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97B1 -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97B1
KR910008697B1 KR1019880014792A KR880014792A KR910008697B1 KR 910008697 B1 KR910008697 B1 KR 910008697B1 KR 1019880014792 A KR1019880014792 A KR 1019880014792A KR 880014792 A KR880014792 A KR 880014792A KR 910008697 B1 KR910008697 B1 KR 91000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film
composite film
stretched
polyethylen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890A (ko
Inventor
이타바 야수시
요시후지 유타카
꼰도 타카요시
이자와 미노루
사카모토 이찌로
요시노 타다오
Original Assignee
토아 넨료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노부유키 나카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85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273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91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33737A/ja
Application filed by 토아 넨료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노부유키 나카하라 filed Critical 토아 넨료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8Shrinkable or shrunk [e.g., due to heat, solvent, volatile agent, restraint remov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1Of polyi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84Regenerated or modified cellulose
    • Y10T428/31888Addition polymer of hydrocarbon[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95Paper or wood
    • Y10T428/31899Addition polymer of hydrocarbon[s] only
    • Y10T428/31902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본 발명은, 방습성, 내굴절균열성, 인열성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포장용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는, 3층의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포장 필름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종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P),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OPP), 셀로판,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OPA)등과 같은 내열 물질의 표면층, 비누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비누화 EVA), 알루미늄 박(Al)등과 같은 가스 차단물질의 중간층 및 실란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표면층은 중간층의 성능을 보완하기에는 내굴절균열성, 방습성 및 인열성이 충분치 않아, 거셀 백(gusset bag)에서와 같이 표면층 물질 상호간에 반드시 밀봉성이 있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실란트층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면층에 밀봉성이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습성, 투명성 및 인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필름이 제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가교결합도가 두께 방향에서 규정되어 있는 방법으로 가교결합되고 연신되고 있다(일본특허 공개 공보 제174321호/1984 및 174322호/1984).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교결합되고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포장용 필름으로서는 성능이 우수하나, 이 필름 자체나 또는 이 필름을 실란트로서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열접착성, 특히 고온에서 고속으로 필름을 열접착봉과 접촉시켜 열접착빽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열접착성이 항상 만족한 것은 아니다.
또한 방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특정 가교결합도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실란트층을 갖는, 가교결합 및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도 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71149호/1985). 그러나, 상기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도 필름 상호간의 열접착성에 있어서 불리한 점이 있다.
양호한 인열성을 가진 필름으로서, 셀로판 또는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일축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MOPE)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셀로판은 분명이 양호한 자체 인열성이 있으나, 직선 인열성은 불량하며, 일축연신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직선 인열은 양호하나, 절단 중 거스름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클리어(clear) 인열성을 얻기는 어렵다는 불편이 있다.
포장용 필름을 사용하는 종래 포장용의 파우치(pouch)는 직선 인열성이 필요하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PET 필름)/알루미늄 박(Al 박)/MOPE 필름/비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 필름)의 적층구조 및 PET 필름 2축연신 나이론 필름(O-Ny 필름)/MOPE 필름/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DPE필름)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적층 필름도 거스름이 일어나는 불편이 있어서, 직선 및 클리어 인열성이 보다 우수한 포장용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을 제공하여 종전 기술의 불편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방습성, 내굴절균열성, 인열성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포장용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가교결합도가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일수측율이 120˚C에서 최대5%, 특히140˚C에서 5%인 적층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적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포장용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하여 온 결과,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가교결합도가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견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가교결합도가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차후 간단히 "BOPE"필름이라 한다)과 (B) 열수축도가 120˚C에서 5% 이하인 적층재로 구성되어 BOPE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어 있는, 최소한 하나의 적층재(차후 간단히 "적층재"라 한다)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복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 적층재의 일명은 실란트층(C)을 갖추고 있고, (ii) 적층재의 일면에는 BOPE필름을 갖추고 있으며 (iii)BOPE필름(A)의 타면은 실란트층(C)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서, 기층인 BOPE필름은, 필름의 각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가교결합도가 저하하는 2축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가교결합도는, 샘플을 비등 p-크실렌으로 추출할 때 용해되지 않고 남은 불용성분의 양으로 정의되는 겔율(gel fraction)로 표현된다.
