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21B1 -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21B1
KR920000921B1 KR1019850002093A KR850002093A KR920000921B1 KR 920000921 B1 KR920000921 B1 KR 920000921B1 KR 1019850002093 A KR1019850002093 A KR 1019850002093A KR 850002093 A KR850002093 A KR 850002093A KR 920000921 B1 KR920000921 B1 KR 92000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inge
pole
tooth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02A (ko
Inventor
니타머 에곤
칼리겐사
Original Assignee
케이퍼 리카로 인코포레이티드
한스 밀로빈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퍼 리카로 인코포레이티드, 한스 밀로빈스키 filed Critical 케이퍼 리카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5000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힌지조립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힌지의 수정형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형태를 보인 시이트의 힌지조립체의 측면도.
제4도는 중앙으로부터 일측단부까지의 폴 변위 범위에 걸쳐 섹타폴과 고정캠의 기하학적 구성을 보인 한 시험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중앙으로부터 일측단부까지의 폴 변위를 보인 제4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6도는 톱니섹타를 갖는 상한의 상세도.
제7도는 하부브라킷트판의 상세도.
제8도는 폴의 톱니활동형태를 보인 상세도.
제10도는 시험장치의 폴, 톱니섹타 및 캠힘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보인 확대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힌지 브라킷트 13 : 섹타
14,15 : 톱니 16 : 폴
17 : 핀 18 : 슬포트
19,20 : 캠 21,22 : 핀
23,24 : 캠면 25,26 : 평면부
27 : 연결부 28 : 핀
54 : 섹타 55 : 축
57,57a : 폴 58,58 : 캠
73 : 작동키커 74 : 폴핀
75 : 돌출부 76 : 요구
77 : 키커핀 78 : 스프링
79 : 핀 80 : 토오크스프링
81 : 캠핀 82,83 : 경사면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가변조절가능한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시이트의 등받이 경사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연속가변조절가능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시이트의 등받이경사조절장치의 분야에 있어서, 연속적인 가변조절은 수동조절인 경우 손잡이를 통하여 캠을 회전시키므로서 작동되는 “터멜(taumel)”형태의 전동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바,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 이 손잡이의 회전중에 터멜장치의 외부기어와 내부기어사이에서 한 톱니마다 상대적인 점진운동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의 자기고정마찰은 연속조절 위치의 어느 위치에서나 만족스러운 고정상태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양극단 위치로의 대규모적인 조절은 미국특허 제 4 223 947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미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라쳇트-폴 형태의 등받이 경사조절장치용 힌지에 비하여 기교적 느리다. 상기 미국 특허 문헌에 있어서는 손잡이 레바를 해제하므로서 폴이 섹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허용될 때에 손잡이 조작형 캠이 톱니형 섹타에 결합된 폴을 해제하므로서 시이트의 등받이가 신속히 위치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에 있어서 조절위치는 상태적인 섹타와 폴의 위치에서 하나의 톱니만큼씩 차이를 보인다.
종래의 섹타 및 폴의 톱니피티로서 가능하였던 것보다 더 신속하고 정교한 조절을 위한 산업적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방법이 시도된 바 있다. 미국특허 제 4 223 946호와 제 4 355 846호에 있오서는 폴과 섹타의 결합에서 매 톱니마다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시이트 등받이의 각 변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이트 등받이의 각운동에 대하여 톱니형 섹타의 각 운동을 증폭시키도록 부가적인 “병진운동”연결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4 295 682호에 있어서는 특별히 정교한 톱니피치가 내부 결합구성요소의 편향을 통하여 톱니의 분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캠작동기구에서 특별한 파지작용을 이용하므로서 작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정교하게 조절할 수는 있었으나 요구된 시이트 등받이의 위치에 대한 신속한 대규모조절이 조합된 이상적인 연속가변조절이 지금까지 만족스럽게 성취될 수 없었다. 마찰고정방식을 채택한 것에 있어서는 시이트 힌지설계의 파라메타에 관련된 공간과 비용의 한계내에서 안전규격이 요구되는 충격부하의 수명시험에 견딜수가 없었다.
