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473Y1 - 연소기용 급배기관 - Google Patents

연소기용 급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473Y1
KR920008473Y1 KR2019900002078U KR900002078U KR920008473Y1 KR 920008473 Y1 KR920008473 Y1 KR 920008473Y1 KR 2019900002078 U KR2019900002078 U KR 2019900002078U KR 900002078 U KR900002078 U KR 900002078U KR 920008473 Y1 KR920008473 Y1 KR 920008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bustor
exhaust pipe
air supp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07U (ko
Inventor
임종배
Original Assignee
임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배 filed Critical 임종배
Priority to KR2019900002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473Y1/ko
Publication of KR910015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4Arrangements of recup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10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 F23J2211/101Balanced flues (combining air supply and flue gas exhaust) with coaxial duct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4Balanced-flue arrangements, i.e. devices which combine air inlet to combustion unit with smok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기용 급배기관
제1도는 종래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기 3 : 급기관
3a : 급기공 3b : 흡입구
4 : 배기관 4a : 흡기구
4b : 배기구 4c : 주름부
4d : 굴곡부 5,6 : 돌출부
5a,6a : 테두리 10 : 접속관
C : 공간부
본 고안은 일반가정용 가스보일러나 기름 보일러(이하 연소기라고 함)에 사용하는 폐가스배출과 연소용 예열공기 흡입 및 배출을 위한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기관에 내장된 단일체로 된 배기관이 수평으로 360°회전가능하게 삽입하여 연소기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의 예열 효과를 높이고, 굴뚝의 위치에 따라 배기관의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연소기용 급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기(11)의 급배기관 설치상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건물의 의벽체면(12)에 급기구(13a)와 배기구(13b)가 뚫린 외통관(13)을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외통관(13)내부에 외통관(13)보다 직경이 작은 내통관(14)을 삽입하여 배기구(13b)와 관통되게 하고. 연소기(11)상단의 배기통(11a)과 내통관(14)을 배기관(15)으로 연결하며, 흡기통(11b)과 외통관(13) 일측의 흡입구(13c)를 접속관(20)으로 연결함으로서 연소기(1)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된 폐가스는 연소기(11)의 배기통(11a)과 배기관(15) 및 내통관(14)의 통공(14a)을 지나 외통관(13)의 배기구(1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외통관(13)의 급기구(13a)와 예열공기실(13b) 및 흡입구(13c)를 지나는 동안 예열된뒤 접속관(20)과 흡기통(11b)을 통하여 연소기(11)내부로 유입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장치는 외통관(13)의 급기구(13a)와 배기구(13b)가 인접해 있는 관계로 배기구(14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스의 일부가 강제흡입력에 의하여 다시 급기구(13a)를 통하여 유입됨으로서 연료의 불완전 연소을 야기시키기게 되고, 연소용 공기의 예열 부위인 외통관(13)과 내통관(14)이 연소기(11)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폐가스의 온도가 낮고 내통관(14) 즉, 열교환부의 표면적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예열효과를 거둘수 없었다.
또한, 설치할때에는 외통관(13)과 내통관(14)이 용접등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외벽체(12)의 위치에 따라 흡입구(13c)의 위치가 필연적으로 달라지므로 연소기의 설치장소에 따라 접속관(20)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접속관(2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접속관(20)표면 방열손실이 커지는 결점이 있고, 보일러실의 폐열을 회수할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급기공이 뚫린 급기관 내부에 배기관을 360°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하여 이를 연소기의 배기통 및 흡기통과 직접 연결함으로서 연소용 공기의 예열효과를 높이여서 연소기의 열효율을 높이고 설치상의 번거로움을 없앤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관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그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배기관은 다수의 급기공(3a)과 흡입구(3b)를 갖는 원통형의 급기관(3)내부에 이보다 직경이 작은 선단구(4a)와 배기구(4b)를 갖는 배기관(4)을 삽입하여 공간부(C)가 형성되도록 한 것인데, 여기서 배기관(4)은 중간부분의 주름부(4c)양측에 확관 돌출부(5,6)를 형성하고 돌출부(5,6)상단에 테두리(5a,6a)를 돌출시키고 선단구(4a)내면에는 반원형의 요홈(7)을 형성하여 0-링(8)을 삽입하며, 일측의 돌출부(6)와 배기구(4b)사이에 굴곡부(4d)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일측주면에 다수이 공기공(3a)과 타측에 흡입구(3b)가 형성된 원통형의 급기관(3)을 상기 테두리(5a,6a)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흡입구(3b)에 소켓(3c)을 고정시킨 것이다.
설치할때는 제4도와 같이 연소기(1)상단의 배기통(1a)에 배기관(4)의 선단구(4a)를 끼워 연결하고, 흡기통(1b)과 소켓(3c)을 접속관(10)으로 연결하며, 배기관(4)의 굴곡부(4d)를 절곡시키고 배기구(4b)는 연통관(9)으로 건물의 굴뚝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소기(1)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된 폐가스는 배기통(1a)과 배기관(4) 및 연통관(9)을 통하여 굴뚝(2)내로 배출되며,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급기관(3)의 공기공(3a)과 공간부(C) 및 흡입구(3b), 그리고 접속관(10)과 흡기통(1b)을 통하여 연소기(1)의 버너로 공급된다.
이때, 본 고안은 연소기(1)내부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배기관(4)을 통하여 굴뚝(2)으로 배출되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급기공(3a)을 통하여 연소기(1)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와 폐가스의 유입 및 배출경로가 전혀 상이하며 폐가스의 유입으로 인한 연료의 불완전 연소가 근본적으로 방지되며, 보일러에서 방열된 보일러실내의 폐열도 회수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급배기관 자체가 연소기(1)의 배기통(1a)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폐가스의 고열이 그대로 배기관(4)의 주름부(4c)에 전달되므로 급기공(3a)으로 유입된 연소용 공기가 공간부(c)를 지나면서 충분히 예열된다.
아울러, 교환을 이루는 주름부(4c)가 직선관에 비해 전열면적이 훨씬 크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의 예열효과가 크기 때문에 연소효율이 높고 연료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설치시에는 급기관(3)으로 부터 배기관(4)이 수평으로 360°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연소기(1)와 연통관(9) 및 굴뚝(2)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방향조절이 용이하고, 접속관(10)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접속관(10)의 표면에서 방열되는 손실열이 적기 때문에 연소기(1)의 열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급기관(3)과 배기관(4)을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연소기(1)에 직접 연결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연소용 공기의 에열효과가 뛰어나 연료절감에 기여할수 있으며, 연소용 공기에 폐가스가 유입되어 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근본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기관(4)에 배기관(4)보다 직경이 큰 급기관(3)을 삽입하여 공기흡입실(C)을 형성하고 급기관(3)의 양단에는 급기공(3a)과 흡기구(3b)의 소켓(3c)이 각각 형성된 급배기관에 있어서, 배기관(4)의 양끝단에 돌출부(5,6)를 형성하여 급기관(3)을 삽입하고 돌출부(5,6)의 상단에는 테두리(5a,6a)를 형성하여 급기관(3)과 배기관(4)이 상하로는 고정되고 수평방향(좌,우)으로는 360°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의 예열공기공급용 급배기관.
KR2019900002078U 1990-02-06 1990-02-06 연소기용 급배기관 KR920008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078U KR920008473Y1 (ko) 1990-02-06 1990-02-06 연소기용 급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078U KR920008473Y1 (ko) 1990-02-06 1990-02-06 연소기용 급배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7U KR910015707U (ko) 1991-09-25
KR920008473Y1 true KR920008473Y1 (ko) 1992-11-30

