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19B1 -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19B1
KR920002119B1 KR1019880007888A KR880007888A KR920002119B1 KR 920002119 B1 KR920002119 B1 KR 920002119B1 KR 1019880007888 A KR1019880007888 A KR 1019880007888A KR 880007888 A KR880007888 A KR 880007888A KR 920002119 B1 KR920002119 B1 KR 92000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block
tile
face plate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81A (ko
Inventor
모도가쯔 후나끼
Original Assignee
모도가쯔 뷰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모도가쯔 후나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33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81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21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2519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도가쯔 뷰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모도가쯔 후나끼 filed Critical 모도가쯔 뷰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제1도는 종래의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타일블록벽 구조체에 사용되는 종래의 타일면판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부분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제7a도~제7c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타일부착면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타일부착면판 22 : 타일블록
24 : 탄성고정편 26 : 기초부재
28 : 제1돌기 32 : 제1돌기의 상부벽
34 : 제1돌기의 하부벽 36 : 제1돌기의 앞쪽벽
38 : 제2돌기 42 : 제2돌기의 상부벽
44 : 제2돌기의 하부벽 46 : 제2돌기의 앞쪽벽
30, 40, 56 : 도브테일 홈 64 : 탄성고정편의 지지부
70 : 맞물림부 72 : 맞물림부 본체
74 : 압압부 75 : 절단부
78 : 지지홈부
본 발명은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 내벽등과 같은 타일블록벽을 구성하기 위해 타일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과 이러한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을 사용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에 사용되는 종래의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48862/198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1도는 건축물의 외벽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나타내며,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이하, 간단히 "타일부착면판"이라 칭함)(100)은 건축물의 벽기초체(도시안됨)의 외면상에 기초부재, 서까래등의 적당한 수단(102)을 통하여 고정되고, 이 타일부착면판(100)의 외면상에 타일블록(104)이 지지 배열되어 타일벽이 형성된다. 이러한 것을 위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일부착면판(100)에는 측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대략 L자 형상의 지지포울(Pawl)(106)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복수열 배열되어 있다. 타일블록(104)은 지지포올(106)을 통하여 타일부착면판(100)상에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포올 (106)은 타일부착면판(100)의 일부분을 잘라세우므로써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또, 각각의 타일블록(104)에는 그의 내면에, 지지포올(106)을 수용하는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블록(104)은 부착면판(100)에 유지된다. 타일부착면판(100)과 타일블록(104)은 상기 기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타일부착면판(100)상에의 타일블록(104)의 장설, 즉 부착은 타일부착면판(100)의 하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차례차례 행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착면판상에의 타일블록의 부착은 각 타일블록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단순히 부착면판의 외면을 잘라세워 형성한 지지포올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착방법은 부착면판상에 확실하고 안전하게 타일블록을 부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타일블록은 부착면판의 하부로부터 차례로 위쪽을 향해서 부착면판상에 부착되므로, 부착면판의 상부에 타일블록을 부착하기 위해 비계를 조립, 재건 또는 해체할 경우, 부착면판상에 이미 부착된 타일블록이 종종 손상되거나 더러워진다. 또한, 비계의 해제는 부착면판상에의 타일블록의 부착완료전에는 수행할 수 없으므로, 종래기술은 부착면판상에의 타일블록의 부착시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부착면판상에 부착된 타일블록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므로, 틈새밀봉재로 채워서 틈새로 침입하는 빗물을 막는다. 그러나, 틈새밀봉재는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온도의 변동등에 기인하여 틈새가 벌어지기 쉬우므로 빗물 침입을 완전히 막지 못한다. 그 결과, 틈새로 침입한 빗물은 부착면판에 지지포올을 형성하므로써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타일블록벽구조체의 내부 및 건축물의 벽기초체 속으로 침투하므로, 빗물이 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부착면판은, 그의 평판에 다수의 평판부를 잘라일으켜 세워 다수의 지지포올을 형성하나, 근본적으로 평판은 고강도 또는 강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평판에의 지지포올의 형성은 타일부착면판의 강도와 강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부착면판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으므로, 타일 부착면판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무거운 타일블록을 그위에 지지하게 되므로 만족할 만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부착면판을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여 형성하고 지지포올을 부착면판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압출성형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부착면판은 내열성, 특히, 내화성이 저하되어, 그의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쉽게 열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부착면판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타일블록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타일블록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발휘할 수 있고, 빗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타일블록을 하부로부터 위쪽으로 차례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타일장설용 부착면판과 이것을 사용한 타일 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요망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이 제공되고 있다. 