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05B1 - 지엽류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05B1
KR910008805B1 KR1019830002807A KR830002807A KR910008805B1 KR 910008805 B1 KR910008805 B1 KR 910008805B1 KR 1019830002807 A KR1019830002807 A KR 1019830002807A KR 830002807 A KR830002807 A KR 830002807A KR 910008805 B1 KR910008805 B1 KR 91000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aper
accumulation
paper sheet
paper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37A (ko
Inventor
가즈노리 사또오
히로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류 분류장치
도면은 모두 본원 발명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개략구성도.
제2도는 조작부의 일부의 외관도.
제3도는 제어부의 구성도.
제4도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취입부 2 : 지폐
3 : 지폐분리기구 5 : 지폐감별부
10 : 배제권(排除券)집적부 11 : 키이
12 : 로크검지센서 13 : 커버
401,402 : 반송수단전단부 및 후단부 700 : 보조집적부
701,702 : 보조집적상자 801~806 : 게이트
900 : 주집적부 901~904 : 주집적상자
본원 발명은 지엽류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에 있어서의 업무중, 통화(지폐, 주화)나 수표 등의 정리집계에 많은 일손과 시간이 소비되고 있다. 종래부터 주화에 대해서는 분류기나 계수기 등이 사용되어 왔다. 또 지폐에 대해서도 다수 복수종의 지폐를 지폐취입부에 세트하고, 이 세트된 지폐를 1매씩 끌어 들여서 액종(額種)을 판별하여, 각 액종별로 집적부에 집적하고, 집적한 지폐 매수를 액종별로 표시하는 지폐수납기가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다량의 지폐를 취급하는 것이므로, 방법상, 상기 지폐집적부의 지폐에는 쉽사리 손을 댈 수 없도록 자물쇠가 잠겨지거나 특별한 키이를 설치하지 않으면 장치 전체가 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장치의 사용자를 한정함으로써 방법상의 관리를 해 나가려고 하는 것이지만, 한편, 키이가 없으면 취급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일반의 창구업무가 종료한 다음에 외근자에 의해 반입되는 지폐에 대해서, 장치의 한정된 사용자가 없음으로 인해서, 사람의 손에 의한 계수가 부득이하여 불편하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엽분류장치의 결점의 결점을 없애고, 방법을 위해서 자물쇠를 잠글수 있고 더구나 자물쇠를 잠근 상태에 있어서 시간외 등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분류계수가 가능한 지엽류의 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지엽류 분류장치는 세트된 복수종의 지엽류에서 1매씩 끌어 넣는 취입부와, 끌어 넣어진 지엽류를 받아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중의 지엽류를 감별하는 감별수단과, 분류된 지엽류를 분류 구분마다 반송수단으로부터 분기집적(分岐集積)하는 주집적부를 갖는 지엽류 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별수단과 주집적부와의 사이에 분류된 지엽류를 분류 구분에 의거하여 반송수단으로부터 분기 집적하는 보조집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분류장치이다.
본원 발명의 지엽류분류장치의 바람직한 태양(態樣)으로서 다음의 (1)~(6)의 태양을 들 수 있다.
(1) 상기 감별수단이 계수 기능을 구비하고, 이 감별수단을 통과한 지엽류가 분류와 동시에 계수되며, 상기 주집적부 및 보조집적부에 집적되는 지엽류가 계수되도록 되어 있다.
(2) 상기 주집적부 또는 보조집적부만을 사용하여 지엽류의 분류 또는 분류 및 계수 가능토록 되어 있다.
(3) 상기 주집적부가 폐쇄, 시정(施鉦) 가능토록되고, 이 폐쇄, 시정상태에서 보조집적부를 사용하여 지엽류의 분류 또는 분류 및 계수 가능토록되어 있다.
(4) 상기 반송수단이 상기 취입부와의 접속개소에서 상기 보조집적부에의 분기점을 지나는 개소까지의 전단부와 9개소 이후의 후단부로 구분되어, 이 전단부만의 작동을 가능케 해 놓았다.
(5) 상기 보조집적부가 1개의 또는 2개의 집적상자로 이루어진다.
(6) 상기 지엽류가 지폐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장치를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지폐취입부이다. 복수종의 지폐(2)가 일괄해서 지폐취입부(1)의 호퍼(hopper)에 세트된다. 장치가 기동되면, 지폐(2)는 지폐분류기구(3)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서 반송수단에 송출된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송수단이 전단부(401)와 후단부(402)로 구분되고, 각각이 구동모우터(601)와 (602)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수단 전단부(401)에는 지폐감별부(5)가 설치되어, 이곳을 통과하는 지폐(2)는 액종이 판별되어 계수된다. 전단부(401)에는 또한 보조집적부(70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반송수단 후단부(402)에는 주집적부(9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주집적부(900)는 감별부(5)에서 분류계수된 지폐를 분류 구분마다 게이트(803)~(806)에 의해 집적상자(901)~(904)에 분기 집적하도록 되어 있다. (10)은 배제권 집적부이며, 감별부(5)에 의해 위폐(僞弊)로 판정된 지폐를 집적한다.
