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795B1 -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795B1
KR910009795B1 KR1019900002020A KR900002020A KR910009795B1 KR 910009795 B1 KR910009795 B1 KR 910009795B1 KR 1019900002020 A KR1019900002020 A KR 1019900002020A KR 900002020 A KR900002020 A KR 900002020A KR 910009795 B1 KR910009795 B1 KR 91000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chain
fixed
bracket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526A (ko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장창호 filed Critical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795B1/ko
Publication of KR90001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6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with means for balancing weight of blackboards or the like, e.g. connected to wall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제3도는 칠판의 배면중앙에 형성된 걸고리와 이송장치의 걸고리 삽입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체인의 구동으로 인하여 칠판이 상,하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결시킨 측면예시도.
제5도는 칠판에 설치된 습동구와 벽체에 고정되는 안내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칠판에 설치되는 습동구와 상하부 브라켓에 고정된 안내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칠판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감속모터
3 : 주동기어 3a,3b,3c,3d : 피동기어
4 : 체인 5 : 안내판
6,6′ : 리미트스위치 7 : 이동구
7′ : 핀 7a : 스위칭도그
7b : 걸고리삽입구멍 10 : 칠판
11 : 걸고리 12 : 습동구
13 : 안내간 14 : 하부브라켓
15 : 상부브라켓 16 : 코일스프링
17 : 텐숀조절간
본 발명은 칠판의 설치높이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는 칠판의 전면적을 고루 활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피교육자에게는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교육기관에서는 강의자와 학생과의 관계에 있어서 위압감을 없앤다는 의미에서 교단이 없어진지 이미 오래인바 키가 작은 강의자는 하단부분만 이용할 수 있어 뒤에 앉은 피교육자에게 상당한 부담감을 주고 있는 설정이다.
또한 키가 큰 강의자라 할지라도 칠판의 하단부분에 기재하기 위하여는 허리를 상당히 숙여야 하기 때문에 칠판의 하단부분을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칠판의 전면적을 고루 활용하지 못하고 선생님이 글씨쓰기에 편리한 부분의 칠판만 이용하므로 글씨를 자주 썼다가 지워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칠판의 높이를 강의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자의키에 관계없이 칠판의 전면적을 고루 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뒤에 앉은 피교육자도 칠판의 필기내용을 손쉽게 받아쓸수 있도록 하여 그 교육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의 일측면 하부에 감속모터(2)를 설치하고 감속모터(2)의 축에 축설된 주동기어(3)와 상부피동기어(3a)(3b), 하부피동기어(3c)(3d)를 체인(4)으로 연결시켜 주동기어(3)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부 피동기어(3a)(3b)(3c)(3d)들이 연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기체(1)의 내측으로 안내판(5)을 고정시키고 안내판(5)의 상,하부에 리미트스위치(6)(6′)를 설치하여 체인(4)의 구멍에 다수의 핀(7′)이 끼워져 체인(4)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구(7)를 기체(1)의 중앙에 고착된 안내판(5)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되 이동구(7)의 배면에 설치된 스위치도그(7a)가 상,하부 리미트스위치(6)(6′)와 접하게될때 리미트스위치(6)(6′)가 각각 작동되어 전원을 차단시키므로서 감속모터(2)의 회동을 정지케 하였다.
그리고 칠판(10)의 배면중앙에는 걸고리(11)를 고정시켜 이동구(7)의 중앙에 천공된 걸고리삽입구멍(7b)에 삽입시키고 칠판(10)의 양측 배면부 상단에 습동구(12)를 고정시킨다. 한편 습동구(12)가 상,하 이동될 때 안내역할을 하는 안내간(13)을 벽체(8)에 고정시켜서 습동구(12)가 안내간(13)의 파이프구멍을 통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습동구(12)의 이동은 칠판(10)의 상,하 이동거리와 같이 상하 이동된다.
