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65B1 -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65B1
KR910009065B1 KR1019890001280A KR890001280A KR910009065B1 KR 910009065 B1 KR910009065 B1 KR 910009065B1 KR 1019890001280 A KR1019890001280 A KR 1019890001280A KR 890001280 A KR890001280 A KR 890001280A KR 910009065 B1 KR910009065 B1 KR 91000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memory
definition information
dat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565A (ko
Inventor
다카시 니이무라
테츠오 다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인텔리젠트 데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오카 스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인텔리젠트 데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오카 스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6Multiple memory zones on card
    • G06Q20/35765Access rights to memory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시킨 IC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IC카드내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할당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영역정의정보영역 및 데이터영역을 제2도에 나타낸 불휘발성 메모리에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소자 12 : 불휘발성 메모리
13 : 프로그램메모리 14 : 접속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불휘발성 메모리 및 CPU와 같은 소자를 갖춘 IC칩이 내장된 IC카드에 있어서, 데이터영역 및 이 데이터영역을 정의하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을 상기 메모리에 할당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불휘발성 메모리 및 CPU와 같은 제어소자를 갖춘 IC칩이 내장된 IC카드가 새로운 휴대가능 데이터기록매체로서 개발하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IC카드는 내장된 제어소자로 내장된 불휘발성 메모리를 엑세스해서 IC카드판독기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IC카드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기억시켜 놓기 위한 데이터영역과 메모리내에 상기 데이터영역을 정의해 주기 위한 영역정의정보가 기억되는 영역정의정보영역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여기서 상기 영역정의정보는 데이터영역 고유의 번호를 정의해 주는 영역번호와 데이터영역의 위치를 정의해 주는 영역사이즈(area size)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영역의 상태, 예컨대 어느 데이터영역까지 데이터가 기록되었지를 나타내 주는 포인터정보라든가 데이터영역을 엑세스할 수 있는 조건등과 같은 정보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영역내의 데이터를 엑세스할 때에는 그 엑세스된 데이터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을 엑세스해서 데이터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영역의 사이즈 및 데이터영역의 상태정보등을 읽어 내어 목적하는 데이터영역을 엑세스하게 된다. 이 경우, 영역정의정보영역이 고정길이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해 데이터영역은 가변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영역의 사이즈는 외부장치, 예컨대 IC카드판독·기록기에 의해 지정된다. 이러한 IC카드내의 메모리할당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출원 제168,951호(발명자; 다카시 니이무라)에 게재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영역정의정보영역과 데이터영역의 경계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바, 즉 메모리에 영역정의정보영역용 어드레스 공간과 데이터영역용 어드레스 공간이 미리 할당되며, 이렇게 결정된 각 어드레스 공간내에 다수의 영역정의정보영역 및 다수의 데이터영역이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영역정의정보영역내에 공백부(blank area; 신규하게 영역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부분)가 존재하더라도 데이터영역내에 지정된 사이즈의 공백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영역정의정보영역 및 데이터영역을 할당할 수 없게 된다.
한편, IC카드와 같은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짜넣을 수 있는 메모리사이즈에 제한이 있으므로 메모리용량을 최대한으로 쓸모있게 이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발명된 것으로, 신규로 등록할 영역정의정보 및 데이터의 등록을 위해 충분한 공백부가 메모리내에 존재하고 있는한 각각의 신규등록을 할 수 있게 되어 메모리의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은, 시작 어드레스 및 최종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어드레스 공간을 할당받아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영역과 상기 각 데이터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영역정보를 상기 각 데이터영역에 대응해서 기억시키기 위한 다수의 영역정의정보영역을 갖추고서 순차적으로 상기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을 할당받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을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때에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영역정의정보영역중 한쪽을 상기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올라가는 순서대로 할당하고, 다른쪽을 상기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해서, 데이터 및 영역정의정보를 각각 상기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에 기록해주는 기록제어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돼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의 일례로서의 IC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 IC카드는 CPU로 구성되어 전체동작을 제어해주는 제어소자(11)와 소거가능한 EEPROM으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불휘발성 메모리(12; 데이터메모리), 마스크롬으로 구성되어 제어소자(1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메모리(13) 및 도시되지 않은 외부장치(예컨대, IC카드판독·기록기)와 IC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14)로 구성된다. 이들중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 부분[제어소자(11), 데이터메모리(12), 프로그램메모리(13)]은 1개의 IC칩 또는 다수의 IC칩으로 구성되어 IC카드본체내에 매설되게 된다.
