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77B1 -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77B1
KR920000777B1 KR1019880010218A KR880010218A KR920000777B1 KR 920000777 B1 KR920000777 B1 KR 920000777B1 KR 1019880010218 A KR1019880010218 A KR 1019880010218A KR 880010218 A KR880010218 A KR 880010218A KR 920000777 B1 KR920000777 B1 KR 920000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tating
carrier
rotating member
cam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610A (ko
Inventor
게이지 도요나가
이찌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모또 기요시
가부시끼가이샤 쯔바끼 모또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모또 기요시, 가부시끼가이샤 쯔바끼 모또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제1도는 범퍼(bumper)컨베이어 시스템에 통합된 본 발명의 90°회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제5도는 회전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6도는 회전 장치의 개략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따른 캠 표면과 캠종동부의 이상적인 통로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을 도시한 도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회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9도는 일정한 각속도에서 회전될 수 있는 회전 부재의 캠종동부의 이상적인 통로를 도시한 그래프.
제10도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개발된 회전 장치의 캠 표면과 캠종동부의 이상적인 통로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을 도시한 도시도.
제11도는 공지된 회전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베이어 시스템 12 : 캐리어
14 : 작업 플로어 36,70 : 안내레일
44 : 포스트 46 : 범퍼
54 : 90°회전 장치 56 : 회전부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물체가 90°회전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 또는 다른 부분의 이송 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물체나 물품을 회전시키기 적합한 90°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될 공정에 있는 물품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 장치의 예가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공보 제57-61051호(공고일 1982. 12. 27)에 기술되고 있고, 회전판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판에는 고정된 캠판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절개부와 연속적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한 복수의 캠종동부 로울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회전하게 된다. 또 다른 알려진 회전 장치는 래크와 피니언 배열을 사용한다. 이 공지된 회전 장치는 건설상에 있어 비교적 복잡하고 비교적 고가의 제조비가 든다.
상술된 종래의 회전 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의 양수인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회전 장치(100)를 개발하였다. 이 회전 장치(100)는 직선 표면을 갖는 단일의 캠이 사용하며, 캠 표면에 캠종동부가 결합되어 있다. 특히 90°회전 장치(100)는 샤프트(114)의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긴 회전 부재(102)를 사용한다. 회전 부재(102)는 대향 단부중 하나의 단부에서 캠종동부(104)를 갖는다. 캠종동부(104)는 회전 부재(102)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반면에 제1캠(106)의 제1캠 표면(108)과 제2캠(110)의 제2캠 표면(112)과 결합한다. 제1 및 제2캠 표면(108, 112)과 결합된 캠종동부(104)와 함께 회전 부재(102)는 샤프트(114)에 대해 회전된다.
이송될 물품이 회전 장치에 의해 원래 위치에서 회전되어 이송되어질 때, 상기 물품은 일정한 각속도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장치의 각속도의 변경은 가속도의 어떤 각도를 의미하며, 물품이 미끄러지거나, 회전 장치 상을 이탈하여 움직이고 심지어는 회전 장치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9에 지시된 곡선은 중심 O가 직선 OA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싸이클의 중심 O와 싸이클의 원주상의 점 P사이의 직선 OP가 중심 O에 대해 회전될때, 싸이클상의 점 P에 의해 표사된 통로나 궤적을 말한다. 곡선 통로는 회전 부재(102)가 일정 각속도에서 회전되므로 캠종동부(104)에 의해 취하게 되는 이상적인 통로이고, 회전 부재(102)의 샤프트(114)의 회전축 또는 중심선은 캠종동부(104)의 중심이 점 P상에 위치할 때, 싸이클의 중심 O상에 위치한다. 캠종동부(104)에 의해 취하게 된 이상적인 곡선 통로는 제10도에서 이 점쇄선을 가리킨다. 제1 및 제2 캠 표면(108,112)의 경사도가 이상적인 곡선 통로와 근접하게 된다면, 회전 부재(102)는 실제로 일정한 각속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11도의 회전 장치(100)의 캠 표면(108,112)은 이상적인 곡선 통로의 중간 부분을 따르도록 실제로 적합하게 된다.
