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18B1 -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18B1
KR920002518B1 KR1019890009163A KR890009163A KR920002518B1 KR 920002518 B1 KR920002518 B1 KR 920002518B1 KR 1019890009163 A KR1019890009163 A KR 1019890009163A KR 890009163 A KR890009163 A KR 890009163A KR 920002518 B1 KR920002518 B1 KR 92000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window
vertic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265A (ko
Inventor
최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518B1/ko
Publication of KR91000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윈도우신호 발생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의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상세도.
제4도는 제1도의 프리즈 인에이블신호 발생회로의 상세도.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부분동작 파형도.
제6도는 제4도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동기신호 분리회로 14 : 윈도우신호 발생회로
16 : A/D변환기 18 : 어드레스 발생회로
20 : 프레임 메모리 22 : 프리즈 인에이블신호 발생회로
24 : D/A변환기 CVS : 복합영상신호
본 발명은 화상 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화상의 크기를 소망하는 화면크기로 조절하여 기록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흑백 정지화상의 기록 및 재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처리함은 아나로그(Analog)의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이는 정지화상통신, 화상변환, 화상계측, 패턴인식, 화상생성 컴퓨터그래픽 및 스틸 화면재생 등의 목적을 가지고 여러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처리의 응용으로서는 대단히 많은 분야가 있지만 통신의 분야의 응용을 살펴보면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중 1피일드 또는 1프레임의 영상신호만을 디지탈화하여 소정의 화면과 음성신호로써 통신을 할 수 있는 정지화상 통신의 통신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정지화상을 통신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 61-141295호에 게재된 바와같은 회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소 61-141295호에 게재된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는 화면의 사이즈(Size)를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복합영상신호의 화면크기를 조절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S)로 부터 수평동기펄스(HSP)와 수직동기펄스(VSP)를 분리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회로(12)와, 상기 수평, 수직 동기펄스(HSP)(VSP)의 입력에 의해 제1수평, 제1수직 윈도우 설정데이트를 로딩하여 제1수평, 제1수직 윈도우신호(HWP)(VWP)를 발생하는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S)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A/D (Analog to Digital)변환기(16)와, 상기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의 제1수평, 제1수직윈도우신호(HMP)(VWP)에 의하여 윈도우 설정 어드레스 구간데이터를 카운터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제2수평, 제2수직윈도우신호(HWP*)(Horizontal Window Pulse)(VWP*)(Vertical Window Pulse)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회로(18)와, 상기 A/D변환(16)의 출력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 발생회로(18)의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저장(Write)하거나 출력(Read)하는 프레임 메모리(20)와, 저장 또는 출력 제어스위칭에 의해 상기 프레임 메모리(22)에 저장제어신호(
Figure kpo00001
)를 입력시키거나 그 반대의 신호를 입력하는 프리즈 인에이블 발생회로(22)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20)의 출력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기(24)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윈도우신호 발생회로도로써, 수평동기신호(
Figure kpo00002
) 입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1수평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수평윈도우 설정데이터를 클럭(CLK)로 카운트하여 카운트 완료시 제1수평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26)와, 접지단자(GND)와 상기 제1카운터(26)의 프로그램단자(P0-P7) 사이에 접속되어 제1수평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DIP 스위치(28)와, 상기 프로그램단자(P0-P7)와 전원전압(VDD)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자를 풀업(pull up)하는 다수의 저항(27)과, 상기 제1카운터(26)의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03
)와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04
)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30)와,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05
)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P)로 카운트하여 카운트 완료시 제1수직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36)와, 접지단자(GND)와 상기 제2카운터(32)의 프로그램단자(P0-P7) 사이에 접속되어 제1수직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DIP 스위치(36)와, 상기 프로그램단자(P0-P7)와 전원전압(VCC)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자를 풀업(pull up)하는 다수의 저항(34)과, 상기 제2카운터(32)의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06
)와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07
)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38)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1도의 어드레스 발생회로의 상세도로서, 제1수평윈도우신호(HWP)와 제1수직윈도우(VWP)신호 입력에 의하여 수평·수직 윈도우 설정 어드레스를 각각 로드하고, 각각 로딩된 상기 윈도우 설정어드레스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클럭인 클럭(CLK)와 수평윈도우펄스(HWP) 카운트하여 메모리의 어드레스(A0-A15)를 출력하는 제3, 제4카운터(40)(48)와, 상기 제3, 제4카운터의 프로그램단자(P0-P7)와 접지사이에 접속되어 수평·수직 윈도우 설정어드레스를 세트하는 DIP 스위치(42)(52)와, 전원전압(VCC)과 상기 제3, 제4카운터(40)(48)의 프로그램 단자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풀업저항(42)(50)과, 상기 제3, 제4카운터(40)(48)의 각각의 리풀캐리단자(TC)와 각각의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08
) 사이에 접속되어 그 단자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2수평, 제2수직윈도우펄스(HWP*)와 (VWP*)을 반전하는 인버터(46)(54)로 구성된다.