오랜 연구 끝에 신속하고 연속적인 조절을 위한 완전한 해결안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통상적인 톱니형 섹타와 회전가능한 폴로 구성된 자기고정형 캠의 고정강도가 통상적인 톱니형 섹타의 정교한 조절을 위하여 단일 톱니피치내에서 폴이 충분히 결합된 위치로 이동되게 하고 폴의 만곡면에서 이중 캠이 작동되게 하므로서 폴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게하고, 상대적인 캠결합면의 가변적인 이동으로 폴의 단일 톱니차동 위치가 그 최초의 충분히 결합된 위치에 이르도록 하므로서 연속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유지되게 하였다. 폴과 캠의 기하하적인 구성은 단일 톱니가 캠이동의 전체 범위를 통하여 유효한 6°이하의 자기고정각도로 섹타와 최초의 충분한 톱니결합에 이르는 폴의 상기 언급된 이동에 적용되도록 캠표면의 충분한 길이가 채택되었다.
단일 손잡이에 의하여 동시에 후퇴위치로 작동되는 이중의 회전형 캠소자에 부가하여 섹타로부터 폴 톱니를 적극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연결구는 폴의 캠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완성되는 예비적인 톱니결합을 위하여 상대적인 조절위치에 폴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캠의 연장암은 핸드레바의 해제에 의하여 허용된 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텐션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된다. 각각의 캠결합은 폴의 특정 초기 결합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각각의 경우 모든 간극이 없는 고정상태에서 이중캠의 충분한 결합은 그 초기의 충분히 결합된 위치로부터 폴을 이동시킴이 없이 이루어진다.
폴의 톱니결합 및 캠표면 결합의 유효각도와 이중캠 피봇트의 삼각관계는 양방향으로 톱니압력으로부터 야기된 압축력으로 자기고정각도가 설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결합형의 톱니형 폴과 섹타구성의 강도와 고정특성이 충분히 유지되는 한편, 단일 톱니형 폴이 이동되게하고 2차적으로 이중캠이 고정되게 하므로서 수년동안 등받이경사조절장치용 힌지의 설계자가 추구하였던 신속한 시이트 등받이의 위치선정과 조합된 완전연속가변조절이 이루어졌다.
조절에 있어서 적어도 단일톱니변화의 완전한 범위에 충분히 적용토록하므로서 브라킷트 조절의 완전한 범위가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가변적인 자기고정 각변위를 갖는 이중 캠작용에 의하여 각변위에 대하여 고정된 시이트와 등받이 브라킷트의 상대적인 각도조절관계에서 섹타톱니와 충분히 결합가능한 부동형 폴의 원리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출원인은 수회의 시험을 통하여 다른 결점없이 수명시험하에 최대의 내구성을 보이는 실시형태를 찾아내게 되었다.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톱니각도를 줄이어 폴과 섹터사이의 분리력, 즉 톱니압력의 방사상 성분에 의한 스트레스를 그만큼 줄일 수 있도록하는 짧은 형태의 톱니가 사용되었다. 이중캠은 회전은 역전되어 시이트 등받이부하에 의한 폴의 기하학적인 힘이 부하가 가하여진 캠이 높은 위치로 향하도록 하므로서 주기적으로 가하여지는 부하에 의하여 서서히 움직이는 것을 억제한다. 폴은 피봇트없이 톱니슬라이드처럼 작동토록 단순화되어 피봇트암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새로운 해제 및 폴제어시스템은 각도가 작은 톱니의 평면상 톱니단부를 이용하고 폴을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로 캠을 고정시키기전에 폴이 섹타를 향하고 충분한 톱니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위치를 향하여 각 캠을 탄지하는 토오크 스프링의 반작용단부를 이용한다. 폴톱니의 부하에 대한 캠의 기하학적인 저항은 부하가 가하여진 캠 피봇트의 축선상에 폴이 놓이도록하고 스폴라인형의 캠윤곽이 충분한 캠-폴 결합범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하는 경향을 갖는 섹타와 톱니결합의 시이트부하 토오크로부터의 힘이 중심에 놓이도록 최적화되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 각각 자동차 등받이와 시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힌지브라킷트(10)와 하부힌지브라켓트(11)는 부호(12)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브라킷트(10)의 원호형 섹타(13)에는 기다란 슬로트(18)를 통하여 브라킷트(11)의 핀(17)에 느슨히 착설된 폴(16)의 톱니(15)와 결합되는 톱니(14)가 형성되어 만약 폴(16)이 폴톱니(15)와 섹타톱니(14)의 초기결합시 핀(17)과 슬로트(18)가 거의 중심이 맞추어지는 경우에 브라킷트(10)(11)의 상대적인 회전위치에서 섹터(13)의 인접한 톱니에 폴 톱니(15)가 충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핀(21)(22)으로 각각 브라킷트(11)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캠(19)(20)에는 폴(16)의 양측 평면부(25)(26)와 결합가능한 편심캠면(23)(24)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23)(24)은 예를들어 45°의 충분한 작동원호길이를 가지며 기다란 슬로트(18)에 의하여 적용되는 단일톱니변화의 범위내에서 충분히 결합된 폴의 위치가 브라킷트(10)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하여 설정된다면 예를들어 5 1/2°의 고정각도로 폴 평면부(25)(26)가 결합되게 한다. 이 평면부(25)(26)와 결합하는 위치에 이르러 캠면(23)(24)의 상대적인 각도관계는 기다란 슬로트(18)에 의하여 적용된 단일톱니피치내에서 제1도에서 보인 중심위치의 양측으로 이동하는 폴(16)의 변위로 변화된다.