겔율은 중간층부에서 0-5%로 가장 낮으며, 맞은편 표면층부에서 5%이상, 바람직하게는 20-70%로 가장 높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양쪽 외부층부는 동일가교결합도를 가지며,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가교결합층/비가교결합층/가교결합층이 형성되는데, 비가교결합층 : 각가교결합층의 비가 1 : 0.1-10이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한 방향으로 3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즉 소재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면적배율이 9배 이상되게 2축연신된다.
상술한 BOPE필름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방습성, 인열성 및 벤딩 핀홀 방지성(bending pinhole proofness)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밀도가 최소한 0.935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OPE필름은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는데, 특히 투습도(Y)(JIS Z 0208,온도 41℃, 상대습도90)가 하기식으로부터 얻어진 수치보다 낮으며, 헤이즈(haze) 값이 5%이하이다.
Y=17X-1- 2
여기서 Y는 투습도(g/m2/24시간)를 나타내며 X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BOPE필름을 실란트층으로 사용할 경우, 적층 필름의 컬링(curling)현상이 심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에서 열접착이 가능한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BOPE필름의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10-20㎛의 범위이다. BOPE필름은 증착에 의하여 알루미늄으로 또는 소위 K=코트라고 불리우는 폴리염화비닐리덴(PVDC)로 피복될 수 있다.
상술한 BOPE필름은, 예를 들면, 여기서 참고로 인용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74322호/1984 및 74819호/1986에 게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밀도의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방습성을 개선한다는 입장에서는, 예를들면 밀도가 최소한 0.935g/㎤, 멜트 인덱스(JIS K 6760, 190˚C 및 하중 2.16㎏에서 측정, "MI"라 함)가 0.5-20g/10분 및 고하중 멜트 인덱스(JIS K 6760, 190˚C 및 하중 21.6㎏에서 측정, "HLMI"라 함)/MI의 비율이 40-200의 범위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수소화 형태의 석유수지가 바람직하게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 폴리에틸렌은 조합하여 사용될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상용되는 압출기에 공급되어 용융압출에 의하여 평평한 또는 관상의 소재 시트로 형성되어, 소재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가교결합도가 내부로 저하하도록 소재 시트의 양표면을 전자빔으로 조사(照射)하여 가교결합시킨 후, 폴리에틸렌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2축연신된다.
본 발명의 적층재로서, 종이, 알루미늄 박, 셀로판, 내열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이의 예로는 피복된 종이, 표백 포장지, 포장용 박엽지, 식기용 가공지 등이 있다. 알루미늄박은 바람직하게는 약 7-12㎛의 두께를 갖는다. 셀로판의 경우는 약22㎛의 두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내열수지 필름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파라반산, 에틸렌-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OPP)등의 내열수지 필름이 있다. 이들 내열수지 필름 중에서, PET필름이 내방 또는 포대 제조속도의 입장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내열수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약 12-50㎛의 두깨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의 기본 구조는, (A) 기층으로서의 BOPE필름 및(B)종이, 알루미늄 박 또는 내열수지 필름으로된 최소한 하나의 적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적층의 다른 면에 (C) 실란트층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의 다른 기본 구조는, (A) 기층으로서의 BOPE필름, (B) BOPE필름의 일면에 제공된 최소한 하나의 적층 및 (C) BOPE필름의 타면에 제공된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알루미늄박 등의 차단층을 BOPE필름(A)과 적층(B)또는 실란트층(C)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란트층(C)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이오노머, 폴리프로필렌(비연신 필름)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실란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약 10-5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기층으로서의 