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06B1 -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06B1
KR920003106B1 KR1019880013823A KR880013823A KR920003106B1 KR 920003106 B1 KR920003106 B1 KR 920003106B1 KR 1019880013823 A KR1019880013823 A KR 1019880013823A KR 880013823 A KR880013823 A KR 880013823A KR 920003106 B1 KR920003106 B1 KR 92000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olvent
solution
oxidizing agent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428A (ko
Inventor
황윤언
정종구
안태완
Original Assignee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배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배기은 filed Critical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06B1/ko
Publication of KR90000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역이중결합 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인 중합모노마를 과산화수소, 초산, 이산화납, 염화아연, 사염화티타늄, 염화제이철, 퀴논, 과유산칼륨 등의 산화제를 사용하여 유기화합물이 급격히 중합되지 않는 조건으로 중합하면, 산화제와 유기화합물 및 중합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기전도성이 약 10˚-10-2Ω㎝ 정도의 높은 수준에 이르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역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 즉, 아닐린, 티오펜, 파라페닐렌, 비닐렌, 아세틸렌, 피롤 및 이들로 중합된 고분자 즉,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등에 이온화 될 수 있는 물질을 도핑하여 전기전동성을 갖는 신규한 고분자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란히거, 맥디아미드 등에 의한 미국특허 4,222,903 및 시라가와 등에 의한 미국특허 4,204,216 등에서 발표하고 있으나, 이들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전해조내에서 전해질 및 일정한 전원하에서 중합이 진행되므로, 제조되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및 양극의 표면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는 그 제조형태가 필름상으로 고정될 뿐 아니라, 제조되는 고분자의 크기 또한 전국의 크기에 좌우되므로,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더우기 제조되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는 이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도 없으며, 열에 의해 용융이 되지 않으므로 2차 성형가공이 어렵다.
그러므로, 요구하는 형태의 성형을 중합과정에서 진행해야 하는데, 기존의 제조방법으로는 성형에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조방법에서의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 염화 제2철 또는 염화아연, 퀴논, 이산화납, 과산화수소, 초산, 과유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산화제를 용매에 1내지 50중량% 첨가용해시켜서 된 용액(A) 및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타렌 중에서 선택된 지지고분자를 용매에 1내지 50중량% 첨가용해시켜서 된 용액(B)를 각각 준비한후 지지고분자에 대한 산화제의 혼합량이 18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상기 용액(A)와 (B)를 혼합하고 유리판 또는10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기판에 이 혼합액을 코팅시켜 1내지 50㎛의 박막을 형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어 80내지 105℃에서 3내지 5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피롤 또는 아닐린, 티오펜중에서 선택된 중합모노마와 상기 용매가 제거된 박막을 밀폐용기에 상호 분리된 상태로 집어넣어 용기내 공기를 제거하고 30분 내지 3시간동안 방치한 후 상기 박막을 용기로부터 꺼내어 진한 염산 용액에 침지시켜 지지고분자 및 잔류산화제를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시키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피롤, 아닐린, 티오펜등 공역 이중결합 즉, -C=C-C=C-의 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모노마로하여 부가 중합으로 고분자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촉매로써 강산화제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산화제는 염화제이철이나, 퀴논, 이산화납, 과산화수소, 초산, 과유산칼륨, 염화아연, 사염화탄소, 사염화티타늄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화제인 염화제이철 및 산화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적 역할을 하는 고분자를 동일용매에 각각용해시켜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도 검화도 98%인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등을 가지고분자 사용하였다.
사용하는 용매는 강산화제를 지지하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증류수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에 대한 산화제의 첨가량은 중합되는 피롤, 아닐린 또는 티오펜등의 중합속도 및 중합물의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 혼합량을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혼합량 즉, 용해도는 1내지 50중량% 범위가 가능하며 좋기로는 5내지 20중량% 범위가 좋다.
이와같이 산화제 용액을 만든후, 지지고분자도 산화제의 용해도 수준을 고려하여 동일 용매에 녹여 지지고분자 용액을 제조한다. 지지고분자의 용해도는 후 공정을 고려하여 점도가 높지 않은 범위내에서 조절하면 된다. 좋기로는 산화제의 용해도와 비슷한 수준의 용해도가 좋다. 즉, 용매에 1내지 50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와 용매의 혼합액 및 지지고분자와 용매의 혼합액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다. 산화제 용액 즉, 산화제의 비율이 낮을수록 피롤등 중합모노마의 중합속도 및 중합후 전기전도성이 낮아지므로 산화제의 비율이 높을수록 좋다.