이 부착면판은, 타일블록을, 그의 내면에 형성된 도브테일(dovetail)홈을 통해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착면판은, 내면에 개방되어 있는 도브테일홈이 형성된 타일블록의 상하방향의 부착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상하방향에 배열되고, 또,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에 자유롭게 끼워지기에 충분한 치수로 형성된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돌기와, 상기 각 제1돌기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위쪽으로 인접한 제1돌기와 협동해서 상기 타일블록을 고정지지하는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고, 또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북수의 제2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1돌기는,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상부면을 결합지지하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과 ,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접속하고,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바닥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구비하므로써, 내부 도브테일홈을 구획하도록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제1돌기와의 높이차가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1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돌기에는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타일블록맞물림 수단을 끼워두는 상부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일블록의 상기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타일블록벽 구조체가 제공되고 있다. 이 구조체는, 내면에 개방된 도브테일홈이 형성된 복수의 타일블록과,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돌기와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돌기가 형성되고, 또, 건축물의 몸체쪽에 고정되는 타일블록 부착면판과, 상기 각 타일블록을 상기 타일블록부착면판에 걸어맞춤하는 탄성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면판의 제1돌기는 복수개의 서로 인접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타일블록의 부착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상하방향에 배열되고, 또,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에 자유롭게 끼워지기에 충분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2돌기는, 상기 각각의 제1돌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위쪽에 인접한 제1돌기와 협동해서 상기 타일블록을 고정지지하는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1돌기는, 상기 타일블 측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위면을 결합지지하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접속하고,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바닥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구비하므로써, 내부에 도브테일홈을 구획하도록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돌기는, 제1돌기와의 높이차가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1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돌기에는,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타일블록 맞물림 수단을 끼워두는 상부벽과, 타일블록의 상기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고정편은,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한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면판의 상기 제1돌기의 상기 하부벽과 상기 제2돌기의 상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지지되고, 상기 제1돌기에 결합지지된 타일블록을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하부면에 상기 맞물림부를 압압결합시켜서 바깥쪽으로부터 타일블록을 상기 부착면판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하고 안정하게 타일블록을 설치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타일부착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에서 위쪽으로 타일블록의 부착을 실현할 수 있는 타일부착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확실하고 견고하게 타일블록을 부착할 수 있는 타일부착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일부착면판이 충분한 강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타일블록벽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타일블록벽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조립될 수 있는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일블록을 확실하고 안정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한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좋은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는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이점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중에 예시되어 있는 구성의 특징, 소자의 조합 및 부재의 배치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제3도∼제10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여기에서 참고 숫자는 도면을 통하여 대응되는 부분 또는 동일부분을 가리킨다.
제3도~제5도는 본 발명의 타일블측장설용 부착면판을 조립해서 건축물의 외벽형태로 구성되는 타일클록벽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의 타일블록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참고숫자(20),(22) 및 (24)로 각각 표시된 타일부착면판, 타일블록 및 타일지지수단으로서의 탄성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일부착면판(20)은, 한쪽의 면 즉 내면이 기초부재, 서까래등의 적당한 수단(26)을 통하여 건축물의 벽기초체상에 부착되고, 이 타일부착면판(20)의 다른쪽면 즉 외부변에 타일블측(22)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당한 수단(26)으로서, 최소한하나의 기초부재가 사용된다.
타일부착면판(20)의 외면상에는 다수의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돌기(28)가 형성되고, 제1돌기(28)는 서로 인접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타일 블록(22)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타일부착면판(20)의 상항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은 그속에 도브테일홈(30)을 구획하도록 부착면판(20)에서 바깥쪽으로 팽창하거나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1돌기(28)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32)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34)과, 상부벽(32)과 하부벽(34)을 서로 연결하는 앞쪽벽(36)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쪽(36)은 그의 종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한 부착면판(20)의 상하방향의 치수변화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으로 앞쪽벽(36)을 형성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일블록(22)에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으므로, 앞쪽벽(36)과 타일블록(22) 사이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기(28)의 상부벽(32)은 타일지지면으로서 작용하고, 하부벽(34)은 