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91Y1 -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 Google Patents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491Y1
KR910008491Y1 KR2019890010114U KR890010114U KR910008491Y1 KR 910008491 Y1 KR910008491 Y1 KR 910008491Y1 KR 2019890010114 U KR2019890010114 U KR 2019890010114U KR 890010114 U KR890010114 U KR 890010114U KR 910008491 Y1 KR910008491 Y1 KR 910008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exhaust
supp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906U (ko
Inventor
노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금속
노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금속, 노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금속
Priority to KR2019890010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491Y1/ko
Publication of KR910002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4Arrangements of recup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10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 F23J2211/101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with coaxial duct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2Joints; Connections between duct or stack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2중 급배기연결관의 분해사시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의 분리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2중 급배기연결관의 조립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2중 급배기연결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측외주면 2 : 끼워맞춤돌기
3 : 전방측 연결외연관 4 : 브라켓트
7 : 전방측 연결 내연관 8 : 내주면
9 : 외주면 10 : 걸림편
11 : 끼워맞춤요홈 12 : 후방측 연결외연관
13 : 브라켓트 16 : 후방측 연결내연관
17 : 직선형 연결관 18 : 급배기관
20 : 외연관 21 : 끼워맞춤요홈
22 : 끼워맞춤돌기 23 : 끼워맞춤요홈
24 : ㄱ자형 연결외연관 25 : 브라켓트
28 : ㄱ자형 연결내연관 29 : ㄱ자형 연결관
A : 급기통로 B : 배기통로
본 고안은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기로부터 외부의 급배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모두 2중관으로 형설하여 급배기가 한개의 관로에서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이들 연결관 자체를 직선형과 "ㄱ"자형의 연결관으로 구분하여 회전과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므로서 연소기의 설치위치나 크기에 관계없이 연결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나 난로와 같은 연소기에는 급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어 급기구로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고, 배기구로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로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연소기에서는 급기구가 별도록 마련되어 있지 않고 배기구만이 마련되어 있어 이 배기구에 연통을 연결하므로서 연소기내부에서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상기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실내에서 공급받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6-15055에 게재된 "주름이 형성된 연통"이 있다.
상기 "주름이 형성된 연통"은 난로(1)이 내연구(2)와 관접되게 연통을 설치하되 이 연통의 관체(3) 중간부분에 적당한 간격으로 주름(4)을 형성하여 연소된 배기가스가 상기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실내에서 공급되며, 아울러 연통의 관체 (3)에 형성된 주름(4)에 의해 난로(1)나 벽면의 구멍위치에 따라 연통을 손쉽게 절곡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실내에서 공급받게 되면. 실내공기의 산소결핍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게 되고,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그대로 연통을 통하여 실외로 방출되므로 열손실이 심하게 발생하였던바,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기의 급. 배기관을 하나의 2중관 형태로 형성하므로서 내부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게 하고, 외부로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실내공기의 오염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연소용공기가 유입되는 도중 충분히 예열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대표적인 예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3-63064호(1978. 5. 27. 공개)에 게재된 "연소장치의 급배기통"이 있다.
그내용은 급기로(15) 및 배가로(14)를 갖는 급배기통(11)의 선단에 급배기통톱(20)을 취부하되, 이 급배기통톱(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급기로(15)와 연통되게 급기구(25)를 형성하고, 선단벽면에는 상기 배기로(14)와 연통되게 배기구(27)를 형성하며, 이 배기구(27)와 대향하게 원추형 표면을 갖는 차풍판(28)을 부착하므로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급배기통(11)의 배기로(14)와 배기공(16)및 톱본체(21)의 배기구(2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톱본체(21)의 급기구(25)와 급배기통(11)의 급기공(17) 및 급기로(15)를 따라 연소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충분히 예열되도록 하며, 아울러 차풍판(28)이 역풍을 차단하여 배기구(27)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순조로운 배출을 도와주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소장치의 급배기통"은 그 일부만이 2중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급배기통(11)과 연소기의 급기구 및 배기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연결관이 별도로 더 필요하고, 또한 이들 두개의 연결관은 배기가스의 온도가 가장 높은곳에서 각각 분리, 설치되기 때문에 실제로 연소용공기의 예열효과를 충분히 거둘수 없었다.