그러나 산화제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폴리피롤 등의 중합물 제조후 잔류산화제의 제거가 불완전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잔류산화제에 의해 폴리피롤 등의 중합물의 산화가 일어나기 쉬워 공기중 사용가능한 기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된다. 실험에 의하면 지지고분자에 대한 산화제의 혼합량은 약 18내지 30중량%가 적당하다.
산화제 용액과 지지고분자용액의 혼합용액을 유리관 또는 100내지 12℃에서 몇분동안 방치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적당한 재질의 판을 기판으로 하여 일반적인 바-코드방법으로 코팅하여 이러는 막을 제조한다. 박막의 두께는 1내지 50㎛가 적당하다. 막이 두꺼우면 피롤, 아닐린 등의 중합모노마가 막에 침투확산하기 어려우며 이는 곧 막속에 함침되어 있는 산화제와의 접촉 불충분을 초래하여 중합반응이 진행되기 힘들어진다.
그러므로 가급적 얇은 막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기판에 혼합용액을 코팅한 후 건조기에 기판을 넣어 지지고분자가 열화되지 않는 온도 즉, 80 내지 105℃ 정도의 온도에서도 3내지 5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상온에서 액체인 중합모노마를 액체질소로 열린후 진공상태에서 용융액화시키는 과정을 3-4차례반복하여 중합모노마내의 잔존 산소를 제거한 모노마의 용매를 제거한 박막을 밀폐용기에 상호분리된 상태로 집어놓고 액체상태의 중합모노마가 기화할 수 있도록 용기내 공기를 제거한다.
잔존산소는 강산화제인 촉매를 산화시켜 중합모노마의 중합을 방해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밀폐 용기내에 내막과 중합모노마를 상호분리된 상태로 집어넣는 이유는 박막과 액체상의 중합모노마가 직접 접촉하면 산화제에 의한 급격한 중합반응이 발생하여 전기전도성이 107내지 108-2Ω㎝로 낮은 중합모노마 블랙이 생성되므로, 액체상의 중합모노와 박막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상태에서 밀폐용기내의 압력을 10-2토르 정도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면 중합모노마가 서서히 증발하여 단분자 상태로 박막에 접촉되어 중합이 서서히 진행된다. 중합시의 온도는 -20℃ 내지 -15℃ 사이가 적당하다. 산화제의 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약 30분 내지 3시간이면 목표로 하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중합물을 얻을 수 있다.
중합이 끝난후, 진한 염산용액이 박막을 담구어 지지고분자 및 잔류산화제를 제거하면 도전성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제조된 도전성 고분자 물질의 전기전도성은 10˚ 내지 10-2Ω㎝로 금속에 가까운 수준에 도달한다. 산화제는 지지하는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여 어떠한 성형물에도 코팅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제시된 대로 이중공역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코팅된 상화제 지지고분자상에서 중합시켜 전기전도성을 부여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고자하는 대상물에 제한이 없다.
또한 중합조건에 따라, 중합되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를 얇은 층으로도 만들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투명성도 양호하게 되어 또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전기전도성 고분자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의 주재료 및 태양전지에 있어서의 광전변환 소재로써의 사용가능성이 있으며, 적층형태 즉, 지지고분자와 혼합된 형태로써 전자파차단 코팅재료의 사용가능성 및 투명스피커의 전극으로써의 용도로써도 사용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1]
산화제로써 염화제이철, 지지고분자로써 폴리비닐알콜(검화도 98%), 중합모노마로써 피롤을 준비한다. 폴리비닐 알콜을 증류수에 녹인 수용액을 제조하되, 나중의 코팅공정을 고려하여 폴리비닐알콜 용액의 점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약 20% 무게비의 수용액으로 제조한다.
염화제이철 수용액을 제조하되 폴리비닐 알콜 수용액의 농도와 같은 20% 무게비로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좋다. 제조된 폴리비닐알콜의 수용액과 염화제이철 수용액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다. 즉, 염화제이철의 비율이 폴리비닐알콜에 대하여 20중량%가 되도록 혼합한다.
피롤모노마를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얼린후(피롤의 융점은 -50℃ 이하) 진공중에서 녹이는 과정을 2내지 3회 반복하여 피롤 모노마내의 산소를 제거한다. 폴리비닐알콜과 염화제이철이 혼합된 수용액을 적당한 판에 캐스팅한후 용매인 물을 건조기를 통하여 제거한다. 제조된 폴리비닐알콜과 염화제이철 혼합피막 및 피롤모노마를 밀폐용기에 직접 닿지않게 넣고(액체상태의 피롤모노마가 기화할 수 있도록 용기내 공기를 제거한다.
