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43B1 -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 Google Patents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43B1
KR920002343B1 KR1019850009765A KR850009765A KR920002343B1 KR 920002343 B1 KR920002343 B1 KR 920002343B1 KR 1019850009765 A KR1019850009765 A KR 1019850009765A KR 850009765 A KR850009765 A KR 850009765A KR 920002343 B1 KR920002343 B1 KR 92000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elt
rib
ribs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791A (ko
Inventor
히로유끼 다나까
에이이찌 다까미
교이찌 미시마
미쯔노부 히가시
도시미 구마사끼
Original Assignee
미쯔보시 벨트 가부시끼가이샤
오다 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보시 벨트 가부시끼가이샤, 오다 긴조 filed Critical 미쯔보시 벨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5000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343B1/ko
Publication of KR87000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리브부착 타이밍벨트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횡단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우프 2 : 고무층
3 : 치형부 5 : 리브
6 : 범포 7 : 홈부
본 발명은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벨트로서는 통상의 치형 벨트의 상면에 복수개의 삼각 스트립 리브를 벨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리브부착 타이밍벨트가 있다.
상기 공지의 벨트는 치형부면에서는 통상의 치형 풀리에 걸려 동기 전등을 함과 동시에 한편 상면의 리브면은 리브 부착 풀리와 끼워맞쳐 배면 구동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공지 벨트는 벨트 상면의 리브는 치가 없는 통상의 직선형 리브이기 때문에 리브부착 풀리와의 접촉 면적도 크고 상당한, 고마력 전동도 기대되지만, 리브부는 연속한 띠형이기 때문에 리브부착 풀리에는 상당히 큰 접촉 각도로 감길 수가 없고, 접촉 각도를 크게 하면 벨트의 굴곡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타이밍벨트의 상기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타이밍벨트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통상의 치형 타이밍벨트의 상면에 설정된 마찰계수의 측변을 갖는 복수의 치형 리브를 제공함으로써 다축 전등 기구에서 리브면의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인장체 로우프를 병렬로 매설한 신장성 고무층의 하면에 일정한 피치로 벨트폭 방향의 복수의 치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신장성 고무층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치형 리브를 설치한 리브부착 타이밍벨트에 있어서, a는 c×d(홈부를 포함한 리브 전체 측면적), b는 홈부를 제외한 리브의 실질적인 전체 측면적, c는 리브의 사변길이, d는 리브 사변길이의 1/2의 위치에 있어서의 벨트 둘레 길이로 설정하면, 상기 리브 측면의 마찰계수 μ가
Figure kpo00001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 벨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벨트 상면 리브부에 소정 피치의 홈군을 설치하여 리브부에 일정피치의 복수의 치를 설치함으로써 벨트 상면에 있어서의 굴곡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고마찰 계수를 유지시킬 수 있는 풀리와 리브 측면과의 충분한 접촉면은 상기 리브부에서 고마력의 전달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리브부착 타이밍벨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브부착 타이밍벨트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도면부호(1)은 풀리에스테르, 풀리아미드(구체적으로 상품명 나이론), 방향족 풀리아미드(구체적으로 상품명 케브라)섬유, 레이온,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 등으로 된 저신장성 고장력섬유 인장체 로우프로, NR(천연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NBR(니트릴 고무), IIR(부틸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CSM(클로설폰화 풀리에틸렌), H-NBR(수소화 니트릴 고무)등의 단일재, 혹은 이들 혼합물로 된 신장성 고무층(2)중의 피치라인 위치에 병렬로 매설되어 있다.