그리고 이들 두개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테이프나 밴드 및 보온재등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들고, 설치시간이 많이걸리며, 설치후에는 상기 테이프나 밴드등의 접착수명 동안만 기밀이 유지되므로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고, 미관을 그르쳤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소기와 급배기관 사이의 연결관을 2중관으로 형성하여 연소기의 급. 배기가 모두 하나의 연결관 및 급배기관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연소용 공기의 예열효과를 높이고, 아울러 상기 연결관 자체를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연결이 쉽고 연소기의 위치나 크기 및 높이에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결관 자체를 직선형의 연결관과 "ㄱ"자형으로 절곡된 연결관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들 직선형 연결관을 모두 내. 외연관의 2중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각각 급. 배기통로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상호 끼워맞출수 있게 끼워 맞춤돌기와 요홈을 형성하므로서 연결관과 연결관 및 연결관과 급배기관의 연결이 쉽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연소기와 급배기관이 끼워질 벽면의 구멍위치에 맞게 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2중 급배기 연결관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분리단면도인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고안은 급기구멍(31)이 뚫린 외연관(20)과 배기굴멍(32)이 뚫린 외연관(19)이 브라켓트(4)로 접합 되어 이들 사이에 급. 배기통로(A), (B)가 형성된 급배기관(18)을 연소기(30)에 연결하기 위한 직선형연결관(17)과 "ㄱ"자형 연결관(29)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배기관(18)에는 외연관(20) 후단에 끼워맞춤요홈(21)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직선형연결관(17)의 끼워맞춤돌기(3)가 끼워질수 있게 한다.
또한 직선형 연결관(17)은 0링부(15)에 0-링 (14)이 끼워진 후방측 연결내연관(16) 외측으로 이보다 직경이 큰 후방측연결외연관(12)을 삽입하여 브라켓트(13)로 고정시키고, 그 선. 후단에 각각 수개의 갈림편(10)과 끼워맞춤요홈(11)을 형성하며, 상기 후방측연결 내. 외연관(16), (12)의 선단 외주면에는 각각 전방측 연결 내, 외연관(7), (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여 브라켓트(4)로 고정시키고, 이중 걸림편(10) 내측으로 삽입된 전방측 연결내연관(7)의 후단에 0-링부(6)를 형성하여 0-링(5)을 끼우며, 전방측 연결외연과(3)의 선단부에는 수개의 끼워맞춤돌기(2)를 형성하여 전. 후방측연결내연관(7), (16) 내에는 배기통로(B)가 전. 후방측 연결외연관(3), (12) 내에는 급기통로(A)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ㄱ"자형 연결관(29)은 주름부에 의해 90°절곡된 "ㄱ"자형 연결내연관(28) 외측으로 역시 주름부에 의해 90°절곡되며 이보다 직경이 큰 "ㄱ"자형 연결외연관(24)을 삽입하여 브라켓트(25)로 고정시키고, 이중 "ㄱ"자형 연결내연관(28)의 일측에 0-링부(27)를 형성하여 0-링(26)을 끼우며. "ㄱ"자형 연결외연관(28)의 일측에는 각각 수개의 끼워맞춤돌기(22)와 끼워맞춤요홈(23)을 형성하여 "ㄱ"자형 연결내연관(28) 내에는 배기통로(B)가, "ㄱ"자형 연결외연관(24)내에는 급기통로(A)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조립 및 설치동작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 및 설치시에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먼저 급배기관(18)의 일측플랜지(33)를 끼운다음 이를 건물벽면 에 삽입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고,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다시 일측플랜지(34)를 끼워 이들 양 플랜지 (33), (34) 를 벽면(35)에 고정시키면 급배기관(18)이 일정높이의 건물벽면(35)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후에는 연소기(30)의 설치위치와 높이 및 상기 급배기관(18)과의 거리를 감안하여 적정갯수의 직선형 연결관(17)과 "ㄱ"자형연결관(28)으로 연소기(30)와 급배기관(18)을 연결해 주면 된다.
연결할때는 먼저 급배기관(18)의 끼워맞춤요홈(21)에 직선형 연결관(17)의 전방측 연결외연관(3)에 형성된 끼워맞춤돌기(2)를 삽입하여 약간 돌려주고, 같은 동작으로 직선형연결관(17)의 후방측 연결외연관(12)에 형성된 끼워맞춤요흠(11)에 "ㄱ"자형 연결관(29)의 "ㄱ"자형 연결외연관(28)에 형성된 끼워맞춤돌기(23)를 삽입하여 약간 돌려준 다음, 계속해서 "ㄱ"자형 연결관(29)의 "ㄱ"자형 연결외연관(24)에 형성된 끼워맞춤요홈(23)에 또다른 직선형 연결관(17)의 끼워맞춤돌기(2)를 삽입하여 돌려준다음, 최종적으로 직선형연결관(17)의 후방측 연결내. 외연관(16), (12) 단부를 연소기(30)의 급.배기구와 연결하면 된다.
연결하는 도중 길이조절이 필요할때는 직선형 연결관(17)을 양측으로 잡아당겨 전방측 연결내. 외연관(7), (3)과 후방측 연결내. 외연관(16), (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이렇게하여 완전히 조립되면 급배기관(18)과 직선형연결관(17) 및 "ㄱ"자형 연결관(29)의 급. 배기통로(A), (B)가 모두 연통된다.
