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90Y1 - 결속구 (結束具) - Google Patents

결속구 (結束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90Y1
KR910008890Y1 KR2019840002970U KR840002970U KR910008890Y1 KR 910008890 Y1 KR910008890 Y1 KR 910008890Y1 KR 2019840002970 U KR2019840002970 U KR 2019840002970U KR 840002970 U KR840002970 U KR 840002970U KR 910008890 Y1 KR910008890 Y1 KR 910008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engaging
hole
hea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46U (ko
Inventor
아끼라 후루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바녹구
오오다께 사부로오
벤 클레멘츠 앤드 썬스, 인코오포레이티이드
알란 클레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바녹구, 오오다께 사부로오, 벤 클레멘츠 앤드 썬스, 인코오포레이티이드, 알란 클레멘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혼 바녹구
Publication of KR840006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속구(結束具)
제1도는 본고안에 결속구의 평면도.
제2도는 동 결속구의 이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단면도.
제4도는 상기한 결속구에 의하여 복수개의 전선을 결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결속구에 의하여 동일하게 복수개의 전선을 결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6도는 결속구에 의하여 복수의 전선을 결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결속구에 의하여 플라스틱 대(袋)의 개구부를 결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밴드부 1a : 두께가 얇은부분
1b : 두께가 두꺼운 부분 3 : 목부분
4 : 계합용 머리부분 4a : 후크부
5 : 계합구멍 5a : 안내면
5b : 계지면 5c : 고정치
6 : 탄성돌출편 7 : 보호벽
본고안은 복수개의 전선등을 결속하기위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전선을 집속하기 위한 결속구로서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밴드부의 한쪽 끝에 계합구멍을 설치하고, 다른쪽 끝에 이 계합구멍에 계합하는 계합용 머리부분을 설치한 것이다.
이 결속구에 있어서, 계합용 머리부분을 계합구멍 계합시키는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계합구멍에 대하여 계합용 머리부분이 저항없이 원활하게 삽입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저항없이 간단하게 삽입가능한 것은, 반대로 계합후에 계합용 머리부분이 계합구멍으로부터 간단하게 이탈하여 버릴 염려가 있는 것으로 되어서, 이 서로 용인되지 않는 두가지의 조건을 해결한 결속구가 요망된다.
본고안의 목적은, 전기한 요망을 감안해서 계합용 머리부분을 계합구멍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서 그 장착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함과 아울러, 계합후에는 간단하게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고안에 의한 결속구는, 중앙부에 형성한 두께가 얇은부분(1a)의 양쪽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1b), (1b)을 설치한 밴드부(1)의 한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1b)의 끝부분에, 내면쪽을 향해 계합용 머리부분(4)을 보유하는 목부분(3)이 돌출설치되고, 다른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1b)의 끝부분에는 계합구멍(5)을 설치한 합성수지제결속구에 있어서,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바깥쪽을 향해 후크부(4a)가 돌출설치되고, 전기한 계합구멍(5)에는 전기한 후크부(4a)가 계합하는 계지면(5b)과 안내면(5a)은 보유하는 고정치(齒)(5c)와, 전기한 고정치(5c)의 반대쪽에서, 양쪽에 홈부분(6a), (6a)을 형성하여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면을 밀어 누르는 돌출편(6)이 요동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이 계합구멍(5)에 삽입되어 고정치(5c)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앞끝부분을 포위하는 보호벽(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이다.
즉, 본고안에 관한 결속구는, 계합구멍(5)의 내부에 목부분(3)에 형성한 후크부(4a)가 계합하는 계지면(5b)을 보유하는 고정치(5c)와 이 고정치(5c)에 대면하여 돌출편(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편(6)은, 고정치(5c)에 대향하는 가동치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계합구멍(5)내에 혀형상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 계합구멍(5)내에 계합용머리부분(4)이 삽입되었을때에는 탄성적으로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면을 밀어 누르면서 후퇴하여 계합용 머리부분(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또 계합용머리부분(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후를 탄성적으로 밀어누르는 것이다.
