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28B1 - 칼라 수상관 - Google Patents

칼라 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28B1
KR920002528B1 KR1019890011383A KR890011383A KR920002528B1 KR 920002528 B1 KR920002528 B1 KR 920002528B1 KR 1019890011383 A KR1019890011383 A KR 1019890011383A KR 890011383 A KR890011383 A KR 890011383A KR 920002528 B1 KR920002528 B1 KR 92000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mask frame
colo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949A (ko
Inventor
기요시 도끼따
도시나오 소네
미찌오 나까무라
아끼라 후꾸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수상관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도는 그 한 실시예인 칼라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새우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직사각형모양의 칼라수상관의 코너부의 지자기의 자계분포 및 수평 축단 또는 수직축단에 있어서의 지자기의 자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전술한 새도우마스크를 갖춘 초대형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에 의한 회전 패턴및 그 지자기보정코일로 랜딩의 어긋남을 보정한 경우의 회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새도우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인 새도우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 내지 제15도는 종래의 칼라수상관의 설명도로서,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내부 자기차폐체를 갖고 있지 않은 칼라수상관의 형광체스크린을 북향시켰을 때의 래스터의 회전방향 및 형광체 스크린을 남향시켰을 때의 래스터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내부자기차폐체를 갖춘 칼라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내부자기차폐체를 갖춘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의 자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마스크프레임의 안쪽에 스프링모양의 금속조각을 통해 마스크본체의 부착된 새도우마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새도우 마스크를 구비한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의 자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에 의한 회전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3색형광체층이 도트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스크린과 비임스폿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14a도 및 제14b도는 각각 지자기보정코일이 장착된 칼라수상관을 일부 잘라내어 나타낸 측면동 및 정면도.
제15a도및 제15b도는 각각 지자기보정코일에 의해 보정되기전의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에 의한 회전패턴및 지자기보정 코일에 의해 보정된 뒤의 칼라수상관의 지자기에 의한 회전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내부자기차 폐체 10 : 패널
11 : 형광체스크린 14 : 전자총
30 : 새도우마스크 31 : 마스크 본체
32 : 마스크 프레임 35 : 간격
36 : 자기저항부재
본 발명의 칼라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 프레임에 대한 마스크본체의 부착구조를 개량해서 지자기(geomagnetism)에 의한 랜딩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한 칼라 수상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도우마스크형 칼라수상관은 패널 및 이 패널에 일체적으로 접합된 퍼넬로 이루어지는 외주기를 가지며 그 패널내면에 형성된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스크린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지며 또 대향해서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그 주변부를 지지하는 마스크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새도우 마스크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퍼넬의 네크내에 3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설치되며 이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3 전자비임을 전술한 새도우 마스크로 선별해서 각각 대응하는 형광체층에 사돌시킴으로써 전술한 형광체 스크린 상에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같은 칼라수상관에 지자기등 외부자계가 작용하면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비임의 궤도가 변화하여 래스터의 어긋남 혹은 형광체층에 대한 전자비임의 랜딩의 어긋남에 기인한 색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나타낼 수 없게 된다. 특히 그 외부자계의 영향으로써 지자기에 대해 이야기하면 예를들면 북반구에서 형광체 스크린을 북향으로 해서 칼라수상관을 동작시켰다고 하면 제7a도에서 처럼 화면(1)상의 비임랜딩은 지자기의 수평성분으로 화살표(2)방향으로 회전(좌회전)한다.
역으로 형공체스크린을 남향으로 해서 동작시키면 동(b)에서처럼 화살표(3) 방향으로 회전(우회전)한다. 이 지자기의 수평성분에 의한 래스터의 회전은 후술하는 내부자기차폐체를 구비하지 않은 칼라수상관으로는 가정내에서라도 자주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전부터 이 외부자계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 제8도에서처럼 새도우마스크(5)의 마스크프레임(6)에 내부자기차폐체(7)를 부착해서 전자비임의 통과영역을 포함하도록 퍼넬(8)의 콘부(p) 내측에 개재시킨 칼라 수상관이 있다.
