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083B1 - 앤티록장치 - Google Patents

앤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083B1
KR920002083B1 KR1019890007455A KR890007455A KR920002083B1 KR 920002083 B1 KR920002083 B1 KR 920002083B1 KR 1019890007455 A KR1019890007455 A KR 1019890007455A KR 890007455 A KR890007455 A KR 890007455A KR 920002083 B1 KR920002083 B1 KR 92000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outlet
valve
discharg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55A (ko
Inventor
테루히사 고오노
코오지 다카다
코오이찌 하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35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063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35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06356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7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a difference between a speed condition, e.g. deceleration, and a fixed re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5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pressure is reapplied to or released from the brake
    • B60T8/5018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 B60T8/5025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expanding chambers for controlling pressure, i.e. closed systems
    • B60T8/4275Pump-back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expanding chambers for controlling pressure, i.e. closed systems
    • B60T8/4275Pump-back systems
    • B60T8/4283Pump-back systems having a pressure sensitive in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operating with a power-assist booster means associated with a maste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elease and reapplication of brake pressure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power assist device, i.e. open systems
    • B60T8/44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operating with a power-assist booster means associated with a maste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elease and reapplication of brake pressure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power assist device, i.e. open systems replenishing the released brake fluid volume into the brake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앤티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부분단면의 전체구성도.
제2a, b, c, d도는 제 1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표시한 부분단면의 전체구성도.
제4a, b, c, d도는 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5도 및 제6a, b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부분단면의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브레이크페달 21 : 마스터 실린더
22 : 주유로 23 : 차륜브레이크
24 : 배출유로 25 : 유량제어 절환밸브
26 : 배출밸브 27 : 실린더블록
31 : 구멍 32 : 슬리이브
34 : 입구 35 : 제1출구
36 : 제2출구 37 : 도입로
38 : 제1도출로 39 : 제2도출로
41 : 스푸울 42A, 42B, 44, 45 : 액통로
43 : 오리피스 49 : 리터언스프링
51 : 리터언스프링실 54 : 고정밸브시이트
55 : 아마튜어 56 : 가동밸브체
58 : 고정자 59 : 코일
60 : 스프링
본 발명은 앤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시스템에 있어서, 차륜속도검출기 및 차체속도 검출기등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자정보처리장치에 인도하여, 차륜의 록상태를 검출하고, 과대한 브레이크작동에 의해 과대슬립의 발생 또는 그 징후를 검출하면, 전자밸브를 작동해서, 브레이크장치에 유입하는 작동액의 액의 액량을 감소시켜, 브레이크압을 감압하고, 또 조합(調壓)하므로서 브레이크의 답입(踏입)에 관계없이 브레이크압을 감압억제하여 제동력을 최적레벨로 억제제어하는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앤티록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49-28307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원(마스터실린더)과 브레이크장치의 휘일실린더를 연통하는 주유로에 상시 개방의 도입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휘일실린더와 브레이크 작동액 저장탱크를 연통하는 배출유로에 상시 폐쇄의 배출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도입밸브 및 배출밸브는 모두 상기 앤티록검출수산인 전자정보처리장치로부터 검출신호지령에 의거해서 전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앤티록비작동시에는 상기 도입밸브 및 배출밸브에는 모두 급전(給電)하지 않고,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踏입량)에 따라서 작동액을 휘일실린더에 유입시키는 한편, 앤티록시, 즉, 브레이크액압의 감압을 행할때는, 상기 도입밸브와 배출밸브에 급전하여 도입밸브는 폐쇄동작, 배출밸브는, 개발동작해서 휘일실린더쪽의 작동액을 저장탱크에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차 브레이크액압을 가압할때는, 비급전으로해서 도입밸브를 개방, 배출밸브를 폐쇄로하고, 또, 브레이크액압을 일정압으로 유지할때는, 도입밸브에만 급전하여 폐쇄동작시켜, 배출밸브가 폐쇄위치에 있으므로서 브레이크압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장치에서는, 감압, 가압, 일정압유지의 3모우드의 제어를 할 수 있으나, 급전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를 2개, 즉, 도입밸브와 배출밸브를 필요로 하여, 부품점수의 증대, 장착시간등으로 코스트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고, 전자밸브를 1개로해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한 앤티록장치가 일본국 특원소 61-112440호 및 U.S.P. 4,715,666에 제안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각각 제5도 및 제6a, b도에 표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가압원(1)과 휘일실린더(2)를 연통하는 주유로(3)에, 상기 전자작동의 도입밸브를 설치하는 대신에, 스프링(4)과 액압에 의해 작동하는 비전자작동의 3포오트 2위치 절환의 유량제어절환빌브(5)를 설치하는 동시에, 배출유로(6)에 상시 폐쇄이고 2포오트 2위치절환의 전자배출밸브(7)을 설치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상기 비전자 유량제어절환밸브(5)와 전자배출밸브(7)과의 조합에 의해서, 감압과 가압만의 2모우드제어로 앤티록제어를 행하게 하고 있다.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5)의 구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10)에 삽입한 내통(11)내에 스프울(12)를 리터언스프링(4)에 의해서 가압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는 한편, 상기 내통(11)내에 마스터실린더로부터의 작동액이 유입하는 입구(13), 휘일실린더에 작동액을 유출하는 제1출구(14), 배출밸브(7)을 개제해서 작동액 저장탱크에 작동액을 유출하는 제2출구(15)를 각각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전자작동의 배출밸브(7)의 구조는 제2출구(15)에 연락하는 액통로(61)을 중앙에 가지고, 전자코일(62)를 외장한 고정자(63),상기 전자코일(62)를 둘러싸고 자로(磁路)를 구성하는 프레임(64), 내경쪽의 일단부가 고정자(63)에 액밀(液密)하게 압입된 비자성의 가이드링(65), 스프링(66)에 의해 고정자(6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가이드링(65)의 얇은 부분내주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收納 )하고, 전자코일(62)에 급전시에 고정자(63)에 흡인되어, 스프링(66)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이동가능한 아마튜어(67) 중앙에 배출로를 구성하는 액통로를 가지고, 프레임(64)에 압입고정된 고정밸브시이트(68), 아마튜어(67)에 일체적으로 압입고정되고, 고정밸브시이트(68)에 접촉하므로서 배출로(6)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는 가동밸브체(69)를 가지고 있으며, 가동밸브체(69)가 고정밸브시이트(68)를 경계로 배출액로(6)의 제2출구(15)쪽에 존재하고 있다.
또 배출밸브(7)은 그 가동밸브체부가 밸브체와 밸브시이트에 의한 시일링부(sealing portion)보다도 상류쪽 즉 제2출구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일본국 특원소 61-112440호 및 U.S.P. 4,715,666호의 유량제어 절환밸브에서는,내통(11)의 리터언스프링실(17)에 에어(기포)가 있을 경우에, 입구(13)의 압력상승시에 기포가 찌부러지므로서 스푸울(12)이 앤티록위치가지 이동하게 되어, 과대가압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그상태(제3b도)에서 리터언스프링실(17)이 입구(13)과는 통로(18)을 경유해서 고정오리피스(19)으로, 제1출구(14)와는 제2출구(15)를 경유해서 스푸울(12)의 끝면(20)과 내통의 구멍(21)로 구성되는 가변오리피스에 의해서 구획되므로, 기포의 배출은 곤란하고, 용이하게 에어빼기를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에어빼기의 곤란성은 유량제어절환밸브를 위아래(天地) 어느 방향으로 배치해도, 또 전자작동의 배출밸브를 조작해도 개선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에어가 리터언스프링실에 잔존할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의 답입량에 신속하게 반응해서 브레이크압이 차륜브레이크에 발생하지 않고, 브레이크효과가 나쁜 불편이 있었다.
