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38B1 - 액체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38B1
KR910008638B1 KR1019890003203A KR890003203A KR910008638B1 KR 910008638 B1 KR910008638 B1 KR 910008638B1 KR 1019890003203 A KR1019890003203 A KR 1019890003203A KR 890003203 A KR890003203 A KR 890003203A KR 910008638 B1 KR910008638 B1 KR 91000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rtition plate
filter
filter member
liquid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728A (ko
Inventor
게이지 나오이
가쓰히꼬 이와따
오사무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쯔오 filed Critical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61M1/0218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 A61M1/0227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and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against damage, e.g. during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61M1/3646Expelling the residual body fluid after use, e.g. back to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9Red blood cells; Erythr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39White blood cells; Leuc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여과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액체여과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여과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액체여과장치를 결합시킨 혈액분리회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액체여과장치의 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액체여과장치의 분해 투시도.
제6도는 제4도와 제5도에 나타낸 액체여과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액체여과장치의 분해 투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액체여과장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농축된 적혈구를 산출하기 위해 혈액으로부터 백혈구 및 다른 성분을 여과해내고 적혈구만을 추출하기 위한 액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과장치는 액체로부터 필요한 성분을 얻기 위해 액체를 여과하는데 사용된다.
만족스런 분리성능을 얻고 액체처리용량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여과장치의 필터부재의 막힘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적혈구만을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성분수혈을 하기 위해 원심분리방법으로 농축된 적혈구를 얻는 것이 통상적이며 산출된 농축 적혈구가 환자에게 투여된다.
농축된 적혈구를 함유하고 있는 용액은 또한 많은 백혈구와 혈소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용액을 적혈구만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수혈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백혈구와 혈소판을 제거함으로써 농축된 적혈구(적혈구 제제)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여과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여과방법은 백혈구와 혈소판을 걸러내기 위한 주 필터부재와 주필터부재에서의 막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필터부재보다 외견밀도가 더 작고 여과저항이 더 낮은 보조필터 부재를 사용한다.
고순도의 적혈구 제제를 산출하기 위한 종래의 액체여과장치가 첨부된 도면의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액체여과장치는 하우징(2) 속에 배치된 간막이판(6)에 의해 중앙에서 분할된 공간(4)의 경계를 정하는 평평한 판 형태의 하우징(2)을 가진다.
간막이판(6)은 그것의 상단 부에 규정된 액체 유입구(8)와 하단 부에 규정된 액체배출구(10)를 가진다.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는 간막이판(6)에 샌드위치 모양이 되도록 끼워지고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는 각각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위에 놓여진다.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는 하우징(2)의 내부 벽 표면 위의 많은 돌출부(16)에 의해 각각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에 눌려진다.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는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에서의 막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조필터부재로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는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보다 더 거칠고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보다 외견밀도가 더 작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부직포로 만들어진다.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는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보다 더 큰 여과저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는 합성수지 혹은 초박형(ultrathin) 섬유의 부직포직물과 같은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여과장치에서는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와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가 단지 겹쳐놓는 관계로 서로 눌려지고 하우징(2)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여과과정동안 여과되는 액체, 대표적으로 혈액은 "쇼트패스(short pass)"라고 알려져 있는 현상인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와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의 눌려진 부분사이로 흘러 여과되지 않고 바로 액체 유출 구(10)로 갈 수도 있다. 따라서 액체는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과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거된 백혈구의 비율 혹은 퍼센트 즉 백혈구 제거 비율은 낮다.
