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055B1 -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055B1
KR910010055B1 KR1019890010082A KR890010082A KR910010055B1 KR 910010055 B1 KR910010055 B1 KR 910010055B1 KR 1019890010082 A KR1019890010082 A KR 1019890010082A KR 890010082 A KR890010082 A KR 890010082A KR 910010055 B1 KR910010055 B1 KR 910010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temperature
cold rolled
ann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21A (ko
Inventor
윤정봉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9001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055B1/ko
Publication of KR91000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강, 비교강 및 발명강에 대한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발명강의 전자현미경 조직사진.
제3도는 발명강의 석출물의 EDS 분석사진.
제4도는 비교강의 전자현미경 조직사진.
제5도는 비교강의 석출물의 EDS 분석사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 외판 및 가전제품에 응용되는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고 소둔 방식에 의하여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법으로 저탄소 알루미늄 킬드강을 상소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이 상소둔방법은 소둔중 알미늄석출물(AIN)의 석출로[111] 접합 조직을 발달시켜 성형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소둔방법으로 제조된 저탄소 알미늄킬드강의 경우 성형성은 대체로 우수하지만 극저탄소강을 제외하고는 항복 강도가 높아 가공 후 형상동결성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장시간 가열 및 냉각으로 연속 소둔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저탄알미늄킬드강을 연속소둔할 경우 급속가열 및 냉각으로 수둔중 알미늄 석출물의 석출에 의한 {111}집합 조직의 발달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상소둔재에 비해 성형성이 매우 열등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극저탄소강에 강력한 탄·질화물 형성 원소를 첨가한 여러 강종을 연속소둔으로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극저탄소강에 특수 원소를 첨가한 강은 연속소둔시 집함 조직의 발달로 성형성 및 형상 동결성이 우수하고, 비시효 특성을 갖지만, 강중 탄소함량이 매우 낮으므로 인(p)의 입계편석에 의한 가공 크랙의 발생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제강 과정에서 탄소함량을 극저로 낮추기 위해 취련시간이 매우 길어야하므로 생산성의 저하와 함께 생산성의 저하와 함께 생산비의 상승 요인이 되는 등 이에 따른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저탄소 알미늄킬드강을 이용하여 성형성 및 형상 동결성이 우수하며 비시효성인 냉연강판을 연속소둔 방식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 0.011-0.25%, Mn : 0.1%이하, sol.Al : 0.03-0.1%, Ti :0.08-0.15% 및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Ti이 (Ti/48)(C/12+N/14+S/32)=0.8-1.5인 저탄소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1000-1300℃에서 1-2시간 유지한 후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하고, 600℃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80%의 입하율로 냉간압연한 후,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연속소둔하는 형상 동결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소가 0.011%이하인 경우에는 탄소함량이 낮아 재질 측면에서는 유리하겠지만 강중의 탄소함량을 0.011%이하로 낮추기 위해서는 제강 공정에서 취련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아지고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Ti(Fe.P)계 석출물이 석출하지 않으므로, P의 입계편석에 의한 가공 크랙 발생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 하한치를 0.011%로 제한하였으며, 탄소함량이 0.025%이상인 경우에는 소둔판의 결정립이 미세하여 연신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항복 강도가 높아 형상 동결성 및 성형성이 열화하므로 상한선을 0.025%로 제한하였다. 상기 Mn은 일반적으로 S에 의한 열간취성을 방지하거나 인장강도 및 항복 강도를 높힐 목적으로 첨가하는데, 본 발명강의 경우 Ti를 첨가함으로써 강중 TiS 석출물이 석출되므로 S에 의한 열간 취성의 발생 가능성이 없으며, Mn의 첨가량이 많을 경우 항복 강도의 증가로 형상 동결성이 열화되므로 첨가량의 상한선을 0.1%로 하였다.
탈산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Al은 냉간압연 전, 후의 공정에서 석출물로 석출하므로 강중 질소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강에서는 충분한 탈산과 질소를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sol.Al의 함량으로 0.03%를 하한선으로 하였으며, 0.1%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상한치를 0.1%로 하였다.