그리고 제8도에 나타낸 칼라수상관에서 "10"은 퍼넬(8)과 함께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 "11"은 그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 "12"는 마스크프레임(6)과 함께 새도우마스크(5)를 구성하는 마스크본체, "13"은 퍼넬(8)의 네크, "14"는 그 내측에 설치된 전자총이다. 그러나 전술과 같이 내부자기차폐제(7)를 배치해도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최근 초대형화면의 텔레비젼의 유행으로 칼라수상관이 대형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은 대형화하는 만큼 전자총에서 형광체스크린까지의 거리가 커지므로 지자기의 영향을 받기 쉽다.
한편 대형칼라수상관에서는 전자빔을 편향하는 편향 요크의 효율향상을 위해 화면의 대형화에는 네크를 가늘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네크를 가늘게 하면 칼라수상관의 설계상 마스크 본체와 형광체스크린과의 간격이 커져 지자기등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를 통과하기전의 전자비임의 궤도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난 경우, 형광체층에 대한 랜딩이 크게 어긋난다.
그리고 새도우마스크에 내부자기차폐차를 부착해서 퍼넬의 콘부내측에 개재시키면 제9도에서처럼 일체화된 내부자기차폐체(7), 마스크프레임(6), 마스크본체(12)가 각각 자성체이므로 자기회로(자기저항이 적은 영역)을 구성하며 이 자기회로의 내부의 자기강도를 1/10정도로 하지만 형광체스크린(11)근처에서는 지자기의 자계분포를 변화시켜버린다.
즉 내부자기차폐체(7) 및 새도우마스크(5)가 개재되지 않은 경우의 지자기의 관내자계분포는 형광체스크린(11)이 북향인 경우, 실선(16)과 그것을 연장한 점선(16a)으로 나타내듯이 관축(17)과 대략 평행한 균일분포의 자계로 된다.
(단,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해 수직자계를 0으로 한다)
그러나 내부자기차폐체(7) 및 새도우마스크(5)가 개재되면 이 내부자기차폐체(7)가 그 근방을 통과하는 자계를 수집해서 전술한 자기회로를 내부자기차폐체(7)
Figure kpo00001
마스크프레임(6)
Figure kpo00002
마스크본체(12)의 순으로 통과하며 실선(18)으로 나타내듯이 마스크본체(12)에서 형광체스크린(11)방향으로 방사되어 마스크본체(12)와 형광체스크린(11)과의 사이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마스크본체(12)의 투과공(19)을 통해 형광체 스크린(11)에 사돌되는 전자비임(20)은 그 자속 밀도가 높은 자계에 의해 소망스럽지 않게 평향되어 랜딩의 어긋남이 조장된다.
물론, 콘부(9)의 내측에 내부자기차폐체(7)를 개재시키면 전자총과 새도우마스크(5)와의 사이에서는 외부 자계가 차폐되므로 이 영역에서는 전자비임의 궤도의 어긋남은 내부 자기차폐체(7)가 개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그러나 전술과 같이 마스크본체(12)와 형광체 스크린(11)과의 사이에서 조장되므로 결과적으로 내부자기 차폐체(7)를 설치해도 충분히 자기차폐체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여 색순도의 열화를 초래한다.
또 일본특개소 63-43242호 공보에는 제10도에서처럼 열팽창이 큰 마스크프레임(6)에 열팽창율이 낮은 마스크 본체(12)를 스프링모양의 금속조각(22)을 통해 고정된 칼라수상관이 나타나 있다.