캠 표면(108,112)이 직선이므로, 통로가 굽은 상태에서 이상적인 곡선 통로의 중심부를 따라 부드럽게 캠종동부(104)를 안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직선 캠 표면(108,112)은 곡선 통로의 구부러진 중심부를 정확히 따를 수 있다. 다시말해서, 캠종동부(104)는 캠종동부(104)가 제1캠 표면을 떠난후와 제2캠 표면(112)과 접촉하기 전에 충분히 안내될 수 없다. 따라서, 회전 부재(102)의 회전 속도는 회전 부재(102)가 각속도의 높은 각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2캠 표면(112)상의 캠종동부(104)의 인접 접촉부상에서 갑자기 증가하게 되며, 그러므로 회전 장치에 설치된 물체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의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일정한 각 속도에서 물체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조상에서 건설적이고 경제적인 90°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성취되며,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선형 통로에 수직한 회전축에 대해 90°의 각도로 선회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90°회전 장치를 제공하며, 이 회전 장치는 회전 부재의 대향면중 하나의 표면상에 구비된 제1캠종동부와, 회전 부재의 대향면중 다른 하나의 표면상에 구비된 제2캠종동부와, 선형 통로에 대해 경사져서 제1캠종동부와 결합하는 제1직선 캠 표면을 갖는 제1 캠 및 회전 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1캠과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제2캠등을 포함한다. 제2캠은 제2캠종동부와 결합된 제2직선 캠 표면을 갖으며, 제2직선 캠 표면은 선형 통로에 대해 경사져 있고, 제2캠종동부는 이동 부재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할때 제1캠종동부와 같은 방향에서 선형 통로에 수직하게 움직인다. 제1 및 제2캠은 위치되고, 제2캠종동부와 제2직선 캠 표면 사이에서 결합작용이 제1캠종동부와 제1직선 캠 표면 사이에서 결합 작용이 종결될때 시작된다. 회전 부재 또는 제1 및 제2캠종동부의 회전축은 이동 부재가 선형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회전 부재와 캠종동부의 다른 회전축을 안내하도록 유지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90°회전 장치에서, 제7도에서 A와 B로 나타나는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은 회전 부재를 일정한 각속도에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이상적이게 하는 캠종동부의 곡선 통로의 말단부를 실제로 따를 수 있다. 이상적인 곡선 통로의 말단부는 비교적 직선이고 다시말해서 중간부(회전부포함)만큼 심하게 굽지 않아서 제11도의 회전 장치(100)의 캠 표면(108,112)에 따르기에 적합하며,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은 제9도의 이상적인 곡선 통로를 따라 실제로 제1 및 제2캠종동부가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한다. 제1캠종동부는 먼저 제1직선 캠 표면 A에 결합하고 그 다음에 제2캠종동부는 제2직선 캠 표면에 결합한다. 따라서 인스턴트 회전 장치는 거의 일정한 각 속도에서 회전되고 선회될 수 있다.
만일 인스턴트 회전 장치가 컨베이어 시스템 같은 이송 라인에서 물체가 이송되는 동안 물체의 회전용으로 사용된다면, 회전 장치의 일정한 각 속도는 방해를 받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이상적인 곡선 통로의 회전부에 대응하는 점에서 회전 속도가 갑자기 변화되는 이유 때문에 회전 장치로부터 물체의 환치나 낙하가 일어나게 된다. 더 나아가, 직선 캠 표면을 갖는 단일의 캠의 사용은 저비용으로 회전 장치의 제조를 쉽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상에서, 제1 및 제2캠종동부는 원통형이고, 회전 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한 중심선에 위치하고, 중심선의 연장선은 회전축상의 중심을 갖는 아아크상에 놓여진 각각의 두개의 점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상에서, 회전 장치는 제3캠종동부와, 제3캠 및 제4캠을 포함한다. 3개의 캠종동부는 제2캠종동부가 구비된 회전부재의 대향면의 다른 표면상에 구비된다. 제2 및 제3캠종동부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90°각도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제1캠종동부는 원주 방향에서 45°각도로 제2 및 제3캠종동부로부터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다. 제3 및 제4캠은 각각 선형 통로에 대해 제1 및 제2캠의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과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3 및 제4직선 표면을 갖는다. 제3 및 제4캠은 선형통로를 따라 이동 부재의 운동 방향에서 제1 및 제2캠에 관련되어 간격을 갖고 떨어져 위치한다. 제1 및 제3캠종동부는 회전 부재가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과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캠종동부의 제1방향에서 90°도로 선회된후 이동 부재가 이동할 때,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에서 90°각도로 선회하는 회전 부재에 의해 제3 및 제4직선 캠 표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상에서, 회전 부재는 부채꼴 형상인 부채꼴 평면 부재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전 부재의 회전축은 부채꼴의 중심상에 놓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상에서, 회전 장치는 제1 및 제2정지면을 갖는다. 제1정지면은 제2캠상에 구비되고, 제2직선 캠 표면의 단부로부터 선형 통로까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정지면은 정지 부재상에 구비되고, 선형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정지면은 선형 통로를 따라 회전 부재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제2직선 캠 표면에 의해 발생되는 제1방향에서 회전 부재의 선회 운동을 정지하도록 제1캠종동부와 결합한다. 제1정지면은 회전 부재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에서 회전 부재의 선회 운동을 정지하도록 제2캠종동부와 결합한다. 그래서, 회전 부재는 제1 및 제2방향에서의 선회운동이 제1 및 제2정지면에 의해 정지될 때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상에서, 회전 장치는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제1연결 부재와, 제1연결 부재와 맞물려 있는 정지된 제2연결 부재 및,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연결 부재를 평향시키기 위한 편향수단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연결 부재는 연결 표면을 가지며, 90°간격으로 떨어진 제1 및 제2각도상에서 회전 부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밀접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연결 부재는 먼저 서로 떨어져서 이동하며 제1연결 부재가 90°간격으로 떨어진 각도에서 제1 및 제2중의 하나로부터 제2연결 부재에 대해 회전될때 서로를 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상에서, 회전 장치는 회전 부재에 고정된 포스트가 구비되고, 포스트는 회전 부재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된다. 포스트는 물체를 90°회전시키기 위한 지지용으로 상단부에 지지기부를 갖는다.
