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80Y1 - 반송기 - Google Patents

반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80Y1
KR920000780Y1 KR2019890013037U KR890013037U KR920000780Y1 KR 920000780 Y1 KR920000780 Y1 KR 920000780Y1 KR 2019890013037 U KR2019890013037 U KR 2019890013037U KR 890013037 U KR890013037 U KR 890013037U KR 920000780 Y1 KR920000780 Y1 KR 920000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plate
insulator
arm
add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339U (ko
Inventor
박병출
Original Assignee
박병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출 filed Critical 박병출
Priority to KR2019890013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780Y1/ko
Publication of KR910004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송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요부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제4도는 제1도 A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1도 B부분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관 2 : 지지관
3 : 연결관 3 : 단입홈
4 : 회동관 5 : 지지판
5',6' : 볼트 6,7 : 연결관
8,8' : 베어링 9 : 키
10 : 조임구 11 : 절연체
12,12',12" : 도전체 13,13',13" : 절연체
14,14',14" : 도전체 15 : 공실
16,16',16" : 도선 17 : 완관
17,17',17" : 지지판 18 : 모우터
18' : 축간 19 : 스크류
20 : 연결조인트 21,21' : 베어링
22 : 안내봉 23 : 가동구
23' : 안내고리 23" : 축봉
24,24',25,25',26 : 로울러 27,27' : 와이어 로프
28 : 이송구 28' : 공실
29 : 걸고리 30,30' : 지지간
31 : 스프링 32 : 지기간
33,33',33" : 도선 34 : 코드
35,35' : 조작 스위치
[산업산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생산 라인을 구성할때 제품 조립의 부품 바스켓을 작업대에서 다른 작업대로운반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반송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가 A지점에 있는 부품 바스켓을 걸고리에 걸어 일정높이로 올린 다음 이를 B지점에 옮긴후 다시 작업대에 내리는데 사용하는 반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도 이와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반송기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유압 실린더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기때문에 순간적인 정지나 작동이 불가능함은 물론 바스켓에 담겨있는 부품을 덜어 올릴때나 내릴때에도 압력조절이 잘되지 않아 바스켓에 심한 충격을 주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단순 부분만을 담은 바스켓의 경우는 별문제가 되지 않으나 정밀기계 부품이나 경우에 따라서 간혹있는 반조립된 제품을 반송할시는 이에 충격을 주면 제품 자체가 충격을 받아 손상되어 불량품을 발생기키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고안 요지]
본 고안은 이상과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인데 이의 고안 요지는 유압 대신 정역 회동 모우터를 이용한 스크류식의 기계식 장치를 함으로써 반송시에 있어 속도 조절이 신속함은 물론 반송되는 반제품이나 이의 부품에 충격을 가하는 현상이 전혀 생기지 않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 수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관(1)에 회동 자제하게 연설된 절곡 지지관(2)에는 연결관(3)을 연결하고 연결관(3)의 외주에는 상하로 베어링(8)(8')을 개재시킨 회동관(4)이 외삽되어 있으되 회동관(4)의 상단에는 연결관(3)의 단입홈(3')에 접지된 지지판(5)을 재치하여 볼트( 5')로 고정하므로서 유격 간격을 최소로하며 회동관(4)의 하방에는 연결관(6)을 대접하여 볼트(6')로 연설하며 연결관(6)의 내부에는 공실(15)을 형성한 통체상의 절연체(13)가 고착되고 절연체(13)의 내주면에는 도선(16)(16')(16")과 연결된 링그 형상의 도전체(14)(14')(14")가감착되며 절연체(13)의 내부에는 연결관(3)의 하단에 접지된 절연체(11)가 키(9)에 의해 연결되며 절연체(11)의 내주벽에는 도선(33 )(33')(33")과 연결된 도전체(12)(12')(12")가 감착되어 있으되 이는 조임구(10)에 의해 도전체(14)(14')(14")와 대접되게 하였으며 연결관(6)의 하방으로 관출된 연결관(7)의 하단에는 회동관(4)의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관(32)에 의해 일측단이 지지된 완관(17)이 연설되고 완관(17)의 좌축에는 도선(14)(14')(14")과 연결된 정역 모우터(18)가 부착되어 있으되 이 모우터(18)의 축간(18')에는 지지판(17') (17")에 감착된 베어링(21)(21')에 축삽되어진 스크류(19)의 일단이 연결 조인트(2 0)에 의해 연결되며 스크류(19)에 나삽된 가동구(23)의 안내고리(23')는 지지판(17' )(17")에 관착된 안내봉(22)에 관삽되어있고 가동구(23)에 관삽된 축봉(23")에는 로울러(24)(24')가 축착되어 있고 완관(17)의 우측전방에 연설된 지지판(17''')내부 공실에는 안내 로울러(25)(25')(26)가 유착되어 있으며 지지판(17")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27)(27')는 로울러(24)(24')(25)(25')(26)로 회권된후 그 선단은 이송구 (28)에 체결 하였으며 이송구(28)의 내부공실(28')에는 T자형 지지간(30)이 스프링(3')에 의해 탄설되어 있으되 이 지지간(30)에 연설된 지지간(30')의 하단에는 고리(29)가 유착되고 이송구(28)에는 정역모우터(18)와 코드(34)로 연결한 상향 및 하향 조작스위치 (35)(35')가 부착된 구조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반송기로 사용하는 것인바 이를 실시할시는 부품 바스켓을 걸고리(29)에 걸리게 한후 상향 조작 스위치(35)를 누르면 모우터(18)가 정회전하면서 스크류(29)를 회동시킴에 따라 가동구(23)가 좌축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우프(27)를 당기게 되므로 이송구(28)는 서서히 상승한다.
원하는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누르고 있는 스위치(35)를 방치하면 상승된 상태에서 바스켓은 멈추게 된다.
이때 완관(17)을 손으로밀거나 당겨서 다른 작업대로 옮기면 되고 옮긴 상태에서 하향스위치(35')를 누르면 이때에는 모우터(18)가 앞서와는 반대 회전을 하므로 이송구(28)는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하강이 완료된후는 누르든 스위치(35')를 방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같은 본 고안의 조작에 있어 걸고리(29)는 이의 지지간(30)이 스프링(3 1)에 의해 탄설되어 있어 바스켓을 올릴때나 내릴때 바스켓이 작업대와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구실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 로우프(29)의 상하 작동이 스크류(19)이 전후진 작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이의 속도 조절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즉 순간적인 중지나 가동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안전성을 높혀준다.
그리고 전원 도선이(33)(33')(33")이모우터(18)의 연결도선(16)(16')(16")과 결선됨에 있어 링그 형상의 도전체(12)(12')(12")(14)(14')(14")의 접지로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도선의 접선이 완벽할뿐만 아니라 사용과정 도선이 꼬이는 현상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모되면 쉽게 교체할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생산 라인을 구성함에 있어 부품 바스켓을 반송할때 종래의 유압실린더와는 달리 정역모우터(18)를 이용한 스크류식 기계적 장치로써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반송되는 부품의 충격 방지는 물론 순간적인 정지와 가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성 제고 및 안전사고 방지에 크게 기여할수 있어서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절곡지지관(2)에 연설된 연결관(3)에 회동관(5)이 베어링(8)(8')에 의해 유설되고 회동관(6)의 하단에는 이송구(28)를 가진 완관(17)이 연설되어 이송구(28)는 상하운동하고 완관(17)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게 한 것에 있어서 회동 연결관(7)에 연설된 완관(17)의 일측에는 정역 모우터(18)가 부착되고 모우터(18)의 축간(18')에는 완관(17)의 지지판(17')(17")에 축착된 스크류(19)가 연결조인트(20)에 의해 연결되며 스크류(19)에는 가동구(23)가 나삽되어 전후진되게 하고 가동구(23)에 연설된 안내고리(23')는 안내봉(22)에 유삽되고 가동구(23)에 돌설된 축봉(23")에는 로울러(24)(24')가 유착되며 완관(23)의 선단부에 연설된 지지판(17)내측 공실에는 로울러(25)(25')(26)가 유착되어 이에 회권된 와이어 로우프(27)(27')의 일단은 지지판 (17")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송구(28)에 체결되어지게 한 반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곡 지지관(2)에 연설된 연결관(3)의 외주에는 베어링(8)(8' )을 개재시킨 회동관(4)이 외삽되고 연결관(3)의 하단에 연설된 절연체(11)의 외주면에는 링크 형상의 도전체(12)(12')(12")가 감착되고 이 절연체(11)의 외주에 대접되는 절연체(13)의 내주벽에는 이상의 도전체(12)(12')(12")와 대접되는 도전체(14 )(14')(14")가 감착되어진 반송기.
  3. 제1항에 있어서, 완관(17)의 선단에 돌설된 지지판(17''')하방으로 도출된 로우프(27)에 체결된 이송구(28)의 공실(28')에는 걸고리(29)와 연설된 T형 지지간(30)이 스프링(31)에 의해 탄설 되어진 반송기.
KR2019890013037U 1989-08-31 1989-08-31 반송기 KR920000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037U KR920000780Y1 (ko) 1989-08-31 1989-08-31 반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037U KR920000780Y1 (ko) 1989-08-31 1989-08-31 반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339U KR910004339U (ko) 1991-03-18
KR920000780Y1 true KR920000780Y1 (ko) 1992-01-31