또 실린더블록(10)내에 형성하는 내통(11)의 개구단을 끝마개(16)으로 폐쇄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배출밸브(7)을 유량제어밸브(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해도, 혹은, 유량제어밸브(5)와 직렬로 배치해도 제2출구를 수푸울(12)과 직교되게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느경우도 상기 끝마개(端栓·plug)(16)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부품 및 장착시간 증가에 의해서 코스트상승이 되는 동시에 필요스페이스가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또, 전자배출밸브를 폐쇄한 재승압가정에 있어서, 스푸울과 내통사이의 누설량을 충분히 미소하게 억제하지 않으면, 리터언스프링과 오리피스로 설정한 설계유량보다도 여분의 유량이 차륜브레이크에 유출하므로, 수푸울 및 내통의 가공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스트상승을 초래하는 결점도 있었다.
또, 차량조립공정에 있어서 브레이크배관계의 에어빼기를 행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저장탱크로부터 진공펌프로 브레이크배관계의 배기를 행하고, 그런연후에, 브레이크액을 압송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일반적으로 진공충전이라고 불려지고 있음). 한편, 브레이크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통상 브레이크 액을 충전하여 누설 및 성능시험을 행한 후, 차량조립공정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진공충전시에 일정작업시간내에서 브레이크배관계의 배기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내의 잔류브레이크액량을 일정치로 할 필요가 있다.(잔류량이 많으면 탈포(脫泡 )해가기 때문에 진공도달도가 저하됨).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밸브(7)의 가동밸브체(69)가 고정밸브시이트(68)보다도 제2출구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리터언스프링실(17)은 물론 액통로(61), 아마튜어(67), 가동밸브체(69)가 존재하는 밸브실(70)에 통상 브레이크시(비앤티록제어시)의 액압이 작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성능시험완료후 이들 부분의 브레이크액을 배출할 필요가 있으나, 도면의 밸브폐쇄상태로 밸브실(70)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펌프(71)의 토출밸브(72)와 고정밸브시이트(68)사이의 펌프회로의 브레이크액은, 잔류한 채로가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링(65)에도 통상 브레이크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자(63) 및 프레임(64)와의 사이의 액밀성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로울링이나 용접에 의해 익밀성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스페이스증가, 코스트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할려고 하는것으로서,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를 연통하는 주유로로부터 분기하도록 형성된 배출로와, 이 배출로에 설치되고, 급전에 의해 전자력으로 밸브가 개방되어 배출로를 연통상태로 할 수 있는 상시 폐쇄의 배출밸브와, 상기 분기점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원에 연통하는 입구, 상기 차륜브레이크에 연통하는 제1출구, 상기 배출밸브에 연통하는 제2출구의 3개의 포오트를 가진 중공 원통형상의 내통과, 이 내통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액로를 가지고, 상기 각 포오트의 연락상태를 절환가능한 스푸울과, 이 스푸울을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터언스프링을 가지고, 엔티록비작동시에는 상기 스푸울이 비작동위치에 있어 입구와 제 1출구를 대유로로 연락하고, 앤티록감압시에는, 배출밸브를 개방해서 제2출구로부터 작동액을 배출로에 배출시키므로서, 스푸울의 양단에 발생하는 차압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리터언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스푸울이 이동하여, 제1출구와 제2출구를 연통시켜서 차륜브레이크의 작동액을 배출로에 배출시키고, 앤티록의 가압시에 상기 배출밸브를 비급전으로 하면, 제2출구로부터 배출밸브로 향하는 작동액의 흐름이 정지하여, 상기 입구의 액압이 제1출구의 액압보다도 높을 경우는 입구로부터 오리피스를 통과해서 제1출구로 향하여, 소유량이 흐르는 소유로가 형성되고, 입구와 제1출구의 액압차가 이 차압이하로 되면, 리터언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푸울이 비작동위치로 복귀해서 상기 대유로를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량절환밸브와, 이 유량절환밸브를 수납하는 일단개구의 실린더구명을 가진 실린더블록을 구비하는 앤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한쪽개구단이 상기 제2출구가 되도록 구성하고, 이 제2출구쪽 개구단을 상기 실린더구멍의 개구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량절환밸브를 실린더구멍에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밸브를 내통의 제2출구쪽 개구단부에 접촉시키고, 그러므로서 실린더구멍을 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장치로서,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는, 가압원과 연통하는 입구, 차륜브레이크와 연통하는 제1출구 및 배출밸브를 경유해서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출구를 가진 적어도 일방향개구의 내통내에, 내부에 고정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액통로를 가진 스푸울을 리터언스프링으로 가압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고, 상기 수푸울과 내통의 축방향상대위치에 의해, 앤티록비작동시는 가압원과 차륜브랭크를 연통하는 대유로를 개방하고, 앤티록감압시 즉, 배출밸브 개방시에는 상기 대유로를 폐쇄해서 배출밸브 경유차륜브레이크와 배출유로를 연통하는 감압유로를 개방하고, 또, 앤티록 재승압시에는 배출밸브 폐쇄후, 가압원압력과 차륜 브레이크압력의 압력차가 일정치를 초과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리터언스프링의 가압력과 스푸울의 단면적에 의해서 결정되는 압력차 △P가 스푸울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의 전후에 발생하고, 이 압력차와 고정오리피스의 면적에 의해서 정해지는 유량에 동등한 유량만을 통과시키는 가변오리피스가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 사이에 상기 고정오리피스와 직렬로 형성되므로서, 양오리피스를 경유하여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를 연통하는 소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유량에 의해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와의 사이의 압력차가 차차 축소하고, 상기 압력차 △P까지 저하되면 상기 리어턴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를 연통하는 대유로를 재차 개방해서 비작동시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에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의 입구와 제1출구와는 내통의 측벽에 내통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뚫어 형성하는 한편, 내통의 축방향의 