상기 Ti는 0.08%미만에서는 시효 지수가 4kg/mm2이상으로 시효성 보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탄소 또는 질소원자의 불완전 고정으로 고용탄소 또는 질소원자에 의한 고용강화 효과와 일부 석출한 Ti 탄·질화물에 의한 석출 강화 효과로 항복 강도가 높아져 형상동결성이 낮아 하한치를 0.08%로 하였으며, 0.015%이상에서는 재결정 온도의 상승으로 소둔판의 결정립이 미세하여 연성이 저하하며, 강중 고용 Ti의 증가로 항복 강도가 높아져 형상 동결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상한선을 0.15%로 하였다. Ti의 함량이 0.08-0.15%인 구간에서는 항복 강도가 15kg/mm2이하로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효 지수도 0kg/mm2로 완전한 비시효성강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i이 (Ti/48)(C/12+N/14+S/32)=0.8-1.5가 되도록 제한한 이유는 이 값이 0.8 미만인 경우 강중 고용탄소 및 질소가 많이 잔존하여 항복 강도가 높아 형상 동결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시효 지수가 높아 비시효성 보증이 어렵기 때문이고, 그 값이 1.5이상일 경우 강중 고용 Ti의 양이 많아 항복 강도가 높아지며, 재결정온도 상승이 원인이 되어 소둔재결정립이 미세화하여 성형성 및 연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Ti이 0.8-1.5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항복강도 15kg/mm2이하로 형상 동결성이 양호하며, 성형성의 척도인 소성 이방성지수(
Figure kpo00001
)값이 1.9이상으로 성형성도 양호하며, 연신율이 47% 이상으로 연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이 구간에서는 Ti(Fe.P)계 석출물을 석출하므로 극저탄소강을 이용한 특수원소 첨가강에서 흔히 나타나는 P의 입계편석에 의한 가공크랙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저탄소강에는 N과 S가 함유되는데, 이 N과 S의 함량은 통상의 저탄소강에 함유될 수 있는 량으로서, N의 경우에는 0.007%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이하며, S의 경우에는 0.02%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015%이다. 상기 N과 S량은, N과 S량의 증가와 더불어 Ti 첨가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그 상한값이 결정된다. 상기 열간마무리 압연 온도를 Ar3이상으로 제한한 것은 Ar3이하의 온도에서 압연할 경우 압연조직의 생성으로 냉연집합조직 발달을 저해하여 성형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권취 온도를 600℃이상으로 제한한 것은 AlN 석출물을 충분히 석출시켜 소둔시 집합 조직의 발달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통상의 방법으로 냉간압연한 후 연속소둔 온도를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제한한 것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소둔할 경우 압연 조직이 잔존하여 연성 및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화학 조성을 갖는 저탄소강의 슬라브를 1200℃의 유지로에서 1.5시간 유지한 후, 열간압연하되 마무리 압연온도를 900℃로 하고, 650℃에서 권취한 다음, 7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한 후 연속소둔을 실시하였으며, 이때의 연속소둔온도는 850℃, 소둔시간은 30초였다.
하기 표 1의 상소둔은 상기와 같이 냉간압연한 후 50℃/hr의 승온 속도로 68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유지하고, 50℃/hr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한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 즉, 항복 강도, 인장 강도, 연신율, 소성이방성지수(
Figure kpo00003
) 및 시효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이중 발명강(1-4)과 비교강(5-7)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강(1-4)은 본 발명의 조성 범위를 벗어나는 알루미늄 킬드강을 상소둔 및 연속소둔하여 제조된 종래 강(8) 및 비교강(9)에 비하여 항복 강도가 낮아 형상 동결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연신율 및 성형성이 우수하며, 시효지수도 0kg/mm2으로 비시효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항복강도가 15kg/mm2미만으로 형상 동결성이 대단히 우수하고
Figure kpo00005
값도 1.9이상으로 양호한 성형성을 가지며 연신율도 48%이상으로 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 및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강(5)는 Ti의 원자비 및 첨가량이 적어 본 발명강(1-4)에 비하여 항복 강도가 매우 높고 연신율 및
Figure kpo00006
값이 매우 낮으며, 시효지수도 높아 재질이 매우 열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강(6-7)은 발명강의 조성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시효지수는 0으로 양호하나 발명강(1-4)에 비하여
Figure kpo00007
값 및 연신율이 낮으며 항복 강도가 높아 형상동결성이 열등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하기 표 3의 시편에 대하여 강의 첨가 원소 함량별 소둔판석출물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부합되는 발명강 1 및 2의 경우에는 Ti(Fe.P)계의 석출물로서 Ti(Fe.P) 탄·질화물 및 TiS, AlN 등이 석출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강(a-c)의 경우에는 Ti 탄·질화물, TiS, AlN 등이 석출되었으나, P의 입계편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P가 포함된 석출물은 전혀 석출되지 않았으며 상소둔 알미늄킬드강(비교강 c)의 경우 AlN만 석출되었다. 따라서, 발명강(1) 및 (2)의 경우에는 Ti(Fe.P)계 석출물이 석출하므로서 극저탄소강에 특수 원소를 첨가한 강에서 발생하는 결정립계의 P편석에 의한 2차 가공크랙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비교강(1-3)의 경우에는 강중의 P가 포함된 석출물은 전혀 석출되지 않고 Ti(C.N) 석출물 등만이 석출하므로서 P의 입계편석에 의한 2차 가공 크랙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부합되는 강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강에서의 석출물의 석출 현상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강(2) 및 비교강(b)에 대해서 전자 현미경 조직사진 및 석출물의 EDS 분석 사진을 제2도-제6도에 각각 나타내었다.