타일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타일지지면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타일부착면판(20)의 외면상에는 다수의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38)가 형성되고, 제2돌기(38)의 각각은 소정간격으로 각각의 제1돌기(28) 아래에 배열되고 부착면판(2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창 또는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그 속에 도브테일홈(40)이 구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2돌기(38)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42)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44)과, 상부벽(42) 및 하부벽(44)을 서로 연결하는 앞쪽벽(46)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돌기(38)는, 상기 제2돌기(38) 위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1돌기(28)와 협동하여 타일블록을 고정지지하는 각각의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돌기(38)의 상부벽(42)은 대응하는 제1돌기(28)의 하부벽(34)과 협동해서 탄성고정편(24)을 고정지지하여, 타일블록(22)을, 탄성고정편(24)을 개재해서 부착면판(20)에 탄성적으로 고정지지하는 고정편 지지면으로서 작용하고, 제2돌기(38)의 앞쪽벽(46)은 수직으로 인접한 2개의 타일블록(22)의 내면(54)의 상부 및 하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작용하며, 이것을 위해서 앞쪽벽(46)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기술한 제1 및 제2돌기(28) 및 (38)는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형성된 돌기는 둥근 모서리를 지니며, 이러한 돌기가 형성된 타일부착면판(20)은 성형에 의해 소정의 강도를 지닌 금속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일부착면판(20)상에 부착되는 타일블록(22)은, 제3도∼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부착면판(20)의 각 인접한 2개의 제1돌기(28)사이의 간격보다도 약간 작은 길이방향의 치수 또는 높이로 형성되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타일블록(22)의 상단면(52)과 하단면(50)사이에 틈새(48)를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타일블록(22)에는, 그의 내면의 중앙부에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도브테일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브테일홈(56)은 내면(54)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면(58), 내면(5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여장되는 하부면(60)과 상, 하부면(58),(60)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면(62)을 포함하고 있다.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은, 입구가 부착면판(20)의 제1돌기(28)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또한, 깊이는 돌기(28)의 높이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도브테일홈(56)의 상부면(58)은 부착면판(20)의 제1돌기(28)의 상부벽(32)에 걸어맞춤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일블록(22)의 내면(54)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의 하부가 부착면판(20)의 제2돌기(38)의 앞쪽벽(46)상에 접촉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위해, 제2돌기(38)는 제1돌기(28)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제1돌기(28)와 제2돌기(38)사이의 높이차는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8)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된다.
부착면판(20)상에 타일블록(22)을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탄성고정편(24)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1돌기(28)의 하부벽(34)과 제2돌기(38)의 상부벽(42)사이에 고정적으로 끼워넣어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2)과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타일부착면판(20)상에 타일블록(22)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이를 위해, 탄성고정편(24)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1 및 제2돌기(28) 및 (38)사이에 유지된 대략 <형상의 지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부(64)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의 하단부가 제2돌기(38)의 상부벽(42)상에 맞물려 유지되는 하부(66)와 하부(66)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어 그의 상단부가 제1돌기(28)의 하부벽(34)상에 유지되는 상부(68)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고정편(24)은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과 단단하게 탄성적으로 맞물려 부착면판(20)상에 타일블록(22)을 유지하는 맞물림부(7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맞물림부(70)는 상부(68)의 중간영역을 절단하고 이 상부(68)의 중간영역을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맞물림본체부(72)와 맞물림본체부(72)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하여 맞물림 본체부(72)와의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을 아래쪽으로 탄성적으로 누르는 압압부(7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64)의 상부(68)는, 사이에 존재하는 맞물림부(70)에 의해서, 2개의 부분으로 측면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과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된 탄성고정편(24)은, 스프링강철판과 같은 적당한 강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식성이 요구되는 경우 스테인레스강으로 간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고정편(24)에 있어서, 상부(68)는, 하부(66)가 그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서로 마주보는 제1돌기(28)의 하부벽(34)과 제2돌기(38)의 상부벽(42) 사이에 삽입하므로써 생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압압부(74)도 맞물림본체부(72)의 탄성을 이용하여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 (58)의 하부면(60)에 대해 맞물림본체부(72)를 누름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조립방법을, 건축물의 외벽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착면판(20)은 건축물의 벽기초체(도시 안됨)에 고정된 기초부재(26)상에 태핑스크루우등에 의해 부착됨과 동시에, 서로 연결된다. 다음에, 탄성고정편(24)의 지지부(64)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돌기(28) 및 (38)에 각각 대응하는 하부벽(34)과 상부벽(42)사이에 안전하게 끼워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고정편(24)의 하부(66)의 하단부가 우선 부착면판(20)의 제2돌기(38)의 상부벽(42)상에 맞물려 유지되고, 다음에 탄성고정편(24)의 지지부(64)의 상부 (68)는 그의 탄성력에 대향해서 구부러지면서 제1돌기(28)의 하부벽(34)을 따라서 지지부(64)의 하부(66)가 실제적으로 부착면판(20)에 맞닿게 될 때까지 삽입되어, 탄성고정편(24)은 부착면판(20)상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되므로써, 맞물림본체부(72)와 압압부(74)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돌기(28)이 하부벽(34)에 가깝게 위치된다.