반송수단 전단부(401)에는 보조집적부(7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보조집적부(700)는 후술하는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반송수단 전단부(401)에서 지폐(2)를 분기시키는 2개의 게이트(801)와 (802)에 의해 분기된 지폐(2)를 집적하는 집적상자(701)와 (702)로 이루어진다.
주집적부(900)는 각 집적상자(901)~(904)내의 지폐(2)를 제멋대로 꺼낼 수 없도록, 폐쇄, 시정되어 있다. (11)은 커버를 로크하는 키이이며, (12)는 키이(11)에 의해 주집적부(900)의 커버가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제1도의 장치의 외관을 제4도에 나타냈다. (13)은 커버이다.
다음에 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본동작이지만, 이 기본동작은 키이(11)를 비로크의 위치로 하고, 보조집적부(700)를 사용하지 않고, 주집적부(900)만으로 지폐의 분류계수를 하는 것이다. 이 동작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와 거의 같으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복수종의 지폐(2)를 일괄해서 지폐취입부(1)에 세트하여 장치를 기동하면, 지폐(2)는 1매씩 반송수단(401)에 의해 반송되어 감별부(5)에서 액종판별이 이루어진다. 보조집적부(700)는 사용되지 않는다. 즉 게이트(801), (802)는 열리지 않는다. 액종판별된 지폐는 주집적부(900)의 게이트(803)~(806)에 의해서 액종마다 설정된 집적상자 (901)~(904)에 분류 집적된다. 위폐는 배제지폐 집적부(10)에 집적된다. 지폐취입부(1)에 세트된 지폐(2)의 주집적부(900)에의 분류 집적이 종료되면, 각 액종마다의 지폐매수와 함께 금액을 표시부에 표시하여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키이(11)가 로크위치에 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키이(11)를 사용하는 오퍼레이터가 장치에서 떨어질 경우, 주집적부(900)내의 지폐(2)를 꺼낼 수 없도록 키이(11)에 의해 주집적부(900)를 잠근다. 이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장치를 조작할 경우의 장치의 동작은 다음처럼 된다.
지폐취입부(1)에 지폐를 세트한 다음, 매수를 세고자 하는 지폐의 종별을 제2도의 조작키이로부터 입력한다. 예를 들어 1만원권의 매수를 셀 경우는 1만원키이(151)를 누른 다음, 스타아트키이(155)를 눌러 장치를 기동한다. 이 키이조작은 제3도의 주제어부(16)에 의해서 키이입력제어부(17)를 통해서 읽힌다. 제3도의 주제어부(16)는 장치의 기동조작을 받으면, 센서입력제어부(18)를 통해서 주집적부로크 검지센서(12)의 상태를 조사하여, 주집적부(900)가 로크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주제어부(16)는 주집적부(900)가 로크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 반송제어부(20)를 통해서 구동모우터(601)가 구동하는 동시에, 게이트제어부(19)를 통해서 게이트(801)를 구동한다. 구동모우터(601)가 구동되면 반송수단(401)이 동작하여 지폐의 반송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구동모우터(601)는 구동 되고 있지 않으므로 반송수단(402)은 동작하지, 않으며, 또, 게이트(801)가 구동되고 있으므로, 지폐가 주집적부(900)에 반송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주제어부(16)는 반송제어부(20)를 통해서 지폐분리기구(3)를 동작시켜, 지폐취입부(1)의 지폐(2)를 1매씩 분리해서 반송수단(401)에 송출한다. 반송수단에 보내진 지폐는 반송수단(401) 도중에 배치된 지폐감별기구(5)에 의해서 액종판별이 이루어진다. 이 액종판별결과는 주제어부(16)에 의해 읽혀진다. 주제어부(16)는 키이입력에 의해서 1만원권의 계수가 지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종판별결과가 만원지폐에 대해서는 게이트제어부(19)를 통해서 게이트(802)를 제어하여 보조집적상자(702)에 집적한다. 또 만원권이외에 대해서는 보조집적상자(701)에 집적한다. 주제어부(16)는 지폐취입부(1)에 세트한 지폐(2)의 보집적부(700)의 집적상자(701), (702)에의 안배가 종료도면, 보조집적상자(702)에 안배한 만원권의 지폐매수를 표시제어부(21)를 통해서 표시부에 표시하여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 액종의 지폐매수를 체크하는데는 보조집적상자(701)안의 지폐를 지폐취입부(1)에 세트하고, 만원권 이외의 소망의 액종조작키이, 예를 들어 5천원 키이를 누른 다음 스타아트키이(155)를 누르면 마찬가지로 보조집적상자(702)에 5천원권을 집적하여, 계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주집적부(900)를 사용함이 없이, 각 액종별마다 지폐매수를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집적부(700)의 보조집적상자가 2개의 경우를 나타냈지만, 보조집적상자의 수를 증가하여 조작회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 보조집적상자를 1개로 하고, 보조집적상자와 배제권집적부(10)에 지폐를 안배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는 반송수단의 후단부(402)도 동시에 구동할 필요가 있다. 