따라서 연소기(30)내부에서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직선형연결관(17)과 "ㄱ"자형 연결관(29) 및 직선형 연결관(17), 급배기관(18)의 배기통로(B)를 차례로 거치면서 배기구멍(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급기구멍(31)과 급배기관(18), 직선형 연결관(17), "ㄱ"자형 연결관(29), 직선형연결관(17)의 급기통로(A)를 차례로 거치면서 연소기(3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도중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달구어 진 내연관(19)과 전. 후방측연결 내연관(16), (7), "ㄱ"자형 연결내연관(28), 전. 후방측 연결내연관(16), (7)과 차례로 접하면서 충분히 예열된다.
따라서 연소용공기가 연소기(30) 내부로 유입되는 도중 충분히 예열되므로 그만큼 열손실이 방지되고, 착화 시간이 짧아져 연료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급배기관(18)으로부터 연소기(30)에 이르는 급배기용 연결관이 모두 하나의 2중관으로 되어 있어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외관도 미려하게 되며, 아울러 설치시 별도의 테이프나 밴드와 같은 부속품이 필요없어 설치가 용이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연소기(30)나 급배기관(18)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소기(30)와 급배기관(18)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2중구조의 직선형 연결관(17)과 "ㄱ"자형 연결관(29)으로 분리 형성하여 연소용공기의 예열효과를 높혀주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없이도 손쉽게 연결, 조립할 수 있음으로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연소기(30)와 급배기관(18)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연소기(30)와 내. 외연관(19), (20)의 2중구조로 된 급배기관(18)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을 직선형연결관(17)과 "ㄱ"자형 연결관(29)으로 분리, 형성하여 직선형연결관(17)은 후방측 연결 내연관(16) 외측으로 선, 후단의 내. 외면에 걸림편(10)과 끼워맞춤요홈(11)이 형성된 후방측 연결외연관(12)을 삽입하여 브라켓트(13)로 고정시키고, 이들 후방측연결내. 외연관(16), (12)의 선단 외주면에 브라켓트(4)로 고정된 전방측연결 내연관(7)과 선단주연에 끼워맞춤돌기(2)가 형성된 전방측 연결외연관(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전, 후방측 연결내연관(7), (16)에는 배기통로(B)가, 전, 후방측 연결외연관(3), (2)에는 급기통로(A)가 각각 형성되게 하며, "ㄱ"자형 연결관(29)은 "ㄱ"자형 연결내연관(28) 외측으로 일측과 타측의 외 주면에 각각 끼워 맞춤돌기(2)와 끼워맞춤요홈(23)이 형성된 "ㄱ"자형 연결외연관(24)을 삽입하여 브라켓트(25)로 고정시키고, 상기 "ㄱ"자형 연결내. 외연관(28), (24)에는 각각 배기통로(A)가 형성되게 하며, 급배기관(18)의 외연관(20)에 끼워맞춤요홈(21)을 형성하여 상기한 끼워맞춤요홈(21), (11), (23)가 끼워맞춤돌기 (2), (22)를 상호 연결, 접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KR2019890010114U 1989-07-11 1989-07-11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KR910008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114U KR910008491Y1 (ko) 1989-07-11 1989-07-11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114U KR910008491Y1 (ko) 1989-07-11 1989-07-11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906U KR910002906U (ko) 1991-02-26
KR910008491Y1 true KR910008491Y1 (ko) 1991-10-21

Family

ID=1928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114U KR910008491Y1 (ko) 1989-07-11 1989-07-11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4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906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2004622A (es) Ensamble de puerta/quemador interior para calentador de agua encendido por combustible.
KR910008491Y1 (ko) 연소기용 2중 급배기 연결관
JP4056996B2 (ja) アフターバーナー装置
JPH0523331B2 (ko)
EP1089038B1 (en) Terminal unit for a balanced flue
CZ249097A3 (cs) Topné těleso, zejména pro vozidla
KR200361545Y1 (ko) 보일러의 연통 고정구조
CN212006240U (zh) 燃气热水器的烟筒座以及燃气热水器系统
KR0110620Y1 (ko) 열기기용 2중관구조
CN110686278A (zh) 输气装置及燃气灶
WO2021062977A1 (zh) 燃气热水器设备及用于燃气热水设备的限流件
KR950009056Y1 (ko) 연소기용 2중 급배기관
KR200204038Y1 (ko) 연소기의 급·배기관
CN218025825U (zh) 一种玻璃窑炉冷却部用燃烧器的芯部组件
CN211011487U (zh) 输气装置及燃气灶
JPH0616284Y2 (ja) ダンパーの取付け構造
KR920008472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JPS599144Y2 (ja) 燃焼装置
EP0778447A3 (de) Einsatz für eine Kesselanlage, Kessel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Kesselanlage
KR920008473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20000016489U (ko) 보일러용 연통구조
JPS6042282Y2 (ja) 燃焼装置
KR19990038680U (ko) 난방기의 흡배기관 연결장치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KR100581586B1 (ko) 가스보일러의 가스배관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