그리고 계합구멍(5)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계지면(5b)의 주위로서, 전기한 계합구멍(5)으로부터 돌출한 계합용 머리부분(4)을 보호하는 보호벽(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계합용 머리부분(4)의 후크부(4a)가 계지면(5b)에 계합하면, 이 계합용머리부분(4)의 배면은 혀형성의 돌출편(6)이 탄성적으로 밀어눌려지고, 일단 계합구멍(5)의 고정치(5c)에 계합용 머리부분(4)의 후크부(4a)가 계합하면 간단하게 이 계합이 해제되지 않을 뿐아니라 이 계합용 머리부분(4)에 대하여 밀어누르는 부재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수지로서 일체적으로 성형한 본고안에 의한 결속구를 시하는 것으로서, 부호(1)는 주체(主體)로 되는 밴드부이고, 그 중앙부에 두께가 얇은부분(1a)을, 좌우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1b), (1b)를 배치한 2겹으로 접는 형식의 일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지로서 성형되어 있는 두께가 얇은부분(1a)은 두께가 두꺼운 부분(1b)보다도 가용성(歌繞性)이 크므로, 밴드부(1)는 이 두께가 얇은 부분(1a)에 있어서 2겹으로 접은 상태로 굴곡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두께가 두꺼운 부분(1b)의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돌기(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한 밴드부(1)의 한쪽 끝에는, 그 앞쪽끝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한 목부분(3)이 설치되며, 그 목부분(3)의 앞쪽 끝에 계합용머리부분(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밴드부(1)의 다른쪽 끝에는 계합구멍(5)을 보유하며, 또한 이 계합구멍(5)에는 그 안쪽을 향하여 돌출편(6)을 혀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편(6)은 두께가 두꺼은 부분(1b)과 일체로 한쪽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신이 휨에 대하여 자기회복력을 보유하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또, 계합구멍(5)의 한쪽에는 안내면(5a)을 형성하여 상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을 삽입하기 쉽도록 하고 있으며, 반대쪽에는 계합용 머리부분(4)의 후크부(4a)가 계합하는 계지면(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안내면(5a)가 계지면(5b)으로 계합용 머리부분(4)을 계합하기 위한 고정치(5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고정치(5a)에 대면하여 계합구멍(5)내에 혀형상으로 돌출설치한 돌출편(6)은 가동치에 상당하고, 이 돌출편(6)은 양쪽에 홈부분(6a), (6a)을 형성하여 요동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후를 밀어누르고, 이 계합용 머리부분(4)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부(4a)를 계지면(5b)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눌러서 계합을 확실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결속구에 있어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두게(tb)는 계합구멍(5)의 구멍폭(ta)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적게 되어 있어서, 계합용 머리부분(4)이 삽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두께(tb)는, 계합구멍(5)의 안쪽에 돌출한 돌출편(6) 앞쪽끝과, 이것에 대향하는 계합구멍(5)의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t'a)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목부분(3)의 두께(tc)는, 상기한 간극(t'a)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같은 결속구에 의하여 복수개의 전선을 결속할 때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복수개의 전선(w)을, 절곡한 밴드부(1)의 돌기(2)를 보유하는 쪽에 끼우고, 그 상태로 한쪽 끝의 계합용 머리부분(4)을 다른쪽 끝의 계합구멍(5)에 감입하도록 하면, 자동적으로 감겨진다.
이 계합에 의하여, 일부의 전선(w)에는 돌기(2)가 맞물려 들어가서, 길이방향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일체로 결속되어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상태로 된다.
계합용 머리부분(4)을 계합구멍(5)에 삽입할 때는, 탄성을 보유하는 혀형상의 돌출편(6)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면을 압압되어서 휘기 때문에, 계합용 머리부분(4)은 간단하게 계합구멍(5)을 통해 빠져나갈 수가 있다.
계합용 머리부분(4)이 계합구멍(5)을 통해 빠져나가 버리면, 돌출편(6)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서, 목부분(3)을 계합면(5b)쪽으로 밀어누르므로, 후크부(4a)가 계합면(5b)에 계합한 상태로 잠겨지게 되어서, 이탈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한 잠김효과를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는, 목부분(3)의 두께(tc)를, 상기한 돌출편(6)의 앞쪽끝의 간극(t'a)보다도 크게 하면 좋다.
즉, tc와 t'a를, 이와같은 관계로 설정하며, 계합용 머리부분(4)을 계합구멍(5)에 계합시켰을 때,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돌출편(6)이 굴곡상태인 채로, 탄성력에 의하여 목부분(3)을 항상 부세한 상태로 되어서, 후크부(4a)를 계지면(5b)에 압압 당접하여 계합한 상태로 하기 때문이다.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계합용 머리부분(4)이 고정치(5c)와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주위(3방향)는 보호벽(7)에 의해 보호되므로, 계합용 머리부분(4)에 계합을 해제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보호한다.