두 번째 필터부재(14a, 14b)의 여과저항이 막힘에 의해 증가되면 첫 번째 필터부재(12a, 12b)는 간막이판(6)으로부터 분리되기 쉽고 전혀 여과되지 않은 액체가 바로 액체 유출구(10)로 향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여과장치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되는 액체의 쇼트패스를 방지하고 필터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제거 비율을 유지하고 막힘을 줄일 수 있는 필터부재를 가진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거친 첫 번째 필터부재와 비교적 큰 여과저항을 가지고 첫 번째 필터부재 둘레에 놓여진 두 번째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고 첫 번째 필터부재가 간막이판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번째 필터부재가 간막이판 위에 리퀴드타이트(liquidtight) 방법으로 놓여져 있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충분한 액체여과능을 가진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유입구와 액체 유출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한 하우징에 고정되어 놓여진 간막이판; 상기한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한 액체 유출 구로 흐르는 여과되는 액체의 방향에 대해 상류 위치에서 상기한 하우징에 놓여진 첫 번째 필터; 상기한 방향에 대해 하류위치에서 상기한 하우징에 놓여진 두 번째 필터로 이루어지고 두 번째 필터부재는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보다 더 큰 여과저항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한 두 번째 필터부재는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 둘레에 리퀴드타이드 방법으로 상기한 간막이판에 직접적으로 고정된 외부 주변모서리를 가지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하우징이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반대 면에 끼워진 한 쌍의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을 리퀴드타이트 방법으로 닫고 상기한 간막이판이 상기한 프레임에 놓여지고 상기한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간막이판에 연속적으로 겹쳐 놓이고 상기한 뚜껑에 의해 상기한 간막이판에 눌려지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와 간막이판 사이에 끼워지는 그물망으로 더 이루어지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간막이판이 많은 수직열의 돌기를 가지고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돌기사이의 틈새에 눌려지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간막이판이 상기한 액체 유입구 쪽으로 향한 위로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뚜껑이 상기한 간막이판과 마주하고 있는 표면에 많은 뻗어있는 액체 가이드를 가지는 액체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해내어 농축된 적혈구를 산출하는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도시예로 나타나 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으로 표시되는 액체여과장치를 보여준다.
액체여과장치(20)는 기본적으로 첫 번째 판(24a), 두 번째 판(24b),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24a, 24b) 사이에 삽입된 간막이판(26)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24a, 24b)은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내벽표면으로부터 간막이판(26)쪽으로 뻗어 있는 많은 돌출부(28a, 28b)를 가진다.
첫 번째 판과 두 번째 판(24a, 24b)은 하단 부에 각각의 경사진 벽(30a, 30b)을 가진다.
간막이판(26)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부에 위치하고 아래로 뻗어있는 액체 유입구(32)를 가진다.
간막이판(26)은 액체 유입구(32)쪽으로 향한 경사진 상부(36)를 가지는 좁은 단면의 중심 벽(34)을 가진다.
중심 벽(34)은 간막이판(26)의 외면 벽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간막이판(26)속의 구석진 곳(37)을 규정하는 반대의 벽면을 가지고 있다.
간막이판(26)은 또한 그것의 하부에 규정된 횡단통로(38)를 가지고 하단 부에 규정된 액체 혹은 여과물 유출구(40)를 가진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중앙 벽(34)에 샌드위치와 같은 모양으로 구석진 곳(37)속에 일부 놓여진다.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뒤에 설명될 두 번째 필터부재보다 거칠고 더 작은 외견밀도를 가진다.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부직포직물로 만들어진다.
그런 재료로된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간막이판(26)의 외벽 면 너머 바깥쪽으로 측면 돌출한다.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는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를 둘러싸고, 간막이판(26)위에 위치한다.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는 액체가 간막이판(26)과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 사이에서 새어나오지 않도록 강한 접착제로 간막이판의 평평한 표면(46a, 46b)에 결합되어 있다.
재료면에서 가능하다면 간막이판(26)의 평평한 표면(46a, 46b)과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를 고주파 혹은 초음파 용접방법으로 함께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는 돌출부(28a, 28b)에 의해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에 눌려진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일정한 입력 하에서 중앙 벽(34)에 눌려진다.
액체여과장치(20)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다.
액체여과장치(20)의 작동과 이점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액체여과장치(20)는 예를 들어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제거하기 위해 제3도에 나타낸 대로 혈액분리회로와 같은 액체처리회로에 사용될 수도 있다.
혈액분리회로에는 백혈구를 제거할 혈액을 함유하고 있는 혈액 백(50), 생리식염수를 함유하고 있는 생리식염수 백(52)이 포함되는데 백(50, 52)은 액체여과장치(20)위쪽에 위치한다.
백(50, 52)은 그 위에 각각 클램프(54, 56)를 가진 한 쌍의 액체도관(58, 60)을 통해 액체여과장치(20)의 액체 유입구(32)에 연결되어 있는 액체 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혈액분리 회로는 또한 생리식염수를 모으기 위한 생리식염수백(62)과 백혈구가 제거된 혈액을 모으기 위한 혈액백(64)이 포함되고 그 백(62, 64)은 액체여과장치 아래에 위치한다.