발명강(2)에 대한 전자 현미경 조직 사진을 나타내는 제2도(여기서, ″A″는 Ti(Fe.P)계 석출물을 나타냄) 및 Ti(Fe.P)계 석출물에 대한 EDS 분석 사진을 나타낸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명강(2)에서는 Ti(Fe.P)계 석출물 및 TiS 등이 석출되어 있으며 반면에, 비교강(b)에 대한 전자 현미경 조직 사진을 나타낸 제4도(여기서, ″B″는 Ti(C,N)석출물을 나타냄) 및 Ti(C,N) 석출물에 대한 EDS 분석 사진을 나타낸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가 포함된 석출물은 석출되지 않았으며 Ti(C,N) 등만이 석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소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알미늄킬드강에 비하여 생산성이 월등히 높으며 형상 동결성이 우수하고 비시효성인 재질을 얻을 수 있으며, 저탄소강을 이용함으로써 극저탄소강을 이용한 특수원소 첨가강에 비하여 생산성 향상 및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정립계의 P 편석에 의한 가공 크랙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량%로, C : 0.011-0.025%, Mn : 0.1%이하, sol.Al : 0.03-0.1%, Ti : 0.08-0.15%, N : 0.07%이하, S : 0.02%이하 및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Ti가 (Ti/48)(C/12+N14+S/32)=0.8-1.5인 저탄소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1000-1300℃에서 1-2시간 유지한 후, Ar3변태점 이상이 마무리 압연 온도로 열간압연하고, 600℃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한 다음, 70-8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한 후,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연속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KR1019890010082A 1989-07-15 1989-07-15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91001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082A KR910010055B1 (ko) 1989-07-15 1989-07-15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082A KR910010055B1 (ko) 1989-07-15 1989-07-15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21A KR910003121A (ko) 1991-02-26
KR910010055B1 true KR910010055B1 (ko) 1991-12-12

Family

ID=1928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082A KR910010055B1 (ko) 1989-07-15 1989-07-15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1B1 (ko) * 2003-12-15 2011-07-11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소둔형 석출강화형 고강도강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1B1 (ko) * 2003-12-15 2011-07-11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소둔형 석출강화형 고강도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21A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731B1 (ko) 딥드로잉성 및 코일내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987815B2 (ja) プレス成形性および耐二次加工割れ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910010055B1 (ko)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JP3302118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356173B1 (ko) 연성이 우수한 비시효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950013192B1 (ko) 내 2차 가공취성이 우수하며 면내이방성이 적은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960005236B1 (ko) 저온취성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 제조방법
JP3911075B2 (ja) 焼付硬化性に優れる超深絞り用鋼板の製造方法
JP2755014B2 (ja) 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0143469B1 (ko) 성형성 및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상소둔형 냉연강판 제조방법
KR900004849B1 (ko)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연질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940007495B1 (ko) 성형성, 리찡(Ridging)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940007274B1 (ko) 연성이 우수한 비시효성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JP3023014B2 (ja) 超深絞り用冷延極軟鋼板
KR10053007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강판과 그 제조방법
EP1888800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and high yield ratio,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282192B1 (ko) 피로특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JPS6164852A (ja) 面内異方性の極めて少ないプレス加工用非時効性冷延鋼板
JPH10130780A (ja) 面内異方性が小さく成形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0000484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장력냉연강판의 제조방법
JPH0657336A (ja) 高加工用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93000273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Al-킬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950009167B1 (ko) 가공성 및 내시효성이 우수한 연속소둔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JPS58197225A (ja) 加工性の優れた降伏強度84Kgf/mm↑2(120ksi)以上の超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H06158175A (ja) 超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