일개구단을 배출유로에의 제2출구로서 구성하고, 이 제2출구를 리터언스프링실과 직접적으로 연통시켜서, 이 리터언스프링실이 상기 가압유로에 포함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의 제2출구 형성쪽의 개구단을 폐색하도록 상기 전자작동의 배출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또한, 상기 내통내에 끼워 맞춤되고 리터언스프링에 가압되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스푸울내에, 오리피스로 전후로 격리된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액통로를 형성하고, 이 액통로의 한편쪽은 상기 대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다른편쪽은 상기 감압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 앤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소유로가 형성되어서 일정유량으로 차륜브레이크가 재승압되고 있을 때, 고정오리피스와 병렬의 누설경로를 구성할 수 있는 스푸울 내통사이의 틈에, 가압원압력과 차륜브레이크압력의 차압이 직접 걸리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배출밸브의 가동밸브체가, 밸브체와 밸브시이트에 의한 시일링부(sealing portion)보다도 아래쪽 즉, 배출유로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장치에서는, 배출밸브와 연통하는 유량제어절환밸브의 제2출구를, 내통의 축방향의 일개구단쪽에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제2출구를 리터언스프링실과 직접적으로 연통하고, 또한, 스프울내에 형성된 오리피스로 격리된 액통로의 한쪽이 상기 리터언스프링실과 함께 감압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기때문에, 리터언스 스프링실의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유량제어절환밸브를 수납하는 실린더구멍의 개구단을 전자밸브로 이루어진 배출밸브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필요를 하였던 끝마개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유로 형성시, 고정오리피스와 병렬로, 스푸울과 내통의 틈에 큰 압력차를 가진 누설경로가 없으므로, 스푸울과, 내통의 틈을 약간 크게 설정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며, 또, 배출밸브의 가동밸브체를 고정 밸브시이트를 경계로 제2출구와 반대쪽의 배출로에 존재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아마튜어나 가동밸브체,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밸브실이 통상 브레이크액압이 작용하지 않는 쪽으로 되고, 따라서 진공충전을 위하여 밸브실의 브레이크액을 배출시킬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가이드링과 고정자는 프레임의 사이의 고액압하에서의 액밀성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또, 배출밸브의 가동밸브체 리터언스프링실 바깥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리터언스프링실의 체적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에어의 잔존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것과 같은 염려가 없어지는 등의 특유의 작용을 가진 것이며, 기타의 작용은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및 제2a, b, c, d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앤티록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시스템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브레이크페달(20)의 답입량에 따라서 작동하는 가압원의 마스터실린더(21)은, 주유로(22)를 개재해서 휘일실린더를 포함한 차륜브레이크(23)와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주유로(22)로부터 배출유로(24)가 분기(分岐)하고, 이 분기위치에, 비전자작동의 유량제어절환밸브(25)와 전자작동의 배출밸브(26)을 직렬, 또한, 1개의 실린더블록(27)내에 조합해서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배출유로(24)는 작동액저장탱크(28)을 개재해서 공지의 플런저펌프(29)와 연통하고, 이 플런저펌프(29)는 환류유로(3)을 개재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21)과 연통하고 있으며, 배출유로(24)에 배출된 작동액을 플런저펌프(29)에 의해 마스터실린더(21)쪽으로 퍼올리고 있다.
상기 주유로(22)와 배출유로(24)와의 분기점에 설치하는 유량제어절환밸브(25)와 배출밸브(26)과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실린더블록(27)내에 구멍(31)을 뚫어 설치하고, 이 구멍(31)내에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슬리이브(32)를 끼워 맞춤고정하는 동시에, 구멍(31)의 개구쪽에 전자밸브로 이루어진 배출밸브(26)을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슬리이브(32)는 양단개구로서, 그 일단쪽은 구멍(31)의 저면에 고정하는 한편, 타단쪽에는 배출밸브(26)의 프레임(33)을 연접(連接)고정하고 있다. 슬리이브(32)의 외주면과 구멍(3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마스터 실린더(21)쪽의 주유로(22)과 연통하는 작동액입구(24)를 형성하는 동시에, 브레이크장치(23)쪽과 연통하는 작동액의 제1출구(35)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33)과의 연접쪽의 개구축심부를 배출밸브(26)쪽에 직선적으로 연통하는 작동액의 제2출구(36)로 하고 있다. 또, 슬리이브(32)에는 상기 입구(34)와 연통하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제1도입로(37)과 제2도입로(38)을 뚫어 형성함과 동시에, 제1출구(35)에 연통하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토출로(39)를 뚫어 형성하고, 또한, 제2출구(36)에 근접합 위치에 내면으로부터 파내어 홈부(4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슬리이브(32)내에는 축방향으로 슬리이딩 가능하게 스푸울(41)을 끼워 맞춤하고 있으며, 이 스푸울(41)의 축심부에 제1액통로(42)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이 액통로(42)의 제2출구(36)쪽의 선단부에는 오리피스(43)을 형성하고 있다. 또, 스푸울(41)의 저부쪽에는, 스푸울(4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도입로(37)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직경방향의 제2액통로(44)를 제1액통로(42)과 직교시켜서 뚫어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2액통로(44)의 바깥면 개구단은 미터링에지(metering edge)로 되어 있다. 또, 스푸울(41)의 외주면에는 상기 도출로(39)와 상기 연통하는 동시에 제2도입로(38)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축방향으로 긴 제3액통로(45)를 형성하고 있다.
스푸울(41)의 오리프스(43)를 형성한 선단부는 스프링받이(46)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이브(32)의 제2출구(36)과 연통한 프레임(33)의 액통로(47)의 내면에 고정된 스프링받이(48)과의 사이에 리터언스프링(49)를 압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받이(48)에는 필터(50)를 장착하고, 슬리이브(32), 스푸울(41) 및 프레임(33)으로 둘러싸인 리터언스프링실(51)을 통해서 액통로(47)로 유출하는 작동액의 집진(集塵)을 행하고 있다.