도면부호(3)은 상기 신장성 고무층(2)과 동일한 고무로 형성된 치형부로, 상기 신장성 고무층(3)의 하면에 일정 피치로 신장성 고무층(2)과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형부(3)의 표면은 권축성 풀리아미드 섬유(구체적으로 상품명 나이론)나 방향족 풀리아미드 섬유인 경사와 통상의 비신축성사인 위사로 제직된 복수층의 고무부착 신축성 범포(4)로 피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신장성 고무층(2)의 상면에는 상기 신장성 고무층(2) 및 치형부(3)와 똑같은 고무로 구성되고, 횡단면이 사다리꼴이며 벨트 길이 방향으로 일정피치의 홈부(7)를 설치한 복수의 치형 리브(5)가 일체화하여 설치되어 있고, 리브(5)의 표면에는 경사 및 위사가 모두 면사인 면사와 풀리에스테르와 풀리아미드와 방향족 풀리아미드와 이들의 혼섬사로 이루어진 광각도 범포, 바이어스 범포, 상기 치형부(3)의 피복 범포와 같은 재질의 고무부착 범포(6)의 복수층으로 피복되고, 또 리브(5)의 양측면에는 고무부가 노출되어 있다.
특히, 벨트의 하면 치형부(3)와 상부의 리브(5)도 로 에지(raw edge)형이다.
본 발명의 벨트의 리브(5)는 통상의 적선형 리브와 달리 길이 방향으로 일정 피치의 홈부(7)를 설치한 치형 리브이기 때문에, 이것을 리브부착 풀리에 감아걸었을 시, 굴곡성은 매우 양호하지만, 반면 리브의 홈부(7)만큼 그 접촉면적이 줄어들고, 그만큼 전달력의 저하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실제 리브(5)측면의 종횡 사이즈, 좀더 구체적으로는 측면적을 어느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리브(5)측면의 고마찰 계수를 유지하고, 상기 전달력의 저하분을 보충하려한 것이다.
이하, 리브(5) 실질부에 있어서의 측면의 마찰계수(μ)에 관하여 설명한다.
리브(5)측면의 마찰계수를 μ, 제2도의 리브(5) 측면의 사변길이를 c, 제3도의 리브(5) 측면의 사변길이(c)의 1/2위치에 있어서의 벨트 둘레 길이를 d로 하면 리브의 홈부(7)(사선 표시부)를 포함한 리브의 전체 측면적 a는 c×d로 된다.
또 홈부(7)(사선 표시부)를 제외한 리브, 즉 치형 리브(5)의 실질적인 전체 측면적을 b로 하면, μ는 0.35×
Figure kpo00002
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좌변
Figure kpo00003
는 최저치 0.15가 필요하고, 마찰계수 0.15이하에서는 리브 측면의 마찰계수가 너무 낮아 전달력도 저하된다. 따라서, 마찰계수가 상기 최저치 이상이 되도록 a, b를 선정한다. 고무 자체의 마찰계수 μ는 통상 0.15보다 높지만 본 발명의 벨트에서는 리브 측면적이 실질적으로는 치의 홈부(7)만 감소한다.
그러나 a, b의 수치를 적정화함으로써 마찰계수 μ를 0.15 내지 0.30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고무의 마찰계수 μ는 0.90가 한계치이며 0.90이상의 것은 실제로 제조 불가능하며, 계수가 너무 크게 되면 벨트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는 통상의 타이밍벨트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치 한계값을 확보한 고마찰계수를 갖는 측면을 포함한 복수의 치형 리브를 설치한 리브 부착 타이밍벨트로서, 벨트 하면의 치형벨트로 치형 풀리와 맞물려 동기 전동을 행함과 동시에 리브 부착 풀리에 의한 고마력의 배면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을 발전시켜 리브면에는 다수의 치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리브부착 풀리 대신에 벨트 상면도 치형 풀리에 의한 동기 전동, 즉 이중 타이밍벨트와 동일하게 상하양면의 동기 전동도 필요에 따라 행할 수 있고, 굴곡성도 양호한 점 및 자동차용 벨트 기타 일반 산업용 벨트로서 매우 적합하고, 그 사용분야를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복수의 인장체 로우프(1)를 병렬로 매설한 신장성 고무층(2)의 하면에 일정 피치로 벨트 폭 방향에 치형부(3)를 형성하고, 신장성 고무층(2)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의 치형 리브(5)를 설치한 리브 부착 타이밍벨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리브(5)에 일정 피치로 벨트 폭 방향으로 홈부(7)를 설치하고, 치형 리브(5)를 설치하며, 리브(5)측면의 마찰계수 μ가
    Figure kpo00004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여기서, a : cxd(홈부(7)를 포함한 리브(5)의 전체 측면적)
    b : 홈부(7)를 제외한 리브(5)의 실질적인 전체 측면적
    c : 리브(5)의 사변길이