상기 구성요소중 메모리(12)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데이터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영역정의정보영역은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올라가는 순서대로 할당되고, 이들 영역정의정보영역의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영역은 그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된다. 또, 도시되지 않은 IC카드판독·기록기로부터 데이터등록요구가 있게 되면 데이터영역이 할당되어 소정의 데이터가 등록되고, 다음에 그 데이터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이 할당되어 영역정의정보가 등록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4개의 영역정의정보영역 및 데이터영역이 할당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에서 영역정의정보영역은 고정길이로 되어 있고 데이터영역은 가변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영역정의정보는 데이터영역 고유의 번호를 정의해 주는 영역번호와 데이터영역의 위치를 정의해 주는 시작 어드레스, 데이터영역의 크기를 정의해 주는 영역사이즈 및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영역상태 정보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은 섹터(sector)라 불리워지는바, 이 섹터를 기본 엑세스단위로 해서 엑세스가 이루어지는데, 만일 어떤 데이터영역을 엑세스하고 싶을 경우에는 섹터수를 지정한게 되면 각각의 영역정의정보영역이 고정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고정길이를 구성하는 바이트수에 섹터수를 곱함으로써 목적한 영역정의정보영역이 할당되어 있는 곳의 시작 어드레스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제어소자(11)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의 내용을 독출해서 목적하는 데이터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를 알아 내어 목적하는 데이터영역으로부터 소망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영역의 사이즈는 가변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번 데이터영역을 할당할 수 있는 메모리(12)의 시작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영역의 포인터를 메모리(12)의 특정번지에 설정하고, 제어소자(11)는 데이터영역을 할당할 때에 상기 메모리(12)의 포인터를 참조해서 다음번 데이터영역을 할당할 메모리(12)상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를 계산에 의해 구했는데, 이와 달리 그 시작 어드레스를 불휘발성 메모리(12)의 특정위치에 기억시켜 놓고 제어소자(11)가 그 특정위치에서 소망하는 어드레스를 독출함으로써 영역정의정보영역을 엑세스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등록시스템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 제3a도 내지 제3d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a도는 영역정의정보영역 및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는 메모리(12)를 나타낸 것으로, 제3a도에 나타낸 메모리(12)에는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만일, IC카드판독·기록기로부터 데이터영역의 등록요구가 있다는 것을 IC카드에서 감지하게 되면, IC카드의 제어소자(11)는 그 요구에 응답해서 메모리(12)의 특정번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포인터를 읽게 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메모리(12)에 아직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영역의 포인터는 메모리(12)의 최종 어드레스를 가리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소자(11)는 메모리(12)의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지정된 사이즈의 데이터영역(데이터영역 1)을 할당해서 IC카드판독·기록기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데이터영역 1에 기록하게 된다. 또, 제어소자(11)는 메모리(12)의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고정길이의 영역정의정보영역을 할당해서 그곳에 데이터영역 1의 시작 어드레스와 영역사이즈 및 영역상태정보등을 써넣게 된다
그리고, 제어소자(11)는 데이터영역의 포인터를 다음에 할당가능한 메모리(12)의 어드레스로 갱신한다. 이상과 마찬가지로 해서, 다음에 IC카드판독·기록기로부터 데이터의 등록요구가 있을 경우에 제어소자(11)는 메모리(12)의 특정번지를 엑세스해서 갱신된 데이터영역의 포인터를 구하고, 그에 기초해서 지정된 사이즈의 데이터영역(데이터영역 2)을 할당해서 IC카드판독·기록기로부터 보내온 데이터를 등록시킨다. 다음에 제어소자(11)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의 고정길이 바이트수에 섹터수를 곱해 제2영역정의정보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메모리(12)의 시작 어드레스를 구하고, 이렇게 구한 위치로부터 영역정의정보 2를 할당하여 그곳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이터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영역사이즈 및 상태정보등을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데이터영역의 포인터를 갱신한다.
상술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변길이로된 영역을 요구에 따라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d도에 나타낸 것처럼 영역정의정보영역은 메모리(12)의 물리적인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올라가는 순대로 영역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은 메모리(12)의 물리적인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된다. 따라서, 요구받은 데이터영역의 사이즈+영역정의정보영역을 할당하기에 충분한 공백부가 메모리(12)에 존재하는 한 데이터 및 영역정의정보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12)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을 메모리(12)의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올라가는 순서대로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을 메모리(12)의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영역을 메모리(12)의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올라가는 순서대로 할당하고, 영역정의정보영역을 메모리(12)의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영역정의정보영역은 고정길이로 되어 있고, 데이터영역은 가변길이로 되어 있지만, 데이터영역정의정보영역을 가변길이로 하고 데이터영역을 고정길이로 해도 좋고, 양쪽 영역을 모두 고정길이 또는 가변길이로 해도 좋고, 양쪽 영역을 모두 고정길이 또는 가변길이로 해도 좋다.