다음에, 타일블록(22)을 부착면판(20)에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고정편(24)의 맞물림부(70)의 압압부(74)를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상에 유지한 후, 압압부(74)와 맞물림본체부(72)의 탄성에 대하여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상에 맞불림부(70)를 맞물려 유지하고,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상부면(58)을 제1돌기(28)의 상부벽(32)에 맞닿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부착면판(20)상에 부착된 타일블록(22)은,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과 탄성결합하는 탄성고정편(24)의 맞물림부(70)에 의해 안쪽으로 그리고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도브테일홈(56)의 상부벽(58)은 제1돌기(28)의 상부벽(58)에 대해 밀어붙여져서 타일블록(22)의 상하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브테일홈(56)의 바닥면(62)과 타일블록(22)의 내부면(54)의 각각 제1돌기 (28)의 앞쪽벽(36)과 제2돌기(38)의 앞쪽벽(46)에 대해 밀어붙여져서 타일블록(22)의 수평운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타일블록(22)은 부착면판(20)상에 확실하고 안정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돌기(28)의 앞쪽벽(36)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바닥면(62)의 마무리 정도에 관계없이 타일블록(22)과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빗물이 제1돌기(28)의 앞쪽벽(36)과 타일블록(22)의 바닥면(62)사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착면판(20)상에 부착된 타일블록(22)은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과 탄성결합하는 탄성고정편(24)의 맞물림부(70)에 의해 안쪽으로 그리고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부세되므로, 도브테일홈(56)의 상부면(58)은 제1돌기(28)의 상부벽(32)에 맞닿아 밀어붙여져서 타일블록(22)의 상하운동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한, 도브테일홈(56)의 바닥면(60)과 타일블록(22)의 내부면((54)은 제1돌기(28)의 앞쪽벽(36)과 제2돌기(38)의 앞쪽벽(46)에 대해 각각 밀어붙여져서 압박하여 타일블록(22)의 수평운동을 막으므로, 타일블록(22)은 부착면판(20)상에 확실하고 안정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돌기(28)의 앞쪽벽(36)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바닥면 (62)의 마무리에 의한 영향없이 타일블특과 압압접촉될 수 있으므로 빗물이 도브테일홈(56)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빗물의 집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일블록은, 탄성을 활용하여 부착면판상에 강제적으로 유지되므로 종래기술의 단지 걸어맞춤에 의해 부착면판상에 타일블록이 부착되는 것과는 달리 부착은 안정하고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부착면판의 측면방향으로, 또한 부착면판의 상단으로부터 차례로 아래쪽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그 다음의 하단에 타일블록(22)이 측면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타이블록벽 구조체를 조립하거나 구성하며, 여기에서, 상하로 인접한 타일블록(22)은 하단면(50)과 상단면(52)사이에 구획된 틈새(48)을 개재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며 마찬가지로, 측면방향으로 인접한 타일블록(22)은 그들 사이에 소정 틈새를 개재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고, 이 틈새는 틈새밀봉재로 채워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착면판(20)의 제1 및 제2돌기(28) 및 (38)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잘라세워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성형에 의해 팽창하거나 돌출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부착면판을 통한 빗물의 누수는 실제적으로 완벽하게 방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팽창하여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부착면판의 강도를 오히려 향상시킬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타일블록(22)은 부착면판(20)의 제2돌기(38)에 맞닿아 있는 그의 내면(54)의 하부의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부(75)를 형성하고, 반면, 타일블록(22)의 상단부(76)는, 그의 형상과 치수가 타일블록(22)의 내면(54)의 절단부(75)에 대해 보충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타일블록(22)중의 하부의 상단부(76)는 타일블록의 상부의 절단부(75)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실시예에서,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에는 지지홈부 또는 단차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나머지 부분은, 부착면판(20)의 제1돌부(28)의 앞쪽벽(36)이 만곡되어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3∼제5도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제6도의 실시예에서, 타일블록(22)을 부착면판(20)상에 부착하면,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타일블록(22)중의 하부의 상단부(76)는 타일블록의 상부의 절단부(75)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부착면판(2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좋은 미적 감각을 나타내는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형성한다. 또한,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하부면(60)은 지지홈부(7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고정편 (24)의 맞물림부(70)의 압압부(74)는 지지홈부(78)를 통하여 타일블록(22)의 하부면(60)상에 확실하게 유지되므로, 부착면판(20)에의 타일블록(22)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한다.