구멍(31)의 개구단쪽을 폐색하도록 설치하는 배출밸브(26)의 상기 프레임(33)에는, 도시한바와 같이, 제2출구(3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하는 상기 액통로(47)을, 그 축심부의 내단부에 형성하고, 이 액통로(47)에 고정밸브시이트(54)를 고정하고, 이 고정밸브시이트(54)를 후술하는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개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슬리이브(32)의 축방향개구단에 형성한 제2출구(36)을, 배출밸브(26)과 동일방향의 직렬로 배치하고, 제2출구(36)으로부터 작동액이 직접 배출밸브(26)에 직선적으로 인도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배출밸브(26)의 프레임(33)에는, 제2출구(36)과 연통하는 액통로(47)과 연통시켜서 축심부에 대직경의 밸브실(중공부)(52)를 형성하고, 또한, 이 밸브실(52)와 배출유로(24)를 연통하는 배출액통로(5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액통로(47)에는 상기 고정밸브시이트(54)를 장착하는 한편,중공부(52)내에 아마튜어(55)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고, 이 아마튜어(55)와 고정한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상기 고정밸브시이트(54)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프레임(33)내에는, 상기 아마튜어(55)와 대향한 위치에 고정자(58)을 조립하는 동시에, 그 외주위치에 코일(59)를 조립하고, 급전시에 코일(59)을 여자해서 아마튜어(55) 및 가동밸브체(56)을 화살표방향으로 작동시켜, 밸브시이트(54)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아마튜어(55)와 고정자(58)과의 사이에는 스프링(60)을 설치하고, 비급전시에는 스프링(60)에 의해 가압해서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있다. 또, 아마튜어(55)의 외주에는 얇은 두께의 외주부를 프레임(33)의 내경쪽에, 두꺼운 두께의 내주부(64)을 고정자(58)의 선단외경부에 각각 압입고정한 가이드링(64)가 설치되어 아마튜어(55)를 슬라이딩 안내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 (61)은 O링으로서, 각 부위에서 액누설방지시일을도모하고 있다. 배출유로(24)에 연달아 설치하는 작동액 저장탱크(28) 및 작동액을 마스터실린더(21)에 순환시키는 플런저핌프(29)는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앤티록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작동시의 비앤티록시는, 제2a도에 표시한 대유로형성 상태에 있으며, 전자밸브인 배출밸브(26)에는 급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59)는 비여자이고, 가동밸브체(56)은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있다. 즉,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은 폐쇄상태에 있다. 이 비앤티록시, 스푸울(41)은 리터언스프링(49)에 의해 가압되어서 도면중 상단위치에 있으며, 작동액입구(34)와 상시 연통하고 있는 슬리이브(32)의 제2도입로(38)은 스푸울(41)의 외주의 제3액통로(45)에 연통하고 있다. 이 제3액통로(45)가 슬리이브(32)의 도출로(39)를 개재해서 제1출구(35)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입구(34)는 제1출구(35)에만 연통하고, 마스터실린더(21)과 차륜브레이크(23)이 연통된다. 그때,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입구(35)와 제1출구(36)과의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등을 통과하지 않는 대유량의 작동액을 통과시키는 대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20)의 답입량에 따라서 작동액을 쥬유로(22)로부터 브레이크(23)으로 공급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비앤티록시에는, 입구(35)는 제1도입로(37), 제2액통로(44), 제1액통로(42), 리터언스프링실(49)를 개재해서 제2출구(36)가지 통해 있으나 상기 제2출구(36)과 연통한 배출밸브(26)쪽의 밸브시이트(54)가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2출구(36)으로부터 작동액이 배출되지 않고, 따라서, 밸브실(52)에 통상의 브레이크액압은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차륜속도검출기등(도시생략)으로, 과대한 슬립발생 혹은 그 징후를 검출해서 앤티록상태로 할때는, 전자배출밸브(26)의 코일(59)가 급전되어서 여자된다. 따라서, 아마튜어(55)는 도면중 하강되고, 연통해서 가동밸브체(56)은 스프링(60)에 대항해서 하강하여 밸스시이트(54)를 개방하고,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으로부터의 작동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입구(34), 제1도입로(37),제2액통로(44), 제1액통로(42)로부터 로리피스(43)을 경유해서 리터언스프링실(51)로 유입한 작동액은, 제2출구(36)으로부터 유출하고, 배출밸브(26)의 밸브시이트(54)를 거쳐서,밸브실(52), 배출유로(53)을 거쳐서 배출유로(24)르 배출된다.
상기 작동시, 제2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오리피스(43)의 전후에 발생하는 차압이 스푸울(41)의 양단에 작용하여, 스푸울(41)이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이동(도면중, 하강)한다. 따라서 작동액입구(34)와 연통하고 있는 제2도입로(38)과 제3액통로(45)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입구(34)와 제1출구(35)를 연통하는 대유로가 폐쇄된다.
상기 작동에 의해 스푸울(41)이, 제2c도에 표시한 위치에 달하면, 작동액 입구(34)와 연통하는 제1도입로(37) 및 제2도입로(38)은다같이 스푸울(41)에 의해 차단되고, 제1출구(35)와 제2출구 (36)의 어느것에도 연통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당해 위치일때, 제1출구(35)가 도출로(39), 제3액통로(45), 홈(40), 리터언스프링실(51)을 개재해서 제2출구(36)과 연통한다. 따라서, 차량용브레이크(23)내의 작동액이 제1출구(35)로부터 제2출구(36)를 통과하여, 급전으로 개구하고 있는 배출밸브(26)을 통과해서 배출유로(24)에 배출되는 감압유로가 형성된다. 즉, 차륜브레이크쪽의 작동액이 배출되어서, 브레이크압이 감압되어, 차륜이 앤티록된다.
또, 제1도입로(37)과 제2액통액로(44)의 연통이 차단되면 제1도입로(37), 제2액통로(44), 제1액통로(42)를 통과하여 오리피스(43)을 통과하는 유량이 영으로되어, 오리피스(43)전후의 차압이 감소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스푸울(41)은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 재차도시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며 재차, 제1도입로(37)과 제2액통로(44)가 연통상태가 되고, 재자 오리피스(43)을 통과하는 유량이 확보되고 전후에 차압이 발생하여, 재차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이겨서 도시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즉, 도시한 위치에서 제1도입로(37)의 내경쪽에지와 제2액통로(44)의 외주에지와의 사이에서 미타링(metering)작용이 행하여지고,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을 스푸울(41)의 외경과 슬리이브(32)의 내경과의 사이의 시일유효직경으로 나눈 값과 동등한 차압이 오리피스(43)의 전후에 발생하고, 이 차압에 의거한 오리피스(43)의 통과유량이 입구(34)로부터 제1도입로(37), 제2액통로(44), 제1액통로(42), 오리프스(43), 스프링실(51)을 통과하여, 제1출구를 경유한 차륜브레이크로부터의 액량과 함께 제2출구(36)을 통과해서 배출유로 (24)에 배출된다.
앤티록의 승압시에, 밸브(26)이 비급전으로 되면, 가동밸브체(56)이 스프링(60)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이동하여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배출밸브(26)을 폐쇄한다. 따라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으로부터의 작동액의 배출은 정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제1출구(35)에 이어지는 스프링실(51)의 압력은 입구(34)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입구(34), 제1도입로(37), 제2액통로(44), 제1액통로(42), 오리피스(43), 스프링실(51)을 경유해서 유입한 작동액 배출홈부(40), 도출로(39), 제1출구(35)를 경유해서 차륜브레이크(23)에 인도된다. 따라서, 스푸울(41)은, 제2d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c도의 감압상태와 동일위치에 있어서 미타링작용을 행하고, 동일한 소유량을 상기한 순서의 소유로를 개재해서 차륜브레이크(23)에 인도한다. 입구(34)와 제1출구(35)의 압력차가, 상기 차압이하가 되면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 스푸울(41)의 도면중에서 상승하고, 제2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푸울(41)의 제3액통로(45)가 제2도입로(38)과 연통하는 비작동위치로 복귀하여, 상기대유로가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리터언스프링실(51)내에 에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앤티록시에(배출밸브가 급전에 의해 개방작동하였을때), 상기 리터언스프링실(51)이 제1출구(35)로부터 제2출구(36)으로 작동액이 흐르는 감압유로에 포함되고, 또한, 이 감압유로는 오리피스가 개재하지 않는 대유량의 것이기 때문에, 리터언스프링실(51)내의 에어삐기를 완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밸브실(52)에 통상 브레이크액압이 작용하지 않는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링(64)의 시일링구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 제2출구(36)으로부터 고정밸브시이트(54)에 이르기까지의 배출유로의 체적이 작고, 브레이크액의 배출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3도 및 제4a, b, c, d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의 앤티록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시스템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며, 브레이크페달(20)의 답입량에 따라서 작동하는 가압원의 마스터실린더(21)은, 주유로(22)를 개재해서 휘일실린더를 포함한 차륜브레이크(23)과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주유로(22)로부터 배출유로(24)가 분기하고, 이 분기위치에, 비전자작동의 유량제어절환밸브(25)와 전자작동의 배출밸브(26)을 직렬, 또한, 1개의 실린더블록(27)내에 조합해서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배출유로(24)는 작동액저장탱크(28)를 개재해서 공지의 플런저펌프(29)와 연통하고, 이플런저펌프(29)는 환류유로(30)을 개재해서 상기 마스터실런더(21)과 연통하고 있으며, 배출유로(24)에 배출된 작동액을 플런저펌프(29)에 의해 마스터실린더(21)쪽으로 퍼올리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유로(24) 이후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은 소위 환류식의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작동액저장탱크(28)가 마스터실린더의 저장탱크와 고통화되고,펌프에 의해서 퍼올려진 압액이 축압기를 개재해서 액압배력장치에 도입되고, 배출유로에 의해 마스터실린더 차륜브레이크간의 회로로부터 없어진 액의 보충을 액압 배력장치에 의해 조압된 액을 동회로에 도입하는 구조라도 된다.
