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19B1 -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 Google Patents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19B1
KR920001219B1 KR1019890009648A KR890009648A KR920001219B1 KR 920001219 B1 KR920001219 B1 KR 920001219B1 KR 1019890009648 A KR1019890009648 A KR 1019890009648A KR 890009648 A KR890009648 A KR 890009648A KR 920001219 B1 KR920001219 B1 KR 92000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mote control
flange
control assembly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713A (ko
Inventor
엘 스피즈 아더
Original Assignee
텔레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프 숀휄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프 숀휄더 filed Critical 텔레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0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05G7/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07Seal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05G7/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 G05G7/1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5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and sheath support, connector, or anch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62Specific cable connector or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제1도는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묘사한 부분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의 선단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부분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부분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제어 어셈블리(Remote control assembly)
12 : 도관(Conduit) 14 : 선심요소(core element)
16 : 커넥터(connector) 18 : 플랜지(flange)
20 : 열림부(opening) 22 : 확장부(enlarged portion)
30 : 선단부(end fitting) 32 : 원통부(cylindrical portion)
34 : 원추부(frustoconical portion) 63 : 접합플랜지(mounting flange)
38 : 리테이너 장치(retaining means or retainer)
40 : 환상접합부(annular abutment protion)
42 : 환상절곡부(annular shoulder) 44 : 환상돌기(annular ridge)
46 : 립:(lip) 48 : 환상홈(annular groove)
52 : 밀봉장치(sealing means) 54 : 환상채널(annular channel)
56 : O-링씰(O-ring seal).
본 발명은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에 의하여 곡선통로에서의 힘 전달을 위한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remote control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를 활용하는 원격제어 어셈블리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선박 및 항공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어셈블리는 선심요소를 지지하는 도관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그러한 어셈블리는 자동차에서 캬브레타의 조절판(순항제어용, 히터, 및 환풍기 등과 같은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도관은 통상적으로 지지구조물에 견고하게 부착된 선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선단부는 지지구조물에 견고하게 부착된 도관이 선단부로부터 뽑아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도관과 선단부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관에 맞물려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도관은 선단부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면서 도관과 선단부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셈블리의 설치는 상대적 회전운동을 허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트샨쯔(Tschanz) 등에게 1967년 11월 28일로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3,354,742에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 발표되어 있다. 어셈블리는 볼록한 부분을 갖고 있는 리테이너 장치(retainer means)를 포함한다. 이 리테이너 장치는 도관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공간이 있는 선단부는 볼록한 부분에 맞도록 만들어졌으며 리테이너 장치와 선단부 사이의 마찰력 맞춤을 제공하기 위하여 리테이너 장치 안으로 삽입된다. 이 어셈블리는 리테이너 장치가 반드시 바깥쪽으로 편향되어 있어야 하며, 선단부의 내부와 마찰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결함이 있으며 이러한 점은 선단부와 도관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에 의하여 곡선경로에서의 힘 전달을 위한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어셈블리는 하나의 도관과 도관에 의하여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하나의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이 어셈블리는 도관의 일부분의 둘레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커넥터도 포함된다. 커넥터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이 어셈블리는 커넥터의 일부분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선단부도 포함한다. 이 어셈블리는 커넥터의 플랜지와 선단부를 동시에 맞물리게 하여 그 둘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는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선단부를 포함한다. 선단부와 도관은 용이하게 설치되며 이 둘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 운동은 상대적 회전운동이 허용되는 동안에는 방지된다.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에 의하여 곡선경로에서의 힘 전달을 위한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10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셈블리(10)는 도관(12)을 포함한다. 도관(12)은 유기종합적 물질로 된 내부라이너(inner liner)가 바람직하다. 내부라이너와 튜브(tube)는 나선형으로 싸여진 길게 꼬인 철사의 복합체로 둘러싸여 있다. 유기중합적 물질의 외부케이스(exterior casing)는 길게 꼬인 철사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관(12)은 한쪽 끝에 있는 지지구조물에 도관(12)을 접합하기 위한 부품(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셈블리는 또한 선심요소(14)를 포함하는데 가요성이며 도관(12)에 의하여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커넥터(connector)는 일반적으로 16으로 도시되며 도관(12)의 일부분의 둘레에 일정하게 배치된다. 즉, 커넥터(16)는 도관(12)의 한쪽 끝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넥터(1)의 일부분은 도관(1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어져 나온다. 커넥터(16)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플랜지(flange)(18)를 포함한다. 이 플랜지(18)는 환상이며 도관(12)의 둘레로 완전하게 뻗어나와 있다. 또한 커넥터(16)는 열림부(20)을 포함하며 이 열림부(20)는 확장부(22)를 포함한다. 열림부(20)는 선심요소(14)를 내제하며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확장부(22)를 제외한 열림부(20)의 반경은 도관(12)의 내부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열림부(20)에 있는 확장부(22)는 도관(12)의 부근에 위치하며 원추형으로서 도관(12)의 내부반경보다 더 작은 내부 반경으로 되어 있다. 이 원추형부분(22)은 선심요소(14)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어셈블리(10)는 선단부(30)를 포함한다. 선단부(30)는 커넥터(16)의 일부분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특히, 선단부(30)는 커넥터(16)의 외부표면과 맞물리는 원통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선단부(30)는 도관(12)과 커넥터(16)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져서 위치한 원통부(32)로부터 뻗어나온 원추부(34)를 포함한다. 선단부(30)에 포함된 원통부(32)의 끝은 선단부(30)가 커넥터(16)위에 배치될때 커넥터(16)의 플랜지(18)와 맞물린다.