이동 부재는 안내 수단의 길이 방향에서 안내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안내 수단은 캐리어의 폭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평행한 한쌍의 제1레일과, 한쌍의 제1레일 보다 넓은 간격으로 캐리어의 폭의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평행한 한쌍의 제2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평행한 제2레일은 한쌍의 평행한 제1레일의 길이 부분의 표면으로 연장된다. 캐리어는 캐리어를 지지하도록 평행한 한쌍의 제2레일과 결합된 휠을 갖는다. 캐리어는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과 연결되고, 체인과 함께 움직인다.
상술된 캐리어를 갖는 이상적인 복수의 캐리어는 컨베이어 라인에서 통합되고, 캐리어는 안내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의 캐리어는 각각의 캐리어의 하나상에 구비된 선회 가능한 훅크와 체인 사이의 결합에 의해 체인과 연결되며 트랙터 부재는 다른 각각의 캐리어 체인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캐리어는 종동 캐리어가 예정된 값보다 짧은 거리에 의해 관련된 캐리어에 접근될때 종동 캐리어의 선회가능한 훅크 상에서 작용되는 결합 해체 수단을 포함하며, 이 결합 해체 수단에 의해 선회가능한 훅크와 종동 캐리어의 트랙터 부재사이의 결합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다른 목적들,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결시켜 숙고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되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범퍼가 이송되는 동안 차량 범퍼상에서 페인팅 작동이 되도록 적합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통합된 본 발명의 90°회전 장치의 적합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범퍼 컨베이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10을 가리킨다.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다수의 캐리어(12)를 갖는다. 캐리어(12)는 작업 플로어(14) 아래에 위치한 컨베이어 시스템(10)의 체인 컨베이어(16)에 의해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체인 컨베이어(16)는 볼트로 죄어진 브래킷(18)을 갖는다. 브래킷(18)은 훅크(22)가 샤프트(20)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샤프트(20)에 의해 이에 부착된 선회가능한 트랙터 훅크(22)를 갖는다. 트랙터 훅크(22)는 제1도의 작동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위치한 훅크에 의한 중추(24)를 포함하며 훅크(22)는 캐리어(12)의 몸체(2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트랙터 바아(28)와 결합한다. 상기 후크(22)는 체인 컨베이어(16)의 체인에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되어 있으며, 체인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왼쪽으로 이송됨에 따라 일제히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들 다수의 후크(22)중 몇개가 캐리어(1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 캐리어(12)가 체인에 인장되어 왼쪽으로 이동한다.
캐리어(12)의 몸체(26)아래에는, 종동 캐리어가 예정된 값보다 짧은 거리에 의해 인스턴트 캐리어에 가까워지면 예를들어, 인스턴트 캐리어(12)가 정지하는 동안 종동 캐리어(12)의 트랙터 훅크(22)상에서 적합한 작동이 되도록 결합 해제장치(30)가 구비되며, 반면에 인스턴트 캐리어(12)는 정지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캐리어(12)의 트랙터 훅크(22)는 선행 캐리어(12)의 결합체 장치(30)의 배면 단부상에 인접한 아암(32)을 가지므로, 트랙터 훅크(22)는 사프트(20)에 대해 트랙커 바아(28)로부터 해제될 트랙터 훅크(22)를 발생시키는 방향에서 결합 해제 장치(30)에 의해 선회된다. 그것에 의해 선회된 트랙터 훅크(22)를 갖는 캐리어(12)는 두 개의 인접한 캐리어(12,12)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정지되고, 체인 컨베이어(16)으로부터 분리된다.