각 캠이 폴과 결합하기 전에 중간위치의 폴(16)이 섹타(13)와 충분히 결합하는 위치에 이른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도 캠결합에 의한 고정각도는 결합한 섹타톱니의 압력하에서 양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폴(16)을 고정하게 되어 연속조절된 어느위치에서나 일측 브라킷트(11)에 대하여 타측 브라킷트(10)의 효과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효과적인 연속 가변조절은 양측 캠면이 폴 표면에 결합되기전에 폴 톱니(15)와 섹타톱니(14)가 충분히 결합되고 섹타(13)와의 톱니결합이 시작될 때에 폴(16)의 상기 언급된 중심조절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초기 톱니결합을 위한 캠의 결합과 폴의 예비적인 중심조절이 있기전에 폴의 정확한 위치선정과정은 브라킷트(11)에서 부호(21)에서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해제핸들(30)의 연장부(29)로부터 돌출된 핀(28)에 의하여 작동되는 연결부(2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핸들(30)의 시계방향 작동시에 이러한 핸들(30)은 캠(19)(20)으로부터 돌출된 핀(32)(33)과 연장부(29)의 면(31)과의 결합을 통하여 캠(19)(20)의 암 연장부(35)(36)에 연결된 텐션스프링(34)의 결합탄력에 반하여 폴(16)과 결합된 캠이 해제되도록 한다. 폴(16)로부터 슬로트(37)내로 돌출된 핀(38)에 대하여 슬로트(37)의 범위내에서 핸들(30)에 의한 연결부(27)의 직선이동은 브라킷트(11) 하측의 피봇트(40)와 브라킷트(11)의 삼각형 슬로트(41)를 통하여 연장된 폴(16)의 핀(38)사이에 연결된 텐션스프링(39)의 탄력에 반하여 폴과 섹타의 적극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슬로트(37)의 단부에 의한 핀(38)의 이러한 해는 양측 캠면(25)(26)의 결합종료시 양 캠면의 작동해제후 일어나고 슬로트(41)의 만곡단부(42)와 핀(38)의 결합으로 폴이 슬로트(18)에 대하여 중심이 맞추워진다. 캠운동의 양끝부분은 도시된 바와같이 폴(16)의 중심위치와 일치하는 중앙선(43)의 양측에 각각 15°-30°범위의 원호를 갖는 캠(19)의 범위를 나타낸다.
하측브라킷트(11)에 착설된 폴(16)의 톱니(15)로부터 상측브라킷트(10)의 톱니(14)를 분리하도록 핸들(30)이 수동으로 해제위치에 놓여 있는 동안 사용자는 등받이에 자신의 몸으로 간단히 힘을 가하거나 해제하므로서 시이트에 대하여 요구된 정확한 각도위치에 등받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등받이자체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상측브라킷트(10)와 하측브라킷트(11)사이에 착설한 스프링에 의해 항상 앞으로 향하여 탄지되어 있다.
핸들(3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핀(38)의 스프링(39)의 텐션하에 이루어지는 연결구성으로 폴의 초기 결합시 시이트 브라킷트(10)의 정교하고 연속적인 위치조절이 가능하다하더라도 사전에 위치가 선정되어 충분한 톱니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폴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폴 평면부(25)(26)의 결합에 대하여 캠면(23)(24)의 복귀전에 폴의 톱니(15)가 섹타(13)의 톱니(14)에 결합토록 폴(16)의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할 것이다.