지금 제11도에서처럼 이 칼라수상관의 마스크프레임(6)에 내부자기차폐체(7)를 부착해 관축(17)과 대략 팽행한 자계를 가했다고 하면 자속(23)은 내부자기차폐체(7)에 의해 수집되어 마스크프레임(6)의 형광체스크린(11)의 측단부에서 방사되므로 마스크본체(12)와 형광체스크린(11)과의 사이의 자계는 거의 변화되지 않고 전자비임(20)에로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최근 개발되고 있는 어스펙트 라지오(Aspect Ratio)가 16 : 9의 가로가 긴 화면의 초대형 고품위의 텔레비젼용 칼라수상관, 예를들면 인치 90도 편향 칼라수상관에 적용해서 일본국내에서 사용했다고 치면 전술한 제7b도의 회전패턴이 계측되며, (형광체스크린이 남쪽을 향함) 지자기에 의한 전자비임의 이동량즉 N/S 비임이동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제12도에서처럼 전자비임의 편향각의 차이에 의해 대각 단부에서 98㎛로 가장 크고 이어서 수평축(H축) 단부에서 63㎛, 수직축(V 축)단부에서 33㎛로 랜딩이 변화하며, (수치는 평균값) 화면중앙부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알았다.
이 N/S 비임이동량은 내부자기차폐차를 구비하지 않고 또 새도우 마스크가 통상의 구조인 동일한 36인치 90도 편향 칼라수상관의 대각단부의 N/S 비임이동량이 약 200㎛인 것과 비교하면 내부자기차폐체의 효과가 큰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36인치 클라스인 초대형고품위 텔레비젼용 칼라수상관의 새도우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투과공피치가 0.39-0.48mm이므로 제13도에서처럼 형광체스크린과 전자 비임과의 관계는 3색형광체층(도트)(25B)(25G)(25R)의 직경(Φd)이 약 170㎛, 비임스폿(26)의 직경(Фb)이 약 240㎛로 되어 랜딩여유도는 약 35㎛로 매우 작아져 색순도의 여유도가 현저하게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전술한 대각단부에서의 N/S 비임이동향(98㎛)이라도 색순도의 열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색순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14도에서처럼 패널(10)의 스커트부(27)의 외측에 지자기보정코일(28)을 배치하고 여기에 직류전류를 흘려서 지자기와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이처럼 지자기보정코일(28)을 배치해 여기에 직류전류를 흘려서 대각단부에서 최고로 양호한 랜딩이 얻어지도록 조정하면 전술한 제11도에 나타낸 구조의 36인치 90도 편향의 초대형 칼라수상관의 경우 형광체스크린이 남향일때 제15b도에 나타내는 회전패턴이 된다.
즉 지자기보정코일(28)로 조정하지 않은 경우 제15a도에 나타내는 N/S 비임이동량(제12도의 회전패턴의 N/S 비임이동량의 약 1/2)의 회전패턴이 되지만 이것이 동(b)에 나타내듯이 수평축단부 및 수직축단부에서 과보정이 된다.
따라서 지자기보정코일(28)을 사용해도 화면전체에서 최상의 상태가 되도록 타협적인 보정을 하지않을 수 없다. 전술과 같이 전부터 외부자계의 영향을 경감하기위해 새도우 마스크의 마스크프레임에 내부자기차폐체를 부착해서 전자비임의 통과영역을 포함하도록 퍼넬의 콘부의 내측에 개재시킨 칼라수상관이 있다.
그러나 마스크프레임에 내부자기차폐체를 부착해서 퍼넬의 콘부의 내측에 개재시키면 그 내부자기차폐체에 의해 수집된 외부자계가 마스크프레임을 통해 마스크 본체에 흘러들어가 이 마스크본체에서 형광체스크린방향으로 방사되므로 새도우마스크와 형광체스크린과의 사이의 자계 강도가 내부자기차폐체가 없는 경우보다 강해지며 전자비임을 원하지 않게 평향해서 랜딩의 어긋남을 크게 한다. 특히 형광체스크린이 커고 넥크가 가는 초대형 칼라수상관에서는 관설계상 화면의 크기에 비례해서 새도우마스크와 형광체스크린과의 간격이 커지므로 전술한 외부자계의 영향을 한층 크게 받기 쉽다.