제7a도 ∼ 제7c도는 타일부착면판(2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7a도에 나타낸 타일부착면판(20)에 있어서, 제1돌기(28)는 대략 버섯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돌기 (28)의 앞쪽벽(36)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7b도에 나타낸 타일부착면판(20)은 제1돌기(28)와 제2돌기(38)의 굽은 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제적으로 제7a도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7c도에 나타낸 타일부착면판(20)은, 제1돌기(28)의 하부벽(34)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2돌기(38)의 하부벽(44)을 편평하게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제7a도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일부착면판(20)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기 (28)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돌기(28)는 내부에 도브테일홈(30)을 구획하고, 타일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상부벽(32)과, 타일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하부벽(34)과, 상부벽과 하부벽을 서로 연결하고 타일블록(22)의 도브테일홈(56)의 바닥면(62)과 압압접촉하는 앞쪽벽(36)을 포함한다. 또한, 부착면판(20)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기(38)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제2돌기(38)는 제2돌기의 위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대응하는 제1돌기와 협동하여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도록 각 제1돌기(28)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1돌기보다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돌기(38)는, 내부에 도브 테일홈(40)을 규정하고, 대응하는 제1돌기(28)의 하부벽(34)과 협동하여 타일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상부벽(42)과, 타일블록(22)의 내면(5)을 접촉시켜 지지하는 앞쪽벽(46)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돌기는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착면판(20)에 있어서, 내면에 도브테일홈(56)이 형성된 타일블록(22)은, 제1돌기(28)의 상부벽(32)상에 지지되고, 제2돌기(38)의 상부벽(42)과 제1돌기(28)의 하부벽(34)과의 협동에 의해서 탄성고정편(24)을 통해서 유지된다 또한 타일블록(22)은 그의 내면(54)의 하부에서 제2돌기(38)의 앞쪽벽(46)상에 맞닿아 지지된다. 따라서, 부착면판(20)은 부착면판(20)의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타일블록(22)를 쉽고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타일블록이 부착면판(22)상에 확실하고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더우기, 상기 설명한 각 실시예의 부착면판(20)에 있어서, 제1, 제2돌기 (28),(38)는 부착면판으로부터 팽창하여 부착면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부착면판에는 잘라세운 돌기가 없으므로, 부착면판을 통한 빗물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부착면판의 강도를 소정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돌기(28)와 제2돌기(38)사이에 간격을 적당하게 선택하므로써, 부착면판 (22)을 기초부재(26)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의 머리부분이 바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와 같이 돌기를 팽창시켜 형성하므로써, 타일블록의 두께를 작게 형성해도 충분히 질량감을 가진 타일블록벽 구조체를 제공하고, 부착면판과 타일블측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부착면판이 외부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일블록 (22)은, 내면(54)의 상부 및 하부가 인접한 제2돌기(38)의 앞쪽벽(46)상에 밀접하게 맞닿아 지지되므로, 상하로 인접한 타일블록사이의 틈새에 틈새밀봉재를 채울 때, 이 틈새밀봉재가 타일블록(22)의 내면(54)을 통해 달아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실제적으로 틈새밀봉재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타일부착면판(20)상에의 타일블록(22)의 부착을 부착면판의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차례로 실행하여 연속적인 부착작동시 미리 부착된 타일블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착작동시 비계의 해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8도의 타일블록벽 구조체는 부착면판을 제외하고는 제6도의 실시예와 실제로 동일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부착면판(20)은 제6도의 실시예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및 제2돌기(28) 및 (38)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돌기(28)는, 부착면판(20)의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또, 돌기(28)의 하부벽(34)과 상부벽(32)을 구성하도록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입구가 폐쇄되고 바닥부가 개방된 도브테일홈(30)을 내부에 구획하는 <형상의 한쌍의 판부재(82),(8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6도의 실시예에서의 앞쪽벽(36)은,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삭제되어 있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돌기(38)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판부재(86)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제1돌기(28)와 협동하여 탄성고정편(24)을 단지 유지하는 작용을 할 뿐이다.
상기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기초부재에의 타일부착면판의 부착은, 장착된 타일블록의 중량을 견딜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부착보울트를 이용해서 부착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부착면판쪽으로부터 기초부재에 대해서 부착면판을 고정하므로써 실행하거나, 또는, 기초부재의 잘라일으켜세운 돌기를 부착면판의 구멍속에 맞물려 삽입하고 돌기를 뒤고 접어 고정하므로써 실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방법은 다음의 결점을 지닌다.