또 배제권집적부(10)를 반송수단의 전단부(401)에 설치해 둘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집적부(900) 또는 보조집적부(700)의 어느 것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액종별의 분류의 예를 나타내 놓았지만, 정손(正損), 표리 등의 감별분류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組合)해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키이가 비로크위치에 있는 정상시의 사용에 있어서, 주집적부(900)와 함께 보조집적부(700)를 동시에 사용하여 각종 분류를 동시에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반송수단에 대해서도 실시예에서는 전단부(401)와 후단부(402)로 구분되고, 각각에 구동모우터(601), (602)를 구비하고 잇엇지만, 1개의 구동원을 사용하고, 후단부의 구동을 클러치 등에 의해 단속 가능하게 해두어도 좋다. 또한 후단부의 구동이 주집적부의 로크에 의해 지장이 없도록 해 둘 때에는 반송수단을 전단부와 후단부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에서는 지엽류로서 대표적인 지폐의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유가증권 등 외에 지엽류에 도적용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 발명의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또한 작동하므로, 지폐 등을 다량으로 취급하는 지엽류분류장치에 필요한 방범상의 시정을 하는 동시에, 주집적부가 로크되어 있어도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장치사용자의 범위를 넓게 할 수 있고,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세트된 복수종의 지엽류에서 1매씩 끌어들이는 취입부와, 끌어넣어진 지엽류를 받아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중의 지엽류를 감별하는 감별수단과, 분류된 지엽류를 분류 구분마다 반송수단에서 분기집적(分岐集積)하는 주집적부를 갖는 지엽류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별수단과 주집적부와의 사이에 분류된 지엽류를 분류구분에 의거하여 반송수단으로부터 분기 집적하는 보조집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류장치.
  2. 상기 감별수단이 계수 기능을 구비하고, 이 감별수단을 통과한 지엽류가 분류되는 동시에 계수되어, 상기 주집적부 및 보조집적부에 집적되는 지엽류가 계수되도록 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1기제의 지엽류분류장치.
  3. 상기 주집적부가 폐쇄, 시정(施錠)가능케 되고, 이 폐쇄, 시정 상태에서 보조집적부를 사용하여 지엽류의 분류 또는 분류 및 계수 가능케 되어 있는 지엽류분류장치.
KR1019830002807A 1982-06-25 1983-06-22 지엽류 분류장치 KR910008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351 1982-06-25
JP57-108351 1982-06-25
JP57108351A JPS58225493A (ja) 1982-06-25 1982-06-25 紙葉類分類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37A KR840005237A (ko) 1984-11-05
KR910008805B1 true KR910008805B1 (ko) 1991-10-21

Family

ID=144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807A KR910008805B1 (ko) 1982-06-25 1983-06-22 지엽류 분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225493A (ko)
KR (1) KR9100088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225493A (ja) 1983-12-27
KR840005237A (ko) 198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463B1 (ko) 증권류처리장치
KR910003520B1 (ko) 증권류 처리장치
KR100832507B1 (ko) 현금처리장치
JP2686068B2 (ja) 紙幣処理装置
KR910008805B1 (ko) 지엽류 분류장치
JPS6128073B2 (ko)
JPS625745Y2 (ko)
JPH0417863B2 (ko)
JPS5821746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503993B2 (ja) 紙葉類の処理装置
JPS58221465A (ja) 通貨取引装置
JPH0782570B2 (ja) 紙幣処理機
JP200714093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645046B2 (ja) 紙葉類の処理装置
JPS6275896A (ja) 貨幣処理装置
JPS594362Y2 (ja) 銀行券分類装置
JPS6222919Y2 (ko)
JPS60263282A (ja) 現金処理装置
JPS6027440B2 (ja) 自動預金装置
JPS58165184A (ja) 紙幣の分類計数装置
JPS604515B2 (ja) 紙幣処理方法
JPH0550794B2 (ko)
JPS62121594A (ja) 貨幣処理装置
JPS6282493A (ja) 入金集計機
JPS5972588A (ja) 紙葉類分類計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