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038Y1 - 연소기의 급·배기관 - Google Patents

연소기의 급·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038Y1
KR200204038Y1 KR2020000017274U KR20000017274U KR200204038Y1 KR 200204038 Y1 KR200204038 Y1 KR 200204038Y1 KR 2020000017274 U KR2020000017274 U KR 2020000017274U KR 20000017274 U KR20000017274 U KR 20000017274U KR 200204038 Y1 KR200204038 Y1 KR 200204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supply
air supp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흠
Original Assignee
김상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흠 filed Critical 김상흠
Priority to KR2020000017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10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 F23J2211/101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with coaxial duct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외연관(1)과 내연관(2)을 2중관으로 형성시킨 급·배기관에 있어서, 외연관(1)의 좌측부분 후방에 급기연결구(7)를 형성시키고 내연관(2)의 좌측 끝부분에 곡관(6)을 접속하며, 상기 곡관(6)의 아래부분에 연결시킨 배기연결구(8)를 상기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에 인출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의 급·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소기의 급·배기관{VENTILATORY PIPE IN BURNER}
본 고안은 연소기의 급기관 및 배기관의 역할을 하는 급·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일러 및 온풍기 등의 연소기에서 연료를 완전 연소시켜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공 및 급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외연관(급기관)과 연료가 연소한 후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원만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연관(배기관)을 2중관으로 형성시킨 구성의 급·배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소기의 급·배기관은 도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소기의 설치 위치에서 급·배기 외부통로가 우측에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측에 급기공(3)이 형성되고 급기통로(4)가 형성되어 있는 외연관(급기관)(1)의 좌측 아래부분에 급기연결구(7)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외연관(1)의 내부를 관통시킨 내연관(배기관)(2)의 좌측부분에 배기연결구(8)를 형성시킨 구성의 급·배기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급·배기관은 연소기의 설치위치에서 급·배기 외부통로가 우측에 있는 경우에는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나 때로는 급·배기 외부통로가 좌측이나 직·후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연소기의 설치 장소상 연소기의 설치 위치를 변환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할 때에는 할 수 없이 급기연결구(7)와 배기연결구(8)를 서로 교차시켜 엉키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음으로 결국에는 급기연결구(7)가 고온의 배기연결구(8)에 접근하면서 구부러지게 설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여서 공기 저항을 받아 연소효율을 저하시키고 장시간이 지난 후에는 배기연결구(8)의 고온으로 인접한 급기연결구(7)에 손상을 입히거나 때로는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있으며 서로 엉키어 설치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현재 외연관(1)의 좌측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급기연결구(7)를 외연관(1)의 좌측후방에 설치하고 현재 내연관(2)의 좌측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연결구(8)를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내연관(2)의 끝부분에 곡관(6)을 형성하고, 상기 곡관(6) 아래부분에 배기연결구(8)를 형성시켜 외연관(1) 좌측 아래부분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급기연결구(7)를 외연관(1)의 좌측부분인 후방에 형성시키고 배기연결구(8)를 내연관(2) 좌측 끝부분에 형성시킨 곡관(6)의 아래부분에 형성시켜서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으로 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시킴으로서 연소기의 설치 위치에서 급·배기 외부통로가 좌측이나 직후 방향에 있는 경우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도 2 는 종래 고안의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연관 2 : 내연관
3 : 급기공 4 : 급기통로
5 : 배기통로 6 : 곡관
7 : 급기연결구 8 : 배기연결구
9 : 브라켓트
본 고안의 구성은 도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연관(급기관)(1)과 내연관(배기관)(2)을 2중관으로 형성시킨 급·배기관에 있어서 우측에 공기공(3)이 형성되어 급기통로(4)가 있는 외연관(1)의 좌측부분 후방에 급기연결구(7)를 형성시키고 외연관(1)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는 내연관(2)의 좌측 끝부분에 곡관(6)을 접속하며, 상기 곡관(6)의 아래부분에 연결시킨 배기연결구(8)를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으로 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의 급·배기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일반적인 급·배기관의 우측에 공기공(3)이 형성되어 급기통로(4)가 있는 외연관(1)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는 내연관(2)의 좌측 끝부분에 곡관(6)을 접속하며, 상기 곡관(6)의 아래부분에 연결시킨 배기연결구(8)를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으로 인출시켜 형성하고 외연관(1)의 좌측부분 후방에 급기연결구를 형성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의 급·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우측의 외연관(1)과 내연관(2), 좌측의 외연관(1)과 급기연결구(7) 및 좌측 아래부분의 외연관(1)과 배기연결구(8)의 접속연결은 일반적인 브라켓트(9)로 형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배기관은 연소기의 설치 위치에서 급·배기 외부통로가 좌측이나 직후방향에 있는 경우에도 좌측에 급기연결구(7)를 접속하고 중간에 배기연결구(8)를 접속시킬 수 있음으로 급기연결구(7)와 배기연결구(8)가 서로 교차되지 않아 엉키는 일이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이다.
본 고안은 연소기의 설치 위치에서 급·배기 외부통로가 좌측이나 직후방향에 있는 경우에도 연소기의 설치 위치를 변환시키지 않고 쉽게 좌측에 급기연결구(7)를 접속하고 중간에 배기연결구(8)를 접속시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급기연결구(7)와 배기연결구(8)가 서로 교차되지 않아 미관이 양호하며 급기연결구(7)에 공기저항을 받지 않아 연소효율이 양호하고 고온으로 손상이나 화재 발생의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급기공(3) 및 급기통로(4)가 형성된 외연관(급기관)(1)과 배기통로(5)가 형성되어 있는 내연관(배기관)(2)을 2중관으로 형성시킨 급·배기관에 있어서 외연관(1)의 좌측 부분후방에 급기연결구(7)를 형성시키고 내연관(2)의 좌측 끝부분에 곡관(6)을 접속하며 상기 곡관(6)의 아래부분에 연결시킨 배기연결구(8)를 상기 외연관(1)의 좌측 아래부분에 인출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의 급·배기관
KR2020000017274U 2000-06-17 2000-06-17 연소기의 급·배기관 KR200204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74U KR200204038Y1 (ko) 2000-06-17 2000-06-17 연소기의 급·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74U KR200204038Y1 (ko) 2000-06-17 2000-06-17 연소기의 급·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038Y1 true KR200204038Y1 (ko) 2000-11-15

