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050B1 -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050B1
KR920002050B1 KR1019840000428A KR840000428A KR920002050B1 KR 920002050 B1 KR920002050 B1 KR 920002050B1 KR 1019840000428 A KR1019840000428 A KR 1019840000428A KR 840000428 A KR840000428 A KR 840000428A KR 920002050 B1 KR920002050 B1 KR 92000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primary side
supply circuit
circui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493A (ko
Inventor
폰 데어 오에 빌프리트
Original Assignee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하버 슈트로 · 뮐리 마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896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20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하버 슈트로 · 뮐리 마렌즈 filed Critical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84000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원회로장치의 상세한 회로실시예.
제2,3도는 1차측의 전압 및 전류의 특성도.
제4도는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의 1차측의 전류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변압기 2 : 전원정류기
18 : 원격조작수신부 22, 40 : 제어량
23 : 광커플러 33 : 광트랜지스터
43 : 광다이오드
본 발명은 2차측에서 발생되는 동작전압이 적어도 일부가 스탠바이 작동시에는 작은 값으로, 정상 작동시에는 큰 값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전압의 안정화를 위해 1차측에 작용하는 제어전압로를 가진, 스탠바이 작동하는, 특히 텔레비죤 수상기의 전원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죤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회로 장치를 사용하여 전원전압으로부터 필요한 동작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Funkschou 1975, 제5호, 40페이지-43페이지). 전원회로 장치에 의해 수상기 회로를 전원으로부터 전류회로적으로 바람직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장치는 30kHz 정도의 높은 작동 주파수를 갖기 때문에 전원변압기보다 훨씬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 1차측의 권선 또는 탭에 의하여 크기와 극성이 다른 수단의 동작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텔레비죤 수상기는 오늘날 대부분이 원격 조작장치에 의하여 스위치-온되는 바와같이, 소위 스탠바이 작동 수상기이다. 이러한 스탠바이 작동을 위해서는 메인 동작전압은 차단되는가 또는 아주 적은 값으로 저감되어야 하지만, 적어도 원격조작 수신부, 경우에 따라서는 튜너용 동작전압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대하여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보 제2711020호에는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에는 필요치 않은 동작전압으로 계전기를 사용하여 2차측에서 차단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계전기는 비교적 고가이며 고장이 나기 쉬운 부품이다. 더욱이 스탠바이 작동중 부하를 저감시킴으로서 전원회로 장치의 작동 주파수가 현저하게 상승된다. 따라서 효율이 나빠지고 스탠바이 작동중 소비전력도 비교적 높아진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624965호에는 계전기를 사용하지 않은 스탠바이 작동용의 전원회로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의 경우 절연변압기의 2차측은 스탠바이 작동시 단락 특성에 의하여 동작전압이 충분히 적은 값으로 강하되게끔 강하게 부하를 받는다. 그러나 이 회로는 110볼트의 적은 전원전압의 경우, 특히 70볼트 이하의 전원전압이 경우에는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으며 효율도 비교적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스탠바이 작동중 전력소비가 특히 적은 전원회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에는 제어전압로가 차단되어 1차측이 스탠바이 작동에 필요한 전력만을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정상작동이 경우에는 2차측에서 발생하는 제어량이 1차측에 작용함으로써 제어전압로가 작동제어되어 1차측으로부터 정상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2차측에 전소되게끔 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탠바이 작동장치의 전원회로에 대한 원가가 낮으면서 스탠바이 작동중 소비전력은 단지 5W 정도로 매우 낮아질 수 있다. 이것은 에너지 이용상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기기는 대부분의 시간 즉 90% 정도의 시간을 스탠바이 작동으로서만 동작하며, 스탠바이 작동시의 전력은 실제상 손실이 되기 때문이다. 