백(62,64)은 그 위에 각각 클램프(66, 68)을 가진 한 쌍의 액체도관(70, 72)을 통해 액체여과장치(20)의 액체배출구(40)에 연결되어 있는 액체 유입구를 가진다.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해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클램프(56, 66)를 열고 클램프(54, 68)를 닫아 생리식염수가 생리 식염수백(52)으로부터 액체여과장치(20)속으로 흘러 같은 것을 프라임 하도록 한다.
액체여과장치(20)를 통해 아래로 흐르는 생리식염수는 생리 식염수수집 백(62)속으로 모아진다.
액체여과장치(20)가 프라임 된 후 클램프(54, 68)를 닫고 클램프(56,66)를 열어 혈액이 혈액 백(50)에서 액체여과장치(20)속으로 흐르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여과장치(20)의 액체 유입구(32)속으로 주입된 혈액은 중앙벽(34)의 경사부분(36)에 의해 갈라져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를 향하는 두 흐름으로 된다.
비교적 거친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를 통과한 혈액은 백혈구가 포획되는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b)에 이르게 된다.
적혈구만이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를 통과하고나서 통로(38)를 통해 액체 유출구(40)속으로 흐른다.
그리고 나서 적혈구를 액체 유출구(40)로부터 방류시켜 액체도 관(72)을 통해 혈액 백(64)속에 모은다.
이 시간동안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가 중앙 벽(34)의 평평한 표면(46a, 46b)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혈구가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와 평평한 표면(46a, 46b)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혈액이 혈액 백(64)속으로 주입된 후에 클램프(56)를 다시 열어 액체여과장치(20)에 남아있는 혈액을 모은다.
생리식염수를 클램프(56)를 통해 액체여과장치(20)속으로 다시 공급하여 남아있는 혈액을 액체 여과장치(20)밖으로 해서 혈액 백(64)속으로 모은다.
잔류혈액을 다 모은 후에 클램프(68)를 닫고 클램프(66)를 열어 잔류혈액을 모으는데 사용된 생리식염수를 생리식염수백(62)속으로 모은다.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해내는 과정이 이제끝난다.
백혈구제거비율과 혈액처리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체여과장치(20)의 다양한 발명 예와 종래의 액체여과장치(2)의 다양한 비교예에 대한 비교 실험을 하였다.
비교실험의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발명 예 1-5에서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는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보다 외견밀도가 더 작은 폴리에스테르 펠트로 만들어졌다.
두 번째 필터부재(44a, 44b)는 폴리비닐포르말 "벨이터(Bell Eater)"(일본에서 음역 등록된 상표명: Kanebo. Ltd.에서 제조)와 같은 다공성 합성수지물질로 만들어졌다.
첫 번째 필터부재(42a,42b)는 두 번째 필터부재(44a,44b) 보다 더 작은 여과여면적을 가지며 두번째 필터부재(44a,44b)는 첫 번째 필터부재(42a, 42b)에 샌드위치 모양이 되도록 간막이판(26)에 초음파로 용접되었다.
비교 예 1-5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는 본 발명 예 1-5의 것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는 같은 여과면적을 가졌고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막이판(6)에 눌려졌다.
400ml의 혈액을 본 발명예 1-5 및 비교예 1-5에 따라 액체여과장치로 최대 압력 500mm aq하에서 여과시키고 백혈구제거비율과 혈액처리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한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된 액체여과장치의 백혈구 제거 비율은 95.6%∼97.75이었고 평균이 96.4% 였다.
종래의 액체여과장치의 백혈구 제거비율은 본 발명의 액체여과장치의 것보다 더 넓은 범위에 흩어져있고 더 낮았다.
본 발명의 액체여과장치의 혈액처리 시간은 5.4∼7.7분이었고 평균이 6.4분이었다.
종래의 액체여과장치의 혈액처리시간은 3.4∼9.2분이었고 평균은 6.1분이었다.
종래의 액체여과장치의 혈액처리시간은 본 발명의 액체여과장치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아주 다른 백혈구제거 비율을 가지며 안정한 여과 작용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액체여과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여과장치(20)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수렴하는 하단 부를 가진 넓은 프레임(102)과 서로 공간분리가 되도록 프레임(102)속에 끼워진 한 쌍의 뚜껑(104a, 104b)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이 포함된다.
뚜껑(104a, 104b)은 초음파 혹은 고주파 용접 방법 혹은 접착제로써 리퀴드 타이트 방법으로 프레임(102)에 고착된다.
