로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예를들어 가동코일식계기의 계기본체(11)는 합성수지제 하우징(12)에 프린트기판(29)의 측정값에 따른 전류를 입력하는 2개의 단자(13), (13a)를 설치하고, 이 단자(13), (13a)에 각각 절연판(14)을 사이에 두고 이간(離間)되는 2개의 유사(hairspring)(15), (15a)와 한쪽끝을 고정부착하고 있으며, 이 유사(15), (15a)는 앞쪽 끝에 지침(16)을 부착한 지침축(17)을 중심으로 감겨서, 지침(16)을 영(zero)위치방향으로 밀어되돌리는 작용을 보유하는 전도재로 이루어지며, 그 다른쪽끝은 지침축(17)과 연동하는 코일홀더(18)에 세워서 설치한 2개의 핀(19), (19a)를 개재하여 코일홀더(18)에 보전지지되는 종공각주(角柱)형상코일프레임(20)의 주위를 말아감는 권선(21)에 각각 접속하고, 코일프레임(20)의 중공부에는 도자재(導磁材)로이루어진 상측요우크(22)와 위치하며, 하우징(12)가 아래쪽 끝에는 도자재로 이루어진 하측요우크(23)가 위치하고, 전기한 상측요우크(22)가 하측요우크(23)사이에는 자석(24)이 배설되며, 자석(24), 상측요우크(22), 하측요우크(23)의 자기(磁氣)폐회로가 형성되어 권선(21)에의 통전량에 따른 권형위치까지 지침(16)을 회동하여 측정량을 지시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하우징(12)의 양쪽 옆부분에는 1쌍의 세구로멍(25), (25a)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암나사부(26), (26a)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27)는 그 평면형상이 계기본체(11)의 하우징(12)과 대략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홀더(27)의 한쪽에는 오목부(28)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8)의 바깥쪽에는 프린트기판(29)의 상면에 계지하는 계지용걸쇠(30)가 탄발적으로 설치되며, 다른쪽의 내벽에는 프린트기판(29)의 상면에 계지하는 부상(浮上)방지용돌기(30a)가 설치되고,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홀더(27)내벽의 거의 전둘레에 걸쳐서 프린트기판(29)을 재치하는 계단부(31)가 상기한 오목부(28)의 높이에 맞추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27)의 상기한 하우징(12)의 세로구멍(25), (25a)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결합핀(32)(32a)이 각각 세워서 설치되고, 이 결합핀(32)(32a)는 상기한 세로구멍(25), (25a)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대경부(大涇部)(33), (33a)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깊숙히 절단한 홈(34), (34a)을 세로로 설치하여 가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홀더(27)의 다른쪽에는 계기본체(11)쪽에 형성한 위치결정용홈(37)과 끼워맞추는 위치결정용 돌출부(3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2)의 암나사부(26), (26a)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계기본체(11)의 고정용 나사(35), (35a)를 삽입하는 삽입구멍(36), (36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해서, 프린트기판(29)의 한끝쪽을 홀더(27)의 부상방지용 돌기(30a)에 계합하도록 계단부(31)에 재치하고, 계지결쇠(30)에 의하여 프린트기판(29)의 다른 끝쪽을 탄발적으로 오목부(28)에 재치하여 프린트기판(29)을 홀더(27)와 일체로 결합부착하는 것이다.
계지본체(11)의 세로구멍(25), (25a)에 홀더(27)에 설치하는 결합핀(32), (32a)을 삽입함과 아울러 위치결정용홈(37)과 돌출부(38)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계기본체(11)와 프린트기판(29)을 수용한 홀더(27)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결합핀(32), (32a)을 세로구멍(25), (25a)에 삽입하면 결합핀(32), (32a)의 대경부(33), (33a)가 깊숙히 절단한 홈(34), (34a)에 의하여 안쪽으로 부세되면서 돌출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계지된다.
이와같은 계지상태로 일체화된 계지본체(11)와 프린트기판(29)을 수용한 홀더(27) 계기케이스(39)내의 배면 쪽으로부터 고정용 나사(35), (35a)삽입하여 하우징(12)의 암나사부(26)(26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계기케이스(39)내의 밑바닥부에 하우징(12)과 홀더(27)를 적층상태로 하여 결합고정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계기본체(11)의 옆부분에는 프린트기판(29)의 배설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계기본체(11)에 조명장치나 유압계나 연료계 등의 다른 계기본체를 접근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체구성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프린트기판(29)은 프레임형상의 홀더(27)에 의해 둘러싸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여 계기본체(11) 및 프린트 기판(29)의 계기케이스(39)에의 결합시에, 프린트기판(29)의 주위를 프레임 형상의 홀더(27)에 의해 보호할수 가 있어서, 프린트 기판(29)의 손상이나 프린트기판(29)에 부착한 전기부품이 파손되지도 않으며, 그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재치용 계단부(31)에 재치하여 계지걸쇠(30), 돌기(30a)로 고정하므로 흔들림이나 이동 등의 불편함도 해소할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이 계기케이스내에 계기본체 및 프린트기판을 수용배치하는 차량용 회전속도계에 있어서, 계기가동부와 이 계기가동부를 내장하는 하우징에 의해 전기한 계기본체를 형성하고, 이 계기본체의 아래쪽의 배치되어 전기한 프린트기판의 가장자리부를 둘러싸서 프린트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형상의 홀더를 형성하고,이 프레임형상의 홀더의 내벽에는 프린트기판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평면적으로 맞닿아 지지하는 계단부를 형성하며, 전기한 계기본체의 하우징과 전기한 홀더에 각각 하우징과 홀더를 계탈가능하게 계합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계기본체의 하우징에 나사부를 형성해서, 계기케이스 배면쪽으로부터 고정용나사를 삽입해서 하우징의 나사부에 체결하여 계길본체와 홀더를 적충상태로 해서 게기케이스에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계기의 고정장치이므로, 이러한 종류의 지시계기의 소형화경향에 대응할수 있고, 또 프린트기판이나 프린트기판 상에 배선된 전기부품 등의 보호도 가능하며, 그 결합도 양호하게 되어 그 효과가 대단히 크다.