BOPE 필름(A)과, 종이, 알루미늄박, 셀로판 또는 내열수지 필름과 같은 적층재(B)또는 실란트층(C)과의 적층은 (1)습식 적층법, (2)핫 멜트 적층법, (3)건식 적층법 및 (4)압출 피복 적층법중 어느 방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되는 적층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20-300㎛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은 BOPE필름 상호간에 열접착이 가능하며, 방습성, 직선 인열성 및 내굴곡균열성이 우수하고, 열접착봉으로 고온에서 고속으로 처리할 경우라도 수축됨이 없이 충분한 열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효과는 다양한 적층재와 조합하여 한층 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과 조합할 경우, 알루미늄 박의 핀홀 방지성을 이루면서 방습성이 한층 더 개선된다. 종이와 조합할 경우에는, 종이의 방습성이 증가되는 한편 종이의 외관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BOPE필름에는 종이의 상온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에틸렌-폴리비닐 아코올 공중합체와 같은 가스차단성이 있는 적층재와 조합할 경우네는, 고온 및 고습도에서의 가스차단성이 개선될 수 있다. PET 또는 셀로판과 조합할 때, 공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은 상술한 우수성 때문에, 특히 기층으로서 BOPE필름을 사용하는 거셋빽 또는 케이스 재료, 밀봉층으로서 BOPE필름을 사용하는 가방류, 스탠딩 파우치(standing pouch)용 포장재, 고속으로 가방제조에 적합한 원료 등의 다양한 포장재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패션 빽 및 파우치와 같은 기타 가방류 및 트레이, 콘테이너, 박스, 카톤(carton)과 같은 용기류, 튜브, 종이옷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은 적층 튜브, 개봉이 용이한 트레이, 콘테이너, 케이스, 인열이 용이한 파우치 및 종이옷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충 튜브는, 알루미늄박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으로 되어 있고 그 양 표면이 비교적 두꺼운 약80㎛의 BOPE필름으로 피복된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이나, 또는 LLDPE 및 LDPE와 같은 실란트층이 양 표면에 또한 제공되어 있는 상기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타 복합 필름을 관상형으로 만들고, 측면 결합부 및 저부를 열접착에 의하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후,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구멍이 있는 상부 카바에 접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튜브는 적층수가 적으며 핀홀방지성이 우수하여 의약, 화장품, 음식, 접착제 등이 포장용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개봉이 용이한 트레이 또는 콘테이너는 약 80㎛의 비교적 두꺼운 BOPE필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AL)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을, BOPE필름이 실란트층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내면에 존재하도록 트레이 또는 콘테이너 모양으로 만들고, LDPE/EVAL/BOPE필름과 같이 LLDPE, LDPE 또는 PP실란트층을 갖는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바를 열접착에 의하여 BOPE필름 표면 및 실란트층 표면에 결합시켜 포장용기를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이것은 우수한 가스차단성, 방습성, 핀홀 방지성 및 투명성을 갖으며 또한 용이하게 개봉되기 때문에 음식물 용기로서 매우 유용하다.
인열이 용이한 파우치는, 실란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을 조합시키고 및 가방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수 많은 컷트가 상기 가방의 밀봉부에 일정 간격으로 동일 방향으로 마련된 후 실란트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밑봉부를 열압 및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이 옷은 일반적으로, 가교결합도가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층과,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내부층을 포함하고 있는데 밀봉부는 접착제로 접착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인용된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투습도
JIS Z 0208, 온도 40˚C, 상대습도 90%
(2) 헤이즈(Haze)
JIS K 6714
(3) 열접착 강도
JIS Z 0238
(4) 열수축율
100㎜ 길이 및 310㎜길이에 표식을 한 2개의 시험편(10㎜ 폭 X 350㎜ 길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을 공기를 사용하는 온도조절기에 140˚C 또는 120˚C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이들 시험편의 열수축율을 가열전의 시험편 길이 L0및 가열 후의 길이 L1으로부터 하기 관계식에 의하여 얻었다.
