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93B1 -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93B1
KR920000293B1 KR1019880007754A KR880007754A KR920000293B1 KR 920000293 B1 KR920000293 B1 KR 920000293B1 KR 1019880007754 A KR1019880007754 A KR 1019880007754A KR 880007754 A KR880007754 A KR 880007754A KR 920000293 B1 KR920000293 B1 KR 92000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
video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224A (ko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293B1/ko
Priority to NL8901606A priority patent/NL193044C/nl
Priority to GB8914651A priority patent/GB2221119B/en
Priority to JP1163608A priority patent/JPH0614704B2/ja
Priority to US07/371,828 priority patent/US5089898A/en
Priority to DE3921018A priority patent/DE3921018A1/de
Publication of KR90000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05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회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뮤트(Mute)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2 : 동기신호 분리신호
3 : 카메라부 4 : 뮤팅회로부
5 : 비디오블럭 SW1 : 장막기능스위치
R1 : 풀업(Pull up)저항 MS : 뮤트신호
V.SYNC : 수직동기신호 H.SYNC : 수평동기신호
본 발명은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VTR에 있어서, 연극무대에서 막이 오르고 내리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막 표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메라 일체형 VTR를 사용하여 촬영녹화시에는 처음시작부터 전체화면을 녹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하여 VTR의 화면을 윗부분부터 제거하여 완전히 없애거나, 또는 아래부분부터 발생하도록하여 완전한 화면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마치 연극무대에서 막이 오르고 내리는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여 시각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한 블럭구성도로서, 카메라 일체형 VTR의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았음) 및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진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3)와 이 카메라부(3)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중에서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여 마이컴(1)에 인가해주는 동기신호분리회로(2)와, 카메라부(3)에서 출력되어 비디오블럭(5)에 전달되는 비디오신호의 일부를 제거하도록하는 뮤팅회로부(4)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뮤팅회로부(4)는 장막기능스위치(SW1)가 눌려졌을 경우 마이컴(1)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MS)에 의해 동작하여 비디오블럭(5)에서 처리되는 비디오신호의 일부를 점차적으로 소멸시켜 재생시 모니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장막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바, 제1도중 R1은 풀업저항을 표시한다.
우선, 피사체 촬영하고자 할 경우, 카메라부(3)에서 촬영처리된 피사체에 대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블럭(5)에 제공되는 데, 이때 비디오블럭(5)에서는 피사체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에 녹화하도록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막기능을 수행토록하기 위한 장막기능스위치(SW1)를 누를경우 마이컴(1)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는바, 이때 마이컴(1)은 하이상태 뮤신호(MS)를 출력시켜 뮤팅회로부(4)를 작동시킨다. 그런데, 마이컴(1)은 카메라부(3)로부터의 비디오신호중 동기신호 분리회로(2)에 의해 검출된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기준으로 장막기능을 위한 뮤트신호(MS)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된 후 뮤트신호(MS)를 하이상태로하여 화면을 부분적으로 뮤팅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초기에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면, 뮤팅동작을 1수평동기신호(1H-Sync)동안만 하이신호를 내보내서 신호입력수(C)를 1개씩 증가시킴으로 스위치(SW1)를 누르고난뒤 2번째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면 2수평동기신호(2H-Sync)동안 뮤트신호(MS)를 하이상태로하여 뮤팅회로부(4)로 하여금 화면을 뮤팅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직동기신호(V-Sync)가 들어온 수(C)만큼의 수평동기신호수를 카운트하여 그 동안의 화면을 뮤트시켜 화면을 윗부분부터 제3도와 같이 삭제하여 장막기능을 수행토록하는바,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장막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컴(1)의 제어플로우챠트인바, 장막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피사체의 촬영시 장막기능스위치(SW1)를 누르면 마이컴(1)은 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스텝(101)에서 스텝(102)으로 진행시켜 수직동기신호(C)가 1개임을 인식하게 되지만, 장막기능스위치(SW1)가 눌려지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스텝(101)에서 스텝(103)으로 진행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장막기능스위치(SW1)가 눌려진후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3a도와 같이 전체의 피사체화면이 비디오블럭(5)에서 처리되어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될 수가 있다.