정상 작동은 스탠바이 작동시에는 작용하지 않았던 경로를 통하여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 소기 작용을 마치게 함으로써 개시된다. 이와같은 정상 작동으로의 전환은 제어량 경로중의 저역필터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탠바이 작동으로부터 정상 작동으로의 이행이 위험한 전압의 급격한 변화나 피크전류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탠바이 작동시에 정상 작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경로는 대부분의 시간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전류는 흐르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전력도 소비되지 않은다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이 경로중에 존재하는 부품도 스탠바이 작동 중에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상기 경로중에서 장애, 예컨대 차단이 발생했을 때 전원회로 장치는 필연적으로 위험이 없는 스탠바이 작동으로 이행하며, 그 결과 불확실한 상황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1차측에서 스탠바이 작동으로부터 정상 작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회로의 1차측에서 펄스전압을 정류함으로써 얻어진 직류전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로의 원가가 낮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정상 작동의 경우 정상 작동으로의 전환을 행하게 하는 제어량외에, 동작전압으로부터 도출된 제어전압이 동작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2차측에서부터 1차측에 부가적으로 전송된다. 이 제어전압은 바람직하게로는 안정화가 특히 중요한 동작전압으로부터 직접 도출된다. 텔레비죤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은 150V 정도의 주동작 전압이며, 주사선 출력단에도 공급된다. 제어를 위하여 이 동작전압 자체가 평가되며 공지된 바와 달리 1차측외에 안정화된다. 그 결과, 개개의 동작전압간의 혼신도 작아진다. 그것은 음성 출력단용 동작전압과 주사선 출력단용 동작전압과의 사이의 혼신에 대하여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음성 출력단은 공지된 바와같이 음의 크기의 조절에 따라 전력소비가 심하게 변동하며 그에 따라 주사선 출력단에 대한 동작전압이 크기가 바람직스럽지 않게 변동하여 재생되는 화상의 장해는 원인이 되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전원회로 장치는 절연변압기(1)의 1차측에 전원정류기(2), 충전콘덴서(3), 전류측정저항(4), 작동권선(5), 스위칭 트랜지스터(6), 진동 발생용 귀환권선(7), 및 트랜지스터(6)를 주기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이리스터(8)를 갖고 있다. 2차권선(14)은 정류기(15)를 통해 단자(f)에 150V에 동작전압(U1)을 출력한다. 권선(14)의 탭은 정류기(16)와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17)를 통해 단자(g)에 원격조작수신부(18)의 동작전압(U2)을 송출한다. 다른 2차권선(19)은 정류기(20)를 통해 단자(i)에 다른 동작전압(U3)을 송출한다. 일점쇄선(34)는 전원과 수상기 회로와의 사이의 도전적 내지는 전류회로적인 분리가 행하여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단자(f)에는 스탠바이 작동용의 제1의 저전압치가, 그리고 단자(i)에는 정상 작동용의 제2의 비교적 높은 전압치가 나타난다. 다음에 각각의 상이한 작동모드 및 부가적인 구성회로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탠바이 작동]
동작전압(U2)이 상시 인가되어 있는 원격조작 수신부(18)는 양의 제어량(22)을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35)가 도통하여 접점(a)를 접지로 단락시킨다. 따라서, 접점(a)에는 전압이 가하여 지지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6)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광커플러(23)의 광다이오드(43)에도 전압은 인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광트랜지스터(33)에 빛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광트랜지스터(33)도 차단되어 있다. 광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미터는 접점(b,c)에 접속되어 있다. 접점(b)에는 권선(7)의 펄스전압을 정류기(37)에 의하여 정류하여 얻을 수 있는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접점(c)는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이다. 트랜지스터(33)는 차단된 상태로서는 양쪽의 접점(b,c)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이리스터(8)가 온 될 때마다 트랜지스터(6)를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다이리스터(8)의 온은 제어전극 즉, 접점(c)에 +0.8V의 전압이 접점(d)에 대해 인가될 때 이루어진다. 접점(c)에 작용하는 전압은 저항(4)을 흐르는 전류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접점(c)에서의 전압변동에 의하여 트랜지스터(6)의 오프시점, 나아가서는 펄스전압의 진폭, 그에 따라 발생되는 동작전압이 변동될 수 있다. 전술한 회로가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다음에 기술한다. 다이리스터(8)의 온 및 트랜지스터(6)의 오프는 충분히 초기에 행하여진다.