Claims (1)

  1. 계기케이스내에 계기본체 및 프린트기판을 수용배치하는 차량용 회전속도계에 있어서, 게기가동부와 이 계기가동부를 내장하는 하우징(12)에 의해 전기한 계기본체(11)를 형성하고, 이 계기본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전기한 프린트기판(29)의 가장자리부를 둘러싸서 프린트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형상의 홀더(27)를 형성하고, 이 프레임형상의 홀더의 내벽에는 프린트 기판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평면적으로 맞닿아 지지하는 계단부(31)를 형성하며, 전기한 계기본체(11)의 하우징(12)과 전기한 홀더에 각각 하우징과 홀더를 게탈가능하게 하는 계합부(25), (25a), (2), (32a)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계기본체의 하우징에 나사부(26), (26a)를 형성해서, 계기케이스의 배면쪽으로부터 고정용 나사(35), (35a)를 삽입해서 하우징의 나사부에 체결하여 계기본체와 홀더를 적층상태로 해서 계기케이스에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계기의 고정장치.
KR2019850011045U 1984-09-26 1985-08-28 지시계의 고정장치 KR92000352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46534U JPH0416905Y2 (ko) 1984-09-26 1984-09-26
JP84-146534(U) 1984-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082U KR860004082U (ko) 1986-04-25
KR920003521Y1 true KR920003521Y1 (ko) 1992-05-30

Family

ID=1540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045U KR920003521Y1 (ko) 1984-09-26 1985-08-28 지시계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6905Y2 (ko)
KR (1) KR920003521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0765U (ko) * 1975-09-16 1977-03-23
JPS5856488B2 (ja) * 1981-06-15 1983-12-15 株式会社 大日製作所 木材剥皮バ−カ−
JPS5856488U (ja) * 1981-10-12 1983-04-16 横河電機株式会社 表示ユニツトの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6905Y2 (ko) 1992-04-15
KR860004082U (ko) 1986-04-25
JPS6160121U (ko) 1986-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3489A (en) Encased electrical instrument
KR920003521Y1 (ko) 지시계의 고정장치
KR100237598B1 (ko) 전기접속체
KR840005882A (ko) 자기 버블 카세트(magnetic bubble cassette)
US4416550A (en) Drive assembly for a timepiece
GB2043358A (en) Measuring instrument containing a printed-circuit assembly
US6314810B1 (en) Instruments cluster gauge mounting means
JP3095125B2 (ja) 計器ムーブメントの電気接続構造
CN212872620U (zh) 双磁环电流传感器
JP2991160B2 (ja) 回路基板の固定構造
JPS6328553Y2 (ko)
JPS596599Y2 (ja) ヒユ−ズカバ−
JPH0142367Y2 (ko)
JP2555390Y2 (ja) 回路基板の取付け構造
JPS636828Y2 (ko)
JPH0447993Y2 (ko)
JPH07260831A (ja) 電流検出器
JPH0237254Y2 (ko)
JPH0127218Y2 (ko)
JPH0322776Y2 (ko)
JP3060453B2 (ja) 計器装置
JPH0142366Y2 (ko)
JPS63186155A (ja) 電流検出装置
JPH11194136A (ja) 渦電流型計器における速度検出装置
JPS633334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