각각의 캐리어(12)의 몸체(26)에는 두개쌍의 캐리어 로울러(34)가 구비되며, 캐리어 로울로쌍들은 캐리어(12)의 운동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캐리어 로울러(34)는 수평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부러진 결합에서 채널 스틸의 한쌍의 안내레일(36)에 의해 안내된다. 캐리어(12)는 한쌍의 안내레일(36)사이의 수직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한쌍의 안내 로울러(38)를 갖는다. 특히, 캐리어(12)는 몸체(26)에 고정된 한쌍의 브래킷(40)을 갖는다. 안내 로울러(38)는 각 브래킷(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두개의 브래킷(40)상에 위쪽으로 연장된 포스트(44)로부터 중심부를 갖는 평판(42)이 고정되어 있다.
포스트(44)는 플로어(14)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작업 플로어(14)로 연장된다. 포스트(44)는 범퍼(46) 지지용으로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기부(48)를 갖는다. 지지기부(48)는 고정구(52)상에 구비된 고정 구멍과 결합하기 적합한 두개의 지지 바아(50)를 갖는 대향 단부에 구비된다. 범퍼(46)는 지지기부(48)에 위치된 고정구 (52)상에 장착된다.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포스트(44)의 하단부에 고정된 90°회전 장치(54)(하기에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임)의 회전 부재(56)와 제1연결 부재(58)가 배열되어 있다. 제1연결 부재(58)는 제2연결 부재(59)의 유사하게 형성된 표면과 맞물려서 굴곡된 연결 또는 결합 표면을 갖는다. 제2연결 부재(59)는 평판(42)에 고정되어 있다. 포스트(44)의 하단부는 제2연결 부재(59)와 평판(42)을 통해서 미끄럼 가능하게 연장된다. 그러므로 제1연결 부재(58)와 회전 부재(56)는 하나의 세트로써 회전되며, 이것에 의해 포스트(44)의 지지기부(48)상의 범퍼(46)는 제1연결 부재(58)와 회전 부재(56)와 함께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12)는 포스트(44)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56)를 지지하는 이동 부재(56)상에 구비된다.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는 제1연결 부재(58), 회전 부재(56), 포스트(4 4), 고정구(52) 및 범퍼(46)를 포함하는 매스의 중추때문에 두개의 완전히 결합된 위치중 하나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완전히 결합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는 포스트(44)의 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밀접되어 있다.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의 굴곡된 연결 표면은 제1연결 부재(58)가 제2연결 부재(59)로부터 떨어져서 먼저 위쪽으로 이동하며, 그 다음에 제1연결 부재(58)가 완전히 결합된 위치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제2연결 부재(59) 관련되어 포스트(44)와 함께 회전될때 제2연결 부재(59)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즉, 2개의 연결 부재(58,59)는 두 개의 90°간격으로 떨어진 각형상을 갖는다.
포스트(44)는 평판(42)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된 두개의 지지 부재(64)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판(62)에 의해 또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판(62)은 지지부재(64)의 대향 측면상의 위치된 두쌍의 휠(66)을 갖는다.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휠(66)은 캐리어(12)의 선형 통로의 대향 측면상에 구비된 각 프레임(68)에 부착된 한쌍의 안내레일(70)상에 회전한다. 휠(66)은 캐리어 로울러(34)보다 큰트레드를 가지며, 따라서, 캐리어(12)가 증가된 안정성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범퍼(46)의 흔들리거나 덜걱덜걱거리는 운동을 보호한다. 안내레일(70)은 캐리어(12)의 선형 통로의 부분상에 구비되며, 페인팅 작동은 범퍼(46)상에서 안내된다. 휠(66)은 캐리어(12)의 이동을 안전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범퍼(46)의 흔들거리거나 덜걱덜걱 거리는 운동없이 페인팅 작동을 허용한다. 캐리어(12)가 안내레일(70) 상에서 회전하는 휠(66)과 함께 이동하는 동안, 케리어 로울러(34)는 안내레일(36)로부터 떨어져 유지된다.
제5도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90°회전 장치의 회전 부재(56)(하기에서는 회전 부재(56)로써 참조)는 제5도의 평면도에서 도시된 부채꼴 형상의 평면부재이다. 회전 부재(56)는 작업 플로어(14)에서 멀리있는 대향하는 하나의 주요 표면상에 형성된 핀 모양의 제1캠종동부(72)를 갖는다. 회전 부재(56)는 작업 플로어(14)의 측면상의 다른 주요 표면상에 형성된 핀 모양의 제2 및 제3캠종동부(74,76)를 갖는다. 두개의 핀 모양의 캠종동부(74,76)는 부채꼴 회전 부재(56)의 부채꼴 아아크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다. 즉, 핀(74,76)은 포스트(44)의 축에 대해 부채꼴의 원주 방향에서 90°각도에 의해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핀(72)은 핀(74,76)사이의 중간부분에 위치한다. 즉, 회전 부재(56)의 원주 방향에서 45°각도에 의해 핀(74,76)으로부터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안내레일(70)중 하나는 페인팅 작동을 받는 범퍼(46)의 위치에 브래킷(77)을 제공한다. 브래킷(77)에는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1캠(78)과 제2캠(80)이 부착되어 있다. 제1캠(78)은 제1캠종동부(72)와 결합하는 제1캠 표면(82)을 갖는 반면에, 제2캠(80)은 제2캠종동부(74)와 결합하는 제2캠 표면(84)을 갖는다. 제1캠 표면(82)은 경사면이 선형 통로를 따라 포스트(44)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될 때 포스트(44)[체인 켄베이어(16)]의 선형 통로(l1)(제5도)에 접근되도록 기울어진 직선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캠(78,80)은 포스트(44)[회전 부재(56)의 선회축]의 회전축(l2)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고 있다. 제5도애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56)(포스트(44))가 선형 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제1캠종동부(72)는 제1캠(78)의 제1캠 표면(82)과 먼저 접촉한다.