즉, 스탠바이 작동에 필요한 약 5W의 전력만이 절연변압기(1)의 2차측에 전송되게 하는 매우 적은 전류(i1)가 자동권선(5)을 흐를 때, 당해 다이리스터의 온 및 트랜지스터의 오프가 행하여지게끔 회로가 설계되어 있다. 그때, 전압(U1)은 15V, 전압(U3)은 1.2V의 적은 값을 갖는다. 그런 경우, 접속된 단은 작용하지 않는다. 즉, 수상기는 사실상은 차단 상태에 놓여있다. 이러한 전압감소에 의해 회접점(h,g)의 전압도 마찬가지로 강하될 것이기 때문에, 원격조작수신부(18)도 더 이상 작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에도 원격조작 수신부에 필요한 전압을 접점(g)에 발생시키기 위해서 접점(f,h)간에는 전자스위치로서 작용하는 트랜지스터(25,26,27)을 구비한 회로가 설치된다. 접점(a)이 접지되어지면, 트랜지스터(25)가 차단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6,27)는 도통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27)의 콜렉터-에미터간이 도통되어 접점(f)와 (h)이 접속되므로, 15V라는 적은 값의 동작전압(U1)이 원격조작수신부(18)용 전압(U2)으로서 회로점(h)에 공급될 수 있게끔 된다. 이 회로는 선원인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3223756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정상작동]
스탠바이 작동으로부터 정상작동으로의 전환시 수신부(18)는 원격조작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다음 전압치 0의 제어량(22)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트랜지스터(35)는 차단된다. 그 결과, 회로점(h)의 전압은 저항(39)를 통해 접점(a)에 인가되므로 접점(a)의 전압(40)은 콘덴서(41)의 작용에 의하여 서서히 상승한다. 따라서 광 커플러(23)의 광 다이오드(4)에는 많은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3)가 도통된다.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미터간의 도통에 의하여 접점(b)은 접점(c)와, 즉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과 접속된다. 그러면 부의 전압이 접점(b)로부터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에 인가되어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은 부의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다이리스터(8)는 접점(c)의 전압이 회로점(d)에 대하여 +0.7V가 될 경우에만 온 되기 때문에 온을 시키기 위하여는 저항(4)을 통한 전압 강하를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보다 훨씬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전압은 전류(i1)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i1)는 높은 값에 달하며, 그 결과 정상작동에 필요한 약 100W의 전력이 2차측에 전송된다. 전압(U1)은 150V의 높은 값에 달하고 전압(U3)은 12V의 높은 값에 달한다. 트랜지스터(25)는 도통하고 트랜지스터(26,27)는 차단되어, 상이한 전압치가 나타나는 접점(f,h)은 다시 서로 분리된다.
전압(U1)이 정격치 150V에 달하면, 분압기(42)를 통해 (U1)로부터 도출된 제어전압(Ur)이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광 커플러의 광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가 전압(U1)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값으로 저감된다.