제1도에서는 적당한 톱니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폴과 섹타의 톱니모두는 2 1/2°의 피치를 가지며 톱니가 날카롭게 되어있고, 통상적인 브로칭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대적인 폴과 섹타의 정확한 톱니첨단부 결합이 이루어져 섹타의 효과적인 위치선정을 위하여 폴이 충분한 톱니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섹타와 폴의 톱니를 “파인 블랭킹(fine blanking)”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은 톱니의 첨단부가 약건 만곡되므로 예리한 톱니를 얻는데에 적합하지 않더, 톱니의 첨단부가 만곡되게하는 것은 폴과 섹타의 톱니첨단부 결합에 있어서 충분한 톱니결합에 간섭을 줄 우려가 증가한다.
제2도는 선택적인 변형실시예로서 톱니첨단부를 예리하게 하는 대신에 파인블랭킹방법으로 제작되어 본 발명의 힌지에 결합되는 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는 상대적인 톱니 첨단부의 상호결합의 위치로부터 폴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충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첨단부 결합의 경우에 폴의 측방향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폴로부터 돌출된 소형핀(50)이 폴과 작동핸들의 복귀이동시 폴과 섹타톱니의 톱니첨단부 결합의 모멘트에서 상대적인 근접위치에 이르르는 암 연장부(52)의 단부점(51)의 진로에 위치한다.
만약 폴의 톱니가 섹타톱니의 양측으로 진입하여 충분히 결합되는 경우 암연장부의 단부점(51)은 캠이 고정되는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핀과 결합하지 아니하고 핀의 하측으로 통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충분한 결합이 정열된 톱니첨단부의 결합으로 중단된다면 단부점(51)은 폴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핀(50)과 결합하여 캠(19)(20)이 결합고정되기 전에 충분히 톱니결합되도록 할 것이다.
폴과 핸들 연장부는 항상 초기톱니결합시 동일한 관계에 이를 것이므로 핀(50)은 항상 단부점(51)에 대한 유효위치에 있게되어 필요한 경우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제4도에서, 시험장치의 조절가능한 위치선정부재가 샌드위치형의 하측브라킷트(56)(하나만을 도시함)사이에 연장된 피봇트(55)상에 중심이 맞추어진 톱니섹타(54)를 갖는 4분 원판, 톱니활동폴(57) 및, 하측브라킷트(56)사이의 부호(59)위치에 각각 축설된 두 개의 캠(58)으로 구성된다. 제4도에서, 캠(58)과 폴(57)은 중앙위치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폴(57)이 일측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반면에 제5도에서, 폴(57)과 캠(58)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폴이 반대측단부로 이동된 것을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폴(57)의 전체운동범위는 약 3°정도로 2 1/2°의 톱니간격을 갖는 4분원판(53)의 무한한 조절이 가능하다. 폴(57)에는 충분한 조절범위를 통하여 매우 제한된 영역에서 캠(58)과 접촉하는 영역에 만곡부를 포함하는 원호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120°의 캠라이즈(cam rise)는 0.07이하의 유효 마찰계수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캠축으로부터 풀접촉점까지 연장된 선에 대하여 실제로 일정한 고정각도경사의 스플라인 곡선으로 구성된다. 캠라이즈는 하측단부에서 피봇트중심까지 최소크기를 가지며 상측부에서 최대크기를 가지므로 제1도 및 제2도 실시형태에서 채택된 바와같이 대향된 캠라이즈의 경우와 같이 섹타 톱니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폴의 경향으로 캠은 하측 결합점보다는 상측 결합점으로 회전하려할 것이다. 시험을 통하여 제4도 및 제5도의 캠은 높은 시이트등받이 부하의 반복된 순환하에서 캠면의 이동경향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었다.