포스트(44)가 제1캠 표면(82)과 접촉하고 있는 핀(72)을 갖는 선형 통로(l1)를 따라 이동할때, 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 부재(56)는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된다. 포스트(44)가 [회전부 부재(56)]가 제2캠(80)의 제2캠 표면(84)과 접촉하는 제2캠종동부(74)의 위치에 도달했을때, 제1캠종동부(72)는 제1캠 표면(82)으로부터 떨어진다. 포스트(44)의 움직임과 더불어, 회전 부재(56)는 제2캠 표면(84)을 갖는 제2캠종동부(74)의 결합을 통해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된다. 회전 부재(56)의 선회 운동의 진행에 있어서, 포스트(44)는 언제나 핀(72,74,76)을 안내한다. 제2캠종 동부(74)가 제2캠 표면(84)의 단부에 도달했을 때, 즉, 회전 부재(56)가 90°로 회전될때, 제1캠종동부(72)는 캠(78,80)으로부터 떨어진 안내레일(70)의 측면에 부착된 정지 부재(86)의 정지면(87)과 접촉한다.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부재(56)의 선회 운동이 방해된다.
이와는 반대로, 왼쪽 방향으로 회전 부재(56)의 선회 운동은 제2캠(80)상에 형성된 정지면(88)을 갖는 제2캠종동부(74)의 결합에 의해 보호된다. 정지면(87,88)이 포스트(44)의 선형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56)는 선형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허용되고, 반면에 오른쪽과 왼쪽방향으로의 선회 운동은 방해받는다.
제1 및 제2캠 표면(82,84)의 경사각은 제7도에서 직선 A와 B로 표시되어 있으며, 캠종동부의 이상적으로 굴곡된 통로의 말단부는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었다. 이상적으로 굴국된 통로의 말단부는 굴곡된 통로의 모든 부분의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 캠 표면(82,84)의 사용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 굴곡된 통로를 갖는 캠종동부(72,74)의 실제로 연장된 통로의 충분한 접근을 허용하며, 회전 부재(56)가 일정한 각 속도에서 선회되도록 하게 한다. 인스텐트 회전 장치(54)에 있어서, 회전 부재(56)의 이동이 핀(72,74)(캠종동부)을 허용하는 동안 각각 두개의 캠 표면(82,84)을 갖는 두개의 핀(72,74)의 결합은 이상적인 통로를 따라 이동하고, 그것에 의해, 90°선회 운동을 통해 도중에서 가속화되고 회전 부재(56)[핀(72,84)]를 예방한다.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3캠(90)과 제4캠(92)은 회전 부재(56)의 운동 방향에서 제1 및 제2캠(78,80)과 관련되어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3 및 제4캠(90,92)은 정지 부재(86)가 부착된 안내레일(7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캠(90,92)은 제1 및 제2캠(78,80)에 대향하는 선형통로(l1)의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캠(90,92)은 포스트(44)의 선형통로에 대하여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82,84)과 대칭적으로 경사진 제3 및 제4직선 캠 표면(91,93)을 갖는다. 회전 부재(56)가 정지면(87,88)을 떠난후, 제1캠종동부(72)는 제3캠 표면(91)과 접촉하고, 그 다음에, 제3캠종동부(76)는 제4캠 표면(93)과 접촉하며, 이것에 의하여 회전 부재(56)는 왼쪽 방향으로 90°선회된다. 이런식으로 회전 부재(56)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회전 장치(54)의 회전 부재(56)가 체인 컨베이어(16)에 의해 선형 운동하는 동안 선회될때, 포스트(44)상에 지지된 범퍼(46)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작동된다.