부착보울트를 사용하여 부착면판을 기초부재에 고정하는 전자의 방법은, 타일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부착면판에 타일블록의 무게를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나사의 직경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부착면판의 구멍을 통해 벽구조체의 내부로 빗물이 들어가 빗물의 누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나사를 죄기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므로 부착동작을 복잡하고 어렵게 한다. 또한, 부착면판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부착면판의 강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다수의 타일블록을 부착할 때 면판의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전자의 방법에서의 문제점은 실제적으로 후자의 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9도 및 제10도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이러한 구멍을 부착면판에 형성하지 않고 최소한 하나의 기초부재상에 타일부착면판을 고정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9도 및 제1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타일부착면판(20)은 실제적으로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건축물의 벽기초체상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각각의 기초부재(26)는 바닥부가 벽기초체상에 고정된 U자형상의 몸체(88)와 U자형상의 몸체(88)의 양쪽에 형성된 플랜지(90)를 가지도록 단면이 모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90)는 부착면판(20)의 제1돌기(28)배열의 상하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유지요소(92)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유지요소(92)는 플랜지(90)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필랜지(90)의 일부를 잘라세우므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초부재(26)에 의하면, 제1돌기(28)의 도브테일홈(30)을 통하여 부착면판(20)의 각각의 제1돌기(28)의 상부벽(32)의 내면과 유지요소(92)를 단지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부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부착면판(20)이 쉽게 부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타일부착면판(20)은 단지 부착면판에 기초부재를 걸어맞추므로써, 원하는 바와 같이 기초부재(26)상에 용이하게 고정지지된다. 그후, 타일블록(22)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타일부착면판(20)상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는, 제9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재(26)의 플랜지(90)의 적어도 한쪽에, 별개의 잘라일으켜 세운 돌기(94)를 적당한 갯수로 형성하고, 이 돌기를 제1돌기의 하부벽의 내면상에 구부려서 접촉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착면판(20)을 더욱 견고하게 기초부재(26)상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타일블록(20)의 하중은 모두, 유지요소(92)를 통해 기초부재(26)에 가해지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서, 기초부재(26)상에 부착면판(20)을 더욱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서는, 실시예의 부착면판(20)을, 제2돌기(38)와 제1돌기(28)사이의 부착면판(20)의 각각 편평한 부분을 통하여 제9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방수나사(96)로 각 기초부재(26)상에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나사는 편평부가 실제상 방수되도록 타일블록으로 차폐되어 있으므로 누수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타일블록의 하중이 편평부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어떠한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돌기(28)는 모두 기초부재(26)의 유지요소상에 유지되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돌기(28)는 번갈아 기초부재 (26)상에 유지되어도 된다. 또, 기초부재(26)는 단면이 모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유지요소는, 부착면판의 제1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걸어맞춤되도록 잘라일으켜 세우므로써 소정의 간격으로 기초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면판을 기초부재상에 고정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초부재에 부착구멍을 형성하거나 기초 부재의 2차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착면판을 통한 물의 누출과 부착면판의 강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부재상에의 타일부착면판의 부착을 매우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충분히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착면판에는, 제2돌기가 제1돌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2돌기는 제1돌기와의 높이차가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도록 제1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또, 제2돌기에는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타일블록 맞물림수단을 끼우는 상부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일블록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하므로써, 타일블록을 지지하는 제1돌기와 제2돌기의 안쪽에 공간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타일블록, 제1 및 제2돌기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타일블록의 내면과 건축물의 표면의 사이에 전체에 결쳐서 단열공간 및 방음공간으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형성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는 양호한 단열성 및 방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으로하므로써, 제1돌기외 제2돌기와의 사이에 타일블록 맞물림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타일블록을 부착면판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타일블록벽 구조체의 조립시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으로터 명확해지고, 또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기 구성에 변화를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모든 사한은 단지 예에 불과하므로, 어떠한 한정적 의미가 개입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상기 일반적, 특징적 특징과 언어상의 문제로서 탈락되었을지도 모르는 표현되지 않은 본 발명이 범위의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Claims (13)

  1. 내면에 개방되어 있는 도브테일홈이 형성된 타일블록의 상하방향의 부착 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상하방향에 배열되고, 또,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에 자유롭게 끼워지기에 충분한 치수로 형성된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기와, 상기 각 제1돌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위쪽에 인접한 제1돌기와 협동해서 상기 타일블록을 고정지지하는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고 또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1돌기는,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상부면을 결합지지하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접속하고,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바닥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구비하므로써, 내부에 도브테일홈을 구획하도록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각 제2돌기는, 제1돌기와의 높이차가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의 깊이와 실질상 동등하도록 제1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돌기에는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타일블록 맞물림 수단을 끼우는 상부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일블록의 상기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
  2. 상기 각 제2돌기는, 상기 타일블록 맞물림수단을 상기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끼워붙이도록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도브테일홈을 구획하도록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타일블록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큰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상기 앞쪽벽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블록장설용 부착면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의 상기 앞쪽벽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블록장설용 부착면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착면판은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장설용 부착면판.
