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150Y1 - 스팀보일러 - Google Patents

스팀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150Y1
KR200265150Y1 KR2020010029729U KR20010029729U KR200265150Y1 KR 200265150 Y1 KR200265150 Y1 KR 200265150Y1 KR 2020010029729 U KR2020010029729 U KR 2020010029729U KR 20010029729 U KR20010029729 U KR 20010029729U KR 200265150 Y1 KR200265150 Y1 KR 20026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pipe
heat
wat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덕
Original Assignee
박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덕 filed Critical 박창덕
Priority to KR2020010029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150Y1/ko

Links

Landscapes

  • Air Suppl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의 온수 및 고온의 열풍과 고압의 스팀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보일러로써 출원 제10-2001-0033328호에 근거하여 새로운 형식의 보일러를 개발하여 출원하고자 한다.
출원 제10-2001-0033328호의 특징은 보일러 연소를 원형 방법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연소시키는 방법이기에 큰 용량의 보일러 제작시 에는 문제점이 많았지만,
본 고안된 보일러는 연소로를 옆으로 뉘인 반원형의 형식인 타원형 방법으로 제작하여 연소되는 화염의 불꽃이 길게 하여 잘 연소되게 하면서 오랫동안 체류하도록 하여 방출되어진 열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리고 연소로를 옆으로 하여 반원형 형식으로 길게 함으로 원하는 수량만큼의 열교환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용량의 보일러로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일러의 구조적 특징은 연소실의 연소로를 반원형의 형식으로 길게 하여 연소되는 화염의 불꽃이 길어지게 함으로 잘 연소되면서 오랫동안 체류하도록 하여 그 열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소실 상부에 여러개의 열교환파이프를 이중관 파이프로 만들어 세우고 파이프 안쪽으로 매연이 지나가면서 가열되게 하고 매연 집수조에 모여 배출될 때에 이중관으로 되어진 바깥쪽 열교환파이프로 매연이 지나가게 하여 또다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열기를 발산함으로 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속에 있는 물을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으로 만들어지도록 하였고,
폐열이 지나가면서 보일러몸체 외부가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을 만들어 물을 저장시키고 보일러몸체 하부에 설치되어진 연소실 외부를 얇은 이중관이 되도록 하여 얇은 이중관 틈 속으로 펌프를 가동하여 저장통에 저장된 온수 물을 펌프를 가동하여 주입시키면 연소실 외벽의 열기를 흡수하고 여러개로 설치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틈 사이로 물이 이동하면서 안쪽과 바깥쪽에서 가열된 열기가 순간적으로 고온의 온수나 스팀이 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버너를 설치한 연소로 입구에 청소구를 만들어 연소로 내부와 열교환파이프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함으로 보일러의 효율을 높였고,
스팀으로 가열되어진 보일러 상부에 공기 예열통을 만들어 송풍기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예열로 인하여 열풍된 공기를 버너 가동시 요구되는 산소량 공급으로 연소실에 투입되게 하여 연소실 로 안의 온도를 상승되게 하고 연소되는 연료 또는 뜨거운 산소 공급으로 인하여 미 연소되는 것을 잘 연소되게 함으로 연료절감이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팀보일러{omitted}
본 고안은 짧은 시간에 스팀이 만들어지도록 연소실 외부를 얇은 이중관이 되도록하고 얇은 이중관 틈 사이로 저장시킨 온수물을 투입시키면 고온의 온수가 되어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로 온수가 이동되면서 스팀이 만들어지도록 하였고,