캐리어(12)가 범퍼(46)상에서 페인팅 작동 일어나는 위치에서 체인 컨베 이어(16)에 의해 이동될때, 캐리어 로울러(34)는 안내레일(36)에서 떨어지고, 휠(66)은 안내레일(70)상에서 회전을 시작하며, 이것에 의해 범퍼(46)는 범퍼(46)의 길이가 선형 운동의 방향[포스트(44)의 운동 방향]에 수직하도록 정확하게 위치되어질때 운송된다. 이 상태에서, 범퍼(46)의 단부면을 범퍼 컨베이어(10)의 대향 측면상에 배치된 2개의 페인팅 장치에 의해 페인트 된다. 범퍼(46)의 단부면의 페인팅 종결후, 제1캠종동부(72)는 제1캠 표면(82)과 결합하여 들어가고, 회전 부재(56)의 오른쪽 방향 선회 운동은 방해 받는다. 회전 부재(56)에 고정되어 제2연결 부재와 정상적으로 완전히 결합된 제1연결 부재(58)는 회전 부재(56)가 오른쪽으로 선회될때 포스트(44)와 함께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제1연결 부재(58)는 회전 부재(56)가 오른쪽으로 선회될때 포스트(44)와 함께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제1연결 부재(58)의 굴곡된 연결 표면은 회전 부재(56)에 가하는 힘으로 제2연결 부재(59)의 결합된 굴곡 연결 표면상에서 미끄러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 부재(56)는 제2캠종동부(74)가 제2캠(80)의 제2캠 표면(84)의 상단부에 도달할때, 포스트(44)에 대하여 90°로 선회하며, 이것에 의해 포스트(44)상의 범퍼(46)는 범퍼(46)의 길이가 캐리어(12)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90°로 선회된다. 범퍼(46)가 거의 일정한 각 속도록 선회 되므로, 범퍼(46)는 90°선회 운동중에 고정구(52)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떨어지지도 않을 것이다. 범퍼(46)의 선회 운동후, 범퍼(46)의 길이 방향 표면은 페인팅 장치에 의해 페인팅 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정된 실시예가 설명되어질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부재(56)가 선형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회전 부재(56)는 90°로 선회되며, 포스트(4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72,74,76)의 형상으로 제1, 제2 및 제3캠종동부를 유도한다. 그러나 회전 부재(56)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종동부(72,74,76)가 포스트(44)를 유지하도록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제1캠(94)은 제1캠종동부(72)와 결합하는 제1직선 캠 표면(96)을 갖으며, 제2캠(98)은 제2캠종동부(74)와 결합하는 제2직선 캠표면(100)을 갖는다.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96,100)은 경사져 있으며 제2캠종동부(74)는 제1캠종동부(72)가 제1직선 캠 표면(96)의 단부에 도달할때 제2직선 캠 표면(100)과 결합하며, 회전 부재(56)는 제2캠종동부(74)가 제2직선 캠 표면(100)의 단부에 도달할때 90°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서, 캠종동부는 캠종동부(72,74,76)는 캠종동부와 직선 캠 표면(96,100)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회전 부재(56)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적합한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범퍼 컨베이어(10)를 적용하여 적합한 실시예로 설명된 반면에, 본 발명은 적합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서 한정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수정 및 개량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따른 90°회전 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의 범퍼 컨베이어(10)보다 다른 다양한 형태의 장비와 장치가 적절하다. 비록 핀(72,74,76)이 캠 표면과 결합된 캠종동부로써 사용될지라도, 핀(72,74,76)은 회전 부재(56)상에 지지되는 회전 가능한 적합한 로울러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선형통로(l1)를 따라 이용하는 이동 부재(12)와, 이동 부재(12)가 선형통로(l1)를 따라 이동할때 선형통로(l1)에 수직한 회전축(l2)에 대해 90°각도로 선회되는 회전 부재(56)를 포함하는 90°회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56)의 대향면중 한 면상에 구비된 제1캠종동부(72)와, 상기 회전 부재(56)의 대향면중 다른 면상에 구비된 제2캠종동부(74)와, 상기 선형통로(l1)에 대해 경사져서 상기 제1캠종동부(72)와 결합하는 제1직선 캠 표면(82,96)을 갖는 제1캠(78,94) 및, 상기 회전 부재(56)의 회전축(l2)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1캠(78,94)과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제2캠(80,98)을 포함하며, 상기 제2캠(80,98)은 상기 제2캠종동부(74)와 결합되는 제2직선 캠 표면(84,100)을 갖고, 상기 제2직선 캠 표면(84,100)은 상기 이동 부재(12)가 상기 선형 통로(l1)를 따라 이동할때 상기 제2캠종동부(74)가 상기 제1캠종동부(72)와 같은 방향에서 상기 선형통로(l1)에 수직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선형 통로(l1)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캠(78,80,94,98)은 제1캠종동부(72)와 제1직선 캠 표면(82,96) 사이에서 연결 작용이 끝날때 제2캠종동부(74)와 제2직선 캠 표면(84,100)사이의 연결 작용이 시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56)의 회전축(l2)중 하나와 각각의 제1 및 제2캠종동부(72,74)는 상기 이동 부재(12)가 상기 선형 통로(l1)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회전축중 다른것과 각 캠종동부를 안내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캠종동부(72,74)는 원통형이고, 이의 중심선은 회전 부재(56)의 회전축(l2)에 평행하며 중심선의 연장선은 상기 회전축(l2)상의 중심을 갖는 아아크상에 놓여진 각각 두점을 통과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3캠종동부(76)와 제3캠(90) 