접촉영역에서 캠과 폴의 상대적으로 볼록한 만곡부는 이후 제10도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최적한 힘의 벡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제4도-제9도에 도시된 시험구성은 무한한 시이트 등받이조절장치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었다. 주기적인 토오크부하시험을 통과하므로서, 제6도-제9도에서는 그 수치를 밀리미터로 표시하여 임계적인 기하학적관계가 만족스럽게 설정될 수 있었다. 예를들어 브라킷트는 4.5밀리미터 두께의 AISI 1018강철로 구성되고, 4분원판은 4 1/2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KN 086240에 따라 열처리된 SAE 1020강철로 구성되며, 폴은 4밀리미터 두께의 AISI 4130강철로 록크웰 C38-48로 급냉단련되었고, 캠은 4밀리미터의 두께인 AISI 4130강철을 록크웰 C38-45로 급냉단련된 것으로 구성되었다.
제10도에서, 캠축의 위치선정을 위한 힘의 기하학이 다음 분석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폴톱니의 적당한 수가 폴안정도에 적합한 수와 함께 최종적인 토오크부하에 부합되도록 하는 전단응력에 대하여 결정되었으며, 본 발명의 경우 폴의 톱니수는 10개이고 14°45'의 압력각도와 2 1/2°의 간극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벡타 힘(61)(62)의 합과 함께 톱니부하(60)의 중심점을 결정하므로서 접촉점에서 폴의 원호를 위한 만곡중심(64)에 가깝게 자나가는 14°45'의 압력각도가 설정된 선(63)에 입사되는 방사상성분과 톱니부하 중심점에서의 접선방향 토오크부하를 얻을 수 있다.
캠과 부과되는 토오크를 중화시키기 위한 캠곡면의 최적한 중심은 선(63)의 연장선가까이에 놓이며, 각 톱니부하의 합에 부합되는 폴의 분리를 위한 경향에 대하여 편기되도록 부가적인 2°의 각도(65)가 주어져 선이 부호(66)에 위치하는 캠곡면의 중심을 지나고 폴곡면의 중심을 지나게 된다. 이러한 편기에 부가하여 폴이 벗어나려는 경향으로 캠은 상승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섹타톱니와 충분히 접촉한 상태에서 폴이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촉점에서 폴과 캠의 만곡부가 볼록하게 되어 있어 무한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위치의 범위에서 폴의 2 1/2°단일톱니변위는 점(67)사이인 것과 같이 폴의 매우 좁은영역에서 이루어지므로 전체조절 범위에서 캠축선에 대한 최적한 기하학적 구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것이다.
시험결과로 순환적인 최대토오크 부하에서 접촉으로부터 분리되어 캠에 부하가 가하여지지 않아도 폴의 변위나 캠의 이동은 없었다.
제3도에서, 수정형태의 폴(57a)과 캠(58a)은 캠이동과 해제의 짧은 원호와 키커메카니즘을 적합한 것이다. 폴(57a)과 캠(58a)은 중립위치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두 캠작동연결구(67)와 키커작동연결구(68)는 부호(71)의 위치에 축설된 수동해제레바(70)의 단부에서 핀(69)에 의하여 그들 각 슬로트형 개방부의 단부에서 구동되며, 상호점선으로 보인 해제위치(72)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은 연속하여 캠(58a)을 해제하고 부호(59)의 위치에 축설된 키커(73)를 작동시키며 돌출부(75)에 대한 톱니결합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폴핀(74)을 결합시키므로서 폴(57a)이 돌출부(75)에 대하여 고정된 요구(76)의 범위내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키커 핀(77)과 결합된 연결구(68)를 하측으로 작동시키므로서 연결구(67)의 핀(79)을 캠결합방향으로 탄지하고 키커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탄지하는 토오크스프링(78)의 탄력을 극복하고, 캠핀(81)을 캠결합방향으로 탄지하고 폴핀(74)을 톱니결합방향으로 탄지하는 토오크스프링(80)의 탄력을 극복한다. 따라서 해제위치(72)로부터 수동해제레바(70)를 이동시킬 때 폴핀(74)은 섹타톱니결합을 향하는 토오크스프링(80)의 결합단부에 의하여 상승하게 될 것이며 각 폴과 섹타의 평면상 톱니단부의 접촉시 키커(73)의 경사면(82)은 충분한 톱니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폴(57a)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캠(58a)이 그들의 각 결합위치로 복귀하기전에 폴(57a)이 조절된 위치에 충분히 결합되게 될 것이다.
