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81B1 -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81B1
KR920003181B1 KR1019890004162A KR890004162A KR920003181B1 KR 920003181 B1 KR920003181 B1 KR 920003181B1 KR 1019890004162 A KR1019890004162 A KR 1019890004162A KR 890004162 A KR890004162 A KR 890004162A KR 920003181 B1 KR920003181 B1 KR 92000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pu
control system
switching
in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126A (ko
Inventor
마코토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키입력 제어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타이머 인터럽트 제어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장치 7 : 키입력 제어장치
13 : 전환상태 레지스터 15 : 타이머
본 발명은 키입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능키를 사용하여 임의의 시점에서 하드웨어 상태를 전환하는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16비트, 32비트 등의 고속으로 고집적도의 CPU칩을 생성하였고, 그것에 수반하여 여러가지 퍼스널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CPU클록을 전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실행해야할 응용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단일 사용자 다중 타스크, 또는 다중 사용자 다중 타스크 등과 같이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CPU클록을 빨리할 필요가 있다. 한편, 게임프로그램 등의 경우에는 CPU의 클럭이 지나치게 빠르면 오퍼레이터가 추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의 전환요구에 응답하여 CPU의 클록을 느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중에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표준장비하고, 옵션으로서 CRT디스플레이를 접속할 수 있는 타입이 있다. 이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실행해야할 응용 프로그램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으로 짜여져 있는지 또는 CRT기스플레이용으로 짜여 있는지에 따라, 표시장치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시(인자)되는 문자의 종류로서 단일폰트 및 이중폰트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어느 폰트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하드웨어 상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더구나, 이 전환은 예를 들어 기능키를 사용하여 어느 시점,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시스템 프로그램(OS)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나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도, 전환이 가능할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환을 할 경우, 종래 2가지의 전환 제어방식이 존재하고 있었다.
제1의 방법은 키보드 인터럽트에 의한 방법이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해 특정한 기능키가 눌리면, 키보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CPU(서브 CPU)는 메인 CPU에 인터럽트를 건다. 이 인터럽트에 응답해서 메인 CPU는 그 키보드 인터럽트 처리루틴 중에서 어느 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처리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2가지 결점이 있다. 첫째로,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전환제어가 행해지므로, OS상에서는 전환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둘째로, 전환제어는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행해지지만, 그 기능키가 응용프로그램중에서 별도 특정한 용도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환제어를 할 수 없다.
둘째의 방법은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한 제어이다. 즉, 타이머로 부터의 타임 아웃 신호에 의해 소정간격마다 메인 CPU에 인터럽트가 걸린다. 이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메인 CPU는 키보드 장치내의 서브 CPU에 대해 소정의 기능키가 눌렀는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소정의 기능키가 눌려 있을 경우에는,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basic input and output program)(BIOS)에 의해, 그 기능키에 할당된 소정의 처리(전환제어)를 실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메인 CPU와 서브 CPU는 비동기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메인 CPU가 서브 CPU에 대해 조회를 하여도, 서브 CPU는 그 조회에 즉시 응답하지는 않으며, 통상 메인 CPU는 수백 마이크로초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메인 CPU가 인터럽트가 걸리기 전에 예를 들어 통신 프로그램을 서비스하고 있었다고 하면, 고속 통신에서는 1문자 데이타가 전송되는 간격은 100마이크로초 내지 200마이크로초이며, 메인 CPU는 데이타를 잡지 못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해 특정한 키의 검출을 할 경우에, 메인 CPU의 소유시간을 없애고, 중단된 처리의 실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키입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입력 시스템은 어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할당된 