프레임(102)은 하우징(100)의 내부를 프레임(102)과 뚜껑(104a, 104b)으로 또한 규정되는 두 개의 방으로 나누는 통합식 간막이판(106)을 가진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막이판(106)은 프레임(102)의 상부에 공간(110)을 남기면서 위로 볼록한 상부를 포함하는 중앙부분(108)을 가진다.
간막이판(106)은 또한 간막이판(106)의 하부와 프레임(102)사이에 공간(112)을 남기면서 프레임(102)의 하부에 아래로 볼록한 하부를 가진다.
프레임(102)은 그것의 상부에 축 방향으로 통하는 액체 유입구(116)를 규정하는 원통형돌기(114)를 가진다.
공간(110)은 액체 유입구(116)와 통하는 반면에 공간(112)은 액체 유출 구(120)와 통한다.
간막이판(106)은 각 측면에 돌기(122)의 열에 수직인 수평방향으로 돌기(122)사이에 있는 통로(123)를 규정하는 돌기(122)의 많은 수직 열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는 간막이판(106)과 공간(110)을 덮도록 간막이판(106)의 각 면에 하나씩 놓여진다.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는 각각의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 위에 놓여진다.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는 프레임(102)의 주변 가장자리에서 튀어나온 맞물리는 리지(130)와 접하는 말단을 가진다. 뚜껑(104a, 104b)은 각각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위에 겹쳐 놓여지도록 프레임(102)에 놓여져서 프레임(102)속의 방을 리퀴드타이트 방법으로 밀폐시킨다. 각 뚜껑(104a, 104b)은 그것의 내면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가이드(131)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체여과장치(20)는 바람직하게는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해내기 위해 제3도에 그려진 혈액분리 시스템에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이 액체 유입구(116)에 들어갈 때 혈액은 먼저 공간 속에 들어가 혈액이 프레임(102)속의 수평적으로 반대 지역으로 나누어 들어가도록 하는 간막이판(106)의 위로 볼록한 중앙 판(108)으로 흘러 들어간다.
아래로 흐르는 혈액은 돌기(122)에 의해 수직으로 통로(123)에 의해 수평으로 향해진다.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는 통로(123)속으로 충분히 눌려지고 통로(123)의 열 사이에 있는 수직 틈 속에 놓여진다.
그러므로 혈액은 반드시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를 투과하고, 그리고 나서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백혈구는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와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를 통과한 농축된 적혈구는 뚜껑(104a, 104b)위에 있는 가이드(131)를 따라 공간(112)속으로 흘러 들어가고, 그것으로부터 농축된 적혈구는 여과물배출구(120)를 경유하여 혈액 백(64)속으로 방출된다(제3도).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액체 여과장치는 제7도와 제8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7도와 제8도에 나타낸 제4도∼제6도의 것과 동일한 액체여과장치의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했고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제7도와 제8도에서 보는 것처럼 한 쌍의 그물 망(150)이 프레임(120)속에 간막이판(106)에 최대한 밀접한 위치에 놓여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 망(105)은 간막이판(106)의 각 면에 하나씩 놓여지고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와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와 뚜껑(104a, 104b)이 연속적으로 그물망(150)위에 놓여진다.
그물 망(150)은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가 고주파 혹은 초음파 용접방법에 의해 프레임(102)에 쉽게 결합되도록 한다. 여과되는 혈액은 그물 망(150)의 그물구멍을 통해 다른 방향으로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첫 번째 필터부재(126a, 126b)와 두 번째 필터부재(128a, 128b)로 쉽게 들어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는 두 번째 필터부재가 간막이판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유입구로부터 액체 여과장치 속으로 들어가는 혈액은 항상 장치의 여과물 배출구로 향하는 쇼트 패스 없이 두 번째 필터부재로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백혈구는 혈액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원하는 농축 적혈구를 산출한다.
달리 말하면 혈액이 첫 번째 필터부재와 두 번째 필터부재를 통해 연속적으로 흐르기만 하면 원하지 않는 성분을 필터부재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여과해내고 필터부재가 덜 막히도록 한다.
두 번째 필터부재는 간막이판에 용접되거나 접착되기 때문에 첫 번째 필터부재가 두 번째 필터부재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액체여과장치는 필터부재가 덜 막히기 때문에 안정한 액체여과 성능을 가진다.