또, 마스터실린더를 가지고 있는 소위 풀파우어형식의 가압원이라도 된다. 요컨데 본 발명은 임의의 가압원구조, 또 임의의 배출유로 이후의 구조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주유로(22)와 배출유로(24)와의 분기점에 설치하는 유량제어절환밸브(25)와 배출밸브(26)과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1개의 실린더블록(27)내에 구멍(31)을 뚫어 설치하고, 이 구멍(31)네에 유량밸브절환밸브(25)의 슬리이브(32)를 끼워 맞춤고정하는 동시에, 구멍(31)의 개구쪽에 전자밸브로 이루어진 배출밸브(26)을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 슬리이브(32)는 이미 설명한 내통을 가공상 유리하게 실현 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나, 실린더블록(27)에 직접 내통을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리이브(32)는 양단개구로서, 그 일단쪽은 구멍(31)의 저면에 고징하는 한편, 타단쪽에는 배출밸브(26)의 프레임(33)을 연접고정하고 있다. 슬리이브(32)의 외주면과 구멍(3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마스터실린더(21)쪽의 주유로(22)과 연통하는 작동액입구(34)를 형성하는 동시에, 브레이크장치(23)쪽과 연통하는 작동액의 제1출구(34)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33)과의 연접쪽의 개구축심부를 배출밸브(26)쪽에 직선적으로 연통하는 작동액의 제2출구(36)로 하고 있다. 상기 입구(34)에는 필터(70)을 장착하고, 마스터실린더쪽으로부터 유입하는 작동액의 집진을 행하고 있다.
슬리이브(32)에는 저면쪽으로부터 상기 입구(34)와 연결하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도입로(37)을 뚫어 형성하는 동시에, 제1출구(35)에 연통하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제1도출로(38), 제2도출로(39)를 뚫어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슬리이브(32)내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푸울(41)을 끼워 맞춤하고 있다. 이 스푸올(41)의 축심부에 오리피스(43)을 사이에 두고 축방향의 제1액통로(42A)액통로(42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스푸울(41)의 저부쪽으로부터 지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통로(42A)와 연통하는 제3액통로(44), 제4액통로(45)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2액통로(42B)에 연통한 직경방향의 제5 액통로(46)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3액통로(44)는 스푸울(4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도입로(37), 입구(34)와 연통차단하고, 그 바깥면개구단은 메탈에지로 되어 있다. 제4액통로(45)와 제5액통로(46)은 오리피스(43)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푸울(41)의 이동에 따라서 각각 제1도출로(38), 제2도출로(39)로 개폐된다.
스푸울(41)의 선단부는 스프링받이(47)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이브(32)의 제2출구(36)과 연통한 프레임(33)의 액통로(71)의 내면에 고정된 스프링받이(48)와의 사이에 리터언스프링(49)를 압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받이(48)에는 필터(50)을 장착하고, 슬리이브(32), 스푸울(41) 및 프레임 (33)으로 둘러싸인 리터언스프링실(51)을 통해서 액통로(71)로 유출하는 작동액의 집진을 행하고 있다.
구멍(31)의 개구단쪽을 폐색하도록 설치하는 배출밸브(26)의 상기프레임(33)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제2출구(3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하는 상기 액통로(71)를, 그 축심부의 내단부에 형성하고, 이 액통로(71)에 고정밸브시이트(54)를 고정하고, 이 고정밸브시이트(54)를 후술하는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개페하고 있다. 이와같이,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슬리이브(32)의 축방향 개구단에 형성한 제2배출구(36)을, 배출밸브(26)과 동일방향의 직렬로 배치하고, 제2출구(36)으로부터 작동액이 직접 배출밸브(26)에 직선적으로 인도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배출밸브(26)의 프레임(33)에는, 제2출구(36)과 연통하는 액통로(71)과 연통시켜서 축심부에 대직경의 중공부(52)를 형성하고, 또한, 이 중공부(52)와 배출유로 (24)를 연통하는 배출액통로(5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액통로(71)에는 상기 고정밸브시이트(54)를 장착하는 한편, 중공부(52)내에 아마튜어(55)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고, 이 아마튜어(55)와 고정한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상기 고정 밸브시이트(54)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배출밸브(26)의 액봉부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밸브시이트(54)와 상기 가동밸브체(56)은, 고정밸브시이트가 제2출구(36)쪽에, 가동밸브체가 배출유로(24)쪽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33)내에는, 상기 아마튜어(55)와 대향한 위치에 고정자(58)을 짜넣는 동시에, 그 외주위치에 코일(59)를 짜넣고, 급전시에 코일(59)를 여자해서 아마튜어(55) 및 가동밸브체(56)을 화살표방향으로 작동시켜, 밸브시이트(54)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아마튜어(55)와 고정자(58)과의 사이에는 스프링(60)을 설치하고, 비급전시에는 스프링(60)에 의해 가압해서 가동밸브체(56)에 의해서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있다. 가동밸브체(56)과 아마튜어(55)는 일체적으로 작성할 수도 있고, 별체로 작성하여 양자간에 미소한 조심(調心)기능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중, (61)은 O링으로서, 각부위에서 액누설방지시일을 도모하고 있다.