    d : 리브 사변 길이 1/2의 위치에 있어서의 벨트 둘레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체 로우프(1)는 풀리에스테르, 풀리아미드(구체적으로 상품명 나이론), 방향족 풀리아미드(구체적으로 상품명 케브라)섬유, 레이온, 유리섬유, 카본 섬유로 형성되며, NR(천연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NBR(니트릴 고무), IIR(부틸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CSM(클로로설폰화 풀리에틸렌), H-NBR(수소화 니트릴 고무)등의 단일재와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신장 고무층(2)에서 피치선 위치에 병렬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3)는 신장성 고무층(2)과 동일한 고무로 되어 있고, 신장성 고무층(2)의 하면에 일정 피치로 신장성 고무층(2)과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3)의 표면은 권축성 풀리아미드 섬유(구체적으로 상품명 나이론)나 방향족 풀리아미드 섬유의 경사와 통상의 비신축성사인 위사로 제직된 하나 이상의 고무층을 갖는 신축성 범포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고무층(2)의 상면에는 상기 신장성 고무층(2) 및 치형부(3)와 똑같은 고무로 구성되고, 횡단면이 사다리꼴이고, 벨트 길이 방향으로 일정 피치의 홈부(7)를 설치한 복수의 치형리브(5)가 일체화하여 설치되어 있고, 리브(5)의 표면에는 경사 및 위사가 모두 면사인 면사와 풀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와 방향족 풀리아미드와 이들의 혼섬사로 된 광각도 범포, 바이어스 범포 상기 치형부(3)의 피복 범포와 같은 재질의 고무 부착 범포(6)의 하나 이상의 복수층으로 피복되고, 또 리브(5)의 양측면은 모두 고무부가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KR1019850009765A 1985-12-24 1985-12-24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KR92000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765A KR920002343B1 (ko) 1985-12-24 1985-12-24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765A KR920002343B1 (ko) 1985-12-24 1985-12-24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791A KR870005791A (ko) 1987-07-07
KR920002343B1 true KR920002343B1 (ko) 1992-03-21

Family

ID=1924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765A KR920002343B1 (ko) 1985-12-24 1985-12-24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3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791A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359Y2 (ja) 歯付ベルト
US4047446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KR840008044A (ko) 확동 구동 동력 전달 벨트
US20080108466A1 (en) Power transmission belt
JPH07117124B2 (ja) 動力伝動用ベルト
US6827660B2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KR920004747A (ko) 동력 전달 v-벨트
KR930021381A (ko) 압축 담요를 형성하는 무단 벨트형 요소
US5275858A (en) Woven conveyor belt splice fabric and conveyor belt splice formed therewith
EP0138466B1 (en) Toothed belt
JPH0673498U (ja) 動力伝動用vベルト
KR920002343B1 (ko) 고무리브부착 타이밍벨트
EP1448912B1 (en) Low modulus belt
DK0489298T3 (da) Endeløs kilerem eller kileribberem
JPH05118388A (ja) 歯付ベルト
JPH0640352Y2 (ja) 歯付ベルト
JPH081207Y2 (ja) コンベヤベルト
JPH07180747A (ja) 歯付ベルトの駆動装置
JPH0141964Y2 (ko)
JP3011680U (ja) シングルコグ付きダブルvリブドベルト
JP2562839Y2 (ja) 歯付ベルト
JPH05118390A (ja) 歯付ベルト
JPH0736887Y2 (ja) 直進性ベルト
JP3125694B2 (ja) ハンドレール
JPH08261292A (ja) Vリブド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