제4도는 제1도의 프리즈 인에이블신호 발생회로의 상세도로서, 낸드게이트 (60)(62)가 R-S 래치형으로 접속되며 상기 낸드게이트(60)(62)의 일측단자의 전원전압(VCC) 사이에 접속된 저항(R)과, 전원접지(GND)와 상기 낸드게이트(60)(62)의 일측단자에 접속된 스위치(58)로 구성되어 프리즈 신호를 래치 출력하는 래치회로(64)와, 상기 래치회로(64)의 출력을 수직동기펄스(VSP)에 의하여 지연래치 출력하는 D-플립플롭(66)과, 상기 D 플립플롭(66)의 출력과 클럭(CLK)을 논리합하여 프리즈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68)(70)로 구성된다.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부분동작 파형도로서, (a)는 복합영상신호(CVS), (b)는 수직동기펄스(VSP), (c)는 (a)를 확대한 복합영상신호, (d)는 수평동기펄스(HSP), (e)는 샘플링펄스, (f)는 제1수평윈도우펄스(HWP), (g)는 제2수평윈도우펄스(HWP*), (h)는 제3, 제4카운터(40)(48)에 의한 어드레스이다.
제6도의 제4도의 동작 파형도로서, (a)는 래치회로(64)의 출력이고, (b)는 수직동기펄스(VSP), (c)는 D-플립플롭(66)의 출력인 프리즈 인에이블신호, (d) 샘플링클럭, (e) 오아게이트(70)의 출력이다. (f)와 (g)는 (d)와 (e)의 파형을 일부확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예를 전술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1도의 회로에 제2a도와 같은 복합영상신호(CVS)가 입력되면, 이는 A/D변환회로(16)에 입력되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후 프레임 메로리(20)에 입력된다. 또한 동기분리회로(12)에는 입력되는 제2d도와 같은 수평동기펄스(
Figure kpo00009
)와 제2b도와 같은 수직동기펄스(
Figure kpo00010
)로 분리되어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동기분리회로(12)는 국내 반도체 메이커인 삼성전자주식회사에서 생산되는 KA 2605 또는 KA 2606의 칩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상기와 같이 카메라 또는 TV로 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S)는 수평방향의 신호를 수직방향으로 순차배열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제2도의 회로에 있어서, 클럭(CLK)는 제5e도의 파형으로 이는 6-14MHZ 클럭을 통상 사용하는데 14MHZ의 클럭을 사용하면 1수평구간(1H)에서 약 890개의 샘플을 얻을 수 있다.
제2도의 제1, 제2카운터는 범용의 프로그램어블(programable)카운터로써 전술한 동기분리회로(12)에서 제2d도와 같은 수평동기펄스(HSP)를 출력하면, 제1카운터(26)는 프로그램단자(P0-P7)의 입력을 내부 레지스터에 로드하고 클럭펄스(CLK)를 프로그램 데이터만큼 카운터하게 된다.