배출유로(24)에 연달아 설치하는 작동액저장탱크(28) 및 작동액을 마스터실린더(21)에 순환시키는 플런저펌프(29)는 공지의 구성이기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앤티록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작동시의 비앤티록시는, 제4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압원쪽과 차륜브레이크쪽을 연통하는 대유로가 개방된 상태에 있다. 이 비앤티록시, 전자밸브의 배출밸브(26)에는 급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59)는 비여자이고 가동밸브체(56)은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있으며 따라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쪽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비앤티록시, 스푸울(41)은 리터언스프링(49)에 의해 가압되어서 도면중 상단위치에 있으며, 작동액입구(34)와 상시 연통하고 있는 슬리이브(32)의 도입로(37)은 스푸울(41)의 제3액통로(44)에 연통하고, 또한, 제4액통로(45)가 슬리이브(32)의 제1도출로(38)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입구(34)는, 도입로(37)→제3액통로(44)→제1액통로(42A)→제4액통로(45)→제1도출로(38)로 구성되는 대유로를 개재해서 1출구(35)와 연통되고, 브레이크페달(20)의 답입량에 따라서 작동액을 마스터실린더(21)로부터 브레이크(23)으로 공급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륜속도검출기(도시생략)으로, 과대한 슬립발생 혹은 그 징후를 검출해서 앤티록상태로 할때는, 전자배출밸브(26)의 코일(59)가 급전되어서 여자된다. 따라서, 아마튜어(55)는 도면중 하강되고 연동해서, 가동밸브체(56)은 스프링(60)에 대항해서 하강하여 밸브시이트(54)를 개방하고,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으로부터의 작동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입구(34), 도입로(37), 제3액통로(44), 제1액통로(42A)로 연통하고 있는 스푸울(41)의 상단면의 압력과, 제2출구(36)에 면하는 스푸울(41)의 하단면의 압력과의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고, 이 차압에 의거한 가압력에 의해, 스푸울(41)이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이동, 즉, 도면중 하강을 한다. 따라서,먼저, 제2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스푸울(41)의 제4액통로(45)와 슬리이브(32)의 제1도출로(38)과의 연통이 단절되어서 상기 대유로가 폐쇄된다. 마찬가지로, 스푸울(41)의 제5액통로(46)과 슬리이브(32)의 제2도출로(39)와의 연통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차륜브레이크(23)으로의 작동액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작동액의 배출밸브(26)으로부터의 유출일 진행되고, 스푸울(41)이 하강하여, 제4c도에 표시한 위치에 도달하면, 수푸울(41)의 제5액통로(46), 이 슬리이브(32)의 제2도출로(39)와 연통하여 제1출구(35)가 직경방향의 제2도출로(39) 제5액통로(46) 축방향의 제2액통로(42B), 리터언스프링실(51)을 개재해서 제2출구(36)과 연통하는 감압유로가 개방된다. 따라서 차륜브레이크(23)내의 작동액은 제1출구(35)로부터 제2출구(36)을 통과하여, 개방되어 있는 배출밸브(26)을 거쳐서 배출유로(24)에 배출되고, 브레이크압이 감압되므로서, 앤티록이 걸린다.
스푸울(41)이 더욱 하강하면, 제3액통로(44)가 도입로(37)과 연통하지 않는 위치가 되고, 입구(34)로부터의 작동액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푸울(41)의 단면적을 A,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을 F, 브레이크압력 즉, 이 상태에서는 제2액통로(42B)내의 압력에 동등함을 P로하면, 오리피스(43)을 사이에둔 전후의 제1액통로(42A)의 압력이, P+F/A의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가 되어서 균형된다. 이후, E/A를 △P라고 기재한다. 배출밸브의 급전이 계속되면 이 균형상태가 유지된채 이후의 브레이크압력 P의 감압이 진행된다.
앤티록제어가 승압(昇壓 )으로 전환하고, 배출밸브(26)이 비급전으로 되면, 가동밸브체(56)이 스프링(60)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이동하여 밸브시이트(54)를 폐쇄하고, 배출밸브(26)을 폐쇄한다. 따라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으로부터의 작동액의 배출은 정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압원압력과 차륜브레이크 압력과의 압력차가 일정치 △P를 초과하고 있는 동안에는, 스푸울(41)을 가압하는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과 스푸울(41)의 단면적으로 결정되는 상기 압력차 △P가 스푸울(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오리피스(43)의 전후에 발생하고, 이 압력차와 고정오리피스(43)의 도면적으로 결정되는 유량에 동등한 유량만을 통과시키는 가변오리피스가, 도입로(37)과 제3액통로(44)의 마감부에 형성되고, 양오리피스를 직렬로 경유하여, 가압원과 차륜브레이크를 연통하는 소유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차압이 △P보다 클때는 스푸울(41)이 내리눌려져서 도입로(37)과 제3액통로(44)의 개구를 작게하고 차압이 △P보다 작을때는 스푸울(41)이 위로 눌려져서 상기 개구를 크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는 상기 차압을 일정화하는데 필요한 유량만이 흐르는 가변오리피스가 된다.
한편, 상기 차압이 △P로 유지되면 공정오리피스(43)의 통과유량은 일정하게 되므로, 가변오리피스의 개구량은 항상 이 유량과 동일한 유량이 흐름만큼의 개구량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입구(34)→슬리이브(32)의 도입로(37)→스푸울(41)의 제3액통로(44)→제1액통로(42A)→오리피스(43)→제2액통로(42B)→제5액통로(46)→제2도출로(39)→제1출구(35)로 향하는 소유로가 개방되고, 오리피스(43)을 통과하는 소유량의 작동액이 차륜브레이크(23)에 공급되어, 브레이크압은 완만한 승압상태가 된다. 이때, 도입로(37)로부터 고아의 가압원압력이 수프울과 슬리이브의 사이를 통과하여 누설되는 경로는, 제1액통로(42A)에 이르는 경로뿐이다. 이 경로는 도입로(37)과 제3액통로(44)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변오리피스와는 병렬이나, 고정오리피스(43)과는 직렬이다. 따라서, 이경로의 누설은, 고정오리피스의 유량이하 인한에서는 가변오리피스로 조정되어 버리므로 지장이 없다. 기타의 스푸울슬 리이브사이 틈에는 △P의 차압밖에 걸리지 않으므로, 누설은 미소하다.
상기 소유량의 작동액이 제1출구(35)쪽으로 공급되므로서, 입구(34)쪽과 제1출구(35)쪽과의 사이의 압력차가 차차 축소되어, 상기 압력차 △P로까지 저하하면,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서 스푸울(41)이 제4a도에 표시한 위치까지 복귀하여, 상기한 대유로를 개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리터언스프링실(51)내에 에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본 장치를 상하 어느 향방으로 설치해도, 간단히 에어빼기를 행할 수 있다.
즉, 제2출구(36)이,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였을 경우, 리터언스프링실(51)내의 에어에 의해, 입구(34)의 가압시, 스푸울(41)이 이동하여 완만승압상태에 이르지만, 그때, 리터언스프링실(51)의 최상부에 가까운 곳에 수푸울(41)의 제5액통로(46)이 있으며, 이 제5액통로(46)이 스푸울(41)의 이동에 의해 슬리이브(32)의 제2도출로(39)와 연통하기 때문에, 리터언스프링실(51)내의 에어는 제5액통로(46), 제2도출로(39), 제1출구(35)의 소유로를 통과해서 자연히 배출된다. 이 리터언스프링실(51)의 에어가 배출되면, 스푸울(41)의 이동은 없어지고, 리터언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4a도의 위치로 복귀하여, 대유로가 유지되므로, 에어는 신속하게 제거된다. 이와같이, 배출밸브(26)을 개방작동시키는 일없이, 유량제어절환밸브의 리터언스프링실내에 잔존하는 에어를 간단히 뺄수 있다.