그러나 마스크 프레임에 스프링보모양의 금속조각을 끼워 마스크본체를 부착한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해 이 새도우 마스크와 내부자기차폐체를 조합시키면 내부자기차폐체로 수집된 외부자계는 마스크프레임의 형광체스크린측단부에 집중되어 방사되어, 전자비임에로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구조를 예를들면 초대형고품위 텔레비젼용 칼라수상관에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이 같은 고품위 텔레비젼용 칼라수상관은 3색형광체층에 대한 전자비임의 랜딩 여유도가 작으므로 특히 N/S 비임이동량이 큰 대각 단부에서 색순도의 열화가 생긴다.
이 색순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패널의 스커트부 외측에 지자기 보정코일을 배치하며 이 보정코일에 지자기와는 역방향인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직류전류를 흘려 보정하면 대각단부에서 최고로 양호한 랜딩이 얻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수평축 및 수직단부에서는 과 이 되므로 실제로는 화면전체에서 최고의 양호한 상태가 되도록 보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만든 것으로 일반적인 크기의 칼라수상관은 물론 네크의 굵기에 따라 형광체스크린이 큰 초대형 칼라수상관 나아가서는 초대형 고품위의 텔레비젼용 칼라수상관에 적용해서 지자기의 관내 분포를 전자비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또 필요하면 지자기보정코일을 작용시켜 색순도가 양호한 칼라수상관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에 마스크 본체의 주변부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며 그 마스크본체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칼라수상관장치에서 적어도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과의 사이에 자기저항부를 설치했다.
또 마스크프레임의 내측에 마스크본체의 주변부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보야의 새도우 마스크를 가지며 그 마사크 본체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또 전술한 새도우마스크에 내부자기차폐체가 부착된 칼라수상관에서 적어도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의 마스크본체와 마스크 프레임과의 사이에 자기저항부를 설치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저항부를 비 자성부재 또는 투자율이 마스크본체 및 마스크프레임의 투자율보다 낮은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기저항부재로 구성해서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에만 혹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의 자기저항이 최대가 되도록 새도우마스크의 전둘레에 걸쳐서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시켰다.
또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에 갭을 설치해 자기저항부로 해서 이 갭이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대, 인접코너부간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소가 되도록 혹은 마스크본체와 마스크 프레임과 사이의 자기저항이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 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을 최대, 인접코너간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최소로 해서 전술한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전술한 코너부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했다.
그리고 자기저항부재와 갭을 조합해서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의 저항부로 했다. 전술과 같이 직사각형모양의 새도우 마스크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새도우마스크에 내부자기차폐체가 부착된 칼라 수상관에서 적어도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의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에 자기저항부를 설치하면 마스크프레임에서 마스크본체로 흘러들어가는 외부자계를 경감할 수 있으며 또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새도우마스크와 형광체스크린과의 사이의 외부자계강도를 패널의 수평축 단부 및 수직축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외부자계강도보다도 약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자계에 의한 전자비임의 랜딩의 어긋남을 경감해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칼라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칼라수상관은 주변부에 스커트부(27)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 및 이 패널(10)에 일체적으로 접합된 플라스크모양의 퍼넬(8)로 이루어지는 외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퍼넬(8)의 네크(13)내에 3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14)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패널(10)내면에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스크린(11)이 형성되며 이 형광체 스크린(11)과 대향해서 내측에 직사각형모양의 새도우 마스크(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새도우 마스크(30)는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되며 또 형광체스크린(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주성부인 Fe99%, A10.03-0.04%등으로 투자율이 9.30X10-4H/m(비투자율 740)인 철마스크나 주성분이 Fe 62.9%, Ni 36.4% 등으로 이루어지며 투자율이 4.20X10-3H/m(비투자율 3200)인 앰버등의 자셍체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31)와 이 마스크본체(31)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같은 저탄소강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주성분이 Fe로 투자율이 6.28X10-4H/m(비투자율 500), 두께가 0.8mm이며 단면이 L자 모양인 마스크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며 마스크프레임(32)에 용접된 탄성지지체(33)를 패널(10)의 스커트부(27)내면에 고정된 스터드핀(34)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패널(10) 내측에 지지되어 진다. 그리고 전술한 마스크프레임(32)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부분에는 전자총(14)에서 방출되는 전자비임의 콘부(9)의 내측의 통과영역을 포함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부자기차폐체(7)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예의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30)는 제2도에서처럼 마스크프레임(32)과 그 내측의 마스크본체(31)의 주변부와의 사이에 갭(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갭(35)은 직사각형모양의 마스크프레임(32)의 긴변의 중앙(수직축상)에서 가장좁고, 이어서 짧은 변의 중앙(수평축상)에서 좁으며 그 각변의 중앙부에서 각 대각 단부를 향해 서서히 넓어져 그 대각단부에서 최대로 되어 있으며 이 최대부에서는 적어도 마스크 프레임(32)의 두께이상의 간격으로 하며 될수 있는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마스크프레임(32)의 각대각단부 측벽의 안쪽에 비자성부재 또는 투자율이 마스크본체(31) 및 마스크프레임(32)의 투자율보다 낮은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1.0mm인 자기저항부재(36)가 배치된다.