1시간후 폴리비닐알콜과 염화제이철 혼합피막를 꺼내면, 그 위에 피롤모노마가 중합된 폴리피롤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중합이 끝난 박막을 용기로부터 꺼낸후 진한 염산용액에 침지시켜 지지고분자 및 잔류산화제를 제거한다. 중합된 폴리피롤의 전기전도성은 사침법으로 측정했을때 10-110-2Ω㎝로써 기존의 전해중합에 의한 합성폴리피롤과 동등한 수준의 전기전도성을 띄었다.
[실시예 2]
산화제로써 염화제이철, 지지고분자로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모노마로써 피롤을 준비한다.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를 아크릴나이트릴에 녹인 용액을 제조한다. 아크릴로나이트릴에 대한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의 용해도 및 나중의 코팅공정을 고려하여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가 10중량% 함유된 폴리메틸 메타 크릴레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연화제이철을 아크릴로나이트릴에 10중량% 녹인 용액을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피롤모노마와 염화제이철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을 함유한 피막을 밀폐된 용기에 넣고 진공을 걸어, 증발된 피롤모노마가 염화제이철에 의해 피막상에서 중합이 진행되도록 한다.
중합후 생성된 피롤 중합체의 전기전도성은 사침법으로 측정했을때, 10-1Ω㎝정도였다. 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대한 염화제이철의 농도는 20% 무게비였고, 중합시간은 1시간 이었다.

Claims (2)

  1. 염화제2철 또는 염화아연, 퀴논, 이산화납, 과산화수소, 초산, 과유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산화제를 용매에 1내지 50중량% 첨가용해시켜서 된 용액(A) 및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지지고분자를 용매에 1내지 50중량% 첨가용해시켜서된 용액(B)를 각각 준비한후 지지고분자에 대한 산화제의 혼합량이 18내지 30중량%가 되도록 상기 용액(A)와 (B)를 혼합하고 유리판 또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기판에 이 혼합액을 코팅시켜 1내지 50㎛의 박막을 형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어 80내지 105℃에서 3내지 5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피롤 또는 아닐릴, 티오펜중에서 선택된 중합모노마와 상기 용매가 제거된 박막을 밀폐용기에 상호분리된 상태로 집어넣어 용기내 공기를 제거하고 30분 내지 3시간동안 방치한후 상기 박막을 용기로부터 꺼내어 진한 염산용액에 침지시켜 지지고분자 및 잔류산화제를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증류수 또는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크릴로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13823A 1988-10-22 1988-10-22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2000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823A KR920003106B1 (ko) 1988-10-22 1988-10-22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823A KR920003106B1 (ko) 1988-10-22 1988-10-22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428A KR900006428A (ko) 1990-05-08
KR920003106B1 true KR920003106B1 (ko) 1992-04-18

Family

ID=1927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823A KR920003106B1 (ko) 1988-10-22 1988-10-22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428A (ko)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6198A (en) Process for making thiophene and furfurane polymers
EP0269090B1 (en) High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378402A (en) Polymer compositions
Schopf et al. Polythiophenes-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JP4974095B2 (ja) 水溶性π共役重合体の製造方法
US7125479B2 (en)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thieno[3,4-b]thiophene,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KR101174515B1 (ko) 전도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특정 산화제
EP0280173B1 (en) Radical polymerizable composition
JP4291314B2 (ja) 置換チエノチオフェンモノマー及び導電性ポリマー
JP3105543B2 (ja) 可溶性の電気伝導性ポリピ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151221A (en) Conductive plastic composites
US5571454A (en) Soluble and processable dop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nd polymer blend thereof
EP0231309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thiophene
JP2003286336A (ja) 透明の導電性層の製造方法、こうして得られる層並びにその使用
JPS63215722A (ja) 電導性ポリアニリン系化合物の製造方法
KR920003106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US472039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yer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JPH0678493B2 (ja) 電導性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US5500474A (en) Stable conducting polymer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0794538B2 (ja) 新規な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Roncali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the synthesis and functionalization of conducting poly (thiophenes)
JPH02166165A (ja) 導電性高分子複合体
JP3403430B2 (ja) 高導電性高分子成形体の製造方法
JPH01100911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296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