한편, 제3도 및 제4도의 배치를 반대로하여, 제2출구(36)을 위쪽으로 놓으면, 배출밸브(26)을 개방해서 감압유로가 개방되었을때, 리터언스프링실이 감압유로에 포함되고, 또한, 이 감압유로가 오리피스등을 개재하지 않는 굵은 유로이기 때문에, 리터언스프링실내의 에어를 신속하게 배출유로쪽으로 뺄수 있다. 어떻든간에 에어빼기는 리터언스프링실의 체적이 작을수록 유리한 것은 자명하며, 배출밸브의 가동밸브체(56), 아마튜어(55), 스프링(60)등이 리터언스프링실의 바깥(즉, 배출유로(24)쪽)에 배치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실의 체적이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앤티록장치에 의하면, 제2출구(36)을 위쪽 혹은 아래쪽의 어느 방향으로 배치해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에어빼기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원(마스터 실린더)와 차륜브레이크를 연통하는 주유로로부터 분기시켜서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부에, 가압원과 연통하는 입구, 차륜브레이크와 연통하는 제1출구 및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출구를 가진 3포오트의 내통내에 오리피스를 포한한 액통로를 가진 스푸울을 리터언스프링으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한 비전자(非電磁)작동의 유량제어 절환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배출유로쪽에 상시하는 폐쇄이고 앤티록시의 급전에 의해서 개방작동하는 배출밸브를 설치한 앤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내에 형성한 축방향의 액통로를 오리피스로 격리하고, 한쪽편의 액통로는 입구와 제1출구를 연통하는 대유로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한편, 다른쪽편의 액통로는 제1출구와 제2출구를 연통하는 감압유로의 일부가 되게하고 있기 때문에, 유량제어절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유량제어절환밸브의 입구와 제1출구와는 내통의 외주벽에 스푸울과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뚫어 형성하고, 비앤티록시에 스푸울에 형성한 액통로를 개재해서 입구와 제1출구를 대유로에 의해서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슬리이브의 일개구단을 배출밸브쪽으로의 제2출구가 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배출밸브를 상기 내통의 개구단을 폐색하도록 직렬로 배치하여, 제2출구로부터의 작동액이 직접 상기 배출밸브에 인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제어절환밸브의 내통의 개구단을 제2출구로서 구성하고, 또한, 이 내통의 개구단을 폐색하도록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배출밸브에 의해서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필요하게 되어 있던 끝마개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량제어절환밸브의 리터언스프링실내의 에어빼기가, 상기유량제어절환밸브를 상하반대로 장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의 개구단에 형성하는 제2도출구를 아래쪽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전자작동하는 배출밸브를 개방작동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도출구를 위쪽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대유량이 형성되는 감압유로에 리터언스프링실이 포함되기 때문에, 이 리터언스프링실내의 에어빼기를 용이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가동밸브시이트 및 그에 따르는 여러 부품이 리터언스프링실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 리터언스프링실 그 자체의 체적이 작고, 자존에어양도 적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유량제어절환밸브에서는 용이하게 배출할 수 없었던 리터언스프링실내의 에어를,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의 잔존에 의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스푸울과 내통사이의 누설은, 압력차가 작거나(△P), 혹은 고정오리프스와 직렬이므로 다소 스푸울과 내통사이의 틈이 커도 불편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문에 스푸울과 내통의 가공이 용이하고, 또, 양자간의 고착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는, 어느 구성부재도, 내주면에의 홈의 형성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가공 및 제조를 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이점을 가진것이다.

Claims (6)

  1. 가압원(21)과 차륜브레이크(23)를 연통하는 주유로(22)로부터 분기시켜서 배출유로(24)를 형성하고, 이 분기부에 유량제어절환밸브(25)를 설치하는 동시에 배출유로쪽에 전자작동으로 밸브가 열리는 배출밸브(26)를 설치하고,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25)는, 가압원(21)과 연통하는 입구(34), 차륜브레이크와 연통하는 제1출구(35) 및 배출밸브(26)를 경유해서 배출유로(24)와 연통하는 제2출구(36)를 가진 적어도 일방향개구의 내통(27,32)내에, 내부에 고정오리피스(43)를 포함하는 액통로(42)를 가진 스푸울(41)을 리터언스프링(49)으로 가압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고, 상기 스푸울(41)과 내통(27<32)의 축방향 상대위치에 의해 앤티록비작동시는 상기 입구(34)와 제1출구(35)를 연통하는 대유로를 개방하고 앤티록 감압시 즉 배출밸브(26) 개방시에는 상기 대유로를 폐쇄하여 제1출구(35)와 제2출구(36)를 연통하는 감압유로를 개방하고, 또, 배출밸브 폐쇄후의 앤티록 재승압시에는, 스푸울(41)과 내통(27,32)의 사이에 가변오리피스를 형성하므로서 이입구(34)와 제1출구(35)를, 상기 고정오리피스(43) 및 상기 가변오리피스를 직렬로 경유해서, 연통하는 소유로를 개방하고, 입구(34)압력과 제1출구(35)압력의 차압이 일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리터언스프링(49)에 의해 상기 비엔티록위치로 복귀하도록 각 유로가 구성되는 엔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한쪽개구단이 상기 제2출구(36)가 되도록 구성하고, 이 제2출구쪽 개구단을 상기 실린더구멍(31)의 개구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25)를 실린더구멍(31)에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밸브(26)를 내통(32)의 제2출구쪽 개구단부에 접촉시키고, 그러므로서, 실린더구멍을 폐쇄시키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1)내에, 상기 공정오리스(43)로 앞뒤로 격리된 축방향의 액통로(42)를 형성하고, 이 액통로의 한편쪽은 상기 대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다른편쪽은 상기 감압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로가 구성되었을때, 스푸울과 내통사이의 틈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제1출구를 연통할 수 있는 누설경로이고, 상기 입구압력과 상기 제1출구 압력간의 차압을 받고 또한 상기 고정오리피스와 병렬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와 연통해서 상기 내통측벽에 형성된 도입로 및 수푸울 측벽에 형성된 액통로의 짝(組)이, 대유로구성시에는 상호연통해서 대유로의 구성요소가 되고, 소유로구성시에는 대유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그 끝가장자리부에 의해서 가변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소유로의 구성요소가 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앤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내통(32)의 상기 개구부에 연접해서 상기 배출밸브(26)를 배치하고, 유량제어절환밸브(25)의 제2출구(36)로부터 배출밸브(26)의 밸브부(56)를 향해서 직선적으로 상기 감압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개 배출밸브(26)를 그 가동밸브체(56)가 배출유로쪽에, 그 고정밸브시이트(54)가 상기 유량제어절환밸브의 제2출구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스프링(60)이 제2출구쪽의 액압에 대항해서 상기 가동밸브체를 상기 고정밸브시이트(54)에 압압폐쇄하고, 엔티록감압시에는 그 전자력이 상기 스프링(60)의 힘에 대항해서 상기 밸브체(56)를 배출유로쪽으로 흡인하여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떨어지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장치.