예를들면 투자율이 약 1.257x10-6H/m(비투자율 약1)인 비자성 스테인레스(SUS304L, SUS302)가 배치된다.
이 자기저항부재(36)를 끼워 마스크본체(31)의 주변부가 마스크 프레임(32)의 내특에 부착되어 있다. 이 자기저항부재(36)의 투자율은 마스크프레임(32)의 투자율 6.28X10-4H/m미만, 비투자율 500미만으로 될수 있는한 작게 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 자기저항부재(36)로는 Cr, A1, Cu 유리재료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전술과 같이 마스크프레임(32)과 그 내측의 마스크본체(31)와의 사이에 갭(35)을 설치해 이 갭(35)을 대각단부에서 최대로 하며 또 이 대각 단부에 배치된 자기저항부재(36)를 끼워 마스크본체(31)를 지지시키면 예를들어 칼라수상관의 형광체스크린을 북향으로 한 경우 제3도에 나타내는 자계가 형성된다. 즉 실선(16)으로 나타내듯이 내부자기차폐체(7)의 근방을 통과하는 관축(17)과 대략 평행한 지자기의 자계는 내부자기차폐체(7)에 수집되어 이 내부자기차폐체(7)와 일체인 마스크프레임(32)을 통해 형광체스크린(11)방향으로 방사되지만 특히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동(a)에서 처럼 비교적 큰 간격(35)과 자기저항부재(36)이 개재에 의해 마스크본체(31)에 흘러들어가는 일 없이 대부분이 마스크 프레임(32)의 형광체스크린(11)의 측단부에서 실선(37a)으로 나타내듯이 형광체 스크린(11)방향으로 방사된다.
한편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수평축 및 수직축단 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이라도 동(b)에 나타내듯이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과의 사이에 간격(3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스크프레임(32)에서 마스크본체(31)에로의 유입은 제어되어 대부분이 마스크프레임(32)의 형광체스크린(11)측단부에서 실선(37b)으로 나타내듯이 형광체스크린(11) 방향으로 방사되지만 이 부분의 간격(35)은 전술한 새도우마스크(30)의 코너부의 간격과 비교해서 좁으므로 방사되는 자계는 "a"인 경와 비교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본체(31)와 형광체스크린(11)과의 사이의 자계강도는 수평축단, 수직축단, 대각단부의 순으로 약해진다.
그 결과 종래 제15도에서 처럼 N/S 비임이동량이 수평축단에서 32㎛, 수직축단에서 17㎛ 대각단에서 49㎛로 최대이동량과 최소이동량과의 차이가 49㎛-17㎛=38㎛이지만 제4a도에서처럼 회전패턴의 N/S비임이동량이 수평축단에서 35㎛, 수직축단에서 30㎛, 대각단에서 38㎛가 되며 최대와 최소의 차이가 38㎛-30㎛=8㎛로 대략 같아진다.