Claims (4)

  1. 시작 어드레스 및 최종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어드레스 공간을 갖추고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영역과 상기 각 데이터영역을 정의해 주는 영역정의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정의정보영역으로 할당되어 있는 메모리수단(12)과, 상기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중 한쪽을 상기 시작 어드레스로 올라가는 순서대로 할당하고, 다른쪽을 최종 어드레스로부터 내려가는 순서대로 할당해서, 상기 데이터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영역에 데이터 및 영역정의정보를 기록해 주는 기록제어수단(11)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11)이 메모리수단(12)에 공백부가 남지 않을 때까지 데이터영역과 영역정의정보영역을 할당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12)이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의정보가 데이터영역고유의 번호를 정의해 주는 영역번호와 데이터영역의 위치를 정의해 주는 시작 어드레스, 데이터영역의 크기를 정의해 주는 영역사이즈 및 상기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영역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KR1019890001280A 1988-02-03 1989-02-03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KR910009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23014A JPH01197895A (ja) 1988-02-03 1988-02-03 携帯可能電子装置のメモリ登録方式
JP63-23014 1988-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565A KR890013565A (ko) 1989-09-23
KR910009065B1 true KR910009065B1 (ko) 1991-10-28

Family

ID=1209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280A KR910009065B1 (ko) 1988-02-03 1989-02-03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197895A (ko)
KR (1) KR910009065B1 (ko)
FR (1) FR2626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377B2 (ja) * 1988-08-26 2000-03-06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
KR0183796B1 (ko) * 1995-12-28 1999-05-15 김광호 스마트 카드의 운용 방법
WO1998000808A1 (en) 1996-06-28 1998-01-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H11212774A (ja) 1998-01-23 1999-08-06 Fujitsu Ltd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KR20020038195A (ko) * 2000-11-16 2002-05-23 최건 휴대용 정보 기기에 다중 처리 운영 체제를 탑재한 경우의메모리 관리 기법
US9619742B2 (en) * 2001-05-18 2017-04-11 Nxp B.V. Self-descriptive data tag
JP6366013B2 (ja) * 2014-04-30 2018-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1816A (en) * 1973-07-18 1976-07-07 Int Computers Ltd Electronic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s
JPS6260080A (ja) * 1985-09-10 1987-03-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cカ−ドシステム
DE3682476D1 (de) * 1985-10-07 1991-12-19 Toshiba Kawasaki Kk Tragbares elektronisches geraet.
US4742215A (en) * 1986-05-07 1988-05-03 Personal Computer Card Corporation IC card system
JPS6373388A (ja) * 1986-09-16 1988-04-02 Fujitsu Ltd 複数サ−ビス用icカ−ドの領域獲得方式
JPH0758500B2 (ja) * 1987-02-20 1995-06-21 株式会社東芝 携帯可能電子装置
JP3015377B2 (ja) * 1988-08-26 2000-03-06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26696A1 (fr) 1989-08-04
FR2626696B1 (ko) 1995-04-21
KR890013565A (ko) 1989-09-23
JPH01197895A (ja) 198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937B1 (en)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chip card rewritable memory
US5946714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tilizing address management tables and table state maps for managing data storage and retrieval
JP3231832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を記憶媒体とした半導体ディスク
JP4173642B2 (ja) メモリカード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US20010048121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block alignment function
US7245539B2 (en) Memory car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emiconductor memory
CN1140315A (zh) 闪速存储器卡
KR19990029196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70039957A (ko) Usb 플래쉬 쓰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H09297659A (ja) 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910009065B1 (ko)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메모리등록시스템
US6442662B1 (en) Memory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free block table and a conversion table with a free block address data identification component
JP4703753B2 (ja) 情報処理装置、半導体記憶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471842B2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JPH05150913A (ja) フラツシユメモリを記憶媒体としたシリコンデイスク
JP3088866B2 (ja) Icカード
US7797502B2 (en) Method to control the access in a flash memory and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JP3609739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59805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4169284B2 (ja) Icカード
JPH11259357A (ja) 半導体集積装置及び不揮発性メモリ書き込み方式
JP2880709B2 (ja) Icカードにおけるメモリ制御方法
JP2798957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1131200A (ja) Icカード
JP4026796B2 (ja) コマンド振り分け機能付きic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