그런데, 장막기능스위치(SW1)가 눌려진뒤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면(스텝104), 마이컴(1)은 뮤트신호(MS)를 하이상태 “H”로하여 화면의 장막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스텝 105,106), 제3도에서 N은 화면의 장막기능이 수행되는 수직폭을 표시한다. 첫번째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어 들어온 수(C)만큼의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되면(스텝107), 장막기능을 위한 수직폭(N) 점차적으로 증가되는바(스텝 108), 이러한 계수(N)가 수직동기 입력수(C)보다 클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109)에서 스텝(110)으로 진행되는데, 여기에서 수직동기 입력수가 260개를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 마이컴(1)은 장막기능스위치(SW1)가 오프되었나를 체크하게 된다. 만약에 장막기능스위치(SW1)가 오프되지 않고 계속 온되어 있을 경우(스텝 111), 마이컴(1)은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수(C)를 증가시킨뒤 프로그램을 스텝(112)에서 스텝(104)으로 복귀시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예컨데 C=50일 경우 화면의 상태는 제3b도와 같이 윗부분이 약간 줄어들고, C=120일 경우 약 절반가량의 삭제되며, C=180일 경우에는 화면의 2/3 가량이 없어지게 되며, C=260일 경우에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신호가 전혀 없게 되는바, 이 경우 뮤팅회로부(4)에서는 블루화면신호를 발생시켜 비디오블럭(5)에 혼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막기능 수행시 제3c도가 260이 아닌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막기능을 오프시키고자 할 경우 장막기능 스위치(SW1)를 오프시키면 마이컴(1)은 뮤트신호(MS)를 로우상태 “L”로 하도록 프로그램은 스텝(111)에서 스텝(113)으로 진행되어 장막기능은 정지되고, 카메라부(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비디오블럭에서 전량처리되어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3도의 화면이 완전히 없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은 1수평동기신호(1V-Sync)가 약 60㎐이므로 260×1/60=4.3초 정도이다.
한편, C=260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막기능 스위치(SW1)를 다시 한번 누르면, 프로그램은 스텝(114)으로 진행된뒤 마이컴(1)은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는가를 감지하게된다. 그러면 마이컴(1)은 뮤트신호(MS)를 하이 “H”로하여 하면의 장막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하게된다(스텝 116,117). 이때 첫번째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어 들어온 수 만큼의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되면(스텝 118)장막기능을 위한 수직폭(N)은 점차로 감속하게 된다(스텝 119). 이때에는 장막기능은 화면의 밑에서부터 윗쪽으로 수행된다. 즉, 화면에는 영상신호가 밑부분부터 점차적으로 상승되면서 표시된다.
이때, 계수(N)가 수직동기 입력수(C)보다 작을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스텝(120)에서 스텝(121)으로 진행되므로써 마이컴(1)은 뮤트신호(MS)를 로우“L”로하고, 수직동기신호의 수(C)를 감소시킨뒤(스텝 122), 이것이 “0”인가를 판단하여 “0”이 아닐 경우에는 장막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은 스텝(123)에서 스텝(115)로 리턴된다.
예컨데 C=260일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은 화면에는 영상신호가 전혀 표시되고 있지 않다가 C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C=1이 되면 화면에는 영상신호가 모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C=0일 경우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 촬영녹화시 비디오 화면을 윗부분부터 점차적으로 없애거나, 아랫부분부터 생기게하여 완전히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연극무대에서 막이 오르고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 표출방법에 있어서 : 자막기능 스위치(SW1)의 초기작동시에 카메라부(3)에서 촬영된 비디오신호중에서 동기신호분리회로(2)에 의해 분리된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될 경우 뮤팅회로부(4)에 뮤팅신호(MS)를 제공하여 그로하여금 비디오블럭(5)에서 처리되는 카메라부(3)의 비디오신호를 화면의 상측으로부터 삭제하며; 상기의 삭제되는 영상신호가 화면의 최저부분까지 삭제된 후 장막기능스위치(SW1)가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었을 경우 뮤팅회로부(4)로 하여금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되는 영상신호를 최저부분부터 최고부분으로 다시 생기게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KR1019880007754A 1988-06-27 1988-06-27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KR92000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54A KR920000293B1 (ko) 1988-06-27 1988-06-27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NL8901606A NL193044C (nl) 1988-06-27 1989-06-26 Video-onderdrukkingsstelsel voor een videocassetteregistreerinrichting die is gecombineerd met een videocamera.