따라서 이 칼라수상관에 제14도에 나타낸 지자기보정코일을 장착하고 여기에 직류전류를 흘러 랜딩을 조정하면 제4b도에서처럼 N/S 비임이동량은 수평축단에서 5㎛, 수직축단에서 8㎛, 대각단부에서 0㎛로 최고로 양호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지자기보정코일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형광체스크린이 북향인 경우는 제4a도와 는 역방향인 회전패턴이 되지만 이경우의 수평축단, 수직축단, 대각단부의 N/S 비임이동량도 지자기보정코일에 의해 평균화된다.
따라서 지자기보정코일을 장착해서 전술한 형광체스크린을 남향으로 한 경우와는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흘려 조정함으로써 최고로 양호하게 랜딩을 조정할 수 있어 색순도가 양호한 칼라수상관으로 할 수가 있다. 다음에 그 밖의 실시예에 대해 이야기한다.
제5도는 직사각형 모양의 마스크프레임(32)의 각변의 중앙부를 오목한 형상으로 하고 그 각대각단부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자기저항부재(36a)를 배치함과 동시에 각변의 중앙부에도 같은 자기저항부재(36a)를 배치하며 이들 자기저항부재(36a)를 끼워 마스크프레임(32)의 내측에 직사각형모양의 마스크본체(31)를 부착한 것이다.
이같이 새도우마스크(30)를 구성하면 마스크본체(31)의 형상을 회생하는 일없이 대각단부에 유효하게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과의 사이에 간격을 설치할 수 있다.
또 각변의 중앙부에도 자기저항부재(36b)를 배치함으로써 새도우마스크(3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 각변의 중앙부를 오목형상으로 함으로써 패널의 내측에 새도우마스크(30)를 지지시키는 탄성지지체등 마스크 지지수단의 설계자유각이 향상되며 패널에 대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새도우마스크로 할 수 있다. 또 이 제5도의 새도우마스크에서는 자기저항부재를 각변의 중앙부 및 대각부에 배치했지만 이 자기저항 부재는 변의 중앙부 혹은 변 중간에 배치해도 좋다.
제6도는 마스크본체(31)의 둘레에 비자성스테인레스 강피(38) 혹은 알루미늄 밴드등의 자기저항부재(36c)를 두르거나 또는 마스크프레임(32)의 코너부에 자기 저항부재(36a)를 배치하고 이들 자기저항부재(36a)(36c)를 끼워 마스크프레임(32)의 내측에 마스크본체(31)를 부착한 것이다.
이같이 새도우마스크(30)를 구성하면 마스크프레임(32)과 마스크본체(31)와의 사이의 갭을 작게하며 그리고 또 이들 사이의 자기저항을 크게 그리고 새도우마스크(3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부자기차폐체를 갖춘 칼라수상관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본 발명은 내부자기차폐체를 갖추지 않은 칼라수상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내부자기차폐체를 갖추지 않은 소형칼라수상관등에 적용해서 마스크프레임으로 수집된 외부자계의 마스크본체에로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어 전술한 내부자기 차폐체를 갖춘 칼라수상관과 같은 효과를 갖는 칼라 수상관으로 할수 있다.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에 마스크본체의 주변부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모양의 새도우마스크의 적어도 직사각형모양 패널의 코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인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과의 사이에 자기 저항부를 설치해 자기저항을 높이면 내부자기차폐체와 마스크프레임에 의해 수집된 관축방향의 외부자계를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거의 마스크본체에 전하는 일 없이 마스크프레임의 형광체스크린단부에서 형광체스크린 방향으로 방사시켜 마스크본체와 형광체 스크린과의 사이의 자계강도를 수평축단, 수직축단, 대각단부에서 대략 같게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같은 새도우마사크를 구비한 칼라수상관에 자기 보정 코일을 장착해서 조정함으로써 전화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외부자계에 의한 랜딩의 어긋남을 0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새도우마스크와 형광체스크린과의 사이의 갭이 큰 초대형칼라수상관에 적용해서 그 화면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마스크프레임(32)의 내측에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31)의 주변부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모양의 새도우 마스크(30)를 가지고 있으며 이 새도우마스크(30)의 마스크 본체(31)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10)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전술한 새도우 마스크(30)는 적어도 전술한 직사각형모양의 패널(10)의 코너부근방광 대응하는 부분인 마스크 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과의 사이에 바자성 부재 또는 투자율이 마스크 본체 및 마스크프레임의 투자율보다 낮은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기저항 부재로 구성되는 자기저항부(35)(3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2. 