일정한 바람직한 구체예를 보이고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7)

  1. 액체 유입구와 액체 유출구가 있는 하우징, 상기한 하우징에 고정되어 놓여진 간막이판, 상기한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한 액체 유출 구로 흐르는 여과되는 액체방향에 대해 상류위치에서 상기한 하우징에 놓여진 첫 번째 필터부재, 상기한 방향에 대해 하류 쪽으로 상기한 하우징에 놓여진 두 번째 필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두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보다 더 큰 여과저항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한 두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를 둘러싸고 리퀴드타이트 방법으로 상기한 간막이판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외부 주변 모서리를 가지는 액체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이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반대 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을 리퀴드타이트 방법으로 닫고 상기한 간막이판이 상기한 프레임 속에 놓여지고 상기한 첫 번째와 두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간막이판에 연속적으로 겹쳐 놓여지고 상기한 뚜껑에 의해 상기한 간막이판에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와 상기한 간막이판 사이에 끼워지는 그물 망으로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간막이판이 많은 수직열의 돌기를 가지고 상기한 첫 번째 필터부재가 상기한 돌기 사이의 틈 속에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간막이판이 상기한 액체 유입구로 향한 위로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이 상기한 간막이판과 마주보는 표면에 많은 뻗어있는 액체가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여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농축된 적혈구를 산출하기 위해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하기 위한 액체여과장치.
KR1019890003203A 1988-03-15 1989-03-15 액체 여과 장치 KR910008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60912A JPH0614969B2 (ja) 1988-03-15 1988-03-15 液体濾過装置
JP63-60912 1988-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728A KR890014728A (ko) 1989-10-25
KR910008638B1 true KR910008638B1 (ko) 1991-10-19

Family

ID=1315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203A KR910008638B1 (ko) 1988-03-15 1989-03-15 액체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63260A (ko)
EP (1) EP0333119B1 (ko)
JP (1) JPH0614969B2 (ko)
KR (1) KR910008638B1 (ko)
AU (1) AU608133B2 (ko)
DE (1) DE689111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561A (en) * 1989-05-09 1994-09-06 Pall Corporation Device for depletion of the leucocyte content of blood and blood components
US5229012A (en) * 1989-05-09 1993-07-20 Pall Corporation Method for depletion of the leucocyte content of blood and blood components
US5302299A (en) * 1990-05-24 1994-04-12 Pall Corporation Biological semi-fluid processing assembly
US5258127A (en) * 1990-07-27 1993-11-02 Pall Corporation Leucocyte depleting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DE69119683T2 (de) * 1990-07-27 1996-10-02 Pall Corp Filtereinrichtung zur Entfernung von Leukozyten und Methode zur Verwendung
US5362406A (en) * 1990-07-27 1994-11-08 Pall Corporation Leucocyte depleting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5269946A (en) * 1991-05-22 1993-12-14 Baxter Healthcar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undesired matter from blood cells
US5460945A (en) * 1991-05-30 1995-10-24 Center For Blood Research, Inc.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s of blood components and identifying inhibitors and promoters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EP0520737A1 (en) * 1991-06-28 1992-12-30 Pall Corporation Filter assembly with a spin welded end cap
CA2072378C (en) * 1991-11-21 2000-12-26 Vlado Ivan Matkovich System for processing separate containers of biological fluid
DE69415683T2 (de) * 1993-10-04 1999-09-09 Res International Mikromaschinen-fluss-schalter
US5622626A (en) * 1994-04-15 1997-04-22 Pall Corporation Multiple compartment fil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parenteral fluid
WO1996012547A1 (en) * 1994-10-21 1996-05-02 Pall Corporation Fluid processing apparatus
JPH08192006A (ja) * 1995-01-13 1996-07-30 Pall Corp 濾過器
US5630946A (en) * 1995-02-15 1997-05-20 Pall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a biological fluid including leukocyte removal in an extracorporeal circuit
US6103120A (en) * 1995-10-23 2000-08-15 Pall Corporation Fluid processing apparatus
DE69728983T2 (de) 1996-07-09 2005-04-07 Pall Corp. Filtervorrichtung für biologische Fluide mit einem Leukocyten abreichernden Medium
FR2774293B1 (fr) * 1998-02-05 2000-08-11 Maco Pharma Sa Procede de transformation de plasma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2002526172A (ja) * 1998-10-02 2002-08-20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生物学的流体フィルターおよびシステム
US6660171B2 (en) * 2000-03-27 2003-12-09 Peter Zuk, Jr. High capacity gravity feed filter for filtering blood and blood products
FR2821762B1 (fr) * 2001-03-09 2003-11-28 Maco Pharma Sa Unite de filtration comprenant deux milieux filtrants distincts et systeme a poches le comprenant
ITTO20020736A1 (it) * 2002-08-21 2004-02-22 Fresenius Hemocare Italia Srl Filtro per leucociti e suo impiego per l'impoverimento di prodotti del sangue da leucociti.