  7. 내면에 개방되어 도브테일홈이 형성된 복수의 타일블록과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돌기와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돌기가 형성되고, 또, 건축물의 몸체쪽에 고정되는 타일블록부착면판과, 상기 각 타일블록을 상기 타일블록부착면판에 걸어맞춤하는 탄성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면판의 제1돌기는 복수가 서로 인접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타일블록의 부착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또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에 자유롭게 끼워지기에 충분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2돌기는, 상기 각 제1돌기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위쪽에 인접한 제1돌기와 협동해서 상기 타일블록을 고정지지하는 타일지지수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제1돌기는, 상기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상부면을 결합지지하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벽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접속하고, 상기 타일블록이 상기 도브테일홈의 바닥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구비하므로써, 내부에 도브테일홈을 구획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각 제2돌기는, 제1돌기와의 높이차가 타일블록이 도브테일홈의 깊이와 실질상 동일하도록 제1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2돌기에는 제1돌기의 하부벽과의 사이에 타일블록 맞물림수단을 끼우는 상부벽과, 타일블록의 상기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앞쪽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고정편은,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맞물림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면판의 제1돌기의 상기 하부벽과 상기 제2돌기의 상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지지되고, 상기 제1돌기에 결합지지된 타일블록을 타일블록의 상기 도브테일홈의 하부면에 상기 맞물림을 압압결합시켜서 바깥쪽으로부터 타일블록의 상기 부착면판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의 도브테일홈의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고정편의 맞물림부가 압압결합하는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은 상기 부착면판의 상기 제1돌기사이의 간격보다도 작은 상하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은 상기 부착면판의 상기 제1돌기사이의 간격보다도 큰 상하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에는 앞면의 하단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절단부에 대응한 돌출단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면판에 부착된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타일블록의 상부의 타일블록의 상기 절단부에 하부의 타일블록의 상기 돌출부분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은, 상기 지지부가 대략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지지부의 굴곡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또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을 잘라세운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블록벽 구조체.
KR1019880007888A 1987-12-15 1988-06-29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KR920002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5097A JPH0663338B2 (ja) 1987-12-15 1987-12-15 取付け面板とタイルブロックとの組合せ構造
JP62-315096 1987-12-15
JP87-315096 1987-12-15
JP62-315097 1987-12-15
JP62315096A JPH01158160A (ja) 1987-12-15 1987-12-15 タイルブロック張設用の取付け面板壁構造
JP87-315097 1987-12-15
JP63-21304 1988-02-02
JP88-21304 1988-02-02
JP63021304A JP2552519B2 (ja) 1988-02-02 1988-02-02 タイルブロック張設用取付け面板の固定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81A KR890010381A (ko) 1989-08-08
KR920002119B1 true KR920002119B1 (ko) 1992-03-12

Family

ID=272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888A KR920002119B1 (ko) 1987-12-15 1988-06-29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90433A (ko)
KR (1) KR920002119B1 (ko)
CN (1) CN10129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34B1 (ko) * 2005-09-16 2007-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161A (en) * 1989-11-08 1991-10-01 Whitacre Daniel C Tile application structure
SE469137B (sv) * 1990-11-09 1993-05-17 Oliver Sjoelander Anordning foer montering av fasadbeklaednadsplattor
US5373676A (en) * 1992-09-28 1994-12-20 Francis; Steven R. Thin brick panel assembly
US5501049A (en) * 1992-09-28 1996-03-26 Francis; Steven R. Thin brick panel assembly
US5398473A (en) * 1993-09-02 1995-03-21 Chan; Stephen Building cladding system
US6000178A (en) * 1995-10-31 1999-12-14 Goodings; Peter J.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composite building panel
US5860261A (en) * 1996-10-10 1999-01-19 Leblanc; Harry B. Building block retainer apparatus
KR20010031438A (ko) * 1997-10-27 2001-04-16 로버트 바우어 벽돌 외장 패널
SE510708C2 (sv) * 1997-10-29 1999-06-14 Oliver Sjoelander Fasadbeklädnadssystem
US6164029A (en) * 1998-09-17 2000-12-26 Lee; Yu-Hong Slabstone positioning device
US7614193B2 (en) * 2004-10-26 2009-11-10 Tilediy, Llc Underlayment for tile surface
US7617647B2 (en) * 2004-10-26 2009-11-17 Tilediy, Llc Underlayment for tile surface
US7871054B2 (en) * 2005-02-08 2011-01-18 Architectural Polymers, Inc. Brick formliner apparatus
CN101082238B (zh) * 2006-05-31 2010-09-22 天津市粤唯鲜娱乐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中国古瓷瓶构建的墙体及其构建方法
DE202007011599U1 (de) * 2007-08-18 2007-11-15 Wüstefeld, Jens-Hagen Tragstruktur für Leichtbauelemente
MX2010008436A (es) * 2008-02-01 2010-08-18 Oldcastle Building Prod Canada Sistema de pared de mamposteria con medios de guia.