본고안의 결속구는,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전선(W)의 결속에 한정 하지 않고, 예컨대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플라스틱필름(E)의 개구부를 조여서 결속하여 봉지하는 것등과 같은 다른 결속에도 적용가능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고안의 결속구는, 중앙부에 형성한 두께가 얇은 부분의 양쪽에 두께가 설치한 밴드부의 한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내면쪽을 향해 머리부가 L자형으로 돌출설치되고 다른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끝부분에는 계합구멍을 설치한 합성수지 제결속구를 기초적인 구조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한 구조에다가, 전기한 목부분에 형성한 계합용 머리부분에는 바깥쪽으로 향해 후크부가 돌출설치되고, 전기한 계합구멍에는 전기한 후크부가 계합하는 계지면과 전기한 후크부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보유하는 고정치와, 이 고정치의 반대쪽에 요동가능하게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이 계합구멍내에 삽입된 상태로 계합용 머리부분의 배면을 탄성적으로 밀어누르는 돌출편이 혀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부가하고, 또 계합용 머리부분이 고정치에 계합된 이상태로 계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벽이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계합구멍내에 삽입할 때는, 계합용 머리부분이 안내면에 안내되어서, 돌출편을 탄성적으로 후퇴시키면서 계지면 위에 계합하므로, 창착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계합후는, 이 돌출편이 계합용 머리부분을 배면을 고정치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누르므로 계합이 확실하게 되어서, 계합구멍으로부터 계합용 머리부분이 간단하게 이탈하는 일은 없다.
또한, 고정치의 주위에는 계합용 머리부분을 보호하는 보호벽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계합한 계합용 머리부분이 다른 물체에 접촉하여 후퇴하는 일이 없어서,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고안에 관한 결속구는 2겹으로 접는 형식의 것이므로, 피결속물을 사이에 끼워서, 둘로 접어서 로크(lock)하는 것 만으로 양호하게 간단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중앙부에 형성한 두께가 얇은부분(1a)의 양쪽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1b), (1b)을 설치한 밴드부(1)의 한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1b)의 끝부분에, 내면쪽을 향해 계합용 머리부분(4)을 보유하는 목부분(3)이 돌출설치되고, 다른쪽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1b)의 끝부분에는 계합구멍(5)을 설치한 합성수지제 결속구에 있어서,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바깥쪽을 향해 후크부(4a)가 돌출설치되고, 전기한 계합구멍(5)에는 전기한 후크부(4a)가 계합하는 계지면(5b)과 안내면(5a)을 보유하는 고정치(5c)와, 전기한, 고정치(5c)의 반대쪽에서, 양쪽에 홈부분(6a), (6b)을 형성하여 요동가능하게 돌출설치되어서,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이 계합구멍(5)내에 삽입된 상태로 계합용 머리부분(4)의 배면을 탄성적으로 밀어 누르는 돌출편(6)이 설치되고, 전기한 계합용 머리부분(4)이 계합구멍(5)에 삽입되어 고정치(5c)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 계합용 머리부분(4)의 앞끝부분을 포위하는 보호벽(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KR2019840002970U 1983-04-07 1984-04-03 결속구 (結束具) KR9100088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50858 1983-04-07
JP1983050858U JPS59155964U (ja) 1983-04-07 1983-04-07 結束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46U KR840006446U (ko) 1984-12-03
KR910008890Y1 true KR910008890Y1 (ko) 1991-11-12

Family

ID=3018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970U KR910008890Y1 (ko) 1983-04-07 1984-04-03 결속구 (結束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55964U (ko)
KR (1) KR9100088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9515B2 (en) * 2005-05-13 2010-08-24 Panduit Corp. Two-piece cable tie suitable for use in an automated cable tie installation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55964U (ja) 1984-10-19
KR840006446U (ko)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104B2 (en) Cable tie
AU628980B2 (en) Apparatus for blocking release of slide fastener
US9774127B2 (en) Connector including electric wire cover with catching portion
JPH07245148A (ja) 防水コネクタの防水栓
US20150179301A1 (en)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US6229091B1 (en) Wire harness protector
US10588383B2 (en) Buckle
ES2421432T3 (es) Elemento de contacto con lengüeta de resorte
US5230636A (en) Terminal protection type connector
KR910008890Y1 (ko) 결속구 (結束具)
JP2758109B2 (ja) ロック構造
JP2003343526A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WO2010101217A1 (ja) 鍵付きバックル
JP4292932B2 (ja) モールエンドキャップ
JPS5852210Y2 (ja) 結束バンドのバックル
JP2017107784A (ja) コネクタ構造
JPH0710164A (ja) 束線ベルト
JPH1179232A (ja) 結束バンド
KR200223251Y1 (ko) 컨넥터용 전선커버
JP3266210B2 (ja) 電磁開閉装置
KR970007059Y1 (ko) 하니스 클립(harness clip)
JP312721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H09207963A (ja) バンドクリップ
JP2018017285A (ja) 配線部材固定用部品及びプロテクタ付配線部材
JPH1179233A (ja) 結束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