및 제4캠(92)을 더 포함하며, 제3캠종동부(76)는 제2 및 제3캠종동부(74,76)가 회전 부재(56)의 회전축(l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90°각도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회전 부재(56)의 대향면의 다른 면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캠종동부(72)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45°각도로 제2 및 제3종동부(74,76)로부터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상기 제3 및 제4캠(90,92)은 각각 선형통로(l1)에 대해 제1 및 제2캠(78,80)의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82,84)과 대칭인 제3 및 제4직선 캠 표면(91,93)을 갖으며, 상기 제3 및 제4캠(90,92)은 선형통로(l1)를 따른 이동 부재(l2)의 운동 방향에서 제1 및 제2캠종동부(78,80)와 제1 및 제2직선 캠 표면(82,84)이 결합하는 제1방향에서 상기 회전 부재(56)가 90°로 선회한후 상기 이동 부재(l2)가 더 이동할 때 상기 제3 및 제4직선 캠 표면(91,93)과 결합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56)는 상기 제1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방향에서 90°각도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56)는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 평면 부재(5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중심에서 상기 부채꼴 형상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정지면(88)과 제2정지면(8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정지면(88)은 상기 제2직선 캠 표면(84)의 단부로부터 상기 선형 통로(l1)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2캠(8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정지면(87)은 상기 선형 통로(l1)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정지 부재(86)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정지면(87)은 상기 선형통로(l1)를 따라 상기 회전 부재(56)의 선형 운동을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제2직선 캠 표면(84)에 의해 발생되는 제1방향에서 상기 회전 부재(56)의 선회 운동을 방해하도록 상기 제1캠종동부(72)와 결합하며, 상기 제1정지면(88)은 상기 회전 부재(56)의 선형 운동을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에서 상기 회전 부재(56)의 선회운동을 방해하도록 상기 제2캠종동부(74)와 결합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56)는 상기 제1 및 제2방향에서 선회 운동이 상기 제1 및 제2정지면(88,87)에 의해 방해되는 동안 선형 통로(l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56)와 함께 회전되는 제1연결 부재(58)와, 제1연결 부재(58)와 맞물려있는 정지된 제2연결 부재(59) 및, 서로 향하고 있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44,48,52,4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는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가 90°간격으로 떨어진 제1 및 제2각도상에서 회전 부재(56)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최단거리에 놓여지며, 제1 및 제2연결 부재(58,59)가 서로 떨어져 먼저 이동하며 그런후, 제1연결 부재(58)가 90°간격으로 떨어진 제1 및 제2각도중 하나로부터 제2연결 부재(59)에 대해 회전될때 서로를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회전 부재(56)에 고정된 포스트(44)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44)는 범퍼(46)를 90°회전시키기 위한 지지용으로 상단부에 지지 기부(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l2)는 안내레일(36,7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안내레일(36,70)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 부재인 캐리어(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36,70)은 상기 캐리어(l2)의 폭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제1레일(36)과 상기 한쌍의 제1레일보다 넓은 간격으로 캐리어(l2)의 폭의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제2레일(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행한 한쌍의 제2레일(70)은 평행한 한쌍의 제1레일(36)의 길이 부분의 표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캐리어(12)는 캐리어(12)를 지지하도록 평행한 한쌍의 제2레일(70)과 결합된 휠(6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2)는 체인 컨베이어(16)의 체인에 연결되어서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2)를 갖는 이상적인 복수의 캐리어(12)는 상기 제2레일(70)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 캐리어(12)는 상기 각 캐리어(12)와 체인(16)중 하나상에 구비된 선회가능한 훅크(22)와 상기 캐리어(12)와 체인(16)중 다른 것상에 구비된 트랙터 부재(28)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인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캐리어(12)는 상기 종동 캐리어(12)가 예정된 값보다 짧은 거리에 의해 각 캐리어(12)에 접근될때 종동 캐리어의 선회가능한 훅크(22)상에서 작용되는 결합 해제 수단(30)을 포함하며 이 결합 해제 수단에 의해 선회 가능한 훅크(22)와 상기 종동 캐리어(12)의 상기 트랙터 부재(28)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회전 장치.