WO2009121772A1 (de) * 2008-04-02 2009-10-08 Mueller Martin Montagemittel zur montage von naturstein und verfahren zum montieren von naturstein
US8061101B2 (en) 2008-09-12 2011-11-22 Progressive Foam Technologies, Inc. Insulating siding system
CA2685707A1 (en) * 2008-11-10 2010-05-10 Groupe Artitalia Inc. Slat wall assembly
US8627625B2 (en) 2009-01-30 2014-01-14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US8763312B2 (en) * 2010-01-31 2014-07-01 Gary Keith Carter Slat wall systems
CA2883138C (en) 2012-09-20 2020-03-31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Panel with compressible projections and masonry wall system including the panel
US9016020B1 (en) * 2014-04-15 2015-04-28 Jisong Yang Thin brick panel assembly system
US9328520B1 (en) * 2015-07-17 2016-05-03 Matthew Kriser High strength in-floor decoupling membrane
US9464442B1 (en) 2015-08-13 2016-10-11 Stone Master Sa Wall cladding assembly method and system
US9453341B1 (en) 2015-08-18 2016-09-27 Hengestone Holdings, Inc. Wall system having core supporting blocks and decorative fascia blocks
EP3138976A1 (en) * 2015-09-03 2017-03-08 Design by Gosa ApS A strip ceiling system
DK179016B1 (en) * 2015-09-03 2017-08-21 Design By Gøsta Aps A wood/polymer/metal strip ceiling system
CN107165389A (zh) * 2015-10-06 2017-09-15 甘丽霞 墙面大理石铺贴方法
CN105952082A (zh) * 2016-06-14 2016-09-21 佛山市南海美立盛塑胶厂 一种便于快速安装的轻质装饰板
US10060124B2 (en) * 2017-01-24 2018-08-28 Hengestone Holdings, Inc. Construction system having corner core blocks and decorative face blocks
GB2565266B (en) * 2017-06-20 2021-08-25 Ash & Lacy Holdings Ltd Mounting rail
DK179733B1 (en) * 2017-09-05 2019-04-29 Click'n Tile Aps TILE COVERING SYSTEM AND PROCEDURE FOR FITTING TILE ELEMENTS ON A BUILDING SURFACE
GB2569626B (en) * 2017-12-21 2020-03-25 James & Taylor Ltd A facade unit mounting apparatus
KR101937711B1 (ko) * 2017-12-22 2019-01-11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DE102019109458A1 (de) * 2019-04-10 2020-10-15 Infinex Holding Gmbh Trägerplatte für einen Boden-, Wand- oder Deckenaufbau
FI20195826A1 (en) * 2019-09-27 2021-03-28 Lasanen Incorporated Oy Support base and tile joint
BR112022016362A2 (pt) * 2020-05-04 2022-11-16 Swisspearl Group Ag Sistema de fixação de placas
ES2927917A1 (es) * 2021-05-10 2022-11-11 Sist Avanzados De Fachadas Ventiladas S L Sistema de montaje de fachada ventilada
CN114295294A (zh) * 2021-12-07 2022-04-08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渗水显色式外墙砖
CN114319766B (zh) * 2021-12-31 2022-10-1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湿度的环保石膏墙面材料的墙面设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5293A (en) * 1959-04-01 1961-10-24 Edgar D Hunter Wall facing
JPS5482813A (en) * 1977-12-15 1979-07-02 Yoshio Yoshida Method of placing tile
JPH0627708Y2 (ja) * 1987-04-17 1994-07-27 日本建工株式会社 タイル取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34B1 (ko) * 2005-09-16 2007-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034A (zh) 1989-07-19
KR890010381A (ko) 1989-08-08
CN1012977B (zh) 1991-06-26
US4890433A (en) 199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119B1 (ko) 타일블록장설(張設)용 부착면판 및 타일블록벽 구조체
CA2357503C (en) External wall structure
KR20020096935A (ko) 벽 기둥을 지지하기 위한 트랙 배치 및 벽 골조 조립물 및조립 방법
JPH0531626B2 (ko)
JP2901559B2 (ja) スパンドレル
JPH0372773B2 (ko)
JPS6222588Y2 (ko)
JPH0232424B2 (ko)
JP3520127B2 (ja) 簡易屋根の骨組み構造
JPH0324543B2 (ko)
JP3082024B2 (ja) 縦葺き外装材保持用部材及び建築物の外装構造
JPH06307056A (ja) 縦張用建築用外壁材
JP3422983B2 (ja) 屋根板連結構造
JP2678882B2 (ja) 横張用の壁材の端部の納まり構造
JPH0315682Y2 (ko)
JPH036724Y2 (ko)
JP4313737B2 (ja) 外壁材の取付構造及び外壁材の取付方法
JP4606144B2 (ja) 外囲体
JP4598447B2 (ja) 見切り縁
JPH0243948Y2 (ko)
JPH0152537B2 (ko)
JPS6328250Y2 (ko)
JPH01158160A (ja) タイルブロック張設用の取付け面板壁構造
JPS6257776B2 (ko)
JPH0583142U (ja) 竪樋支持材及び取付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