제4도, 제5도 및 제9도의 캠(58)이 통상의 윤활그리이스에 의한 0.07의 마찰계수로 캠이 120°원호를 이동하게 되는 동안 “Santotrac”의 상표면으로 몬산토 케미칼 캄파니에서 제조되는 특수점착마찰 윤활제는 0.12정도의 높은 마찰계수를 제공하여 캠 원호가 약 70°로 감소되게 하므로서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상승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짧아진 원호는 부호(84)로 보인 캠결합 범위사이 연결구(67)의 핀(79)과 양측단부(85)사이의 연결핀(81)에서 제3도의 해제 메카니즘으로 채택된다.
예를들어 연결구(68)에 의하여 키커(73)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단부(86)측으로 핀(79)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구(67)의 추가 이동은 해제위치(72)의 한계내에서, 슬로트위치(88)의 저면에서 위치(87)로부터 작동핀(69)을 이동시킬 때에 가능하게 된다.
경사면(83)은 폴과 섹타의 톱니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차단하지 아니하고 초기 톱니진입이 완성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이 일어나는 경우 우측으로 폴(57a)의 이동은 충분한 결합관계가 이루어질 때까지 경사면(83)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부브라킷트판(56a)의 슬로트(82)는 폴핀(74)의 측방향운동을 제한하므로서 2 1/2°의 톱니간격 유지에 충분한 약 3°정도로 폴(57a)의 전체적인 운동을 제한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톱니형 섹타의 연속 가변조절이 가능하도록 톱니형 폴을 적극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여러수단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시이트등받이를 요구된 정확한 위치로 조절하고 신속히 해제할 수 있도록하는 시이트등받이 경사조절장치의 힌지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두 힌지 브라킷트(10)(11)를 상대적인 각도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폴(16)과 캠(19)(20)으로 구성된 연속가변조절가능한 힌지에 있어서, 일측 힌지브라킷트(10)에 톱니(14)가 형성되어 타측 힌지브라킷트(11)의 폴(16)에 형성된 톱니(15)와 결합되고, 폴(16)에는 두 힌지브라킷트(10)(11)의 상대적인 각도위치의 조절중에 폴(16)에 형성된 톱니(15)가 일측 힌지브라킷트(10)의 톱니(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슬로트(18)가 형성되어 타측 힌지브라킷트(11)의 핀(17)에 결합되어 있으며, 두 힌지브라킷트(10)(11)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에서 이들이 이동되지 않도록 톱니(14)(15)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폴(16)에 결합하는 캠(19)(20)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되는 연속가변조절가능한 힌지.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캠(19)(20)에 상기 힌지 브라킷트(10)(11)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16)에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평면부(25)(26)에 각각 결합되는 캠면(23)(24)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힌지.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캠면(23)(24)을 갖는 캠(19)(20)이 상기 평면부(25)(26)에 상기 캠면(23)(24)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핀(21)(22)으로 힌지 브라킷트(11)에 착설됨을 특징으로하는 힌지.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캠면(23)(24)을 갖는 캠(19)(20)이 핀(21)(22)으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전체 캠결합범위를 통하여 캠면(23)(24)이 평면부(25)(26)에 마찰결합됨을 특징으로하는 힌지.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캠(19)(20)을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조절하기 위한 수동작동형 핸들(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30)의 수동해제시에 상기 캠(19)(20)이 결합위치로 복귀되게하는 스프링(34)(39)이 착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힌지.
KR1019850002093A 1984-04-02 1985-03-29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KR920000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559184A 1984-04-02 1984-04-02
US595591 1984-04-02
US???595591 198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02A KR850007202A (ko) 1985-12-02
KR920000921B1 true KR920000921B1 (ko) 1992-01-31

Family

ID=2438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093A KR920000921B1 (ko) 1984-04-02 1985-03-29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H072127B2 (ko)
KR (1) KR920000921B1 (ko)
AU (1) AU572635B2 (ko)
BR (1) BR8501511A (ko)
DE (1) DE3511871A1 (ko)
FR (1) FR2562183B1 (ko)
GB (1) GB2156901B (ko)
IT (1) IT1181963B (ko)
MX (1) MX161598A (ko)
ZA (1) ZA852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644U (ko) * 1989-12-28 1991-09-12
FR2714339B1 (fr) * 1993-12-23 1996-03-15 Cesa Articulation sans jeu pour siège à dossier basculable et son application à un siège à dossier aussi inclinable.
