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62Y1 -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 Google Patents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62Y1
KR200225862Y1 KR2019980020236U KR19980020236U KR200225862Y1 KR 200225862 Y1 KR200225862 Y1 KR 200225862Y1 KR 2019980020236 U KR2019980020236 U KR 2019980020236U KR 19980020236 U KR19980020236 U KR 19980020236U KR 200225862 Y1 KR200225862 Y1 KR 200225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water
exhaust
heating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523U (ko
Inventor
김기원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김철병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병, 주식회사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김철병
Priority to KR201998002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62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6) 및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형 본체(2)와, 가스와 송풍기(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12)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1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통과한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16)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연소기(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된 난방수에 의해 급수를 가열하는 온수 열교환기(34)와,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를 통과한 난방수를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하는 순환펌프(22)와, 3웨이 밸브(28) 및 과압방지밸브(32)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팽창탱크(48)를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18)는 알루미늄재질로 제조되어 잠열부 열교환기(16)의 하단과 그 상부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포집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기덕트 및 응축수관과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되, 포집공간부의 바닥면은 연통공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응축수가 자연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Exhaust hood for a condensing boiler}
본 고안은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열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난방수를 가열한 다음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덕트로 보냄과 동시에, 잠열부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포집하는 하기 위한 배기후드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응축수가 자연 낙하되도록 한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난방 및 온수공급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사용연료에 따라서 기름 보일러와 가스 보일러로 나눌 수 있다. 가스 보일러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경유나 등유에 비해 황분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청정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가스 보일러는 제어방식이나 밀폐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밖에도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원에 따라 콘덴싱과 비콘덴싱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콘덴싱 보일러는 버너에 의해 연소된 열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와 함께 현열부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를 지니고 있으며, 비콘덴싱 보일러는 현열부 열교환기만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콘덴싱 보일러에서는 배기후드의 구조가 대체로 평탄한 형상을 지니므로 잠열부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포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잠열부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포집하여 자연낙하 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형 구조의 배기후드를 구비함으로써, 잠열부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적절히 포집할 수 있는 한편, 설치시에 보일러를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해야 하거나 약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 응축수가 자연 낙하되도록 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일러 16 : 잠열부 열교환기
18 : 배기후드 20 : 배기덕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및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형 본체와, 가스와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와, 현열부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연소기와, 현열부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가열된 난방수에 의해 급수를 가열하는 온수 열교환기와, 난방수 여과기와 기수 분리기를 통과한 난방수를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3웨이 밸브 및 과압방지밸브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는 알루미늄재질로 제조되어 잠열부 열교환기의 하단과 그 상부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포집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기덕트 및 응축수관과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되, 포집공간부의 바닥면은 연통공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싱 가스 보일러(2)는 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6) 및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형 본체(2)와, 가스와 송풍기(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12)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1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통과한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16)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연소기(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된 난방수에 의해 급수를 가열하는 온수 열교환기(34)와,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를 통과한 난방수를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하는 순환펌프(22)와, 3웨이 밸브(28) 및 과압방지밸브(32)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팽창탱크(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콘덴싱 가스 보일러(2)의 잠열부 열교환기(14) 하단으로 이의 잠열부 열교환기(1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배기후드(18)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후드(1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질로 제조되어 잠열부 열교환기(14)의 하단과 그 상부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포집공간부(18a)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기덕트(20) 및 응축수관과 연통되도록 연통공(18b)이 형성되며, 포집공간부(18a)의 바닥면(18c)은 연통공(18b)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후드(18)의 연통공(18b) 주변으로는 배기덕트(2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8d) 및 측면 플랜지부(18e)가 일체로 갖추어져 있고, 배기후드(18)의 상단에는 잠열부 열교환기(16)의 하단과 결합되도록 상단 플랜지부(18f)가 형성되며, 또한, 이 배기후드(18)의 저면에는 보일러 본체(2)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18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측면 플랜지부(18e)와 상단 플랜지부(18f) 및 브라켓(18g)에는 각각 체결홀(18e-1, 18f-1, 18g-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배기후드를 보일러의 잠열부 열교환기의 하단에 결합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기후드(18)의 상단 플랜지부(18f)에 형성된 체결공(18f-1)을 통하여 잠열부 열교환기(16)와 체결하여 연결시킨다.
이후, 배기후드(18)의 측면 플랜지부(18e)에 형성된 체결공(18e-1)을 통하여 배기덕트(20)와 연통되게 연결시킨 후, 배기후드(18)의 저면에 형성된 브라켓(18g)의 체결공(18g-1)을 통하여 보일러(2)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배기후드(18)를 구비시킨 후 보일러(2)를 가동하게 되면 잠열부 열교환기(16)에서 응축수가 발생되고, 발생된 응축수는 배기후드(18)의포집공간부(18a)의 바닥면(18c)측으로 포집된다. 배기후드(18)의 바닥면(18c)으로 포집된 응축수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바닥면(18c)에 의해 일측 즉, 응축수관 측으로 포집되어 자유 낙하하여 배출된다.
즉, 잠열부 열교환기(16)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일방향 경사진 배기후드(18)의 바닥면(18c)을 따라 곧바로 응축수관 측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잠열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난방수를 가열한 다음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덕트로 보냄과 동시에, 잠열부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포집하는 하기 위한 배기후드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응축수가 자연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송풍기(10)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6) 및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되어 있는 밀폐형 본체(2)와, 가스와 송풍기(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12)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부 열교환기(1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통과한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16)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연소기(4)와, 현열부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가열된 난방수에 의해 급수를 가열하는 온수 열교환기(34)와, 난방수 여과기(24)와 기수 분리기(26)를 통과한 난방수를 상기 잠열부 열교환기(16)로 공급하는 순환펌프(22)와, 3웨이 밸브(28) 및 과압방지밸브(32)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난방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팽창탱크(48)를 포함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18)는 알루미늄재질로 제조되어 잠열부 열교환기(16)의 하단과 그 상부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포집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배기덕트 및 응축수관과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되, 포집공간부의 바닥면은 연통공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싱 보일러의 배기후드.
KR2019980020236U 1998-10-22 1998-10-22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KR200225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36U KR200225862Y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36U KR200225862Y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23U KR20000008523U (ko) 2000-05-15
KR200225862Y1 true KR200225862Y1 (ko) 2001-06-01

Family

ID=6952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236U KR200225862Y1 (ko) 1998-10-22 1998-10-22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52B1 (ko) 2003-07-10 2010-08-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수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52B1 (ko) 2003-07-10 2010-08-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23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35909U (zh) 一种利用烟气余热的预混式锅炉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0225862Y1 (ko)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0000703A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65150Y1 (ko) 스팀보일러
KR100279831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KR100392594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200271Y1 (ko)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희석장치
KR830002969Y1 (ko) 온수보일러용 왕겨연소기
KR100392596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0297376B1 (ko)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KR100282670B1 (ko) 폐타이어 소각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CN2339854Y (zh) 燃气蒸汽炉
CN209445578U (zh) 一种具有360度燃烧功能的供暖器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KR200154286Y1 (ko) 진공식 입형 증기 보일러
KR200243192Y1 (ko) 열풍기
KR100259709B1 (ko) 배기가스의 열흡수장치
JP4079794B2 (ja) ボイラ
JPH02213646A (ja) 液体加熱装置
KR200297429Y1 (ko) 열풍 보일러
KR10047986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810002319Y1 (ko) 방사상 흡인통을 입설한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