최소한 하나의 키를 구비하고, 키가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키선택정보를 출력하는 키보드 수단과; 상기 키보드 수단에서 출력된 키선택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소정간격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상기 타이머 수단으로 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받을 때마다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키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키가 선택되었는지를 인식해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하는 CPU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 상태 레지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하드웨어 상태의 전환을 하기 위해 특정한 기능 키가 눌리면, 키입력 제어 장치내의 서브 CPU가 검출하고, 그 내려누르기 정보를 데이타 버스를 통해 전환상태 레지스터에 세트한다. 메인 CPU는 타이머에서 인터럽트가 걸리면 서브 CPU에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전환 상태 레지스터를 참조하는 것만으로 키가 눌린것(또는 어느 키가 눌렸는지)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유 시간을 없앨 수 있어서 중단된 프로그램에 대해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키입력장치(1)는 하드웨어상태를 전환하도록 할당된 기능키군(2),(3),(4),(5),(6),(8)을 구비하고 있다. 키입력장치(1)는 키입력제어장치(7)와 접속되어 있다. 키입력 제어장치(7)는 서브 CPU(9)를 내장하고, 키입력장치(1)로 부터의 키의 내려누르기에 응답해서 어느 키가 눌렸는지를 검출하고, 데이타 버스(11)를 통해 전환상태 레지스터(13)에 세트한다. 전환상태 레지스터(13)는 입력된 키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기능키 별로 눌렸는지 어떤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키가 눌렸다고 하는 정보와, 어느 키가 눌렸는가라고 하는 정보의 양쪽을 가지고 있지만, 키가 눌렸다고 하는 정보만을 유지하고, 후술하는 BIOS에 의해 어느 키가 눌렸는지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타이머(15)는 소정시간 간격마다 타임아웃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타버스(11)를 통해 메인 CPU(17)에 공급한다. CPU(17)는 데이타버스(11)에 접속되는 각종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BIOS ROM(19)은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의 기본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상기 서브 CPU(9)와 메인 CPU(17)와는 비동기로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키입력 제어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키입력제어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키입력 제어장치(7)내의 서브 CPU(9)는 제2도의 단계(21)에 있어서 키입력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단계(21)에 있어서 키입력이 없으면 있을때까지 기다린다. 단계(21)에 있었다고 판단하면, 단계(23)에 있어서 그 키입력이 하드웨어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할당된 특정한 기능키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단계(23)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단계(25)에 있어서 그밖의 키에 대한 입력처리를 한다. 단계(25)의 키입력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계(23)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기능키가 눌려졌다고 판단하면, 서브 CPU(9)는 단계(27)에 있어서 어느 기능키가 눌렸는지를 나타내는 키입력 상태 정보를 전환상태 레지스터(13)에 세트한다.
제3도는 메인 CPU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15)는 소정시간 간격별로 메인 CPU(17)에 인터럽트를 건다. 메인 CPU(17)는 이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단계(31)에 있어서 전환상태 레지스터(13)에 세트된 키입력 상태 데이타를 판독한다. 다음, 단계(33)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렸는지 어떤지를 상기 키입력 상태에서 판단한다. 단계(33)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려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37)로 진행하여 타이머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33)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려있다고 판단되면, 메인 CPU(17)는 단계(35)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태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CPU의 클록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렸을 경우에는 메인 CPU(17)는 CPU의 클록을 전환한다. CRT 디스플레이어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렸으면 그 전환을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시 해상도(640×200, 640×350, 640×480 등)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린 것이라면, 그 표시해상도의 전환을 한다. 또한, 단일 폰트와 이중폰트의 전환을 나타내는 기능키가 눌렸으면 그 전환을 한다.
다음에, 메인 CPU(17)는 전환 상태 레지스터의 내용을 클리어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상태의 전환을 예로들어 기능키가 눌렸는지 어떤지를 신속히 판단하는 제어에 대해 기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는 기능키 이외에 어떤 키라도 좋으며, 또 각 키에 할당되는 키는 어떤 기능이라도 좋다.