마스크프레임(32)의 내측에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31)의 주변부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모양의 새도우마스크(30)를 가지고 있으며 이 새도우 마스크(30)의 마스크본체(31)가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11)과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또 전술한 새도우마스크(30)에 내부자기 차폐체(7)가 부착된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전술한 새도우 마스크(30)는 적어도 전술한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인 마스크본체(30)와 마스크 프레임(32)과의 사이에 바자성 부재 또는 투자율이 마스크 본체 및 마스크프레임의 투자율보다 낮은 자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자기저항부재로 구성되는 자기 저항부(35)(36)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저항부재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과의 사이에만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저항부재가 직사각형모양의 패널의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의 자기저항을 최대가 되도록 새도우마스크(30)의 전둘레에 걸쳐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 프레임(32)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과의 사이에는 갭을 설치해 자기저항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6. 제5항에 있어서,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간의 사이의 갭이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코너부근방과 대응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되며 전술한 직사각형 모양의 패널(10)의 인접코너간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소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스크본체(31)와 마스크프레임(32)간의 사이의 자기저항이 직사각형모양의 패널(10)이 코너부근방과 대응하는 부분을 최대로 하며 전술한 직사각형모양의 패널(10)의 인접코너부간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최소로해서 전술한 중앙부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술한 코너부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마스크본체와 마스크프레임과의 사이에 자기저항부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저항부(35)(36)를 비자성부재 또는 투자율이 마스크본체(31)및 마스크프레임(32)의 투자율보다 낮은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기저항부재와 갭을 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KR1019890011383A 1988-08-11 1989-08-10 칼라 수상관 KR92000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88 1988-08-11
JP63-200614 1988-08-11
JP1172497A JP2922533B2 (ja) 1988-08-11 1989-07-04 カラー受像管
JP1-172497 1989-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49A KR900003949A (ko) 1990-03-27
KR920002528B1 true KR920002528B1 (ko) 1992-03-27

Family

ID=1642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383A KR920002528B1 (ko) 1988-08-11 1989-08-10 칼라 수상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22533B2 (ko)
KR (1) KR920002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9031A (ja) * 1989-11-16 1991-07-09 Tohoku Gakuin Univ カラー陰極線管
MY126147A (en) 2000-02-07 2006-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49A (ko) 1990-03-27
JPH02139829A (ja) 1990-05-29
JP2922533B2 (ja)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528B1 (ko) 칼라 수상관
EP035457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2892046B2 (ja) カラー受像管
US3906418A (en) Means for effecting dynamic vertical convergence in an in-line plural beam cathode ray tube
US494900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ssembly with magnetic shield
JPS6032304B2 (ja) カラ−受像管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JPS6016149Y2 (ja) カラ−陰極線管用の電磁式ラテラルコンバ−ゼンス装置
US6472807B1 (en) Braun tube frame having long and short sides of a specified height
US5754007A (en) Method of degaussing cathode ray tube
US7126292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6700320B2 (en) Cathode ray tub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n beam mis-landing caused by geomagnetism
JPH022262B2 (ko)
JP2743829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462773B1 (ko) 음극선관
JPS61281441A (ja) 偏向ヨ−ク
KR0137177Y1 (ko) 새들-새들형 편향요크
KR100229314B1 (ko) 평면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쉴드 고정장치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JP3193451B2 (ja) カラー陰極線管並びにそのシャドウマスク構体
USRE33698E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faceplate-mounted support structure with a welded-on high-tension foil shadow mask
JP2671608B2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構体
JPH08111187A (ja) 偏向ヨーク
JPH11354050A (ja) 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