연소실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이중관으로 되어진 열교환파이프 안쪽을 통과하면서 가열시킨 후 집수조 안에 모여 배출될 때에 폐가스의 열기를 재 사용하고자 바깥쪽 열교환파이프 외부로 지나가게 하여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열기로 가열시킴으로 이중관으로 되어진 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로 지나가게 한 물이 순간적으로 끓게 하여 온수나 스팀이 되도록 하였다.
종래에는 한쪽 방향에서만 가열시키는 방법이기에 오랜시간을 기다려야 했으며 또 많은 물을 투입시켜 온수량이 많은 상태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려 연료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된 보일러는 물을 얇은 틈 속에서 양쪽으로 가열하여 많은 양의 온수나 스팀을 만들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에도 절감이 되며 연료절감이 가능토록 하였다.
본 고안은 짧은 시간에 스팀이나 온수를 만들 수 있도록 버너(4)의 연소열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보일러를 매우 합리적인 구조로 구성하여 한꺼번에 많은 물을 끓이는 방법이 아니라 작은 분량의 물을 여러곳에 나누어 얇은 틈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을 만들어 연소열의 효율적인 이용에 의해 열 손실의 최소화로 연료비의 절감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구조적인 특징은
보일러몸체(1)에 형성한 연소실(2)에는 투시창(3)과 버너(4)를 설치하고 버너를 가동시키면 전기의 연소실(2)과 매연가스 집수조(17)사이에 여러개의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 안쪽으로 연소된 매연이 통과하면서 열교환파이프를 가열시키고 매연 집수조에 모여 배출될 때에 폐가스의 남은 열기가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바깥쪽으로 지나가면서 외부를 가열시키면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에 있는 물이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이 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일러 하부측에 버너(4)를 설치한 곳에 후렌지로 고정한 청소구(6)를 만들어 연소실(2) 내부와 열교환파이프(8)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였고 폐열이 지나가면서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시켜 온수화된 물을 스팀보일러 안에 투입시켜서 빠른 시간에 스팀이 만들어지도록 하여 연료절감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일러몸체(1) 하부에 설치되어진 연소실(2) 외부를 얇은 이중관이 되도록하고 연소실 이중관 틈 새(11-1) 사이에 투입구를 만들어 모타펌프를 사용하여 저장통에 저장시킨 후 온수화된 물을 스팀보일러 안에 주입시키면 연소실(2) 얇은 틈사이에서 순간적으로 고온의 온수가 되어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로 이동되면서 양쪽에서 가열되도록 한 열기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스팀이 되어 스팀 저장조(19)에 모여 스팀 토출구(20)로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팀 저장조(19) 위에 스팀으로 가열된 곳에 공기 예열통(13)을 만들어 공기 투입구(15)로 주입시키면 고온의 열풍이 되어 토출구로 배출시켜 버너(4)의 산소량 공급으로 사용함으로 연소로 안의 온도를 상승되게 하고 미 연소되는 연료가 잘 연소되게 함으로 연료절감이 가능토록 한 순간 스팀보일러.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내부 정면도
도 3는 외부 측면도
도 4는 외부 정면도
도 5는 A-A선 내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몸체
2 : 연소실
3 : 투시창
4 : 버너
5 : 패가스 토출구
5-1 : 패가스 이송통로 (외부가열)
6 : 청소구 후렌지
7 : 매연가스 이송통로
8 :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안)
8-1 :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밖)
9 : 물 투입구
10 : 온수 배출구
11 :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틈새 (온수물 이송통로)
11-1 : 연소실 이중관 틈새
12 : 배출닥트(매연가스 최종토출구)
13 : 공기 예열통
14 : 온수 저장조
15 : 공기 투입구
16 : 열풍공기 토출구
17 : 매연가스 집수조
18 : 매연가스 집수조 윗판
19 : 스팀 저장조
20 : 스팀 토출구
21 : 온수 투입구(펌프)
22 : 보일러 고정장치
도 1은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내부 정면도
도 3은 외부 측면도
도 4는 외부 정면도
도 5는 내부 평면도