KR1019880010218A 1987-08-11 1988-08-11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KR920000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23020U JPH0524650Y2 (ko) 1987-08-11 1987-08-11
JP?62-123020 1987-08-11
JP123020 1987-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10A KR890003610A (ko) 1989-04-15
KR920000777B1 true KR920000777B1 (ko) 1992-01-23

Family

ID=1485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218A KR920000777B1 (ko) 1987-08-11 1988-08-11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86155A (ko)
JP (1) JPH0524650Y2 (ko)
KR (1) KR920000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974A (en) * 1989-02-01 1991-06-18 Conveyor Co. Of Australia Pty. Ltd. Rot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750606Y2 (ja) * 1990-09-10 1995-1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封装置
JPH04171430A (ja) * 1990-11-02 1992-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度調整装置
US5606915A (en) * 1995-04-06 1997-03-04 Ford Motor Company Power and free conveying system
US6273237B1 (en) * 1999-11-10 2001-08-14 Pri Automation, Inc. Rotating shuttle payload platform
US6435332B1 (en) * 2000-11-03 2002-08-20 Sig Pack, Inc., Doboy Division Conveyor module for simultaneous translation and rotation of products
JP6195951B1 (ja) * 2016-04-05 2017-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ーク反転装置の反転不良検知装置及び方法
CN108045861B (zh) * 2017-12-28 2023-11-21 北京朗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角度旋转机构
JP7084601B2 (ja) * 2018-01-17 2022-06-15 株式会社石野製作所 注文飲食物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0462A (en) * 1954-07-21 1958-04-15 Selas Corp Of America Apparatus for rotating work pieces moving through a furnace
US2928222A (en) * 1955-08-04 1960-03-15 Campbell Soup Co Packaging machine
US2952351A (en) * 1957-04-12 1960-09-13 Ransburg Electro Coating Corp Coating apparatus
US3097733A (en) * 1959-02-12 1963-07-16 Johnson & Johnson Automatic machine
US3269516A (en) * 1965-04-13 1966-08-30 Procter & Gamble Sheet turning mechanism
US4483526A (en) * 1980-01-30 1984-11-20 Mccain Manufacturing Corporation Turning conveyor and selected book signature turning method
JPS5761051A (en) * 1980-09-10 1982-04-13 Unitika Ltd Impact-resisting, heat-resisting, flame-retardant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E54255B1 (en) * 1982-06-29 1989-08-02 Unilever Plc Forming and handling sectioned products
JPH0233952B2 (ja) * 1982-09-03 1990-07-31 Nippon Suisan Kk Reitobutsutoridashisochi
JPS5969312A (ja) * 1982-10-06 1984-04-19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S6182872A (ja) * 1984-09-28 1986-04-26 Toyota Motor Corp 自動車大型部品の塗装方法
JPH0328008Y2 (ko) * 1985-11-28 1991-06-17
JPH0636928A (ja) * 1992-07-15 1994-02-10 Toshiba Corp 軟磁性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10A (ko) 1989-04-15
US4886155A (en) 1989-12-12
JPH0524650Y2 (ko) 1993-06-23
JPS6429325U (ko) 198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4681A (en) Tilting tray sorting system
US6394260B1 (en) Conveyor system including roller-guided carriage assemblies
KR920000777B1 (ko) 일정한 각속도의 수단을 갖는 90°회전 장치
JP2009504541A (ja) 改良されたタイミングコンベヤを与え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H06127681A (ja) 回転割出装置
GB2237257A (en) Diverter assembly for article conveyor.
WO2007127697A2 (en) Conveyor diverter
JPH0769418A (ja) サブグループにて互いに連結される摩擦駆動再循環パレットを備えたチェーンコンベヤ
US5207314A (en) Device for horizontally holding loading bases moving circulatively in vertical plane
WO2014003198A1 (e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s from a continuous glass sheet
JP2986775B2 (ja) 翼体を保持する装置
EP0083500B1 (en) Endless line conveyor
US6637342B1 (en) Conveyor carrier
US5261859A (en) Adjustable pulleys for mail sorting system
KR960013621B1 (ko) 한쌍의 요동훅을 이용한 파우어 앤드 프리 컨베이어
CA2114444C (en) Conveying system with conveyor chains
RU22863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сортировки панелей по высоте
JP2815188B2 (ja) 車体コンベヤ装置
JPH08277026A (ja) 物品搬送用チェーン
US5758581A (en) Conveyor system with rotary shaft propulsion
RU200313677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сортировки панелей по высоте
JPH0428615A (ja) ハンガユニツトの走行台車
KR200344109Y1 (ko) 도장 시스템
JPH05213427A (ja) チェーン駆動装置
JPS63196747A (ja) 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