Family

ID=1928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037U KR920000780Y1 (ko) 1989-08-31 1989-08-31 반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7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339U (ko) 199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8344A (zh) 接地线缠绕装置
CN112607308A (zh) 圆筒式皮带输送翻转机
KR920000780Y1 (ko) 반송기
CN210559032U (zh) 一种建筑安全用材料提升装置
CN219058107U (zh) 摩擦式牵引装置
KR20000074214A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CN215208173U (zh) 一种起重机转向装置
CN212608640U (zh) 一种线束加工用放卷机
CN212133957U (zh) 一种全自动扭矩仪开启装置
CN211967305U (zh) 一种管桩模具的自动张拉旋大螺母装置
CN114309815A (zh) 一种家居金属饰品的金属切削机床
CN208489629U (zh) 自动化管型母线预拱装置
CN106744449A (zh) 一种具有刹车装置的绞纲机
CN116511735B (zh) 一种拖链式无卡盘型材、管材激光切管机
CN111842604A (zh) 旋压机自动上下料装置
US4771699A (en) Device for cable transport
CN211395160U (zh) 一种钢绞线的捻合装置
CN219648689U (zh) 一种新型长水口机械手
CN220703001U (zh) 一种可调式皮带吊装装置
CN217890329U (zh) 长管件钻孔锯断压型生产线的自动化下料机构
CN213814951U (zh) 子午线轮胎钢丝检测装置
CN218621162U (zh) 一种短纤维的分丝装置
CN218403052U (zh) 一种软管送料机
CN220549749U (zh) 一种翻转上料机构
CN213537137U (zh) 一种轴承外环升降式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