도 1내지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몸체(1) 하부에 형성한 연소실(2)에는 투시창(3)과 버너(4)를 설치하고, 버너(4)를 가동시키면 전기의 연소실(2)과 배출닥트(12)를 고정한 매연가스 집수조(17) 사이에 여러개의 열교환파이프(8)를 서로 연결하여 매연가스가 열교환파이프 안쪽으로 통과되면서 안쪽 파이프를 가열시키고 매연가스 집수조(17)에 모여 배출될 때에 폐가스의 열기를 재 사용하도록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바깥쪽으로 지나가면서 가열시키면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로 이동되는 물이 순간적으로 고온의 온수가 되어 스팀으로 증발하게 되었고,
보일러몸체(1) 하부에 형성한 연소실(2)과 연소실(2) 외벽을 얇은 이중관이 되도록 하고 이중관 틈 사이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온수 투입구(21)를 만들어 펌프로 물을 주입시키면 연소실(2) 외벽의 열기를 흡수하고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틈 사이(11)로 이동되면서 양쪽에서 가열된 열기로 고온의 온수가 되어 이중관 스팀으로 증발하여 스팀 저장조(19)에 모여 스팀 토출구(20)로 배출되어 스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일러 하부 연소실(2) 입구에 청소할 수 있도록 후렌지(6)로 고정하여 청소구를 만들고 그 청소구로 연소실(2) 내부와 이중관 열교환파이프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사용되어진 폐가스의 열기를 재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 외부를 가열함으로 순간적으로 스팀이 만들어지도록 하였고 폐가스의 열기로 보일러몸체(1)가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을 만들어 저장시키고 온수화 된 물을 스팀보일러 안에 투입구(21)로 주입시켜 빠른 시간에 스팀이 되도록 하였고,
스팀 저장조(19) 위 상부에 스팀으로 인하여 가열되어진 곳에 공기 저장통(13)을 만들어 공기 투입구(15)로 주입시켜 열풍된 공기를 버너(4) 산소 공급용으로 주입시킴으로 미 연소되던 연료가 잘 연소되게 함과 아울러 고온의 열풍으로 연소실 안의 온도를 상승되게 함으로 연료절감이 가능토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120은 보일러몸체(받침대)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압의 스팀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먼저 버너(4)를 점화시키고 투시창(3)으로 불의 화력을 감찰하여 버너(4)의 송풍을 조절하면서 잘 연소되게 하고 연소되어진 열기는 연소로를 가열시키고,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 안쪽으로 통과하면서 안쪽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를 가열되게 한 후 매연가스 집수조(17)에 모여 배출시킬 때 폐열이용 방법에 따라 이중관으로 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 외부로 지나가도록 하여 가열시킴으로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에 있는 물을 양쪽에서 가열되게 함으로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이 되도록 하였고,
보일러몸체(1) 외부에 폐가스의 열기로 인하여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을 만들고 물을 주입시켜 온수화된 물을 보일러 안에 주입시킴으로 연료를 절감시켰고 스팀 저장조(19) 상부에 스팀으로 열기가 발생하는 곳에 공기 예열통(13)을 장치하여 열풍된 공기를 산소 공급용으로 버너(4)를 통하여 연소실 안에 주입시킴으로 보일러의 효율을 높임으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보일러에 형성된 연소실과 매연가스가 배출할수 있는 여러개의 이중관 열교환파이프를 설치하고 배출되어진 폐가스를 한곳에 모을 수 있는 폐열 집수조를 만들고 집수조에 모여 배출될 때 남은 열기를 또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관 열교환파이프 외부로 지나가도록 하여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가열되게 함으로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에 있는 물을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으로 만들어지도록 하였고,폐열을 재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1) 바깥쪽으로 지나가면서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시켜 온수로 만들어 스팀보일러 안에 주입시킴으로 빠르게 스팀이 만들어지도록 하여 연료절감이 가능토록 하였고,고온의 스팀이 저장되는 곳에 공기 예열통(13)을 만들고 열풍된 공기를 버너(4)를 통하여 연료의 산소량 공급으로 사용할 때 미 연쇠되는 연료가 고온의 열풍으로 연소됨으로 연료절감이 되도록 하였다.