그리고 칠판(10)의 하단 배면에 고정된 보강목(10′)에는 하부 브라켓(14)을 고정시켜 안내간(13) 상부에 고정된 상부브라켓(15)과 코일스프링(16)으로 연결시켜 칠판(10)에 하강될때 칠판(10)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체(1)의 상부 리미트스위치(6)가 설치된 높이정도에 돌출간(1a)을 돌설시키고, 상부 피동기어(3a)를 축설시킨 탠숀조절간(17)의 하단부(17a)와 돌출간(1a) 사이를 스프링(18)으로 탄력 설치하여 그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하여 체인(4)이 텐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본 발명의 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칠판(10)의 적당위치에 형성된 스위치(도시없음)의 조각으로 정역회동되는 감속모터(2)를 회동시켜 체인(4)을 구동시키므로서 체인(4)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칠판(10)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인데 즉 칠판(10)을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는 감속모터(2)를 회동시켜 체인(4)이 첨부 도면 제4도에서 표시된 상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하면 체인(4)사이의 구멍에 이동구(7)의 핀(7′)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또한 이동구(7)의 걸고리삽입구멍(7b)에 칠판(10)의 걸고리(11)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구(7)가 체인(4)과 같이 이동됨에 따라 칠판(10)도 상부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상기 작동으로 칠판(10)이 적당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스톱스위치를 작동시켜 감속 모터(2)의 회동을 정지시키면 칠판(10)은 정지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스톱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이동구(7)와 일체로 형성된 스위칭도그(7a)가 기체(1)의 안내판(5)을 따라 이동되다가 스위칭도그(7a)가 안내판(5)상부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6)를 작동시키면 전원이 차단되어 감속모터(2)의 회동이 정지되므로 칠판(10)은 일정높이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칠판(10)이 제일 상단위치에서 다시 칠판(1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감속모터(10)를 상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감속모터(1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체인(4)은 첨부도면 제4도의 하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이동구(7)가 칠판(10)을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도 적당위치에서 칠판(10)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 스톱스위치로서 감속모터(2)의 전원을 차단시키면 칠판(10)의 이동은 정지되고 또한 스톱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이동구(7)의 스위칭도그(7a)가 안내판(5) 하부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6′)와 접하는 순간 리미트스위치(6′)가 작동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게 하므로 감속모터(2)의 회동은 정지되고 칠판(10)은 일정위치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칠판(10)의 상,하부 이동과정에서 칠판(10)의 하중을 이동구(7)의 걸고리삽입구멍(7b)에 삽입된 걸고리(11)만으로 해결할 경우 장치 자체에 무리가 되므로 칠판(10)의 배면부 상부양측에서 습동구(12)를 고정시켜 그 습동구(12)가 안내간(13)의 내측구멍을 따라 칠판(1)의 이동방향과 같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고 안내간(13)은 벽체(8)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브라켓(15)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칠판(10)의 하단부를 보강하고 있는 보강목(10′)에 하부브라켓(14)을 고정시키고 하부브라켓(14)과 상부브라켓(15)사이를 코일스프링(16)으로 연결하여 칠판(10)이 하강되더라도 코일스프링(16)으로 인하여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장치에 무리를 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임의로 칠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강의자의 키에 관계없이 칠판의 전면적을 활용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이로인하여 뒤에 앉은 피교육자도 칠판에 기재된 내용을 쉽게 옮겨 쓸수 있게되고 또한 장치의 견고성으로 인하여 장기간동안 사용하여도 고장이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여 주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기체(1)의 일측면 하부에 감속모터(2)를 설치하여 주동기어(3)와 피동기어(3a)(3b)(3c)(3d)들을 체인(4)으로 연동시키도록 한것에 있어서, 기체(1)의 내측으로 안내판(5)을 고정시키고 안내판(5)의 상,하부에 상기 감속모터(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미트스위치(6)(6′)를 설치하여 텐숀을 가진 체인(4)에 고정설치된 이동구(7) 배면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6)(6′)를 선택적으로 ON/OFF 시키는 스위칭도그(7a)를 설치하여 칠판(10)에 고정연결하며, 칠판(10)의 양측 배면부 상단에 고정된 습동구(12)를 벽체(8)에 설치된 상부브라켓(15)의 안내간(13)내측에 삽입되게 하고 칠판(10)의 하부고정목(10′)에 고정된 하부브라켓(14)과 상부브라켓(15)사이를 코일스프링(16)으로 연결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구(7)의 일측에 돌설된 핀(7′)으로 체인(4)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구(7)와 체인(4)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칠판(10)과 이동구(7)의 연결수단을 칠판(10)의 배면중앙에 돌설된 걸고리(11)를 이동구(7)의 걸고리 삽입구멍(7b)에 삽입시키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체인(4)이 텐숀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을 상부 피동기어(3a)를 축설시킨 텐숀조절간(17)의 하단부(17a)와 기체(1)에 일체로 돌설된 돌출간(1a)사이를 스프링(18)으로 탄력 설치케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KR1019900002020A 1990-02-19 1990-02-19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KR91000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2020A KR910009795B1 (ko) 1990-02-19 1990-02-19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2020A KR910009795B1 (ko) 1990-02-19 1990-02-19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809 Division 198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526A KR900017526A (ko) 1990-12-19
KR910009795B1 true KR910009795B1 (ko) 1991-11-30

Family

ID=2662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020A KR910009795B1 (ko) 1990-02-19 1990-02-19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7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526A (ko) 199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166Y1 (ko) 전자강의용 탁자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910009795B1 (ko)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US6290411B1 (en) Stand utensil for keyboard and keyboard with stand mechanism
KR20100108965A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판서용 부재를 구비한 칠판
KR970000544B1 (ko) 승하강 개폐칠판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JP2655829B2 (ja) 教育用ボード
KR910009796B1 (ko)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CN108520660A (zh) 一种数字化教育技术教学装置
KR0154372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KR101643881B1 (ko) 전자칠판의 커버 개폐장치
KR200418786Y1 (ko) 개폐칠판의 보조 구동장치
KR0136813B1 (ko) 개폐칠판의 보조부재 구동장치
KR200236348Y1 (ko) 칠판의 상,하이동장치
KR200275703Y1 (ko) 키높이 칠판
KR200364724Y1 (ko) 전자 칠판이 구비된 교습 장치
KR970003008Y1 (ko) 승하강 개폐칠판
KR20130035626A (ko) 승하강식 칠판
KR0136814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CN112032529B (zh) 一种具有题目问答回复结构的多媒体教学设备及使用方法
CN111754828B (zh) 一种基于互联网教学辅助设备
KR100490521B1 (ko) 실험실용 교반기의 탄성 복귀 장치
CN209980561U (zh) 一种外语教学用多功能展示板
KR200241836Y1 (ko) 칠판의 상하 이동장치
RU930451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потока возд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