[제어회로의 작용]
전압(U1)이 적어지면,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에의 제어전압(Ur)도 보다 적게 된다. 즉, 정의 정도가 보다 적어진다. 트랜지스터(36)은 도통의 정보가 보다 적어지고, 그 결과, 비교적 큰 전류가 광다이오드(43)를 통하여 흐른다. 따라서 광 트랜지스터(33)는 도통의 정도가 크게 되어 접점(b)으로부터 보다 많은 음의 전압이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에 인가된다. 즉, 트랜지스터(6)는 i1이 비교적 높은 값일 때 차단된다. 절연변압기(1)를 통하여 전송되는 에너지, 즉 발생되는 펄스의 진폭이 증대되고, 그 결과 "U1"의 전압감소가 저지되고 안정화가 도모된다. 요컨대 정상 작동중, 광 커플러(23)는 1차측을 정상작동에 필요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접점(a)으로부터 공급되는 준디지탈 제어량을 전송할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동작전압의 진폭을 연속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해 접점(a)으로부터의 제어전압(Ur)을 전송한다. 제너 다이오드(44)는 트랜지스터(36) 제어용 제어전압(Ur)을 평가하기 위한 전압기준 소자로서 사용된다.
[부가적 보호회로]
실제에 있어서는 불량한 구성부품으로 인해 동작전압 U1, U2 및 U3이 제어되지 않고, 허용되지 않는 높은 값을 취함으로써, 전원회로장치 자체 또는 상기 전원회로에 접속된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보호장치로서 2차권선(19)에 부가적으로 다이리스터(28)가 접속되어 있으며, 다이리스터(28)의 제어전극에는 분압기(29,30)를 통하여 접점(h)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29,30)의 회로정수를 적당히 선정함으로써 장애가 없는 정상작동의 경우, 다이리스터(28)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전압이 상승한 경우, 다이리스터(28)는 온되어 도전상태 동안 변압기의 강한 부하를 형성한다. 그에 의하여 귀환권선(7)에서 구환전압이 소실되고 그 결과 전원회로 장치는 더 이상 진동하지 않는다. 이 회로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3220188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정상작동의로의 전환동작에 대한 변형]
제1도의 콘덴서(41)는 제어량(40)을 완만하게 상승시킨다. 예컨대, 기기의 전원스위치의 소위 와이퍼형 접점에 의하여 제어량이 발생되는 경우 정상작동을 개시하는 제어량이 단시간밖에 나타나지 않은 회로가 있다. 이 경우, 전원회로 장치가 제어량의 짧은 지속시간내에 정상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량은 지연없이 광커플러(23)를 통하여 전송되어져야만 한다. 그러기 위하여는, 제1도에 있어서 제너다이오드(44)와 평행하게 콘덴서(45)가 설치되며, 콘덴서(41)는 생략된다. 콘덴서(45)는 단시간의, 펄스 형태의 제어값에 대하여 단락로를 형성하며, 그 결과 즉시 충분히 높은 전류가 광다이오드(43)을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광 다이오드(43)는, 기술한 바와같이 1차측을 정상작동으로 전환시킨다. 저항(38)은 스위치온 시점에서 단시간동안 되풀이해서 스위치온되는 경우에도 콘덴서(45)가 항시 방전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정상작동의 경우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 즉 트랜지스터(36)가 도통하여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가 제어전압(Ur)에 의하여 제어되는 경우 콘덴서(45)는 작용하지 않는다. 제어량(40)의 전술한 바와같은 비약적 상승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상작동 및 스탠바이 작동시 1차측의 펄스특성]
제2도는 정상동작중 100W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작동권선(5)을 흐르는 전류(i1) 및 트랜지스터(6)의 콜렉터-에미터간의 전압(UCE)을 나타낸다. 그때 독자주파수는 36kHz이다.
제3도는 스탠바이 동작의 경우 제2도에 상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전류(i1)는 상응하는 비교적 적은 값이 된다. 그 이유는, 트랜지스터(6)의 전류 지속시간이 다이리스터(8)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값으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작동주파수는 정상작동의 경우의 거의 절반값, 즉 약 18kHz이며 유리하게는 가청영역외부에 놓인다. 이와같이 주파수를 저감시키면 유리한데 그 이유는, 공지된 회로의 경우와 같이 주파수가 상승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6)는 그때 적어지는 전류진폭 때문에 더 이상 스위치로서 완벽하게 하지 못하며, 이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전력손실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제3도의 스탠바이 작동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는 약 5W이다.