Claims (1)

  1. 보일러몸체(1)에 형성한 연소실(2)을 반원의 방법으로 길게 하고 연소되는 화염의 불꽃을 감찰할 수 있는 투시창(3)을 설치하고 설치되어진 버너(4)를 가동시키면 연소되는 화염의 불꽃이 적절한 유속으로 배출되면서 오랫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여러개로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를 이중관으로 세워서 연소실(2)에서 발생한 연소열이 파이프 안쪽으로 통과하면서 안쪽 이중관 열교환파이프(8) 안쪽을 가열시키고 매연가스 집수조(17)에 모여 배출시킬 때 남은 열기가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되어진 바깥쪽 열교환파이프 쪽으로 지나가면서 가열시키면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에 있는 물을 순간적으로 끓게 하여 온수나 스팀으로 만들어지도록 하였고,
    폐가스의 열기를 재 사용하는 과정에서 보일러몸체(1) 외부가 가열되는 곳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온수 저장조(14)을 만들고 저장된 온수물을 투입구로 주입시키면 폐열의 열기로 온수로 만들어져 저장되게 하였고,
    연소실(2) 외벽을 얇은 이중관으로 만들고 얇은 연소실 이중관 틈새(11-1) 사이로 저장된 온수물을 모타펌프를 가동하여 투입구(21)로 주입시키면 연소실 외벽의 열기를 흡수하여 고온의 온수가 되어 여러개로 나누어 설치되어진 이중관 열교환파이프와 파이프 얇은 틈 사이(11)로 이동되면서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가열된 열기로 인하여 파이프와 파이프 틈 사이(11)에 있는 물을 순간적으로 온수나 스팀이 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일러 안을 청소할 수 있도록 버너(4)를 설치한 곳에 후렌지(6)로 고정한 청소구를 만들고 끄으름등 이물질을 제거함으로 보일러의 효율을 높였고 스팀이 저장되는 보일러 상부쪽에 공기 예열통(13)을 만들고 송풍기를 설치하여 투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고온의 열풍이 되어 배출될 때에 버너(4)의 가동으로 요구되는 산소량 공급으로 고온의 열풍을 사용하면 연소되는 연료가 뜨거운 열풍으로 인하여 잘 연소될 뿐만 아니라 연소로 안의 온도를 상승되게 함으로 연료절감이 가능토록 한 보일러.
KR2020010029729U 2001-09-24 2001-09-24 스팀보일러 KR20026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729U KR200265150Y1 (ko) 2001-09-24 2001-09-24 스팀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729U KR200265150Y1 (ko) 2001-09-24 2001-09-24 스팀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150Y1 true KR200265150Y1 (ko) 2002-02-21

Family

ID=7308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729U KR200265150Y1 (ko) 2001-09-24 2001-09-24 스팀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1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11B1 (ko) * 2011-12-07 2013-09-11 엔디티엔지니어링(주) 복합식 다중관 보일러
KR101306618B1 (ko) * 2012-10-24 2013-09-11 박양웅 숯가마를 이용한 난방, 취사 및 발전 시스템
KR102101297B1 (ko) 2019-02-15 2020-05-26 주식회사 드림테크 급속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KR102269617B1 (ko) 2020-10-27 2021-06-24 신현호 스팀 급속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11B1 (ko) * 2011-12-07 2013-09-11 엔디티엔지니어링(주) 복합식 다중관 보일러
KR101306618B1 (ko) * 2012-10-24 2013-09-11 박양웅 숯가마를 이용한 난방, 취사 및 발전 시스템
KR102101297B1 (ko) 2019-02-15 2020-05-26 주식회사 드림테크 급속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KR102269617B1 (ko) 2020-10-27 2021-06-24 신현호 스팀 급속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9788B (zh) 高热值燃料蓄热式冷凝节能锅炉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CN106016719A (zh) 一种带有双辅助燃烧炉的高效锅炉
CN105157228A (zh) 水管式中心回燃冷凝一体炉
CN101338904A (zh) 低热值燃料单预热蓄热式冷凝节能锅炉
CN207716647U (zh) 节能环保锅炉
KR200265150Y1 (ko) 스팀보일러
CN101451767A (zh) 蓄热式节能锅炉及其燃烧方法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CN104633633A (zh) 过热蒸汽组合锅炉及过热蒸汽制作方法
KR200272697Y1 (ko) 세차기의 스팀 및 온수보일러
KR20010079051A (ko) 고압력 스팀보일러
CN201909310U (zh) 双锅筒燃煤和燃油、气组合锅炉
KR20010107891A (ko) 가정용 보일러
KR200202893Y1 (ko) 열교환효율이 높은 고효율보일러
KR100632128B1 (ko) 연관식 보일러
KR20150116647A (ko) 화목보일러용 배기가스 집진장치
KR200311752Y1 (ko) 가스보일러의 배기가스 폐열 회수장치
CN101463995B (zh) 燃用液态燃料的单蓄热式注汽锅炉及其燃烧方法
KR200276368Y1 (ko) 가정용 보일러
CN209706334U (zh) 一种高效环保的燃气热水锅炉
CN207622259U (zh) 热水锅炉
KR200374662Y1 (ko) 연관식 보일러
RU81565U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CN209588013U (zh) 一种卧式三回程烟火管蒸汽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