KR1019890007455A 1988-05-31 1989-05-31 앤티록장치 KR920002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35041A JPH01306357A (ja) 1988-05-31 1988-05-31 アンチロック装置
JP63135040A JPH01306356A (ja) 1988-05-31 1988-05-31 アンチロック装置
JP63-135040 1988-05-31
JP63-135041 1988-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55A KR900017855A (ko) 1990-12-20
KR920002083B1 true KR920002083B1 (ko) 1992-03-10

Family

ID=2646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455A KR920002083B1 (ko) 1988-05-31 1989-05-31 앤티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15459A (ko)
EP (1) EP0344544B1 (ko)
KR (1) KR920002083B1 (ko)
AU (1) AU610722B2 (ko)
CA (1) CA1316970C (ko)
DE (1) DE68908476T2 (ko)
SU (1) SU1655298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473B2 (ja) * 1989-06-09 1996-1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アンチロック装置用流量制御弁
US5248191A (en) * 1990-03-27 1993-09-28 Nippondenso Co., Ltd.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inuous pressure control to wheel cylinder
DE4013160A1 (de) * 1990-04-25 1991-10-31 Bosch Gmbh Robert Gehaeuseblock fuer ein hydraulisches bremssystem
DE4016744A1 (de) * 1990-05-25 1991-11-28 Teves Gmbh Alfred Bremsdruckregelvorrichtung
JP3111461B2 (ja) * 1990-07-03 2000-11-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DE4023660C2 (de) * 1990-07-25 1999-05-20 Lucas Ind Plc Stromregelventil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JPH06500968A (ja) * 1990-09-28 1994-01-27 ルーカス・インダストリー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自動車用液圧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の改良
US5445447A (en) * 1990-09-28 1995-08-29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Hydraulic anti-locking systems for vehicles
BR9105911A (pt) * 1990-09-28 1992-11-10 Lucas Ind Plc Sistema anti-bioqueio hidraulico para veiculos
GB9021232D0 (en) * 1990-09-28 1990-11-14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hydraulic anti-lock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JPH04143155A (ja) * 1990-10-02 1992-05-18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液圧装置
JP3153231B2 (ja) * 1990-10-16 2001-04-03 ボッシュブレーキシステム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制御装置
JPH05502839A (ja) * 1990-11-16 1993-05-20 アルフレッド・テヴェス・ゲーエムベーハー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FR2669883B1 (fr) * 1990-11-29 1993-01-29 Bendix Europ Services Tech Dispositif de freinage automatique pour vehicule.
DE4134427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GB9107148D0 (en) * 1991-04-05 1991-05-22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hydraulic anti-lock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JPH04325359A (ja) * 1991-04-24 1992-11-13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US5312175A (en) * 1991-07-03 1994-05-17 Tokico Lt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DE4134493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4134490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4134445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4134459A1 (de) * 1991-10-18 1993-04-22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US5628550A (en) * 1991-10-18 1997-05-13 Itt Automotive Europe Gmbh Anti-lock hydraulic brake system
US5299859A (en) * 1991-11-15 1994-04-05 Allied-Signal Inc. Combination solenoid valve and shuttle valve
DE69216791T2 (de) * 1991-12-11 1997-05-07 Lucas Ind Plc Hydraulische Kraftfahrzeugsysteme
JPH05208672A (ja) * 1992-01-31 1993-08-2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5397175A (en) * 1992-03-06 1995-03-14 Tokico Ltd.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ntiskid brakes
GB9211852D0 (en) * 1992-06-04 1992-07-15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solenoid-operated fluid-flow control valves
US5431489A (en) * 1992-06-12 1995-07-11 Mando Machinery Corporation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for automobiles
JPH0683457A (ja) * 1992-07-13 1994-03-25 Sumitomo Electric Ind Ltd 流量制御弁及びその制御方法
JP2557863Y2 (ja) * 1993-05-21 1997-12-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
DE4316986A1 (de) * 1993-05-21 1994-11-24 Teves Gmbh Alfred Kolbenpumpe
SK27396A3 (en) * 1993-09-28 1996-10-02 Teves Gmbh Alfred Hydraulic braking system with skid control
GB9324408D0 (en) * 1993-11-27 1994-01-12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solenoid-operated fluid-flow control valves
KR960007034B1 (ko) * 1994-03-22 1996-05-27 만도기계주식회사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DE4427800A1 (de) * 1994-08-05 1996-02-08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 Bremsanlage mit Radschlupfregelung
JPH08324413A (ja) * 1995-06-05 1996-12-10 Nisshinbo Ind Inc ブレーキ圧力制御装置
US5681098A (en) * 1995-08-29 1997-10-28 Kelsey Hayes Anti-locking brake system with a switchable orifice control valve
US5725288A (en) * 1995-10-27 1998-03-10 Kelsey-Hayes Company Isolation valve for an antilock brake system having a controlled bypass
JPH10315947A (ja) * 1997-03-14 1998-1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磁弁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
US6199962B1 (en) 1998-07-02 2001-03-13 Kelsey-Hayes Company Hydraulic control unit for a vehicular brake system having a self-priming pump
US6305759B1 (en) 1998-08-19 2001-10-23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mpany Trailer ABS modulator with direct exhaust and control line/volume drain capability
JP2005047469A (ja) * 2003-07-31 2005-02-24 Advics:Kk 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3594A (en) * 1966-11-21 1969-05-13 Goodyear Tire & Rubber Proportional pressure valve
US3918488A (en) * 1971-06-30 1975-11-11 Komatsu Mfg Co Ltd Control valves for steering clutches and brakes
JPS5421912B2 (ko) * 1971-12-02 1979-08-02
GB2045372B (en) * 1979-02-23 1983-09-14 Lucas Industries Ltd Anti-skid brake control systems
FR2505281A1 (fr) * 1981-05-08 1982-11-12 Dba Modulateur de freinage pour systeme de freinage anti-patinant
US4556261A (en) * 1982-10-21 1985-12-03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SE459080B (sv) * 1982-11-20 1989-06-05 Honda Motor Co Ltd Solenoidventil
JPS6033158A (ja) * 1983-07-29 1985-02-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アンチスキッドブレ−キ装置
GB8512610D0 (en) * 1985-05-18 1985-06-19 Lucas Ind Plc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GB8608959D0 (en) * 1986-04-12 1986-05-14 Lucas Ind Plc Anti-skid brak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4544A1 (en) 1989-12-06
KR900017855A (ko) 1990-12-20
DE68908476T2 (de) 1994-01-05
AU3474689A (en) 1989-12-07
SU1655298A3 (ru) 1991-06-07
AU610722B2 (en) 1991-05-23
EP0344544B1 (en) 1993-08-18
CA1316970C (en) 1993-04-27
US4915459A (en) 1990-04-10
DE68908476D1 (de)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083B1 (ko) 앤티록장치
JPH0130661B2 (ko)
JPH07503204A (ja) アンチロック制御付き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EP0364446B1 (en) Combination accumulator and variable volume sump
JP3153231B2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制御装置
EP0224867A1 (en) Anti-locking modulator
JPH11509500A (ja) ハイドロリック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
US6238014B1 (en) Electromagnetic valve
US9260100B2 (en) Pressure control reservoir with check valve
US5437501A (en) Antilock modulator
JPS6127749A (ja) 車両用ブレ−キ油圧制御装置
US5887955A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2001163208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339857B2 (ko)
KR10144746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파일럿 밸브
US5738419A (en) Anti-lock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with fail-safe mechanism
JP2000503933A (ja) 充填ポンプを備えた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式液圧ブレーキ装置
JPH0565386B2 (ko)
US5052182A (en) Hydraulic brake booster system with check valve in brake fluid reservoir line
JPH076048Y2 (ja) 車両用のアンチロツク装置
JP2592168B2 (ja)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回路
JPH0539012A (ja) アンチロツク制御装置
KR10022167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제어밸브
JPH0672300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5653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