이때 프로그램단자(P0-P7)에는 DIP 스위치(28)가 접속되어 있어 수평윈도우를 바이너리(Binary)로 세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그 샘플수 이후부터 윈도윙 (windowing)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 동작시에는 제1카운터(26)의 리플캐리(
Figure kpo00011
)의 출력이 "하이" 출력임으로 상기 제1카운터(26)는 인에이블 되어 있어 단자(
Figure kpo00012
: Paralled Enable)에 수평동기펄스(HSP)가 제2d도와 같이 "로우"로 입력되면 상기와 같이 DIP 스위치(28)의 제1수평윈도우 수평데이터를 로드하고, 수평동기펄스(HSP)의 상승에지인 P1 시점부터 클럭(CLK)를 세팅수 만큼 카운트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카운터(26)는 DIP 스위치(28)의 세팅데이터를 카운팅 완료하는 시점까지 제1수평윈도우신호(HWP)를 "로우"로 출력하고, 카운트 완료되면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13
)로 "로우"의 캐리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30)에 의해 상기 제1수평윈도우신호(HWP)가 제2f도와 같이 "하이"로 된다.
따라서 제1카운터(26)는 상기 제1수평윈도우신호(HWP)의 하이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며, 차기의 수평동기펄스(HSP)가 입력되면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제2f도의 제1수평윈도우신호(HWP)를 어드레스 발생회로(18)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2카운터(32)는 전술한 동기분리회로(12)가 제2a도와 같은 입력 복합영상신호(CVS)로 부터 제2b도와 같은 수직동기펄스(VSP)를 분리 출력하면, 제2카운터 (32)는 DIP 스위치(36)에 의하여 설정된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분리회로(12)로 부터 수직동기 기간내 분리출력하는 263개의 수평동기펄스(HSP)을 상기 DIP 스위치(36)의 세팅수만큼 카운트하여 전술한 제1카운터(26)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수직윈도우신호(VWP)을 어드레스 발생회로(18)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의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는 DIP 스위치들의 설정에 따른 제1수평윈도우(HWP)와 제1수직윈도우(VWP)을 발생하여 어드레스 발생회로(18)에 입력시키게 된다.
한편 제3도와 같이 구성된 어드레스 발생회로(18)는 상기한 제1카운터(26)에서 제2g도와 같은 제1수평윈도우(HWP)을 출력하면, 제3카운터(40)는 DIP치(44)에 의한 수평윈도우 설정어드레스 데이터를 "로드"한다.
이때 제3카운터(40)는 단자(
Figure kpo00014
)로 입력되는 제1수평윈도우신호(HWP)가 제2f도와 같이 "로우"에서 "하이"로 되는 시점 P2 즉 수평윈도윙의 시작점 부터 클럭단자(CP)로 입력되는 클럭(CLK)을 세팅된 수평윈도우 설정어드레스를 카운트하여 출력단자(Q0-Q7)로 로우어드레스(A0-A7)를 제2h도와 같이 출력한다. 그리고 DIP 스위치(44)의 설정데이터의 카운팅이 끝나는 순간에 제3카운터(40)는 리플캐이단자(
Figure kpo00015
)에 "로우" 신호를 출겨하여 수평윈도윙이 종료하면서 제2수평윈도우신호(HWP*)을 제2g도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또 한편 수직윈도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4카운터(48)는 전술한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로 부터 제1수직윈도우신호(VWP)가 단자(
Figure kpo00016
)로 입력되면 DIP 스위치(52)에 의한 수직윈도우 설정어드레스 데이터를 로드하고, 제1수직윈도우신호 (VWP)가 상승되는 순간인 수직윈도윙의 시작순간 부터 클럭단자(CP)로 입력되는 제1윈도우신호(HWP)를 로드된 숫자만큼 카운트한다. 이때 카운트되어 출력단자 (Q8-Q15)로 출력되는 카운트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20)의 상위어드레스(A8-A15)로 제공된다. 상기 제4카운트(48)가 입력되는 제1수평윈도우신호(HWP)를 수직윈도우 설정어드레스 데이터를 카운팅 완료하게 되면,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17
)가 "로우"의 캐리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인버터(54)로 부터는 제2수직윈도우신호(VWP*)가 출력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발생회로(18)는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로 부터 제1수평윈도우신호(HWP)와 제1수직윈도우신호(VWP)의 윈도윙 시작점 부터 프레임 메모리 (20)에 저장하고 싶은 갯수만큼의 샘플을 카운팅하여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프레임 메모리(20)에 제공한다.