Family

ID=1929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078U KR920008473Y1 (ko) 1990-02-06 1990-02-06 연소기용 급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4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763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오일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763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오일 보일러
US11131481B2 (en) 2019-05-03 2021-09-28 Kyungdong Navien Co., Ltd. Oil b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7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473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200315197Y1 (ko) 급기예열케이싱을 구비한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US4079888A (en) Heat recovery system for forced air furnaces
KR100447443B1 (ko) 이중 수실을 구비한 보일러
CN111649487A (zh) 热交换结构及燃气热水器
KR920008472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100570290B1 (ko) 콘덴싱 열교환장치
CN218864474U (zh) 燃气热水器
KR200225862Y1 (ko)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CN218993687U (zh) 冷凝式燃气热水器
KR200243192Y1 (ko) 열풍기
CN212566310U (zh) 热交换结构及燃气热水器
WO2023124590A1 (zh) 冷凝换热器及其热水/采暖设备
KR200150944Y1 (ko) 가스보일러 급배기연통
KR100417209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AU681000B2 (en) High efficiency fuel-fired condensing furnace having a compact heat exchanger system
KR0127835Y1 (ko) 보일러
KR20180034775A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KR100355899B1 (ko) 난방용 온수보일러
KR20010057005A (ko) 난방기용 급배기관
KR100575186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연료공급관
KR20210105061A (ko) 가스 난방장치
KR200372034Y1 (ko) 콘덴싱 보일러용 급배기관
KR100225505B1 (ko) 온풍기용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