DE19918718C2 (de) * 1999-04-24 2001-06-07 Keiper Gmbh & Co 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118358A1 (de) 2001-04-12 2002-10-24 Keiper Gmbh & Co Baugruppe für einen Fahrzeugsitz, insbesondere Beschlag
DE10124618B4 (de) * 2001-05-21 2005-03-24 Keiper Gmbh & Co. Kg Rast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135433C1 (de) 2001-07-20 2002-10-31 Keiper Gmbh & Co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24826B4 (de) * 2002-06-05 2007-09-20 Keiper Gmbh & Co.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60581B4 (de) * 2002-12-21 2004-12-30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100522496B1 (ko) * 2003-09-25 2005-10-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리클라이너
DE102004007491B4 (de) * 2004-02-13 2006-12-21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mit einem Aktuator, insbesondere an einem Beschlag zur Verstellung von Teilen eines Fahrzeugssitzes
DE102004047420B4 (de) 2004-09-28 2007-04-05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s ersten Beschlagteils und eines zweiten Beschlagteils zum Verstellen der Neigung zweier Komponenten,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itzes, relativ zueinander
DE102006055185B4 (de) * 2006-11-21 2010-06-02 Keiper Gmbh & Co. Kg Crashaktives System eines Fahrzeugs
FR2913638B1 (fr) * 2007-03-13 2009-06-12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d'inclinaison de siege et siege equipe d'un tel mecanis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4358A (ko) * 1969-10-24 1973-01-24
JPS5216491U (ko) * 1975-07-25 1977-02-05
DE2552787C3 (de) * 1975-11-25 1979-10-25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Gelenk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Fahrzeugsitze
JPS5551310Y2 (ko) * 1976-11-01 1980-11-29
US4223946A (en) * 1978-09-25 1980-09-2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Vehicle seat fitting
US4223947A (en) * 1978-12-08 1980-09-2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Hinge fittings for vehicle seats
JPS5951285B2 (ja) * 1979-04-28 1984-12-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トリクライニ
US4355846A (en) * 1979-09-04 1982-10-26 Keiper U.S.A., Inc. Seat back adjuster
US4295682A (en) * 1979-11-01 1981-10-20 Keiper U.S.A., Inc. Superfine tooth seat back adju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56901B (en) 1987-01-14
JPS60227711A (ja) 1985-11-13
GB8508221D0 (en) 1985-05-09
DE3511871C2 (ko) 1990-04-12
IT8547897A0 (it) 1985-03-29
MX161598A (es) 1990-11-14
BR8501511A (pt) 1985-11-26
AU572635B2 (en) 1988-05-12
ZA852223B (en) 1985-11-27
JPH072127B2 (ja) 1995-01-18
DE3511871A1 (de) 1985-10-03
IT1181963B (it) 1987-09-30
FR2562183A1 (fr) 1985-10-04
FR2562183B1 (fr) 1989-06-02
KR850007202A (ko) 1985-12-02
GB2156901A (en) 1985-10-16
IT8547897A1 (it) 198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921B1 (ko) 연속 가변조절 가능한 힌지
US4591207A (en) Continuously variable adjustable hinge
US4770464A (en) Articulation members for back portion of vehicle seats
US5029489A (en) Steering column with vertically adjustable steering wheel for motor vehicles
EP0058495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US5882061A (en)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ngular position of an arm hinged on a support
EP0289795A2 (en) Tilt-telescope steering column
US11180054B2 (en) Sliding device
JP2001309832A (ja) 乗物用シートのヒンジ機構およびそのような機構が取り付けられたシート
US7823978B2 (en) Reclining device
JPH10157634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配置され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長手方向および/または高さあるいは傾きを調整する装置
US11192472B2 (en) Sliding device
KR20050084790A (ko) 차량 의자 조정 기구용,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CN111169527A (zh) 用于可调节转向柱组件的锁定装置
EP1679244B1 (en) Steering column rake adjustment device
KR20130024640A (ko)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EP0199687A1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s
US7171726B2 (en) Hinge construction and hinge actuator,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of a motor vehicle
US5025679A (en) Structure of tilt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ular steering system
CN114251451B (zh) 车辆驻车锁定机构
CA2119812C (en) Control lever assembly
US7306259B2 (en) Lock for tilting and telescoping steering column
CN114340943A (zh) 座椅高度调节致动器
KR100731872B1 (ko) 차량 시트 조정기용 레버 액츄에이터
CA2368170A1 (en) Adju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