열수축율=[(L0-L1)/L0] × 100
(5) 겔율(Gel fraction)
ASTM D 2765, 방법 A
(6) 굴절 균열 후의 핀홀수
Rigaku Kogyo주식회사에서 제조한 Gelvoflex Tester(상품명)을 사용하여, 각도 400°/사이클 및 40사이클/분에서 시험관을 100회 굴절한 후, 시험편의 핀홀수를 계산하였다.
(7) 고온 열접착성
200˚C의 열수축봉에서의 밀봉부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수축되지 않음 O, 어느 정도 수축 △ 및 현저한 수축 X로 나타낸다.
(8) 인열성
손으로 I형 놋치를 절단할 때, 직선으로 절단된 샘플은 O로, 가타의 것은 X로 표시한다. 절단시, 깨끗한 절단부를 나타내는 것은 O로, 약간 놋치된 것은 △, 기타의 것은 X로 나타낸다.(실시예 1-18, 비교실시에 1-8)
(9) 인열성
손으로 I형 놋치를 절단할 때, 직선으로 절단된 샘플은 O로, 기타의 것은 X로 표시한다. 절단시, 거스름이 없는 깨끗한 절단부를 나타내는 것은 O로, 거스름을 일으키는 것은 X로 표시한다(실시예 19-26 및 비교실시예 9-12)
[BOPE필름의 제조]
(1)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57g/cc, MI:1.0g/10분, 융점:154℃(134℃)을 T-다이 압출 시트 성형기에 공급하여 480㎛(600㎛)두께의 평평한 시트 소재를 성형하였다. 이 시트 소재의 양 표면을, 전자 빔 조사기(EST Co.제조)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중에서 150KV(165KV)-8mA 조건하에 20Mrad의 전자빔으로 조사하였다. 소재 시트의 두께를 가로 지르는 가교결합도의 경향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0㎛두께의 필름 24편(30편)을 서로 다른 것 위에 쌓아 놓아 480㎛(600㎛)두께의 시험편을 만든 후, 상술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조사(照射)하였다. 조사 후, 시험편을 격리하여 각 필름의 가교결합도를 측정하여 최대 겔율은 외부조사층에서의 50%이고 최소 겔율은 내부조사층에서의 0%인 것을 알았다. 조사된 시트 소재는 가교 결합 외부층/비가교결합 내부층/가교결합 외부층으로 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그들 두께의 비율은 1:1.75:1이었다.
가교결합 시트 소재를 120˚C에서 가열한 후, 종방향으로 4배(길이로 400%) 및 횡방향으로 6배(길이로 600%)로, 텐터(tenter)형 2축연신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신하여, 표1(표2)에 표시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20㎛(25㎛)두께의 연신 필름 BOHD-1(BOHD-3)을 얻었다. 괄호내에 기술된 테이터는 BOHD-3에 해당하는 것이다.
(2) 전자빔의 방사선량을 15Mrad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필름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실 필름 BOHD-2를 얻었다. BODH-2의 특성을 표-1에 나타낸다.
(3) 고밀도 폴리에틸렌 대신에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4g/㎝3, MI:2.0g/10분)을 사용하고 전자빔의 방사선량을 10Mard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필름 BOHD-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필름 BOLL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BOLL의 특성을 표-1에 표시한다.
(4) 표-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신온도, 종방향(MD)으로의 연신비율과 횡방향(TD)으로의 연신비율 및 시트 소재의 두께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필름 BOHD-3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필름 BOHD-4 및 BOHD-5를 얻었다. 이들 필름 BOHD-4 및 BOHD-5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1-18 및 비교실시예 1-8]
기층: (1) BOHD-1 필름, (2) BOHD-2 필름, (3) BOLL 필름
적층: (1) 박지(50g/m2), (2) 알루미늄박(9㎛), (3) EVAL-F(15㎛, Kuraray Co. 제조, 상품명), (4) PETP 필름(12㎛), (5) 셀로판(22㎛), (6) A1 증착 PETP 필름(12㎛), (7) LDPE 필름(30㎛), (8) LLDPE 필름(30㎛), (9) OPP 필름(20㎛)
상술한 적층재(1)-(6)은 140˚C에서 열수축율이 5%이하이었다.