선단부(30)는 선단부(30)를 지지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한쌍의 접합플랜지(36)를 포함한다. 접합플랜지(36)는 보울트(도시되어 있지 않음)같은 조임물이 통과하여 선단부(30)를 지지구조물(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림부(37)를 포함한다.
어셈블리(10)는 38로 도시된 리테이너 장치를 포함한다. 리테이너 장치(38)는 선단부(30)와 커넥터의 플랜지(18)가 동시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이 둘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상대적 축방향운동을 방지한다. 리테이너 장치(38)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접합부(40)를 포함하는데 이 환상접합부(40)는 커넥터(16)의 플랜지(18)와 맞물려 있다.
환상접합부(40)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성절곡부(42)를 포함한다. 환상돌기(44)는 환상절곡부(42)위에 배열되어 있으며 환상절곡부(42)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나간다. 플랜지(18)와 맞물려 있는 환상돌기(44)는 환상절곡부(42)를 플랜지(18)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띄어 놓는 반면에 리테이너 장치(38)는 플랜지(18)와 선단부(30)를 동시에 맞물리도록 한다. 또한 환상돌기(44)는 어셈블리(10)를 구성하고 있는 선단부(30)와 커넥터(16)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리테이너 장치(38)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립(lip)(46)을 포함하고 선단부(30)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홈(48)을 포함한다. 립(46)은 선단부(30)를 커넥터(16)에 고착시키기 위한 환상홈(48)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결은 커넥터(16)와 리테이너 장치(38)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선단부(30)는 자유자재로 회전한다.
어셈블리(10)는 또한 일반적으로 52로 도시된 밀봉장치를 포함한다. 밀봉장치(52)는 커넥터(16)와 선단부(30) 사이에 배열되어 이들 사이로 용액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커넥터(10)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채널(54)과 환상채널(54)안에 배치된 O-링씰(O-ring seal)을 포함한다. O-링씰(56)은 환상채널(54)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커넥터(16)와 중첩되는 원통부(32)에서 선단부(30)와 맞물리게 된다.
도관(12)을 선단부(30)에 설치하기 위해 커넥터(16)를 갖춘 도관(12)이 지지구조물에 대하여 적당히 위치한다. 선단부(30)는 원통부(32)가 플랜지(18)와 맞물릴 때까지 커넥터(16) 외부표면을 꼭맞게 죄인다. 리테이너 장치(38)는 립(46)이 환상홈(48)안으로 들어오고 환상돌기(44)가 플랜지(18)에 맞물릴 때까지 왼쪽으로 활주된다.(제1도에 도시되었음) 그것으로 인하여 선단부(30)는 제위치로 고정된고 선단부(30)와 도관(12)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 운동은 방지되나 이러한 배열은 선단부(30)와 도관(12)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리테이너 장치(38)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또한, 선단부(30)가 커넥터(16) 외부에 배치될 때 O-링씰(56)은 커넥터(16)와 선단부(30)의 원통부(32)를 동시에 맞물리도록 하며 이들 사이로 용액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어졌으며 사용된 전문용어는 한정된 것이 아닌 묘사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하였다.
상기 기술에 비추어 볼때 본 발명에 관하여 많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인용된 숫자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편리하게 할 뿐이고 어떤 방법으로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된 것 외에 다르게도 실시될 수 있다.

Claims (9)

  1.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에 의하여 곡선경로에서의 힘전달을 위한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로서 상기 어셈블리(10)는 도관(12), 상기 도관(12)에 의하여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된 가요성 운동전달용 선심요소(14), 상기 도관(12)의 일부의 둘레에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플랜지(18)를 포함하는 커넥터(16) 및 상기 커넥터(16)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16)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플랜지(18)와 결합하는 선단부(30)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16)의 상기 플랜지(18)와 상기 선단부(30)를 동시에 맞물리게 하여 이들 사이의 상대적 축방향운동을 방지하는 리테이너장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장치(38)는 상기 플랜지(18)와 결합하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접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30)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홈(48)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장치(38)는 상기 환상홈(48)에 배열된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립(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10)는 상기 커넥터(16)와 상기 선단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로 액체가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장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6)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상채널(54)과 이 환상채널(54)안에 배치된 O-링씰(56)로 구성되는 밀봉장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6. 제1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30)는 이것을 지지구조물에 고정하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접합플랜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접합부(40)는 방사상으로 뻗쳐나온 환성절곡부(42)와 상기 절곡부(42)위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42)를 상기 플랜지(18)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지게 하여 상기 플랜지(18)와 결합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쳐나온 환상돌기(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8.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30)는 상기 커넥터(16)를 결합하는 원통부(32)와 상기 커넥터(16)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뻗쳐나온 원추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9. 제1항, 제4항, 또는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6)는 상기 선심요소(14)를 활주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선심요소(14)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부(22)로 구성되는 열림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전달용 원격제어 어셈블리.