[스탠바이 작동에서의 안정화]
스탠바이 작동중에는 광 커플러(23)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전압의 안정화에 사용되는 제어전압(U4)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조작수신부(18)에 가해지는 전압(U2)는 전원전압이 심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극히 조금밖에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 제4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제4도는,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 1차측의 전류특성을 나타낸다. 전원전압이 220V인 경우, 전류(i1)는 0.5A로 상승하며, 그때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6)에 의해 차단된다. 변압기(1)내의 에너지가 손실된 후 T1 주기로 다시 전류(i1)가 접속된다. 전류(i1)는 접점(d)에 대하여 접점(c)가 +0.7V 정전위인때 차단된다. 전원전압이 110V인 경우, 충전콘덴서(3)에서의 감소된 전압으로 인해 전류(i1)의 상승은 그에 알맞게 평탄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4)에서의 전압이 동일한 값인 경우, 그리고 그에 따라 전류(i1)가 동일한 값인 경우, 평탄한 상승으로 인해 차단은 220V의 경우보다 더 늦어진다. 그러나, 변압기(1)에 있어서의 에너지 소실시간, 즉 (i1)의 차단시점과 접속시점과의 사이의 시간은 실제로 같기 때문에, 각 투입시점간의 시간은 T2와 같다. 즉 T1보다 크다. 이와같이 작동권선(5)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주파수가 감소하면, 전송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그 결과 전압(U2)의 값도 감소한다. 그러나 T1으로부터 T2로의 상대적인 변동은 50%의 전원 전압의 상대적인 변동보다도 현저하게 적은 것이 명백하다. 그 때문에, 전원전압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전압(U2)은 극히 조금 밖에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원격조작수신부(18)용의 전압(U2)의 약간의 변동은 문제가 안된다. 그 이유는, 원격조작수신부(18)의 전력소비는 적고, 따라서 동작전압의 안정화는 간단한 소자, 예컨대 제너다이오드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14)

  1. 변압기(1)의 2차측에 발생되는 다수의 동작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변압기의 1차측에 작용하는 제어전압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동작전압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동작전압이 스탠바이 작동시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그리고 정상 작동시에는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전환될 수 있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에 있어서, a) 스탠바이 작동의 경우, 제어전압로(23)는 차단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 스탠바이 작동에 필요한 전력(5W)만이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송되도록 1차측이 구성되어 있고, b) 정상작동의 경우, 제어전압로(23)가 제어되어 정상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송되도록 2차측에서 발생하는 제어량(22,40)이 1차측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량(22,40)과 2차측에서 얻어지는 제어전압(Ur)은 동일한 제어전압로(23)를 통하여 1차측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전압(Ur)이 동작전압(U1)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어전압로(23)는 절연변압기(1)와는 별개로 도전적 내지 전류 회로적으로 분리를 행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분리 소자는 광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광 커플러의 입력측에는 트랜지스터(36)의 콜렉터-에미터간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36)는 스탠바이작동의 경우는 차단되고, 정상작동의 경우는 제어량(22,40)에 의하여 동작전압이 인가되며 베이스에 가해지는 제어전압(Ur)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36)의 에미터가 제너다이오드(44)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량(40)이 서서히 상승되어 정상작동으로의 유연한 전환이 행하여지게 하는 수단(41)이 2차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량이 공급되는 접점(a)과 접지와의 사이에 콘덴서(41)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단시간밖에 발생하지 않은 제어량(40)을 지연시켜 1차측에 전송하는 소자(45)가 2차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제너다이오드(44)에 대해 병렬로 콘덴서(45)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콘덴서(45)에 대해 병렬로 저항(38)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1차측에서 변압기(1)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전압을 정류하여 얻은 직류전압이 정상작동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직류전압이 가하여 지는 접점(b)과 다이리스터(8)의 제어전극(c) 사이에 광 커플러(23)의 출력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미터간이 접속되고, 다이리스터(8)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6)가 1차측에서 주기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 장치.