상술한 기충 및 적층재는 표-3에 표시한층 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EVA에멀죤형 또는 아크릴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습식 적층법, 우레탄형 점착제를 사용하는 건식 적층법 또는 압출 피복 적층법에 의하여 접착되고 적층된다.
이들 복합 필름의 특성을 표 3에 표시한다.
[표 3]
Figure kpo00003
주: *실란트층을 적층하기 전의 열접착 강도
[실시예 19-26 및 비교실시예 9-12]
기층: (1) BOHD-3 및 BOHD-4 필름, (2) Al 증착 BOHD-5 필름(Al 증착 600Å), (3) K-코트 BOHD-5 필름, (4) 폴리에틸렌 1축연신 필름(Toyo Kagaku Co. 제조, Caralian-상품명-,25㎛), (5) 폴리에티렌 1축 연신 필름(Toyo Cellopan Paper Co., Tocello O-PE-상품명-, 25㎛, 차후 OPE라 한다.)
적층재: (1) 박엽지(50g/㎡),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P, 12㎛), (3) 알루니늄박(9㎛), (4) OPP 필름(20㎛)
상술한 적층재(1)-(4)의 열수출율은 120˚C에서 5%이하이었다.
실란트층 : LDPE필름(20㎛), LLDPE필름(30㎛), CPP필름(25㎛)
상술한 기층, 적층재 및 실란트층은 표-4에 표시한 층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EVA에멜죤형 또는 아크릴형 수지를 사용하는 습식 적층법, 우레탄형 수지를 사용하는 건식 적층법, 압출 피복 적층법 또는 압출 샌드위치 적층법에 의하여 접착되고 적층된다. 이들 복합 필름의 특성을 표-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04
[주] (1) : TD방향
(2) : MD방향

Claims (22)

  1. 가교결합도가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제공되고, 열수축열이 120℃에서 5%이하인 적층재로 구성되는 최소한 하나의 적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의 표면에 실란트층이 제공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적층의 표면에, 가교결합도가 필름의 두께를 가로질러 내부로 저하하도록 연신된 폴리에틸렌 필름이 제공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의 타면에 실란트층이 제공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가교결합을 이루어 필름의 두께방향을 가로질러 가교결합층/비가교결합층/가교결합층을 형성하는데, 가교결합층은 겔율이20-70%이며, 비가 교결합층은 겔율이 0%이고, 비가교결합층:가교결합층의 비율이 1 : 0.1 : 10인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소재시트를 한 방향으로 최소한 3배의 연신비로 연신함으로써 연신폴리에틸렌 필름이 얻어지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7.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폴리에틸렌 필름이 하기 식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치보다 낮은 투습도와 최대5%의 헤이즈를 갖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Y=17X-1- 2
    여기서 Y는 투습도(g/㎡/24시간)를 나타내며 ×는 연신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폴리에틸렌 필름이 10-20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9.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밀도가 최소한 0.935g/㎤, 멜트 인덱스가 0.5-20g/10=분이고, 고하중 멜트 인덱스대 멜트 인덱스의 비율이 40대 2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을 기재로 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0.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기재로 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1.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알루미늄으로 미리 증착된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2.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미리 피복된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3.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이 수소화형태의 석유수지와 배합된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4.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교결합이 소재 시트의 양 표면을 전자빔으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층재가 종이, 알루미늄박, 셀로판 및 내열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층재의 열수축율이 140˚C에서 최대 5%인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내열수지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파라반 산,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레인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층이 7-3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1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실란트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프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2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실란트층이 10-5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복합필름이 20-30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
  22.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의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는 가방 또는 용기.