즉 DIP 스위치(44)(52)를 온/오프하여 전술한 A/D 변환회로(16)에서 디지탈 변환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한 화면중 소망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프레임 메모리(20)에 써 넣어주고, 읽어 볼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회로에 의해 상기 A/D 변환회로(16)에서 디지탈 변환되는 한 화면중 소망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프레임 메모리(2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화상의 데이터를 원하는 시점에서 출력할 수 있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프리즈 인에이블신호 발생회로(22)에 의해서 프리즈(Freeze)할 수 있다.
제4도의 래치회로(64)의 R-S 플립플롭의 스위칭회로로서 스위치(58)가 (a)로 접점되면, 낸드게이트(60)의 출력은 제6a도의 (a1)과 같이 "하이"로 되고, (b)로 접점 스위칭되면 출력은 제6a도의 b도와 같이 "로우"로서 D-플립플롭(66)의 딜레이 입력단자(D)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D-플립플롭(66)은 클럭단자(CP)로 입력되는 제6b도의 수직동기펄스(VSP)에 의해 클럭킹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58)가 (b)로 접점된 경우에는 오아게이트(70)로 부터는 제6e도의 T1 또는 T3와 같은 클럭(CLK)가 프레임 메모리(20)의 리이드/라이트 동작신호인
Figure kpo00018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만약 스위치(58)가 (a)로 접점된 경우에도 제6a도의 (a1)과 같은 "하이" 신호가 수직동기신호(VSP)에 의해 동기되어 D-플립플롭(66)의 출력단자(Q)에서 제6도(c)와 같이 프리즈 인에이블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제6c도와 같이 출력된 신호는 2개의 오아게이트(68)(70)를 통하여 프레임 메모리(20)의 리이드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2개의 오아게이트(68)(70)를 사용한 것은 프레임 메모리(20)의 라이트신호(WE)를 오아게이트의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라이트 신호를 지연시켜 주는 이유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20)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발생회로(18)에 의해서 클럭(CLK)에 동기되어 프레임 메로리(20)에 전달되는 메모리의 리이드/라이트 특성상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라이트 동작신호(
Figure kpo00019
)는 주어진 어드레스가 세팅된 후 소정 시간후에 스트로브(strobe)시켜 주어야만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읽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동작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20)에 화상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고 리이드(Read)하는 경우는 2가지 경우로 나눌수 있음을 알수 있게 된다. 평상시 스위치(58)을 제6도 T1 또는 T3와 같이 (b)로 세팅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윈도우한 영상신호를 연속하여 라이트 제어신호(
Figure kpo00020
)에 의해서 프레임 메모리(20)에 고속으로 기록하였다가 재생하게 됨으로 화면이 입력영상 그대로 재생 디스플레이 된다. 어느 한 순간에 화면을 정지시키어 디스플레이 해 보고 싶은 경우 스위치(58)를 제6도 T2와 같이 (a)로 세팅하면 새로운 입력영상은 프레임 메모리(20)에 저장되지 않고 어드레스 발생회로(18)의 지정 어드레스에 의해 저장된 영상신호는 반복하여 재생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나 VTR 등의 출력 영상신호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임의로 설저이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소망하는 시간만큼 정지화상으로 재생할 수 있어 메모리의 용량을 고려하여 화면을 기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S)로 부터 수평동기펄스(HSP)와 수직동기펄스(VSP)를 분리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회로(12)와, 상기 수평, 수직 동기펄스(HSP)(VSP)의 입력에 의해 제1수평,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딩하여 제1수평, 제1수직 윈도우신호(HWP)(VWP)를 발생하는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S)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A/D변환기 (16)와, 상기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의 제1수평, 제1수직윈도우신호(HWP)(VWP)에 의하여 윈도우 설정 어드레스 구간데이터를 카운터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제2수평, 제2수직윈도우신호(HWP*)(VWP*)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회로(18)와, 상기 A/D변환기(16)의 출력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 발생회로(18)의 어드레스지정에 의해 저장(Writ)하거나 출력(Read)하는 프레임 메모리(20)와, 저장 또는 출력 제어스위칭에 의해 상기 프레임 메모리(22)에 저장제어신호(
    Figure kpo00021
    )를 입력시키거나 그 반대의 신호를 입력하는 프리즈 인에이블 발생회로(22)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20)의 출력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윈도우신호 발생회로(14)가 수평동기신호(
    Figure kpo00022
    ) 입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1수평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수평윈도우 설정데이터를 클럭(CLK)로 카운트하여 카운트 완료시 제1수평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 (26)와, 접지단자(GND)와 상기 제1카운터(26)의 프로그램단자(P0-P7) 사이에 접속되어 제1수평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DIP 스위치(28)와, 상기 프로그램단자(P0-P7)와 전원전압(VCC)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자를 풀업(pull up)하는 다수의 저항(27)과, 상기 제1카운터(26)의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23