KR1019890009648A 1988-08-31 1989-07-07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KR920001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38,418 US4860609A (en) 1988-08-31 1988-08-31 Sealed rotating end fitting for a flexible cable
US238.418 1988-08-31
US238,418 198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13A KR900003713A (ko) 1990-03-26
KR920001219B1 true KR920001219B1 (ko) 1992-02-06

Family

ID=2289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48A KR920001219B1 (ko) 1988-08-31 1989-07-07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0609A (ko)
EP (1) EP0359353A1 (ko)
JP (1) JPH0266311A (ko)
KR (1) KR920001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170A (en) * 1989-06-02 1992-12-29 Nissinbo Industries Incorporat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a cable
US5003838A (en) * 1990-04-10 1991-04-02 Teleflex Incorporated Cable routing end fitting assembly
DE4115658C2 (de) * 1991-05-14 1996-07-18 Teves Gmbh Alfred Bremsseilzugbefestigung
US5383377A (en) * 1993-08-25 1995-01-24 Teleflex Incorporated Rotatable isolated end fitting
US5448926A (en) * 1993-11-03 1995-09-12 Teleflex Incorporated Remote control assembly with vibration dampener
US5531134A (en) * 1995-05-24 1996-07-02 Teleflex, Inc. Remote control assembly having rotatable end fitting
US5884531A (en) * 1996-11-27 1999-03-23 Dura Automotive Systems, Inc. Low lash rotating conduit end fitting for a remote control cable assembly that isolates against vibration/noise transmission
US5862710A (en) * 1996-11-27 1999-01-26 Dura Automotive Systems, Inc. Zero lash joint for a rotating conduit fitting for a remote control cable assembly
AU5264598A (en) 1996-11-27 1998-06-22 Dura Automotive Systems, Inc. End fitting for a remote control cable assembly with vibration transmission isolation
FR2759127B1 (fr) * 1997-02-03 1999-03-26 Sachs Ind Sa Embout de cable
DE102006019718A1 (de) * 2006-04-27 2007-10-31 Siemens Ag Verbindungselement eines Bowdenzugs zur Abdichtung an einer Gehäuseöffnung
US8671798B2 (en) * 2008-06-18 2014-03-18 Infac Corporation Compression ring for an isolator in a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25040A (fr) * 1936-11-09 1938-02-22 Comp Generale Electricite Joint articulé à rotule avec embout coullssant, pou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énergie ou de mouvement par câbles flexibles
FR1011617A (fr) * 1950-02-08 1952-06-25 Mode de fixation des gaines de commande à distance
FR1206922A (fr) * 1957-05-28 1960-02-12 Teleflex Prod Ltd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commande
FR1317530A (fr) * 1962-03-07 1963-02-08 Wilmot Breeden Ltd Perfectionnements aux mécanismes flexibles d'entraînement
US3354742A (en) * 1965-07-12 1967-11-28 Teleflex Inc Remote control assembly construction
GB1582435A (en) * 1976-06-29 1981-01-07 Kontak Mfg Co Ltd Hydraulic control system
US4304149A (en) * 1979-09-06 1981-12-08 Orscheln Co. Synthetic plastic end fitting for brake cable assemblies
DE3508098A1 (de) * 1985-03-07 1986-09-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Bowdenz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13A (ko) 1990-03-26
JPH0266311A (ja) 1990-03-06
US4860609A (en) 1989-08-29
EP0359353A1 (en) 199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19B1 (ko) 우산식 원격제어 어셈블리(Snap in umbrella)
JP2977770B2 (ja) スナップリング付きのねじ曲がらないコア要素コネクタ
US5575180A (en) Core and conduit splicer
CA2128744C (en) Rotatable isolated end fitting
US5003838A (en) Cable routing end fitting assembly
US5211427A (en) Piping connector
CA1258810A (en) Self-retaining anchoring assembly and seal therefor
US3513719A (en)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ies
JP2863099B2 (ja) 振動抑制装置を備えた遠隔制御組立体
US3263949A (en) Screw retaining fitting for a remote control assembly
EP0852299B1 (en) A system for mounting a wheel hub bearing unit to a motor vehicle suspension standard
KR920010892B1 (ko) 운동전달용 원격제어장치
US5632182A (en) Serviceable clip core coupling
GB2091498A (en) A device for holding cables
EP1630429B1 (en) Conduit end fitting
US5613406A (en) Rotating slide-n-snap
JPH09273687A (ja) 中間長さ調整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6634252B2 (en) Support for motion transmitting cable assembly
KR870007393A (ko) 보호캡
CN113286964A (zh) 流体连接装置
KR100280065B1 (ko) 자동차의연료공급장치를위한연료도관
US3929031A (en) Clutch lock
KR100253523B1 (ko) 차량용 연료 공급 장치
US5546827A (en) Core element wiper suspended boot
US20010009333A1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