KR1019880014792A 1987-11-13 1988-11-12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KR910008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85433A JPH01127339A (ja) 1987-11-13 1987-11-13 ポリエチレン複合フイルム
JP285433/1987 1987-11-13
JP285433/87 1987-11-13
JP62291952A JPH01133737A (ja) 1987-11-20 1987-11-20 ポリエチレン複合フイルム
JP291952/87 1987-11-20
JP291952/1987 198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90A KR890007890A (ko) 1989-07-06
KR910008697B1 true KR910008697B1 (ko) 1991-10-19

Family

ID=2655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792A KR910008697B1 (ko) 1987-11-13 1988-11-12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6378A (ko)
EP (1) EP0317237A3 (ko)
KR (1) KR910008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8445A3 (en) * 1988-09-07 1990-11-14 Tonen Sekiyukagaku K.K. Polyethylene composite film and label
JPH02134246A (ja) * 1988-11-15 1990-05-23 Tonen Sekiyukagaku Kk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チレン架橋延伸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43976A (ja) * 1989-10-30 1991-06-19 Tonen Chem Corp 粘着テープ
US5345069A (en) * 1991-09-17 1994-09-06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Microwavable frozen impact-resistant hermetically sealed food package
DK0541273T3 (da) * 1991-11-05 1997-04-21 Mobil Oil Corp Metalliseret filmstruktur og fremgangsmåde
US6242102B1 (en) * 1991-12-26 2001-06-05 Biotec Biologische Natuverpackungen Gmbh & Co., Kg Single or multilayer foil having a layer containing thermoplastically processable starch
US5450112A (en) * 1992-12-23 1995-09-12 Hewlett-Packard Company Laminated film for ink reservoir
EP1018423B1 (en) * 1993-01-29 2003-05-28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Tough heat shrinkable film structures
GB9403829D0 (en) * 1994-02-28 1994-04-20 Sola Int Holdings Barrier package
JPH09509913A (ja) * 1994-02-28 1997-10-07 ソーラ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リヤパッケージ
GB9416183D0 (en) * 1994-08-10 1994-09-28 Mobil Plastics Europ Inc Oriented HDPE laminates for easy direct onal opening and reclosable bags
CN1088426C (zh) * 1995-06-05 2002-07-31 艾弗里·丹尼森公司 耐热压敏胶结构体
SE521725C2 (sv) 1995-09-20 2003-12-02 Uponor Innovation Ab Ihålig produkt av termoplastmaterial samt sätt för extrudering av densamma
BR9610557A (pt) * 1995-09-20 1999-12-21 Uponor Bv Produtos poliméricos orientados
CH689799A5 (de) 1995-11-28 1999-11-30 Alusuisse Lonza Services Ag Verpackungsbehälter aus einem mehrschichtigen Verbund
FI960768A0 (fi) 1996-02-20 1996-02-20 Conenor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pressa plast i en form och en plastprodukt framstaelld med hjaelp av en form
US6689857B1 (en) 1996-10-03 2004-02-10 Exxonmobil Oil Corporation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high biaxial orientation
US6764751B2 (en) 1996-10-03 2004-07-20 Exxonmobil Oil Corporation Coated multilayer polyethylene film
US5885721A (en) * 1996-10-03 1999-03-23 Mobil Oil Corporation Multilaminar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high biaxial orientation
US6391411B1 (en) 1999-06-03 2002-05-21 Printpack Illinois, Inc. Machine direction oriented high molecular weight,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s with enhanced water vapor transmission properties
FR2828435B1 (fr) * 2001-08-13 2004-06-25 Linpac Plastics Pontivy Sa Film multicouche thermoretractable
US20060243297A1 (en) * 2005-04-29 2006-11-02 Brown Dale G Coated monofilament oriented HDPE dental tapes
US20060105166A1 (en) * 2004-11-17 2006-05-18 Lischefski Andrew J Breathable packaging film having enhanced thermoformability
KR100625895B1 (ko) * 2005-01-14 2006-09-20 김진만 열수축성관
JP5519895B2 (ja) * 2005-05-27 2014-06-1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ケース用包材及び電池用ケース
KR100759699B1 (ko) * 2006-06-26 2007-09-17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이 찢김성 포장지와 이에 이용되는 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8029888B2 (en) * 2008-06-30 2011-10-04 Basell Polyolefine Gmbh Preparation of transparent high density polyethylene sheets