Claims (8)

  1. 어떤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최소한 하나의 키를 구비하며, 키가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키선택 정보를 출력하는 키보드 수단과; 상기 키보드 수단에서 출력된 키선택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소정 간격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수단과; 상기 타이머 수단으로 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유지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키선택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키가 선택되었는지를 인식하고,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하는 중앙처리 장치(CPU)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레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수단은 제2 중앙처리장치(CPU)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CPU수단과 제2CPU수단을 각기 비동기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수단은 복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능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기능키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2CPU수단은 상기 유지수단내의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한 키선택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키는 하드웨어 상태 전환제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상태 전환제어는 상기 제1CPU수단의 클록속도의 전환, CPU디스플레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액정디스플레이와의 사이의 전환, 출력하는 문자와 단일폰트와 이중 폰트의 전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 상기 키보드 수단, 상기 타이머수단 및 상기 CPU수단은 데이타버스를 통해 각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제어 시스템.
  8.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복수의 키군을 구비한 키보드의 어느 키가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그 키선택 정보를 레지스터에 세트하는 단계와; 소정 간격으로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타이머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서 중앙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CPU는 인터럽트 신호가 공급될때마다 상기 레지스터에 유지된 키선택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키가 선택되었는지를 인식하여, 그 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입력 제어방법.
KR1019890004162A 1988-03-30 1989-03-30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KR920003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74539 1988-03-30
JP63074539A JP2597637B2 (ja) 1988-03-30 1988-03-30 ハードウェア状態切替え制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126A KR890015126A (ko) 1989-10-28
KR920003181B1 true KR920003181B1 (ko) 1992-04-23

Family

ID=1355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162A KR920003181B1 (ko) 1988-03-30 1989-03-30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35373A3 (ko)
JP (1) JP2597637B2 (ko)
KR (1) KR920003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4295C (en) * 1990-11-09 1998-05-19 Charles F. Raasch Protected hot key function for microprocessor-based comput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934A (en) * 1983-02-28 1987-08-04 Data Gener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keyboard LED data
JPS60225927A (ja) * 1984-04-25 1985-11-11 Ascii Corp 複合機能cpuにおけるキ−ボ−ドインタフエ−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5373A2 (en) 1989-10-04
JPH01248255A (ja) 1989-10-03
KR890015126A (ko) 1989-10-28
EP0335373A3 (en) 1990-11-28
JP2597637B2 (ja) 199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501A (en) Idle detection system
EP0556295B1 (en) Protected hot key function for microprocessor-based computer system
US5056057A (en) Keyboard interface for use in computers incorporating terminate-and-stay-resident programs
US5812864A (en) Personal computer/host emulation system for handling host data with personal computer application programs at personal computers
US5036484A (en) Personal computer/host emulation system for handling host data with personal computer application programs at personal computers
US4859995A (en) Mouse pointer with switchable emulation mode
US4981296A (en) Data processing machine with interrupt control for varying processing speed
JP2655615B2 (ja) 情報処理装置
US5732283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niversal support for multiple pointing devices
US6018336A (en) Computer system having digitizing tablet
US5241646A (en) Systems for changing hardware parameters using sub-CPU for sensing specialized key inputs and main CPU for changes
KR920003181B1 (ko) 하드웨어 상태 전환 제어방식
JPS62257524A (ja) 表示文字出力制御装置
JPS61275990A (ja) 手書パタ−ン認識機能付電子機器
EP0706136B1 (en) Interface between a cpu and an interrupt controller
US7818549B2 (en) Event driven digital signal processor with time constraints
KR100205110B1 (ko) 키보드 제어 시스템
JPS63263515A (ja) カ−ソル移動キ−制御方式
JPH10143324A (ja) 携帯端末
EP0427540A2 (en) Interrupt redirection
KR100284443B1 (ko) 윈도우 운영체제 환경하에서의 키 동시입력 처리제어방법
JPH05108374A (ja) マルチタスク実行装置
JPH021861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S6316317A (ja) コンピユ−タシステムのリセツト装置
JP2899009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