KR1019840000428A 1983-01-31 1984-01-31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KR920002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303114.2 1983-01-31
DE3303114A DE3303114C2 (de) 1983-01-31 1983-01-31 Selbstschwingendes Schaltnetzteil für ein Gerät mit Bereitschaftsbetrieb, insbesondere einen Fernsehempfänger
DE3303114.2 198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493A KR840007493A (ko) 1984-12-07
KR920002050B1 true KR920002050B1 (ko) 1992-03-10

Family

ID=618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428A KR920002050B1 (ko) 1983-01-31 1984-01-31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115792B1 (ko)
JP (1) JPH0815325B2 (ko)
KR (1) KR920002050B1 (ko)
AT (1) ATE34256T1 (ko)
DE (2) DE3303114C2 (ko)
ES (1) ES8503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1074A1 (de) * 1983-11-12 1985-05-23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netzteil, insbesondere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mit einer schutzschaltung zur begrenzung des primaerstroms
NL8502338A (nl) * 1985-08-26 1987-03-16 Philips Nv Geschakelde voedingsspanningsschakeling met twee toestanden.
DE4321948C3 (de) * 1993-07-01 1999-02-25 Siemens Ag Standby-Schaltung für elektrische Verbraucher
GB2365268B (en) * 2000-07-28 2002-10-09 Motorola Israel Ltd Antenna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0191C2 (de) * 1976-05-07 1982-05-06 Graetz Gmbh & Co Ohg, 5990 Altena Schaltnetzteil für die Versorgung eines Fernsehgerätes
DE2651196C2 (de) * 1976-11-10 1986-06-26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netzteil für ein Gerät der Nachrichtentechnik, insbesondere einen Fernsehempfänger
DE2919905C2 (de) 1979-05-17 1982-08-1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Schaltnetzteil nach dem Sperrwandler- oder Flußwandlerprinzip
DE3223756C2 (de) * 1982-06-25 1984-08-2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chaltnetzteil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mit Bereitschaftsbetrieb, insbesondere einen Fernsehempfä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4256T1 (de) 1988-05-15
JPS59143476A (ja) 1984-08-17
DE3303114C2 (de) 1985-08-29
ES529285A0 (es) 1985-04-01
DE3471212D1 (en) 1988-06-16
KR840007493A (ko) 1984-12-07
EP0115792B1 (de) 1988-05-11
EP0115792A3 (en) 1985-12-11
DE3303114A1 (de) 1984-08-09
EP0115792A2 (de) 1984-08-15
JPH0815325B2 (ja) 1996-02-14
ES8503898A1 (es) 198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292B1 (ko) 스위칭 전원 회로
KR0163766B1 (ko) 동기식 스위치 모드 전원 회로
US3873846A (en) Power supply system
KR100562242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KR100419324B1 (ko) 전력공급장치를구비하는전자트립장치
US4486822A (en) Switched-mode self oscillating supply voltage circuit
JPH02273072A (ja) 電源回路
KR930008720B1 (ko) 텔레비젼 표시 장치
JPH0225590B2 (ko)
JP2876829B2 (ja) 電源電圧制御切換え回路
KR10052201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JPS6133495B2 (ko)
US4234829A (en) High voltage disabl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709321A (en) Regulator protection circuit for video apparatus
KR93000618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용 전원
KR920002050B1 (ko) 스탠바이 작동기기용 전원회로장치
US20050116694A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appliance
EP1058373A1 (en) Protection circuit for a switch, and a switched-mode power supply
KR100475473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유닛 및 그것의 스위치를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0378107B1 (ko) 스위칭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절감회로
KR0119447Y1 (ko) 서지전압검출시 전원공급차단회로
US5657218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ircuit
KR970006662B1 (ko) 텔레비젼 장치 및 그 전원
US4162434A (en) Regulator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JPS62272763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