US20130164516A1 (en) * 2011-12-22 2013-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sealing films
WO2017102704A1 (en) 2015-12-15 2017-06-22 Borealis Ag Polyethylene based laminated film structure with barrier properties
JP6799067B2 (ja) 2016-09-26 2020-12-09 ダウ・東レ株式会社 硬化反応性シリコーンゲルおよびその用途
US10543667B2 (en) * 2016-12-30 2020-01-28 Toray Plastics (America), Inc. Easy opening metalized hermetic film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 same
KR102478213B1 (ko) 2017-04-06 2022-12-19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액상 경화성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 그 경화물 및 그 용도
WO2018195681A1 (en) * 2017-04-24 2018-11-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 structure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tructures, and related articles
CN108274842A (zh) * 2018-02-22 2018-07-13 江苏申凯包装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灌装的粒子阀口袋
US11512193B2 (en) 2020-01-06 2022-11-29 Inv Polypropylene, Llc Polymeric substrate including a barrier lay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582A (en) * 1980-12-10 1983-10-18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ed polyolefin laminated film
EP0120672B1 (en) * 1983-03-23 1989-03-08 Toa Nenryo Kogyo Kabushiki Kaisha Oriented polyethylen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60171149A (ja) * 1984-02-17 1985-09-04 東燃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複合フイルム
JPS60187544A (ja) * 1984-03-07 1985-09-25 株式会社興人 熱収縮性複合包装材料
NZ220316A (en) * 1986-06-30 1989-06-28 Grace W R & Co Orientated multilayer film containing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layer and layer containing ethylene butyl acrylate
US4741957A (en) * 1986-09-02 1988-05-03 Mobil Oil Corporation Heat sealable multilayer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7237A3 (en) 1990-05-09
US5006378A (en) 1991-04-09
KR890007890A (ko) 1989-07-06
EP0317237A2 (en) 198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697B1 (ko)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JP2601474B2 (ja) 良好な接着性をもつ多層フイルム
US4770944A (en) Polymeric structure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39826A (en) Multi-layer barrier film
US4247584A (en) Composition comprising a blend of EVA polymers having differing VA contents; films and laminates made therefrom by extrusion; and heat-sealed food bags made from the laminates
CA1274032A (en) Easy to open packag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043238A1 (en) Packaging film, package and process for aseptic packaging
JP4538313B2 (ja) 飲料を包装するための障壁層構造体
JP6863483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US4275120A (en)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substrate and olefin surface layer blend of polybutene-1 and an ethylene or a propylene copolymer
BR112012005433B1 (pt) filme polimérico, termomecanicamente estável, selável por calor, laminado de embalagem, recipiente de embalagem para líquidos,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o filme polimérico
KR101933907B1 (ko)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
US5346763A (en) Multilayer film structure
US7029734B1 (en) Packaging film, package and process for aseptic packaging
EP1391295A1 (en) Packaging film, package and process for aseptic packaging
JP2018058366A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並びに包装物品
US4816342A (en) Polymeric structure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33253A (en) Process for skin packaging electostatically sensitive items
JPH054646A (ja) 熱加工性の改善された多層バツグ状容器
JPH03142231A (ja) 医療用物品透明包装体
KR20230035230A (ko) 적층 시트 및 포장체
KR20230028733A (ko) 재활용이 용이한 내열성 레토르트 패키징
EP0281893B1 (de) Verbundfolie zur Herstellung von quaderförmigen evakuierten Packungen
JPH0528988B2 (ko)
US20050064217A1 (en) Foldable bopp film suitable for fat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