    )와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24
    )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30)와,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25
    ) 입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수직윈도우 설정데이터를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 (HSP)로 카운트하여 카운트 완료시 제1수직윈도우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36)와, 접지단자(GND)와 상기 제2카운터(32)의 프로그램단자(P0-P7) 사이에 접속되어 제1수직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DIP 스위치(36)와, 상기 프로그램단자(P0-P7)와 전원전압(VCC)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단자를 풀업하는 다수의 저항(34)과, 상기 제2카운터(32)의 리플캐리단자(
    Figure kpo00026
    )와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27
    )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화상 기록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회로(18)가 제1수평윈도우신호(HWP)와 제1수직윈도우(VWP)신호 입력에 의하여 수평·수직 윈도우 설정어드레스를 각각 로드하고, 각각 로딩된 상기 윈도우 설정어드레스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클럭인 클럭(CLK)와 수평윈도우펄스(HWP) 카운트하여 메모리의 어드레스(A0-A15)를 출력하는 제3, 제4카운터(40)(48)와, 상기 제3, 제4카운터(40)(48)의 프로그램단자(P0-P7)와 접지사이에 접속되어 수평·수직 윈도우 선정어드레스를 세트하는 DIP 스위치(42)(52)와, 전원전압(VCC)과 상기 제3, 제4카운터(40)(48)의 프로그램 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풀업저항(42)(50)과, 상기 제3, 제4카운터(40)(48)의 각각의 리플캐리단자 (
    Figure kpo00028
    )와 각각의 인에이블단자 (
    Figure kpo00029
    ) 사이에 접속되어 단자로 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2수평, 제2수직윈도우펄스 (HWP*)와 (VWP*)을 반전하는 인버터(46)(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KR1019890009163A 1989-06-30 1989-06-30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KR92000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163A KR920002518B1 (ko) 1989-06-30 1989-06-30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163A KR920002518B1 (ko) 1989-06-30 1989-06-30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65A KR910002265A (ko) 1991-01-31
KR920002518B1 true KR920002518B1 (ko) 1992-03-27

Family

ID=1928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163A KR920002518B1 (ko) 1989-06-30 1989-06-30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5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65A (ko)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7888B2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での画面編集装置
US5063440A (en) Still/moving picture selection control circuit for video phone system
US539206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rocess a plurality of kinds of image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US5319460A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rame memory
KR920002518B1 (ko) 정지화상 기록 재생장치
KR100232028B1 (ko) 모자이크 효과 발생 장치
JP3108008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を用いる動映像信号実時間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740364B2 (ja) タイトル画像挿入装置
KR910001220B1 (ko) 흑백 정지화상의 기록 및 재생회로
KR950007302B1 (ko)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한 디지탈 화상 및 텍스트 데이타 기록 재생회로
KR940003411Y1 (ko) 버스공유 데이타 기록장치
KR940001833B1 (ko) 디지탈 비디오 화상 편집장치
JPH0591461A (ja) 信号記録装置
KR930010175B1 (ko) 비디오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화상 및 문자 동시 표시회로
KR910009313Y1 (ko) 스트로보 기능 수행회로
JP2615004B2 (ja) 集積化順次アクセスメモリ回路
KR970003177A (ko) 비디오 처리장치
JPS59140793A (ja) 時分割スイツチ回路
JPS63123085A (ja) 表示用メモリの入力/出力方式
JPS60134661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S6367083A (ja) 映像縮小表示回路
JPS62219172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S6210692A (ja) 映像信号生成回路
JPS60158378U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S60108891A (ja) ダイナミック表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