GB8914651A GB2221119B (en) 1988-06-27 1989-06-26 Video blanking system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combined with a video camer a
JP1163608A JPH0614704B2 (ja) 1988-06-27 1989-06-26 カメラ一体型vtrにおける画面の垂れ幕表出システム
US07/371,828 US5089898A (en) 1988-06-27 1989-06-27 Video blanking system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combined with a video camera
DE3921018A DE3921018A1 (de) 1988-06-27 1989-06-27 Video-stummschaltvorrichtung fuer einen video-kassettenrecorder in verbindung mit einer video-k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54A KR920000293B1 (ko) 1988-06-27 1988-06-27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24A KR900001224A (ko) 1990-01-31
KR920000293B1 true KR920000293B1 (ko) 1992-01-11

Family

ID=1927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754A KR920000293B1 (ko) 1988-06-27 1988-06-27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89898A (ko)
JP (1) JPH0614704B2 (ko)
KR (1) KR920000293B1 (ko)
DE (1) DE3921018A1 (ko)
GB (1) GB2221119B (ko)
NL (1) NL1930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0745A1 (en) * 1991-06-10 1992-12-11 Hiroyuki Hashimoto Video camera, video camera device and adopter used therewith
KR940010173B1 (ko) * 1991-12-09 1994-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카메라의 장막기능 제어장치
US5194951A (en) * 1991-12-16 1993-03-1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leep timer arrangement for a television receiver
JPH0638119A (ja) * 1992-06-15 1994-02-10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
JPH09107501A (ja) * 1995-05-30 1997-04-22 Daewoo Electron Co Ltd Tvの電源オン/オフ時の画面寸法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2120A (en) * 1977-05-18 1978-12-11 Tokyo Hoso:Kk Special effect signal generator
JPS5671868A (en) * 1979-11-14 1981-06-15 Canon Inc Video recorder
US4395733A (en) * 1981-01-26 1983-07-26 Elenbaas William J Television special effects circuit for wiping video signals
US4488180A (en) * 1982-04-02 1984-12-11 Chyron Corporation Video switching
JPS6021676A (ja) * 1983-07-18 1985-02-04 Hitachi Ltd ビデオカメラ
JPS60199276A (ja) * 1984-03-24 1985-10-08 Sony Corp 特殊効果発生装置
JPS61138290A (ja) * 1984-12-10 1986-06-25 大日本スクリ−ン製造株式会社 モニタ画面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79435B2 (ja) * 1985-06-20 1995-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S6282777A (ja) * 1985-10-07 1987-04-16 Sharp Corp 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ワイプ動作表示装置
JPH088660B2 (ja) * 1985-12-16 1996-01-29 ソニー株式会社 フエ−ダ−装置
JPS6378678A (ja) * 1986-09-20 1988-04-08 Sony Corp 記録装置
US4780763A (en) * 1987-03-27 1988-10-25 The Grass Valley Group, Inc. Video special effects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21018C2 (ko) 1991-09-26
US5089898A (en) 1992-02-18
GB8914651D0 (en) 1989-08-16
GB2221119A (en) 1990-01-24
KR900001224A (ko) 1990-01-31
NL8901606A (nl) 1990-01-16
DE3921018A1 (de) 1989-12-28
NL193044B (nl) 1998-04-01
JPH0614704B2 (ja) 1994-02-23
JPH0252578A (ja) 1990-02-22
GB2221119B (en) 1992-07-08
NL193044C (nl) 199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158B1 (ko) 자동 채널 샘플링 픽쳐-인-픽쳐 회로
JP4044571B2 (ja) Osdメニューを表示する映像撮影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04072132A5 (ko)
KR0160702B1 (ko) 일체형 더블/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매트릭스 방식의 입.출력원선택방법 및 그 장치
JP4503598B2 (ja) 画質制御装置、その方法、画質処理装置、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920000293B1 (ko)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의 장막표출방법
JP3289892B2 (ja) 信号切換出力装置
JP2008147862A (ja) 撮像装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021642A1 (en)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JP2019208252A (ja) 画像再生装置
KR100258103B1 (ko) 감시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장치
JP3263953B2 (ja) 輝度制御回路
KR100200824B1 (ko) 영상 페이드 속도 제어회로
KR0147984B1 (ko) 와이드 브이 씨알의 오 에스 디 장치
KR950006447B1 (ko) 캠코더의 온스크린 표시화면 녹화 제어방법
JP2000195243A (ja) 自動録画システム、自動録画システムに対応した映像音声記録装置及び映像音響機器
KR0162580B1 (ko) 화면 안정화 방법
US7865056B2 (en) Method of controlling special playback mode of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0169698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약신호검출에 따른 부화면 재생장치
JP2819815B2 (ja) 自動パワーオフ回路
JP2000333044A (ja) 表示操作装置及び設定状態表示方法
KR970002992B1 (ko) 무입력신호시 텔레비전의 휘도제어장치
JPH05249940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カーソル表示装置
KR100236114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준 신호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