ITTO20020820A1 (it) * 2002-09-20 2004-03-21 Fresenius Hemocare Italia S R L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separare il sangue in componenti del sangue impoveriti di leucociti.
US7854845B2 (en) * 2003-09-05 2010-12-21 Hemerus Medical Llc Biological fluid filtration apparatus
US7332096B2 (en) 2003-12-19 2008-02-19 Fenwal, Inc. Blood filter assembly having multiple filtration regions
JP5164241B2 (ja) * 2005-12-20 2013-03-21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処理フィルター装置
JP5281655B2 (ja) * 2008-12-03 2013-09-04 テルモ株式会社 血液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血液処理方法
IT1400495B1 (it) * 2010-06-09 2013-06-11 Cardionova S R L Dispositivo contenitore di sangue a funzionamento perfezionato.
US8337701B2 (en) 2011-03-14 2012-12-25 Pall Corporation Intravenous filter
US10376627B2 (en) 2014-03-24 2019-08-13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10159778B2 (en) 2014-03-24 2018-12-2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9796166B2 (en) 2014-03-24 2017-10-24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9968738B2 (en) * 2014-03-24 2018-05-1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with molded frame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9782707B2 (en) 2014-03-24 2017-10-10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CN104694381B (zh) * 2015-04-01 2017-06-16 湖南赛科菲特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分离血液流体中肿瘤细胞的过滤器及整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714A (en) * 1975-07-30 1977-03-01 Johnson & Johnson Intravenous solution filter unit
US4304670A (en) * 1979-04-03 1981-12-08 Terumo Corporation Blood filter with air trap and distributing chamber
US4422939A (en) * 1979-11-07 1983-12-27 Texas Medical Products, Inc. Blood and perfusate filter
JPS5725222A (en) * 1980-07-21 1982-02-10 Toshiba Corp Press forming device of metallic plate material
US4701267B1 (en) * 1984-03-15 1996-03-12 Asahi Medical Co Method for removing leukocy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4969B2 (ja) 1994-03-02
EP0333119A2 (en) 1989-09-20
US4963260A (en) 1990-10-16
KR890014728A (ko) 1989-10-25
AU608133B2 (en) 1991-03-21
EP0333119A3 (en) 1991-01-30
JPH01232973A (ja) 1989-09-18
DE68911176D1 (de) 1994-01-20
EP0333119B1 (en) 1993-12-08
DE68911176T2 (de) 1994-04-28
AU3130889A (en) 198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638B1 (ko) 액체 여과 장치
EP0745398B1 (en) Cardiotomy reservoir with internal filter
US4642089A (en) Unitary venous return reservoir with cardiotomy filter
EP0017873B1 (en) A blood filter device
US4737139A (en) Unitary venous return reservoir with cardiotomy filter
US4732675A (en) Density gradient filtration media
JP3014916B2 (ja) 白血球除去用ロ過器
US8337700B1 (en) High capacity biological fluid filtration apparatus
JPH11216179A (ja) 白血球除去器、血液処理回路および血液処理方法
US5792133A (en) Flexible filtering pouch
US5540841A (en) Cardioplegia fil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cardioplegia fluid
US4668394A (en) Filtration media and supporting frame
EP1075844B1 (de) Vorrichtung zur autologenen Transfusion von Blut
JP2538751B2 (ja) 白血球捕捉分離器具
JP2918595B2 (ja) 白血球分離器
EP0767682B1 (en) A device for filtration and collection of blood
JP2799179B2 (ja) 液体処理器
JP2503505B2 (ja) 白血球除去フィルタ−
JPH01256972A (ja) 液体処理器
JPH11290060A (ja) 細胞回収に適した細胞分離フィルター、細胞分離システム及び細胞分離方法
JP3025407B2 (ja) 血液バッグ
JPS6223487Y2 (ko)
JPS59141951A (ja) 血漿分離装置
JP2001276212A (ja) 血液成分採取方法および血液成分採取回路
JPH02271868A (ja) 血液成分分画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