Family

ID=1966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74U KR200204038Y1 (ko) 2000-06-17 2000-06-17 연소기의 급·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0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1127T3 (es) Procedimiento para evitar que produzca daños un frente de detonacion y aseguramiento frente a la detonacion.
JP6325930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20110036883A (ko) 오븐 또는 그릴용 가스 버너
US20100051013A1 (en) Burner ring
US9945555B2 (en) Multi-air chamber burner with swirl generator
JP2010242982A (ja) 先混合バーナ
JP2010256005A (ja) 燃焼システムのシンブルファン
KR200204038Y1 (ko) 연소기의 급·배기관
JP3581462B2 (ja) 予混合バーナ
CN109556110A (zh) 用于产生热水或蒸汽的锅炉
JP3714524B2 (ja) 表面燃焼バーナ及びその炉壁への取付機構
CN208418670U (zh) 一种采用燃尽风技术的锅炉
CN206786758U (zh) 燃气锅炉分级送风装置
US11306660B2 (en) Transfer tube manifold with integrated plugs
JP6622241B2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KR100751209B1 (ko) 보일러의 급배기관 구조
EP0900981B1 (en) Pilot lighter for burners
JP5400376B2 (ja) 圧力噴霧式バーナのノズル取付用の底壁部材
JP3701082B2 (ja) 平面燃焼バーナ装置
CN203656949U (zh) 一种蒸汽锅炉一体式前烟箱
KR200210565Y1 (ko) 연소기용 배기관 연결구조
US20130000306A1 (en) Gas turbine combustion burner
RU2220375C1 (ru) Вихревая газомазутная горелка
KR20150085391A (ko) 가스터빈의 이중벽 슬리브 냉각구조를 구비한 라이너 및 그 냉각방법
JP5590317B2 (ja) 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